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8987B1 - 래디오 링크 콘트롤 (rlc)에서 서비스 데이터유닛(sdu)의 디스카드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래디오 링크 콘트롤 (rlc)에서 서비스 데이터유닛(sdu)의 디스카드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8987B1
KR100378987B1 KR10-2000-0048145A KR20000048145A KR100378987B1 KR 100378987 B1 KR100378987 B1 KR 100378987B1 KR 20000048145 A KR20000048145 A KR 20000048145A KR 100378987 B1 KR100378987 B1 KR 100378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du
pdu
sequence number
command
state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4940A (ko
Inventor
이승준
박진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8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8987B1/ko
Publication of KR20020014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2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iscarding or delaying data units, e.g. packet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LC 계층의 플로우 콘트롤을 위해서 현재 사용되는 SDU 디스카드 처리시 발생할 수 있는 프로토콜 에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RLC에서 SDU 디스카드(dsicard) 처리방법(procedure)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RLC(Radio Link Control)에서 PDU를 생성함에 있어서, 송신단에서 SDU(Service Data Unit) 디스카드 명령을 보낼 때 디스카드 하고자 하는 SDU의 끝 위치를 포함하는 PDU(Protocol Data Unit)의 시퀀스 넘버와 최대 송신 상태 변수 VT(MS)를 비교하여 최대 송신 상태 변수 VT(MS) 보다 큰 경우의 SDU에 대한 SDU 디스카드 명령은 전송하지 않는 방법과, 송신단에서는 SDU 디스카드 명령을 보내고 수신단에서 SDU 디스카드 명령에 포함된 정보를 가지고 자신의 윈도우 범위와 비교하여 오버랩 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 이 것을 가지고 수신단의 수신 상태 변수 VR(R)을 갱신시키는 방법으로, SDU 디스카드 처리시 발생할 수 있는 프로토콜 에러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RLC에서 SDU 디스카드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래디오 링크 콘트롤(RLC)에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의 디스카드 처리 방법{DISCARD PROCEDURE FOR SERVICE DATA UNIT IN RADIO LINK CONTROL}
본 발명은 RLC 계층의 플로우 콘트롤을 위해서 현재 사용되는 SDU 디스카드 처리시 발생할 수 있는 프로토콜 에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RLC에서 SDU 디스카드(dsicard) 처리방법(procedure)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RLC(Radio Link Control)에서 PDU를 생성함에 있어서, 송신단에서 SDU(Service Data Unit) 디스카드 명령을 보낼 때 디스카드 하고자 하는 SDU의 끝 위치를 포함하는 PDU(Protocol Data Unit)의 시퀀스 넘버와 최대 송신 상태 변수 VT(MS)를 비교하여, 최대 송신 상태 변수 VT(MS) 보다 큰 경우의 SDU에 대한 SDU 디스카드 명령은 전송하지 않는 방법과, 송신단에서는 SDU 디스카드 명령을 보내고 수신단에서 SDU 디스카드 명령에 포함된 정보를 가지고 자신의 윈도우 범위와 비교하여 오버랩 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 이 것을 가지고 수신단의 수신 상태 변수VR(R)을 갱신시키는 방법으로, SDU 디스카드 처리시 발생할 수 있는 프로토콜 에러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RLC에서 SDU 디스카드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른 바 멀티미디어의 시공간적 제약없는 접근을 허용하는 통신기술의 연구와 그 연구의 가시적 성과를 바라는 많은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디지털 데이터 처리와 전송 기술의 발달은 유선과 무선 통신을 통합하고 인공위성을 이용한 실시간 글로벌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현을 눈앞에 두고 있다.
또한 이와같은 디지털 데이터의 처리와 전송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기존의 음성 통화는 물론 네트워크 기반의 정지화상, 동화상의 실시간 전송과 유무선을 가리지 않고 언제 어느 곳에서나 자유로운 정보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IMT-2000은 그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은 3GPP의 제2계층으로서 데이터 링크를 제어하는 프로토콜 계층이다.
이 RLC 계층은 수신측에서 PDU(Protocol Data Unit)를 받은 후 송신측으로의 인식 신호가 필요없는 경우에 사용되는 UMD PDU(Unacknowldeged PDU)와 인식 신호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는 AMD PDU(Acknowldeged PDU)의 두가지 형태의 PDU가 존재하며, 데이터 링크 제어를 위하여 여러가지의 상태변수와 윈도우를 사용해서 각 PDU들의 흐름을 제어하고 있다.
RLC 계층에서의 송수신 기본 단위인 PDU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내려오는 SDU에 시퀀스 넘버(SN: Sequence Number)를 포함하는 헤더(header)를 붙여서 이루어지는데, 하나의 PDU는 여러개의 SDU로 구성할 수도 있고, 한 SDU의 일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1은 SDU로부터 PDU를 구성하는 방법의 예를 개념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1에서 PDU0은 SDU0으로 구성되며, PDU1은 SDU1과 SDU2의 일부로 구성되며, PDU2는 SDU2의 일부로 구성되고 있다.
도1과 같이 생성된 PDU들은 일단 RLC버퍼에 저장되어 있다가, 송신 윈도우에 맞춰 수신단으로 전송되고, 수신단에서는 수신한 PDU의 시퀀스 넘버(SN)가 수신 윈도우 안에 있는지 또는 수신 윈도우 밖에 있는지를 검사하여, 수신 윈도우 밖에 있는 PDU를 무시하고, 수신 윈도우 안에 있는 PDU들에 대해서만 각각의 PDU에 대해 에러 유무를 확인하여 송신단으로 각 PDU에 대해 인식(ACK)인지 혹은 비인식(NACK)인지를 알려주는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수신 윈도우와 송신 윈도우는 같은 크기를 가진다. 상태 정보를 받은 송신단에서는 비인식(NACK)인 PDU에 대해서 수신단으로 재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PDU의 송수신을 위해서 여러가지 상태 변수들이 사용되는데, 송신단의 흐름 제어에 사용되는 상태 변수로는 송신상태 변수인 VT(S), 최대 송신 상태 변수인 VT(MS), 인식상태 변수인 VT(A)가 사용되며, 이와 더불어 송신 윈도우 크기를 나타내는 Tx_window_size가 사용된다.
여기서 VT(S)는 다음에 전송해야 할 RLC PDU 중에서 재전송 PDU를 제외한 첫번째 PDU의 시퀀스 넘버(SN)에 해당하고, VT(MS)는 다음에 전송하지 말아야 할 RLC PDU 중에서 첫번째 PDU의 시퀀스 넘버(SN)에 해당하고(즉, 수신단에서는 VT(MS)-1 까지만 받는 것이 허용됨), VT(A)는 다음에 인식(ACK)을 받아야할 PDU 중에서 첫번째 PDU의 시퀀스 넘버(SN)에 해당한다.
그리고 Tx_window_size는 인식(ACK)을 받지 않고 한번에 보낼 수 있는 PDU 갯수의 최대값에 해당하며, VT(A)가 하한값, VT(MS)가 상한값을 형성하게 되므로 VT(MS) = VT(A) + Tx_window_size의 관계가 있다.
VT(S)의 초기값은 '0'이고 재전송이 아닌 하나의 PDU를 전송할 때 마다 1씩 증가하는데, 전송되는 PDU는 Tx_window_size 내에 있는 것만 허용되므로, 그 시퀀스 넘버(SN)의 최소값은 VT(A)이며 최대값은 VT(MS)-1이 된다.
한편, 수신단에서는 각 PDU의 수신 상태 여부를 검사하여 ACK/NACK 정보를 송신측으로 상태 PDU에 실어 보냄으로써 재전송을 요구하게 된다.
이때 수신측에서 다음에 전송 또는 재전송 받아야할 PDU 중에서 첫번째 PDU의 시퀀스 넘버(SN)를 수신 상태 변수인 VR(R)이라고 하며, 다음에 전송 또는 재전송 받지 말아야 할 PDU 중에서 첫번째 PDU의 시퀀스 넘버(SN)를 최대 수신 상태 변수인 VR(MR)이라고 하며, 이들은 각각 수신 윈도우의 하한값과 상한값을 형성하므로 VR(MR)=VR(R)+Rx_window_size 의 관계가 있다.
여기서, Rx_window_size는 수신 윈도우의 크기로서, 일반적으로 상기 송신 윈도우의 크기(Tx_window_size)와 같은 값을 가진다. 그리고, 송신된 PDU를 수신할 수신단은 에러가 난 첫번째 PDU의 시퀀스 넘버(SN)로 VR(R)을 갱신하며, 상기한 VR(MR)=VR(R)+Rx_window_size의 관계를 이용해서 VR(MR)을 갱신한다. 그리고 최고 기대 상태 변수인 VR(H)은 VR(H) < SN < VR(MR)인 새로운 PDU를 받을 때 마다 VR(H) = SN + 1로 세팅된다.
각각의 PDU에 대한 ACK/NACK 정보를 실은 상태 PDU를 받은 송신단은 VT(A)의 값을 VR(R)로 갱신하고 VT(MS)의 값도 상기 VT(MS) = VT(A) + Tx_window_size의 관계를 이용해서 갱신하며, 이에 맞추어 송신측에서는 수신측에서 요구하는 PDU를 재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PDU를 이루는 SDU의 송수신 과정에서는 송신 버퍼에 SDU가 포함되어 있는 PDU가 너무 오랫동안 남아 있다거나, SDU 자체에 에러가 있음을 발견한 경우, 해당 SDU가 포함되어 있는 PDU를 모두 디스카드 처리하여 버퍼의 효율을 높이고 한정된 무선 자원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도2는 SDU 디스카드 처리시에 사용되는 상태 PDU내의 MRW(Move Receiving Window) 필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3은 MRW에대한 인식(ACK)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상태 PDU의 MRW_ACK 필드를 나타내고 있다.
도2에서 길이 필드(LENGTH)는 이후에 따라오는 SN_MRWi의 갯수(즉, 폐기되는 SDU 갯수)를 나타내며, SN_MRWi(i=1,2,...,LENGTH)는 디스카드 되는 각 SDU의 끝 부분(i번째 디스카드되는 SDU의 LI(Length Indicator)를 포함하고 있는 PDU의 시퀀스 넘버(SN))를 나타낸다.
여기서 LI는 각 PDU 내에 SDU의 끝 부분이 존재할 경우 SDU의 끝을 나타내 주기 위해서 PDU의 선두에 포함되는 필드이므로, SN_MRWi는 결국 i번째로 디스카드되는 SDU의 끝 위치가 포함된 PDU의 시퀀스 넘버(SN)를 의미한다.
NLENGTH필드는 디스카드되는 마지막 SDU의 끝 위치가 포함된 PDU에서 어디 까지의 LI가 디스카드되는 SDU들에 대한 것인지를 가리켜 준다.
도3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MRW에 대한 인식(ACK)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상태 PDU의 MRW_ACK 필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4는 상기 도1의 경우에 대하여 SDU 디스카드 처리가 이루어지는 예를 보이고 있는데, 도4에서 송신단은 VT(A)=0, VT(S)=5, VT(MS)=6 이므로 송신 윈도우 사이즈 Tx_window_size = 6이고, PDU0∼PDU4 까지 전송된 상태이고, 수신단은 VR(R)=0, VR(MR)=6 이므로 수신 윈도우 사이즈 Rx_window_size = 6 이고, PDU0∼PDU3 까지는 수신이 되었고, PDU4는 아직 수신단에 도착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SDU0∼SDU2 가 디스카드되는 경우를 고려해 보자.
송신단은 먼지 자신의 버퍼에서 SDU0∼SDU2를 디스카드한 후, 상태 PDU에 해당 SDU에 포함된 모든 PDU들을 디스카드 하라는 정보를 실어서 수신단에 전송한다. 즉, SDU0은 PDU0에, SDU1은 PDU1에, SDU2는 PDU1과 PDU2에 실려있으므로, 결국 PDU0∼PDU2를 디스카드 하라는 명령이 전송되는 것이다.
수신단에서는 이 상태 PDU를 받게 되면 PDU0∼PDU2를 디스카드 하게 되고, 결국 SDU0∼SDU2를 디스카드 하게 된다.
도5에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기술에서 송신단의 작동 알고리즘을 나타내었으며, 도6에는 종래 기술에서 수신단의 작동 알고리즘을 나타내었다.
송신단에서는 도5에 의하는 바와같이 상위 계층으로부터 디스카드될 SDU의 정보를 받아 디스카드 명령 MRW를 전송하고, 수신단에서는 도6에 의하는 바와같이 상기 송신단으로부터의 MRW를 수신하여, SN_MRWLEN과 수신 상태 변수 VR(R)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MRW를 무시하던가, 혹은 VR(R)=SN_MRWLEN으로 갱신한 다음 MWR_ACK를 송신하고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SDU 디스카드 처리방법에 따르면 SDU 디스카드 처리시에 프로토콜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도7은 이 것을 보여준다.
도7에서는 송신단이 수신단으로 SDU0∼SDU3을 디스카드 하라는 명령을 보내는 예인데, 송신단이 수신단으로 SDU0∼SDU3을 디스카드 하도록 PDU0∼PDU7 까지의 PDU를 디스카드 하라는 상태 PDU를 보낸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수신단에서는 현재의 VR(MR)값이 6이기 때문에 이 값을 넘어서는 PDU 시퀀스 넘버를 받는 경우에 대해서는 에러로 처리되거나, 또는 이전에 받았던 PDU의 시퀀스 넘버에 오버랩되어 오동작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경우에 송신단에서는 에러가 없다고 판단하게 되지만, 수신단에서는 예기치 않은 에러를 안게 되는 문제점이 초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송신단에서 SDU 디스카드 명령을 보낼 때 디스카드 하고자 하는 SDU의 끝 위치를 포함하는 PDU의 시퀀스 넘버와 VT(MS)를 비교하거나, 수신단에서 SDU 디스카드 명령에 포함된 정보를 가지고 자신의 윈도우 범위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SDU 디스카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SDU 디스카드 처리시에 프로토콜 에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RLC 계층에서 SDU 디스카드 처리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송신단에서 상기 PDU의 시퀀스 넘버와 VT(MS)를 비교하여 시퀀스 넘버가 VT(MS) 보다 큰 경우의 SDU에 대한 SDU 디스카드 명령 전송을 금지함으로써, SDU 디스카드 처리시에 발생하는 프로토콜 에러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LC 계층에서 SDU 디스카드 처리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수신단에서 SDU 디스카드 명령에 포함된 정보를 자신의 윈도우 범위와 비교하여 오버랩 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이 것을 가지고 수신단의 VR(R)을 갱신함으로써, SDU 디스카드 처리시에 발생하는 프로토콜 에러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LC 계층에서 SDU 디스카드 처리방법을 제안한다.
도1은 SDU로부터 PDU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스테이터스 PDU내의 MRW 필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3은 스테이터스 PDU내의 MRW ACK 필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도1의 경우에 대하여 SDU 디스카드 처리가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종래 기술에서 SDU 디스카드 처리가 에러를 일으키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종래 기술에서 송신단의 작동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7은 종래 기술에서 수신단의 작동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송신단 작동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9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수신단 작동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본 발명에 따른 래디오 링크 콘트롤(RLC)에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의 디스카드 처리 방법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수신측으로 전송하고 데이터 전송 수신응답을 받아 데이터를 재 전송하는 무선링크제어(RLC) 계층의 송신측에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의 디스카드 처리 방법에 있어서,상위 계층으로부터 디스카드할 SDU의 정보를 받아서 RLC 송신 버퍼 내의 SDU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거된 SDU의 디스카드 명령을 수신측으로 전송하기 위해, 송신 윈도우 이동(MRW) 값을 증가하면서 디스카드하고자 하는 SDU의 끝 위치를 포함하는 PDU의 시퀀스 넘버와 최대 송신 상태 변수를 각각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디스카드하고자 하는 SDU의 끝에 포함된 PDU의 시퀀스 넘버가 최대 송신 상태 변수 보다 작으면 해당하는 SDU의 디스카드 명령을 수신측으로 보내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디스카드하고자 하는 SDU의 끝에 포함된 PDU의 시퀀스 넘버가 더 클 경우 해당 SDU의 디스카드 명령을 수신측으로 보내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바람직하게, 상기 송신측은 디스카드 명령을 수신한 수신측으로부터 상기 디스카드 명령에 해당하는 SDU을 디스카드하고 상기 디스카드 명령에 대한 수신 응답이 있을 경우, 상기 수신 응답 정보를 참조하여 최대 송신 상태 변수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갱신된 최대 송신 상태 변수와 다음 SDU에 끝에 포함된 PDU의 시퀀스 넘버를 비교하여, 최대 송신 상태 변수 보다 작은 SDU의 디스카드 명령을 수신측으로 다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에 따른 래디오 링크 콘트롤(RLC)에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의 디스카드 처리 방법은, 송신측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아 수신 응답하여 데이터를 재 전송받는 무선링크제어(RLC) 계층의 수신측에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의 디스카드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으로부터 SDU 디스카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SDU 디스카드 명령에 포함된 디스카드 시키고자 하는 SDU들에 포함된 PDU의 시퀀스 넘버의 범위와 수신 윈도우 범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두 정보에 따른 범위가 오버랩 되는 부분이 있을 경우 상기 오버랩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SDU를 디스카드시키고, 수신 상태 변수를 상기 마지막 SDU의 PDU 시퀀스 넘버로 갱신하는 단계; 상기 갱신된 수신 상태 변수를 포함한 상기 SDU 디스카드 명령에 대한 응답정보를 송신측으로 전달하고 수신 상태 변수에 따라 수신 윈도우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바람직하게, 상기 SDU 디스카드 명령에 포함된 디스카드 시키고자 하는 SDU들에 포함된 PDU의 시퀀스 넘버 차이의 범위는 첫번째 디스카드 시키고자 하는 SDU의 첫번째 PDU의 시퀀스 넘버와 마지막 디스카드 시키고자 하는 SDU의 마지막 PDU의 시퀀스 넘버의 차이에 해당하는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바람직하게, 상기 수신 상태 변수는 수신된 SDU의 디스카드 명령에 포함된 마지막 SDU의 끝에 위치하는 PDU의 시퀀스 넘버를 다음에 새로 받게 될 PDU 시퀀스 넘버로 갱신함을 특징으로 한다.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래디오 링크 콘트롤(RLC)에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의 디스카드 처리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8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송신단에서의 작동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본 발명 제1실시예는 RCL 송신단에서 SDU 디스카드 처리의 프로토콜 에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RLC에서 SDU 디스카드 처리방법을 제안한다.
도9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RLC 수신단에서의 작동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본 발명 제2실시예는 수신단에서 SDU 디스카드 처리의 프로토콜 에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RLC에서 SDU 디스카드 처리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 제1실시예 부터 설명한다.
본 발명 제1실시예는 송신단에서 SDU 디스카드 명령을 보낼 때 디스카드 하고자 하는 SDU의 끝 위치를 포함하는 PDU의 시퀀스 넘버(SN)와 최대 송신 상태 변수(VT(MS))를 비교하여 시퀀스 넘버가 최대 송신 상태 변수 VT(MS)보다 큰 경우의 SDU에 대한 디스카드 명령의 전송을 금지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송신단에서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디스카드할 SDU의 정보를 받는다.
상위 계층으로부터 디스카드할 SDU의 정보를 받았을 때, 해당 PDU의 시퀀스 넘버(SN_MRWi)와 최대 송신 상태 변수 VT(MS)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시퀀스 넘버(SN)가 최대 송신 상태 변수 VT(MS) 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SDU를 디스카드 하지 않고, 디스카드할 SDU가 더 이상 없을 때 까지 i값(i=1,2,...,LENGTH)을 증가(i=i+1)시키면서 시퀀스 넘버와 최대 송신 상태 변수 VT(MS)의 비교를 반복한다.
이후, 다음 디스카드하는 SDU가 더이상 존재하지 않으면 전송할 디스카드 명령(SN_MRWi)가 존재하는 가를 확인하고, 전송할 디스카드 명령이 있으면 해당 명령(MRW)를 전송하고 그렇지 않다면 MRW를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송신단의 디스카드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이와같이 하면 예를 들어 도5에서 SDU0∼SDU2 까지의 디스카드 명령은 보내지만 SDU3를 디스카드 하라는 명령은 보내지 않게 된다.
즉, SDU3의 끝 위치를 포함하는 PDU7의 시퀀스 넘버(SN)가 '7'이고 이 것은 최대 송신 상태 변수 VT(MS)=6 보다 크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SDU0∼SDU2의 디스카드 명령(MRW)을 받은 수신단에서는 SDU0∼SDU2를 디스카드 하고 수신 윈도우를 아래로 이동시키면서 SDU 디스카드 명령에 대한 인식(ACK) 응답을 송신단으로 수행하게 된다. 그러면 수신 상태 변수 VR(R)=2, 최대 수신 상태 변수 VR(MR)=9가 갱신되고 이때 송신단의 VT(MS)=9가 되므로 이때 다시 SDU3의 디스카드 명령을 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송신단에서는 최대 송신 상태 변수 보다 작은 디스카드할 SDU의 끝에 포함된 PDU 시퀀스 넘버들을 갖는 SDU 들만을 디스카드하도록 함으로써, 수신단에서의 상태 PDU에 실려온 PDU을 디스카드 하라는 정보에 발생되는 에러를 방지하고 원하는 SDU에 대한 디스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 제2실시예는 송신단에서는 SDU 디스카드 명령을 기존과 같은 방식으로 보내고, 수신단에서 SDU 디스카드 명령(MRW)에 포함된 정보를 가지고 자신의 윈도우 범위와 비교하여 오버랩 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 이 것을 가지고 수신단의 수신 상태 변수 VR(R)을 갱신시켜 주는 방법이다.
즉, 송신단에서 보내는 SDU 디스카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SDU 디스카드 명령에 포함된 정보는 [첫번째 디스카드 시키고자 하는 SDU의 첫번째 PDU의 시퀀스 넘버, 마지막 디스카드 시키고자 하는 SDU의 마지막 PDU의 시퀀스 넘버]의 범위(SN_MRWLEN)와, 수신 윈도우(Rx_window)의 범위를 비교하여, 오버랩 되는 부분이 있다면 이것은 새로 받은 SDU 디스카드 명령에 해당하므로, 자신의 수신 상태 변수 VR(R)을 디스카드 하고자 하는 마지막 SDU의 마지막 PDU 시퀀스 넘버를, 다음에 새로 받게 될 PDU의 시퀀스 넘버로 세팅한다. 상기 SDU 디스카드 명령에 해당하는 SDU는 디스카드시켜 준다.여기서, SN_MRWLEN은 마지막 SDU의 끝에 포함된 PDU의 시퀀스 넘버로서, 이는 첫번 째 디스카드하고자 하는 SDU의 첫번째 PDU의 시퀀스 넘버(즉, SN_MRWi. i=0)와 마지막 디스카드하고자 하는 SDU의 끝에 포함된 PDU의 시퀀스 넘버(즉, SN_MRWLEN)의 차이에 해당하는 범위 값을 갖게 된다.
즉, VR(R) = SN_MRWLEN으로 하고, 송신단으로 디스카드 명령에 대한 응답 정보(MRW_ACK)를 보내준다. 이때 MRW_ACK의 SN_ACK 필드(도2 참조)에 갱신된 수신 상태 변수 VR(R)값을 넣어주게 된다.
그리고 수신단에서는 수신 상태 변수에 따라서 수신 윈도우도 이동을 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수신단에서 최대 수신 상태 변수 VR(MR) 보다 더 큰 시퀀스 넘버를 가진 SDU 디스카드 명령을 받았을 경우에도 에러없이 원하는 SDU에 대한 디스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RLC에서 사용하는 SDU 디스카드 명령에서 송신단이 수신단의 VR(MR)값을 넘어서는 PDU 시퀀스 넘버로 디스카드 명령을 보냈을 때 에러로 처리되거나 이전에 받았던 PDU의 시퀀스 넘버에 오버랩되어 오동작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따라서, 송신측에서는 에러가 없다고 처리가 되지만 수신측에서는 예기치 못한 에러가 되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송수신 단의 프로토콜 에러 발생을 방지하여 시스템 전체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수신측으로 전송하고 데이터 전송 수신응답을 받아 데이터를 재 전송하는 무선링크제어(RLC) 계층의 송신측에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의 디스카드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위 계층으로부터 디스카드할 SDU의 정보를 받아서 RLC 송신 버퍼 내의 SDU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거된 SDU의 디스카드 명령을 수신측으로 전송하기 위해, 송신 윈도우 이동(MRW) 값을 증가하면서 디스카드하고자 하는 SDU의 끝 위치를 포함하는 PDU의 시퀀스 넘버와 최대 송신 상태 변수를 각각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디스카드하고자 하는 SDU의 끝에 포함된 PDU의 시퀀스 넘버가 최대 송신 상태 변수 보다 작으면 해당하는 SDU의 디스카드 명령을 수신측으로 보내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디스카드하고자 하는 SDU의 끝에 포함된 PDU의 시퀀스 넘버가 더 클 경우 해당 SDU의 디스카드 명령을 수신측으로 보내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디오 링크 콘트롤(RLC)에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의 디스카드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은 디스카드 명령을 수신한 수신측으로부터 상기 디스카드 명령에 해당하는 SDU을 디스카드하고 상기 디스카드 명령에 대한 수신 응답이 있을 경우, 상기 최대 송신 상태 변수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갱신된 최대 송신 상태 변수와 다음 SDU에 끝에 포함된 PDU의 시퀀스 넘버를 비교하여, 최대 송신 상태 변수 보다 작은 SDU의 디스카드 명령을 수신측으로 다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디오 링크 콘트롤(RLC)에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의 디스카드 처리 방법.
  3. 송신측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아 수신 응답하여 데이터를 재 전송받는 무선링크제어(RLC) 계층의 수신측에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의 디스카드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으로부터 SDU 디스카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SDU 디스카드 명령에 포함된 디스카드 시키고자 하는 SDU들에 포함된 PDU의 시퀀스 넘버의 범위와 수신 윈도우 범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두 정보에 따른 범위가 오버랩 되는 부분이 있을 경우 상기 오버랩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SDU를 디스카드시키고, 수신 상태 변수를 상기 마지막 SDU의 PDU 시퀀스 넘버로 갱신하는 단계;
    상기 갱신된 수신 상태 변수를 포함한 상기 SDU 디스카드 명령에 대한 응답정보를 송신측으로 전달하고 수신 상태 변수에 따라 수신 윈도우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디오 링크 콘트롤(RLC)에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의 디스카드 처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SDU 디스카드 명령에 포함된 디스카드 시키고자 하는 SDU들에 포함된 PDU의 시퀀스 넘버 차이의 범위는 첫번째 디스카드 시키고자 하는 SDU의 첫번째 PDU의 시퀀스 넘버와 마지막 디스카드 시키고자 하는 SDU의 마지막 PDU의 시퀀스 넘버의 차이에 해당하는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디오 링크 콘트롤(RLC)에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의 디스카드 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상태 변수는 수신된 SDU의 디스카드 명령에 포함된 마지막 SDU의 끝에 위치하는 PDU의 시퀀스 넘버를 다음에 새로 받게 될 PDU 시퀀스 넘버로 갱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래디오 링크 콘트롤(RLC)에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의 디스카드 처리 방법.
KR10-2000-0048145A 2000-08-19 2000-08-19 래디오 링크 콘트롤 (rlc)에서 서비스 데이터유닛(sdu)의 디스카드 처리 방법 KR100378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145A KR100378987B1 (ko) 2000-08-19 2000-08-19 래디오 링크 콘트롤 (rlc)에서 서비스 데이터유닛(sdu)의 디스카드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145A KR100378987B1 (ko) 2000-08-19 2000-08-19 래디오 링크 콘트롤 (rlc)에서 서비스 데이터유닛(sdu)의 디스카드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940A KR20020014940A (ko) 2002-02-27
KR100378987B1 true KR100378987B1 (ko) 2003-04-07

Family

ID=1968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145A KR100378987B1 (ko) 2000-08-19 2000-08-19 래디오 링크 콘트롤 (rlc)에서 서비스 데이터유닛(sdu)의 디스카드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89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619B1 (ko) 2002-11-07 200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에 따르는 수신기에서의 알엘씨데이터 수신 윈도우 처리 방법
TWI247510B (en) * 2003-08-18 2006-01-11 Asustek Comp Inc Method to avoid potential deadlocks in a SDU discard function
KR20100135468A (ko) 2009-06-17 2010-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2760A (ko) * 1997-12-23 1999-07-15 송재인 잡음 제거 회로
KR19990072705A (ko) * 1998-02-19 1999-09-27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계층구조시퀀스넘버방식을사용한가변크기의데이터단위를위한arq프로토콜지원방법
KR20000007699A (ko) * 1998-07-06 2000-02-07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의 알엘피 프레임 전송장치 및 방법
JP2000138681A (ja) * 1998-10-30 2000-05-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Pdu廃棄atm交換装置
KR20010048181A (ko) * 1999-11-25 2001-06-15 박종섭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시그널링 무선 링크 프로토콜변환 방법
KR20020000650A (ko) * 2000-06-26 2002-01-05 박종섭 제어 패이로드데이터유닛을 이용한 데이터와 제어정보의병렬 송수신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2760A (ko) * 1997-12-23 1999-07-15 송재인 잡음 제거 회로
KR19990072705A (ko) * 1998-02-19 1999-09-27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계층구조시퀀스넘버방식을사용한가변크기의데이터단위를위한arq프로토콜지원방법
KR20000007699A (ko) * 1998-07-06 2000-02-07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의 알엘피 프레임 전송장치 및 방법
JP2000138681A (ja) * 1998-10-30 2000-05-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Pdu廃棄atm交換装置
KR20010048181A (ko) * 1999-11-25 2001-06-15 박종섭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시그널링 무선 링크 프로토콜변환 방법
KR20020000650A (ko) * 2000-06-26 2002-01-05 박종섭 제어 패이로드데이터유닛을 이용한 데이터와 제어정보의병렬 송수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940A (ko) 200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11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폐기 신호 절차
JP4607339B2 (ja) フレキシブル無線リンク制御プロトコル
US7269760B2 (en) Scheme to discard an erroneous PDU receiv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77498C (zh) 重发送无线本地环路的差错分组数据的装置和方法
US7599402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7801142B2 (en) Method to avoid potential deadlocks in a SDU discard function
KR100474302B1 (ko) 무선 링크 콘트롤(rlc) 계층의 버퍼제어 방법
KR100535295B1 (ko) 승인모드 전송과 비승인모드 송신에 있어서 비정상적 문제 조정을 위한 방법 및 수신기
US20060245430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a Procedure for Receiving Window Size Reconfigu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CA2521218C (en) Data unit management in communications
US8098664B2 (en) Retransmission-request transmitting method and receiving side apparatus
US20100110985A1 (en) Window control and re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transmitting-side apparatus
KR20030060062A (ko) 고속 무선 통신 시스템용의 윈도우를 기반으로 한 스톨회피 메커니즘
US7532626B2 (en) Data transmission protocol
EP17963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LC protocol error handling
KR101124066B1 (ko) 왕복 지연시간이 긴 시스템에서의 arq와 harq의 상호작용 방법
US20040160937A1 (en) Enhanced SDU discard signaling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0378987B1 (ko) 래디오 링크 콘트롤 (rlc)에서 서비스 데이터유닛(sdu)의 디스카드 처리 방법
US5701311A (en) Redundant acknowledgements for packetized data in noisy links and method thereof
KR100344979B1 (ko) 래디오 링크 콘트롤(rlc)에서 서비스 데이터유닛(sdu)의 디스카드 처리 방법
CN111327403B (zh) 一种增强的rlc层数据传输方法
KR100344981B1 (ko) 시간 기반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디스카드 정보 전송 방법
KR100709028B1 (ko) 데이터의 선택적 재전송
KR100662250B1 (ko)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및 그를이용한 송신 장치
EP1598976A1 (en) Data discard method for selective repeat protoc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