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440B1 - 자동차의 도어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440B1
KR100380440B1 KR10-2000-0061017A KR20000061017A KR100380440B1 KR 100380440 B1 KR100380440 B1 KR 100380440B1 KR 20000061017 A KR20000061017 A KR 20000061017A KR 100380440 B1 KR100380440 B1 KR 100380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panel
panel
door assembly
inner panel
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0401A (ko
Inventor
이중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1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0440B1/ko
Publication of KR20020030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4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내측패널과 외측패널 사이의 결합구조를 변경시킴으로써 도어의 조립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클린칭공정을 삭제함과 더불어, 내측패널이나 외측패널에 한정된 손상시에 손상된 패널부위만을 교체하도록 하여 정비의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의 가장자리부위가 각각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도어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내측패널(12)의 가장자리부위와 상기 외측패널(14)의 가장자리부위는 전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각각 착탈이 가능하도록 외측패널(14)의 가장자리부위에서 고정되는 완충부재(18a)와, 이 완충부재(18a)내에 고정되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나사부재(18b) 및, 이 나사부재(18b)상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8c)를 포함하여 구성된 결합수단(18)에 의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조립체{door assembly for automotive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조립체의 구조를 변경시켜 조립공정을 단순화 및 단축시킴과 더불어 도어조립체를 모듈화시켜 조립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도어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여러 종류의 금속판이 프레스성형 등의 제조공정을 통해 제작된 다음 각각의 성형품들이 용접 및 체결 등의 접합공정이나, 기타 여러 종류의 적절한 조립공정을 거쳐 제작되도록 되어 있는 바, 그 중에서 승객의 승/하차시 차체로부터 개폐되는 도어는 차체에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차체의 양측부에서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는 프레임을 롤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프레임 타입의 도어와, 내/외측으로 각각 패널들이 프레스성형에 접합되어 제조되는 패널 타입의 도어로 구분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 패널 타입의 도어를 이루는 도어조립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품형태로 조립되어 차체(도시안됨)측에 조립되는 것인 바, 상기 도어조립체(10)의 단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형상으로 절단 및 절곡형성된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이 각각 일체로 조립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도어조립체(10)는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의 각 가장자리부위가 서로 맞닿은 다음, 상기 외측패널(14)의 가장자리부위가 내측패널(12)을 감싸도록 절곡된 다음 접합부위에 스폿용접을 통해 조립되는 데, 이 접합부위는 이른 바 헤밍부(16)라 통칭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로 제작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도어조립체(10)의 생산공정은 상기 내측패널(12)에 각종 보강판(도시안됨)을 조립하고, 최종적으로 내측패널(12)과 상기 외측패널(14)의 가장자리부위를 맞대고서 외측패널(14)의 가장자리부위를 내측패널(12)의 가장자리부위로 접는 방식인 클린칭(clinching)을 함으로써, 상기 도어조립체(10)의 조립이 완료되는 방식으로 도어를 생산하는 것으로 공정상 복잡한 공정을 거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도어조립체(10)의 조립은 클린칭공정으로 인한 차체조립공정의 복잡과 이에 따른 다차종 소량생산에서의 불리함이 있으며, 아울러 의장라인에서 상기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의 밀폐된 공간의 내부로 각종 도어의 작동부품들을 장착할 때 작업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이 각각 클린칭공정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는 도어조립체(10)에서는 이의 가장자리부위에서 이루어지는 클린칭공정이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 사이의 해체를 불가능하게 하므로, 상기 내측패널(12)이나 외측패널(14)에 각각 한정된 손상에도 상기 도어조립체(10)의 전체부위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비용적인 측면에서의 낭비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측패널과 외측패널 사이의 결합구조를 변경시킴으로써 도어의 조립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클린칭공정을 삭제함과 더불어, 내측패널이나 외측패널에 한정된 손상시에 손상된 패널부위만을 교체하도록 하여 정비의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패널과 외측패널의 가장자리부위가 각각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도어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내측패널의 가장자리부위와 상기 외측패널의 가장자리부위는 전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각각 착탈이 가능하도록 외측패널의 가장자리부위에서 고정되는 완충부재와, 이 완충부재내에 고정되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나사부재 및, 이 나사부재상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결합수단에 의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형태의 자동차의 도어조립체를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조립체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도어조립체 12-내측패널
12a-관통구 14-외측패널
14a-플랜지부 16-헤밍부
18-결합수단 18a-완충부재
18b-나사부재 18c-체결부재
18d-절개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조립체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인 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을 위해 종래 도어조립체를 도시한 도 1 내지 도 2에서와 동일한 참조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의 승차 및 하차시 각각 차체로부터 개폐가능하도록 차체에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차체의 양측부에서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패널 타입의 도어를 이루는 도어조립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형상으로 절단 및 절곡형성된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이 각각의 가장자리부위에서 착탈이 가능한, 예컨대 나사체결방식의 결합수단(18)을 매개로 일체로 조립되어 구성되는 바, 상기 결합수단(18)은 상기 도어조립체(10)의 가장자리부위의 전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즉, 상기 결합수단(18)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패널(14)의 가장자리부위에서 고정되는 유연한 재질의 완충부재(18a)와, 이 완충부재(18a)의 내부에 일측이 고정됨과 더불어 타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볼트와 같은 나사부재(18b) 및, 이 나사부재(18b)상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18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외측패널(14)의 가장자리부위에는 상기 결합수단(18)의 완충부재(18a)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패널(12)의 가장자리부위를 향해 이를 감싸도록 내측으로 접혀지도록 절곡된 플랜지부(14a)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패널(12)의 가장자리부위에는 상기 결합수단(18)의 나사부재(18b)의 삽입을 위한 관통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18a)에는 상기 외측패널(14)의 플랜지부(14a)에 끼워 지지되기 위한 절개홈(18d)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조립체(10)의 조립은 상기 외측패널(14)의 가장자리부위에 형성된 플랜지부(14a)상에 결합수단(18)의 절개홈(18d)을 끼워 완충부재(18a)를 지지한 다음, 상기 완충부재(18a)상에 고정된 나사부재(18b)를 상기 내측패널(12)상에 형성된 관통구(12a)에 삽입시키고서, 이 관통구(12a)로 삽입되어 배면으로 돌출된 나사부재(18b)상에 체결부재(18c)를 결합시키면 된다.
즉, 상기 도어조립체(10)를 구성하는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은 각각 착탈이 가능한 결합수단(18)을 매개로 조립됨으로써, 종래 도어조립체(10)의 조립에 있어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의 가장자리부위에 부위의 결합을 위해 실시되는 클린칭공정에 비해 조립공정이 단순화 될 수 있으며, 이는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귀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도어조립체(10)의 조립에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조립체(10)는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이 각각 결합수단(18)을 매개로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 상기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 중 어느 한 부재에만 손상이 발생될 경우에, 상기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 중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정비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조립체에 의하면,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의 가장자리부위가 각각 결합되어 조립되는 도어조립체(10)의 조립방식을 결합수단(18)에 의한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변경시킴으로써, 조립공정의 단순화에 의한 조립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조립체(10)를 구성하는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이 각각 결합수단(18)에 의한 착탈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상기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 중 어느 한 부분에서만 손상이 될 경우에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할 수 있어, 정비시 비용의 절감을 물론 이로 인한 상품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의 가장자리부위가 각각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도어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외측패널(14)의 가장자리부위에서 내측면으로 고정됨과 더불어 외측패널(14)의 가장자리부위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부(14a)에 의해 지지되는 완충부재(18a)와,
    이 완충부재(18a)내에 일측이 고정되어 타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나사부재(18b),
    상기 내측패널(12)의 가장자리부위에서 상기 나사부재(18b)를 관통되게 수용하도록 형성된 관통구(12a) 및,
    상기 나사부재(18b)와 결합되는 체결부재(18c)를 포함하는 결합수단(18)을 매개로 하여, 상기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18a)에는 상기 외측패널(14)의 플랜지부(14a)에 끼워 지지되기 위한 절개홈(18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조립체.
KR10-2000-0061017A 2000-10-17 2000-10-17 자동차의 도어조립체 KR100380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017A KR100380440B1 (ko) 2000-10-17 2000-10-17 자동차의 도어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017A KR100380440B1 (ko) 2000-10-17 2000-10-17 자동차의 도어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401A KR20020030401A (ko) 2002-04-25
KR100380440B1 true KR100380440B1 (ko) 2003-04-26

Family

ID=19693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017A KR100380440B1 (ko) 2000-10-17 2000-10-17 자동차의 도어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04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190B1 (ko) * 1995-12-07 1998-10-15 한승준 자동차의 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190B1 (ko) * 1995-12-07 1998-10-15 한승준 자동차의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401A (ko) 200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2201B2 (ja) 車両ド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75169A (ja) 車両用ドア
JP2006321266A (ja) 車両用ドア構造
US7032958B2 (en) Body and frame assembly for a vehicle and method of assembling a vehicle
KR20010066474A (ko) 자동차의 카울사이드부 보강구조
KR100380440B1 (ko) 자동차의 도어조립체
KR20030092629A (ko) 차량의 프론트 엔드 모듈 어셈블리
JP2009173078A (ja) 車両用ドア
KR200141685Y1 (ko) 차량용 도어윈도우 글래스 채널의 장착구조
CN220374254U (zh) 天窗加强框以及车辆
JP2003104059A (ja) 自動車ドア及び自動車ドアの製造方法
JPH1143071A (ja) 自動車の車体前端部構造
US20050060869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side wall module for the bodywork of a motor vehicle
KR200408837Y1 (ko) 차량용 폴딩 도어 프레임 구조
KR0181605B1 (ko)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
JP2000128022A (ja) キャブオーバ型車両のフロントボディ構造
JPS63263178A (ja) 自動車の車体フロア構造体
JPS6357324A (ja) 自動車のドア及びその組立方法
KR100398126B1 (ko) 도장 파손 방지용 펜더 마운팅 구조
KR100428041B1 (ko) 자동차 도어의 도어섀시
JP2004196075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KR100436739B1 (ko)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써포트 멤버
KR0131043Y1 (ko) 쿼터 윈도우글래스 갭 조정 플랜지 플레이트
KR100435750B1 (ko) 자동차의 전방차체 구조
KR100373912B1 (ko) 인스트루먼트패널 어셈블리의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