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1403B1 - 마이크로컴퓨터의웨이크업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컴퓨터의웨이크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1403B1
KR100381403B1 KR1019950016984A KR19950016984A KR100381403B1 KR 100381403 B1 KR100381403 B1 KR 100381403B1 KR 1019950016984 A KR1019950016984 A KR 1019950016984A KR 19950016984 A KR19950016984 A KR 19950016984A KR 100381403 B1 KR100381403 B1 KR 100381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omputer
interrupt
wake
mode
low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6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2672A (ko
Inventor
나가세히토시
Original Assignee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950016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1403B1/ko
Publication of KR970002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4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06F13/2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using interrup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1개의 인터럽트 단자를 복수의 목적을 갖는 인터럽트에 병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슬립 모드인 경우에 인터럽트를 걸었을 때에는 마이크로 컴퓨터(5A)가 웨이크 업 모드로의 전환을 판단하고, 또 웨이크 업 모드인 경우에 인터럽트를 걸었을 때에는 마이크로 컴퓨터(5A)가 밧데리 전원이 이탈되었다고 판단하도록, 인터럽트 판별회로(2A)는 상기 인터럽트를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5A)의 1개의 인터럽트 단자(NMI)에 입력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컴퓨터의 웨이크 업 장치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에 탑재하는, 근거리 지역 네트워크(이하, LAN 일 한다)에서 사용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슬립 모드(sleep mode)로부터 웨이크 업(wakeup mode)로 전환시키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웨이크 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제 3 도는 종래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웨이크 업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1은웨이크 업 대상입력용인 입력 인터페이스이고, 2는 이 입력 인터페이스(I/F)(1)와 LAN 통신 IC(4)를 경유한 외부의 로칼 콘트롤 유니트(LCU)(3)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 컴퓨터(5)의 하나의 인터럽트 단자(IRQ)에 인터럽트를 거는 인터럽트 판별회로이며, 6은 밧데리(BAI) 전압의 저하를 검출하여, 마이크로 컴퓨터(5)의 다른 하나의 인터럽트 단자(NMI)에 인터럽를 거는 저전압 검출회로이다.
또, 7은 밧데리에 접속된 정전압 전원이고, 8은 마이크로 컴퓨터(5)가 슬립 모드일 때에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회로이며, 9는 마이크로 컴퓨터(5)의 출력신호를 외부회로에 출력하는 출력회로이다.
계속하여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차량 탑재용 LAN은 밧데리를 전원으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엔진이 걸려 있지않고, 또 시스템으로서 동작하고 있지 않는 조건에서는, 밧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이그니션(ignition) 스위치나 ACC 스위치가 모두 오프(off)이고, 모든 부하(타이머도 포함한다)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가 30 초 계속되면, 마이크로 컴퓨터(5)를 소비전력상태로서의 슬립 모드로 하고 있다.
한편, 어떠한 원인으로 상기 밧데리가 이탈된 경우에는, 마이크로, 컴퓨터(5)에 인터럽트를 걸어, 메모리내의 데이타를 유지시킨 후, 마이크로 컴퓨터(5)를 리셋트하고, 계속하여 그 전원을 떨어뜨리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부하로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다시 작동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를 온(on)으로 한 경우에는, 마이크로 컴퓨터(5)를 상기 슬립 모드로부터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화하여 제어처리가 가능한 상태로 한다. 그리고, 이 이그닉션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에, 마이크로 컴퓨터(5)에 상기 인터럽트를 건 인터럽트 단자(NMI)와는 별도의 인터럽트 단자(IRQ)에 인터럽트를 걸어, 웨이크 업을 실행하고 있다. 또한, 이들 인터럽트는 제어장치에 직접 입력되는 스위치 입력 뿐만아니라, 로칼 콘트롤 유니트(3)에 의해 발생되는 정보도 통신에 의해서 전송되기 때문에 인터럽트 판별회로(2)에 의해 논리합 연산을 실행하고 있다.
즉, 이 종래예에서는, 제 4 도의 타이밍 챠트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립 상태에서 밧데리 전압이 순간적으로 단락되어쓸 때, 저전압 검출회로(6)가 저전압을 검출하여, 마이크로 컴퓨터(5)의 인터럽트 단자(NMI)에 인터럽트를 걸고, 하드 웨어 대기모드에 있으면, 인터럽트가 걸려도 웨이크 업되지 않는다.
한편, 웨이크 업 대상입력이 입력 인터페이스(1)에 입력되면, 인터럽트 판별회로(2)는 마이크로 컴퓨터(5)의 인터럽트 단자(IRQ)에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5)는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이러한 웨이크 업 모드 중에, 웨이크 업 대상입력이 있었던 경우나 LAN 통신IC(4)를 경유하여 외부의 로칼 콘트롤 유니트(3)로부터 인터럽트가 있었던 경우에는, 마이크로 컴퓨터(5)의 인터럽트 단자(IRQ)에 인터럽트가 걸려도, 소프트 웨어에 의해서 이들 인터럽트는 무시된다.
그리고, 다시 슬립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 있어서, LAN 통신 IC(4)로부터 인터럽트가 있으면, 마이크로 컴퓨터(5)는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되고, 이러한 웨이크 업 모드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가 부하로부터 이탈된 경우에는 저전압 검출회로(6)는 그 전원전압의 저하를 검출하여, 마이크로 컴퓨터(5)의 인터럽트 단자(NMI)에 인터럽트를 걸어, RAM으로부터 데이타를 보전시키게 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웨이크 업 장치에 있어서는, 밧데리가 이탈된 경우와 웨이크 업 대상입력이나 LAN 통신 IC(4)로부터 인터럽트가 걸리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럽트 단자(IRQ),(NMI)가 마이크로 컴퓨터(5)에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입출력수가 많게 되면, 마이크로 컴퓨터(5)의 포드수가 부족하게 되어 포트를 확장시켜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1개의 포트를 복수의 목적을 갖는 인터럽트에 대해 병용할 수 있고, 그 결과 포트의 확장에 따른 비용 상승등을 미연에 해결할 수 있는 마아크로 컴퓨터의 웨이크 업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 컴퓨터의 웨이크 업 장치는, 슬립 모드일 경우에 인터럽트를 걸었을 때에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였다고 판단하고, 또 웨이크 업 모드일 경우에 인터럽트를 걸었을 때에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밧데리 전원이 이탈되었다고 판단하도록, 인터럽트 판별회로로 상기 인터럽트를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1개의 인터럽트 단자에 입력하도록 한 것이다.
(작용)
본 발명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웨이크 업 장치는, 안터럽트 판별 회로에 슬립 상태의 신호를 입력하여, 웨이크 업 모드중일 경우에는, 웨이크 업 대상입력이 있어도 인터럽트를 출력하지 않고, 한편, 슬립 모드중일 경우에는, 저전압 검출회로로부터 저전압 검출신호가 입력되어도 인터럽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하여, 마이크로 컴퓨터의 인터럽트 단자를 1개로 공용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도에 있어서, 1은 웨이크 업 대상입력용인 입력 인터페이스이고, 2A는 이 입력 인터페이스(1)와 LAN 통신 IC(4)를 경유한 외부의 로칼 콘트롤 유니트(3)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 컴퓨터(5A)의 1개의 인터럽트 단자(NMI)에 인터럽트를 거는 인터럽트 판별회로이며, 6은 밧데리 전압의 저하를 검출하여, 마이크로 컴퓨터(5A)의 상기와 동일한 인터럽트 단자(NMI)에 인터럽트를 거는 저전압 검출회로이다.
또, 7은 밧데리에 접속된 정전압 전원이고 8은 마이크로 컴퓨터(5)가 슬립 모드일 경우에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회로이며 9는 마이크로 컴퓨터(5A)의 출력신호를 외부회로에 출력하는 출력회로이다.
계속하여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마이크로 컴퓨터(5A)가 슬립 모드중인 경우는, 이미 메모리내에 데이타가 유지되어 있으므로 그대로 전원이 떨어져도 문제가 없기 때문에, 슬립 모드중에 저전압 검출에 의해 인터럽트를 걸 필요는 없다. 한편, 웨이크 업되어 있는 통상의 동작상태에서는 더욱 웨이크 업을 걸 필요가 없다.
그래서, 마이크로 컴퓨터(5A)로서는, 슬립 모드상태에서 인터럽트 단자(NMI)에 인터럽트가 걸린 경우에는, 웨이크 업이라고 판단하고, 한편 웨이크 업 상태에서는 상기 인터럽트 단자(NMI)에 인터럽트가 걸린 경우에는 밧데리 전원이 부하로부터 이탈되었다고 인식하면 된다.
따라서, 인터럽트 판별회로(2A)로서는 슬립 상태의 신호를 수신하여 웨이크 업 모드에 있으면, 웨이크 업 대상입력이 있어도 인터럽트를 출력하지 않고, 한편, 슬립 모드중에 있으면 저전압 검출에 의해 저전압이라고 인식되어도, 인터럽트를 출력하지 않도록 논리적으로 구성됨으로써 1개의 인터럽트 단자(NMI)를 공용할 수 있게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도의 다이밍 챠트에서 볼 수 있듯이, 슬립상태에서 밧데리 전압이 순간적으로 단락되었을 때, 저전압 검출회로(6)가 전압저하를 검출하지만, 인터럽트가 마이크로 컴퓨터(5A)의 인터럽트 단자(NMI)에 입력되는 일은 없다.
그러나, 상기 슬립상태에 있어서, 웨이크 업 대상입력이 입력 인터페이스(1)를 경유하여 인터럽트 판별회로(2A)에 입력되면, 상기 인터럽트 단자(NMI)에는 인터럽트가 입력됨으로써, 마이크로 컴퓨터(5A)는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이러한 웨이크 업 모드에 있어서는, 다시 웨이크 업 대상입력이나 LAN 통신 IC(4)를 경유한 인터럽트 정보의 입력이 있어도, 인터럽트 판별회로(2A)는 마이크로 컴퓨터(5A)의 인터럽트 단자(NMI)에 인터럽트를 입력하는 일은 없다.
또, 다시 슬립 모드에 있어서, LAN 통신 IC(4)를 경유하여 외부의 로칼 콘트롤 유니트(3)로부터 인터럽트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인터럽트 판별회로(2A)는 인터럽트 단자(NMI)에 인터럽트를 출력하고, 마이크로 컴퓨터(5A)를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시킨다. 그리고, 이 웨이크 업 모드에 있어서, 밧데리 전원이 부하로부터 이탈된 경우에는, 상기 인터럽트 단자(NMI)에 인터럽트를 입력하여, 메모리에 데이타를 보전시킨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의 웨이크 업(wake up)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제 2 도는 제 1 도에서의 블럭 각부의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 챠트도.
제 3 도는 종래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웨이크 업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제 4 도는 제 3 도에서의 블럭 각부의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 챠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A : 인터럽트 판별회로 5A : 마이크로 컴퓨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립 모드인 경우에 인터럽트를 걸었을 때에는 마이크로 컴퓨터는 웨이크 업 모드로의 전환을 판단하고, 또 웨이크 업 모드인 경우에 인터럽트를 걸었을 때에는, 마이크로 컴퓨터는 밧데리 전원이 이탈되었다고 판단하도록, 인터럽트 판별 회로에 의해서 상기 각 인터럽트를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1개의 인터럽트 단자에 입력하도록 구성했으므로, 1개의 포트인 인터럽트 단자를 복수 목적을 갖는 인터럽트에 병용할 수 있고,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에서의 포트수를 줄일 수 있어 장치의 간소화, 비용절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밧데리 전원에 접속되고, 시스템으로서 동작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슬립 모드로 되고, 또한 상기 시스템으로서 동작하고 있을 때에는 웨이크 업 모드로 되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밧데리 전원이 이탈하는 것을 검출하는 저전압검출회로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를 웨이크업 하기 위한 웨이크업 대상 입력과 상기 저전압검출회로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또한 상기 슬립 모드인가 아니면 상기 웨이크업 모드인가를 나타내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 출력신호를 입력하는 인터럽트 판별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럽트 판별회로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가 상기 슬립 모드에 있는 때에는 상기 웨이크업 대상 입력을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인터럽트 단자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가 상기 웨이크업 모드에 있는 때에는 저전압검출회로의 출력을 인터럽트 단자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웨이크업 장치.
KR1019950016984A 1995-06-23 1995-06-23 마이크로컴퓨터의웨이크업장치 KR100381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984A KR100381403B1 (ko) 1995-06-23 1995-06-23 마이크로컴퓨터의웨이크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984A KR100381403B1 (ko) 1995-06-23 1995-06-23 마이크로컴퓨터의웨이크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672A KR970002672A (ko) 1997-01-28
KR100381403B1 true KR100381403B1 (ko) 2003-07-18

Family

ID=4938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6984A KR100381403B1 (ko) 1995-06-23 1995-06-23 마이크로컴퓨터의웨이크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14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9445A1 (en) * 2006-12-08 2008-06-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mote control method of sensor node for low-power and sensor network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5387B1 (en) * 1998-12-14 2002-07-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w power mode computer with simplified power supply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1831A (ja) * 1989-08-25 1991-04-08 Clarion Co Ltd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割り込み動作装置
JPH0644178A (ja) * 1992-07-23 1994-02-18 Yokogawa Electric Corp 割込み制御装置
JPH06187167A (ja) * 1992-12-21 1994-07-08 Mitsubishi Electric Corp 割り込み制御回路及び割り込み制御方式
JPH0764804A (ja) * 1993-08-25 1995-03-10 Oki Electric Ind Co Ltd 割込み制御回路
JPH07175785A (ja) * 1993-12-17 1995-07-14 Kansei Corp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ウェイクアップ装置
KR960002030A (ko) * 1994-06-30 1996-01-26 경주현 다중인터럽트통신회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1831A (ja) * 1989-08-25 1991-04-08 Clarion Co Ltd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割り込み動作装置
JPH0644178A (ja) * 1992-07-23 1994-02-18 Yokogawa Electric Corp 割込み制御装置
JPH06187167A (ja) * 1992-12-21 1994-07-08 Mitsubishi Electric Corp 割り込み制御回路及び割り込み制御方式
JPH0764804A (ja) * 1993-08-25 1995-03-10 Oki Electric Ind Co Ltd 割込み制御回路
JPH07175785A (ja) * 1993-12-17 1995-07-14 Kansei Corp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ウェイクアップ装置
KR960002030A (ko) * 1994-06-30 1996-01-26 경주현 다중인터럽트통신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9445A1 (en) * 2006-12-08 2008-06-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mote control method of sensor node for low-power and sensor network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672A (ko) 1997-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9694A (en) Computer keyboard with power control key
EP0887990B1 (en) Modem unit
US20040124705A1 (en) Electronic control unit for car
KR920702783A (ko) 컴퓨터 전력 관리 시스템
KR0157129B1 (ko) 확장장치와 휴대용 컴퓨터간의 신호 연결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확장장치
US20040015733A1 (en) Power management apparatus, power management method, and power management system
KR100381403B1 (ko) 마이크로컴퓨터의웨이크업장치
US20030105982A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US20040148115A1 (en) Method of power control system for a pda with a microprocessor
JPH07175785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ウェイクアップ装置
JP2002341978A (ja) 電子制御装置
US5819170A (en) Power supply unit with switch-on/off facility for powering radio equipment
US6606713B1 (en) Microcomputer including circuitry for detecting an unauthorized stoppage of the system clock signal
US6148409A (en) Data transmission system
JP2008276360A (ja) 電子制御装置
US5569965A (en) Control method for reducing quiescent current
JPH10107821A (ja) 多重伝送装置
CN219802313U (zh) 一种低功耗按键扫描装置
JP3061943B2 (ja) 電源制御回路
JP3266636B2 (ja) 多重伝送ラインを用いた制御システム
US20230251978A1 (en) Pointing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correcting its usb state by monitoring voltage/state of usb communication interface
KR102646756B1 (ko)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KR0130785Y1 (ko) 휴대용 컴퓨터의 피씨엠씨아이에이 카드 교체시 자동 감지장치
JPH10187293A (ja) 電源制御装置
JPH10333923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割込み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