KR100381680B1 - 양말 편직기용 니들 실린더의 구조 - Google Patents

양말 편직기용 니들 실린더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1680B1
KR100381680B1 KR10-2001-0032085A KR20010032085A KR100381680B1 KR 100381680 B1 KR100381680 B1 KR 100381680B1 KR 20010032085 A KR20010032085 A KR 20010032085A KR 100381680 B1 KR100381680 B1 KR 100381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ylinder
cylinder
needle
knitting machine
spr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7935A (ko
Inventor
이종학
Original Assignee
이종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학 filed Critical 이종학
Priority to KR10-2001-0032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1680B1/ko
Publication of KR20020017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6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4Sinker heads; Sinker ba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18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breakage, misplacement, or malfunctioning of knitting instru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말 편직기의 실린더 샤프트에 삽입되어 그와 함께 회전하면서 양말의 편직상태에 따라 승하강하는 니들 실린더(Needle Cylinder)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니들 실린더의 표면에 다수의 요홈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각각의 요홈에 본드를 칠한 후 통살을 삽입하여 접착시키고, 니들 실린더의 상부 내면에는 경사면과 함께 그 경사면과 수직한 복수개의 나사공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공에 스프링 고리가 끼워진 단볼트를 체결한 다음 상기 스프링 고리와 실린더 샤프트를 인장 스프링으로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니들 실린더의 요홈에 삽입된 통살이 본드로 접착되었기 때문에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니들 실린더의 중량감소와 이물질의 발생을 방지한다.
따라서, 사용도중 통살이 부분적으로 파손되더라도 해당 통살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고, 오염원의 제거로 니들 및 쟉크의 이탈 염려가 없어 니들 실린더의 회전속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약 550RPM) 양말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단볼트에 결속된 스프링 고리는 단볼트의 체결력에 관계없이 유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니들 실린더의 승하강시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니들 실린더의 중심을 바로잡아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Description

양말 편직기용 니들 실린더의 구조{Needle cylinder assembly of Hosiery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양말 편직기의 실린더 샤프트에 삽입되어 그와 함께 회전하면서 양말의 편직상태에 따라 승하강하는 니들 실린더(Needle Cylinder)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니들 실린더의 원주상에 부착되어 니들(바늘)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기 위한 통살과 승하강시 니들 실린더의 중심을 잡아주기 위한 인장 스프링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통살의 교체가 용이하고, 니들 실린더의 회전수(RPM)를 상승시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며, 니들 실린더의 승하강시 그 위치가 가변되면서 자동으로 중심이 잡히도록 한 양말 편직기용 니들 실린더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말 편직기의 본체에는 구동원인 모터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의 상측에는 상기 모터와 전동수단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실린더 샤프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실린더 샤프트의 외측에 니들과 직접 접촉하면서 양말을 편직하는 원통형의 니들 실린더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니들 실린더의 주연에는 다수의 삽입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이들 삽입홈에 각각 니들이 삽입 설치되고, 니들 실린더 자체는 상기한 실린더 샤프트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니들 실린더는 실린더 샤프트와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유로운 슬라이딩 키이로 연결되어 있어 양말의 편직상태에 따라 승하강하고, 그 상측에 설치된인사이드 싱커링(Inside sinker ring)이 실린더 샤프트의 상단과 인장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니들 실린더는 실린더 샤프트와 함께 회전 및 승하강하며, 니들 실린더의 승하강에 따라 양말의 편직상태가 달라진다.
즉, 양말의 목 부분(밴드부분)이나 발등 부분과 같이 매듭 사이의 간격이 넓은 부분을 편직할 때는 니들 실린더가 상승하여 상측에 위치해 있고, 발뒤꿈치와 발바닥 및 발가락 부분과 같이 매듭 사이의 간격이 촘촘한 부분을 편직할 때는 하강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니들 실린더를 형성함에 있어, 원통체로 된 실린더의 표면을 기계가공하여 다수의 삽입홈과 돌기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실린더의 상측에 인사이드 싱커링을 설치하며, 이 인사이드 싱커링에 저면과 관통되는 복수개의 나사공을 뚫고, 인장 스프링의 일단(상단)이 끼워진 스크류를 상기 나사공에 체결한 후 인장 스프링의 타단(하단)을 실린더 샤프트의 상단에 연결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니들 실린더는 니들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그 표면에 기계가공으로 정밀한 형태의 요홈을 길고 깊게 형성해야 하므로 숙련된 작업자 및 장비가 필요하여 제작원가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가공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더욱이, 니들 실린더와 다수의 삽입홈 및 돌기는 모두 일체로 된 것이기 때문에 이들 중 어느 하나만 손상되더라도 니들 실린더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막대한 물적자원을 소비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인장 스프링을 연결하기 위한 스크류가 인사이드 싱커링에 체결된 관계로 상기 인장 스프링이 스크류의 머리부와 인사이드 싱커링 사이에서 압착되어 위치변동이 불가능하므로 니들 실린더의 승하강시 중심을 바로 잡아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편직불량과 작동불량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본인에 의해 선출원된 한국 실용신안공고 제 65-1365호의 "양말편기의 구침 구로장치"가 있다.
상기 "양말편기의 구침 구로장치"의 내용을 요약하면, 원통형으로 된 니들 실린더의 표면을 요철형태로 가공하여 다수의 삽입요구를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삽입요구에 궤편을 삽입하여 납땜으로 고정시킨 뒤 상기 궤편과 궤편 사이에 니들을 삽입 설치토록 한 것이다.
이 장치는 사용중, 어느 하나의 궤편이 손상될 경우 니들 실린더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해당 궤편만을 교체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막대한 물적자원을 소비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인장 스프링을 연결하기 위한 스크류가 인사이드 싱커링에 체결되어 있어 전술한 문제점을 그대로 내포하고 있고, 또한 니들 실린더의 삽입요구에 궤편을 삽입한 후 이를 강도가 약한 납땜으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교체하기가 상당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도중 남땜과 니들의 접촉에 의해 납성분 등의 이물질이 발생하여 편직된 양말을 오염시키는 관계로 니들 및 쟉크의 이탈이 잦으며, 이로 인해 니들 실린더의 회전속도가 느려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오염은 특히 백색계통의 양말을 편직할 때 더욱 심하게 발생하여 품질불량 및 반품을 초래하고, 납땜으로 인해 니들 실린더의 중량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이 또한 니들 실린더를 감속시키는 원인이 되었던 바, 결국 니들 실린더의 최고 회전속도가 약 250RPM 정도에 불과하여 생산성 감소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과제는 니들 실린더의 표면에 삽입되는 통살의 조립구조와 인장 스프링을 연결하기 위한 스프링 고리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니들 실린더의 회전수(RPM)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니들 실린더의 승하강에 따른 위치변동으로 니들 실린더의 중심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니들 실린더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니들 실린더의 조립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니들 실린더의 확대 조립 평단면도
도 4는 통살의 사시도
도 5는 단볼트와 스프링 고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린더 샤프트 20 : 니들 실린더
21 : 요홈 22 : 경사면
23 : 나사공 24 : 삽입홈
30 : 인사이드 싱커링 40 : 아웃사이드 싱커링
50 : 통살 51 : 삽입부
60 : 본드 70 : 스프링 고리
80 : 단볼트 90 : 인장 스프링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니들 실린더의 표면에 다수의 요홈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본드를 칠한 후 각각의 요홈에 통살을 삽입하여 접착시키고, 니들 실린더의 상부 내면에는 경사면과 함께 그 경사면과 수직하게 복수개의 나사공을 형성하며, 인사이드 싱커링을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는 단볼트에 스프링 고리의 일단을 유동이 자유롭게 끼운 다음 이 스프링 고리와 실린더 샤프트를 인장 스프링으로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니들 실린더의 요홈에 끼워진 통살을 본드로 접착하였기 때문에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니들 실린더의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키며, 니들과의 접촉에 의해 이물질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도중 통살이 부분적으로 파손되더라도 해당 통살만 손쉽게 교체할 수 있고, 오염원의 제거로 니들 및 쟉크의 이탈 염려가 없어 니들 실린더의 회전속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약 550RPM) 양말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단볼트에 결속된 스프링 고리는 단볼트의 체결력에 관계없이 유동이 자유로워 니들 실린더의 승하강시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중심을 바로잡아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니들 실린더의 중심이 항상 실린더 샤프트의 중심과 일치되어 동작이 원할하고, 작동불량 및 편직불량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의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니들 실린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조립 정단면도이며, 도 3은 조립 평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말 편직기의 구동원인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실린더 샤프트(10)의 외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키이(11)로 연결되며 그 상측에 인사이드 싱커링(30)과 아웃사이드 싱커링(40)이 설치되는 니들 실린더(20)에 있어서,
상기 니들 실린더(20)의 표면에 다수의 요홈(21)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에 본드(60)를 칠한 후 통살(50)을 삽입하여 접착하며, 니들 실린더의 상부 내면에는 경사면(22)과 함께 그 경사면에 수직한 복수개의 나사공(23)을 형성하며, 이들 나사공에 스프링 고리(70)가 끼워진 단볼트(80)를 이용하여 인사이드 싱커링(30)을 체결하고, 상기 스프링 고리(70)와 실린더 샤프트(10)의 상단을 인장 스프링(90)으로 연결한 것이다.
요홈(21)은 니들 실린더(20)의 표면에 기계가공을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깊이 및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통살(50)은 금속재로서, 도 4과 같이 요홈(21)에 삽입되는 일측의 삽입부(51)에 비해 외측 부위의 두께가 큰(a〈 b ) 마름모꼴의 단면을 갖으며, 상기 삽입부와 양측면이 매끄럽게 연마 가공된다.
본드(60)는 요홈(21)에 도포되고, 통살(50)은 그 삽입부(51)가 요홈에 삽입되며, 삽입 후 약 80∼100℃의 열로 일정시간(약 4시간) 가열하면 본드의 접착이 완료된다.
경사면(22)은 니들 실린더(20)의 성형시 그 상부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나사공(23)은 경사면과 수직하게 약 4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단볼트(80)는 도 5와 같이 머리부(81)의 하단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단턱(82)이 형성된 볼트로서, 상기 단턱의 주연에 요홈(83)이 일체로 형성되며, 인사이드 싱커링(30)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공(23)에 나사 결합되므로써 인사이드 싱커링을 니들 실린더(20)에 고정시키게 된다.
스프링 고리(70)는 단볼트(80)의 요홈(83)에 끼워져 유동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인장 스프링(90)은 그 일단이 실린더 샤프트(10)의 상단에 볼트를 통하여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 고리(70)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니들 실린더(20)는 요홈(21)에 삽입된 통살(50)과 통살 사이에 삽입홈(24)이 형성되며, 이 삽입홈에 니들이 삽입된다.
상기 삽입홈(24)의 양측면에 해당하는 통살(50)의 측면은 연마 가공을 통하여 매끄럽게 형성된 상태이고, 통살은 삽입부(51)의 두께(a)보다 바깥쪽의 두께(b)가 큰 마름모꼴의 단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통살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홈(24)의 내외측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통살(50)이 본드(60)에 의해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며, 니들 실린더의 중량이 감소된다.
따라서, 니들 실린더(20)의 승하강시 삽입홈(24)에 삽입된 니들 및 쟉크의 이탈이 방지되고,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사용중 통살이 부분적으로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통살만을 신속히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오염원의 차단과 함께 니들 및 쟉크의 이탈이 방지되어 니들 실린더의 고속회전(약 550RPM)이 가능하므로 양말의 생산성 향상에도 크게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단볼트에 연결된 스프링 고리의 일단(상단)은 구속되지 않고 유동 및 회전이 자유롭기 때문에 양말의 편직상태에 따라 니들 실린더가 승하강할 때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니들 실린더의 중심을 바로잡아 준다.
따라서, 니들 실린더의 중심이 항상 실린더 샤프트의 중심과 일치되어 동작상태가 원할하고, 양호한 편직을 보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말 편직기용 니들 실린더의 표면에 다수의 요홈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이들 각각의 요홈에 통살을 삽입한 후 본드로 접착하고, 실린더 샤프트와 인장 스프링으로 연결되는 스프링 고리를 니들 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된 단볼트와 유동 가능하게 연결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니들 실린더의 표면에 삽입된 통살이 본드로 접착되어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니들 실린더의 하중감소와 함께 이물질의 발생을 방지하므로 통살의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하여 니들 실린더의 수명연장에 기여할수 있고, 또한 오염원 및 니들과 쟉크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니들 실린더의 회전속도가 향상되어 생산성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단볼트에 연결된 스프링 고리의 유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니들 실린더의 승하강시 자동으로 중심이 바로 잡히게 되어 동작이 원할하며, 작동 및 편직불량이 방지되어 기계의 성능과 신뢰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양말 편직기의 구동원인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실린더 샤프트(10)와, 상기 실린더 샤프트의 외측에 삽입되며 슬라이딩 키이(11)로 연결되며 그 상측으로 인사이드 싱커링(30)과 아웃사이드 싱커링(40)이 설치되는 니들 실린더(20)에 있어서,
    상기 니들 실린더(20)의 표면에 다수의 요홈(21)을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요홈에 마름모꼴의 단면을 갖는 통살(50)을 삽입하여 본드(60)로 접착하며, 니들 실린더의 상부 내면에는 경사면(22)과 함께 그 경사면과 수직한 복수개의 나사공(23)을 형성하여 여기에 단볼트(80)로 인사이드 싱커링(30)을 체결하고, 상기 단볼트(80)에 스프링 고리(70)를 끼워서 이 스프링 고리와 실린더 샤프트(10)의 상단을 인장 스프링(90)으로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편직기용 니들 실린더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볼트(80)는 머리부(81)의 하단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요홈(83)을 갖는 단턱(82)이 형성되고, 스프링 고리(70)는 그 일단(상단)이 상기 요홈에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편직기용 니들 실린더의 구조.
KR10-2001-0032085A 2001-06-08 2001-06-08 양말 편직기용 니들 실린더의 구조 KR100381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085A KR100381680B1 (ko) 2001-06-08 2001-06-08 양말 편직기용 니들 실린더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085A KR100381680B1 (ko) 2001-06-08 2001-06-08 양말 편직기용 니들 실린더의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348U Division KR200213408Y1 (ko) 2000-08-28 2000-08-28 양말 편직기용 니들 실린더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935A KR20020017935A (ko) 2002-03-07
KR100381680B1 true KR100381680B1 (ko) 2003-05-09

Family

ID=19710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085A KR100381680B1 (ko) 2001-06-08 2001-06-08 양말 편직기용 니들 실린더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1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563B1 (ko) 2021-06-18 2021-09-14 최종옥 보호대 편직용 실린더형 편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139Y1 (ko) * 2008-08-21 2010-09-07 (주)수산정기 양말편직기의 침통부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563B1 (ko) 2021-06-18 2021-09-14 최종옥 보호대 편직용 실린더형 편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935A (ko) 200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21974A (zh) 槽铣刀
RU2007141680A (ru)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элементы, присоединяемые к зубному имплантату, и внутреннее соединение между зубным имплантатом и каждым элементом
KR200213408Y1 (ko) 양말 편직기용 니들 실린더의 구조
KR100381680B1 (ko) 양말 편직기용 니들 실린더의 구조
US4843709A (en) Shell-type milling cutter and method for attaching the same
JP4133838B2 (ja) 自己−ロッキング式留め装置
JP2007263185A (ja) すべり軸受装置およびポンプ装置
RU1809880C (ru) Линейна шарикова втулка и способ заполнени ее шариками
KR200381846Y1 (ko) 분리형 코어드릴
CA1289013C (en) Combined normal and fine sowing wheel for sowing machines
KR101260096B1 (ko) 크랑크 스로우 내면 가공용 밀링커터
CN215887602U (zh) 用于洗涤设备的底衬
KR20200141085A (ko) 밀링 픽
CN211820402U (zh) 一种农机收割机轴承
CN207919085U (zh) 一种改进型大盘齿轮校准结构
CN107999794A (zh) 一种顶尖夹具
CN209754650U (zh) 一种衬套内孔加工治具
CN2456477Y (zh) 制粒环模
JP6524509B2 (ja) ガスケットおよび洗濯機の減速クラッチ装置
US5439295A (en) Idler wheel with tapered shaft
CN211599233U (zh) 一种防松螺纹套
CN213628774U (zh) 高效轻量化旋压减振皮带轮
CN217518608U (zh) 大孔径竖井钻机提升用的多自由度转接装置
CN211009785U (zh) 一种用于滚珠丝杠的防尘装置
KR200187637Y1 (ko) 제지기계용 싸이크론의 개량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30507

Effective date: 200405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100000908;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30507

Effective date: 20040531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1115

Effective date: 200509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000245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1115

Effective date: 200509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200009510;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300003496;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EXTG Extinguishm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1108

Effective date: 2006101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200009510;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1108

Effective date: 2006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