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8461B1 - 연마포용 직물기재 - Google Patents

연마포용 직물기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8461B1
KR100378461B1 KR10-2000-0059540A KR20000059540A KR100378461B1 KR 100378461 B1 KR100378461 B1 KR 100378461B1 KR 20000059540 A KR20000059540 A KR 20000059540A KR 100378461 B1 KR100378461 B1 KR 100378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resent
abrasive
weaving
abrasive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8508A (ko
Inventor
윤호철
정상수
이승호
Original Assignee
고려연마공업 주식회사
주움텍스타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9277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7846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연마공업 주식회사, 주움텍스타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연마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9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8461B1/ko
Publication of KR20020028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4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03D15/21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natural from plants, e.g.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11Lapping tools
    • B24B37/20Lapping pads for working plane surfaces
    • B24B37/24Lapping pads for working plane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properties of the pa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3/0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 B24D3/02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 B24D3/2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organic
    • B24D3/28Resins or natural or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92Conjugate, i.e. bi- or multicomponent, fibres or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마포용 직물기재에 관한 것으로, 직물을 구성하고 있는 위사와 경사를 MJS사(OE방적사와 RING방적사의 중간 물성을 갖는 실)로 대체함은 물론 호부제를 첨가하지 않고 직조하여 직물의 기본 물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비용절감과 환경친화적 성능을 갖게 한 것인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실의 성분이 면사, 혼방 섬유사 또는 화학 섬유사로 이루어진 연마포용 직물기재에 있어서, 제직시 경사와 위사 중 어느 한 곳 이상이 단사 또는 합사로 이루어진 MJS사로 대체되어 제직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마포용 직물기재 {BACKING MATERIAL FOR ABRASIVE}
본 발명은 연마포용 직물기재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직물을 구성하고 있는 위사 또는 경사를 MJS사(OE방적사와 RING방적사의 중간의 물성을 갖는 실을 말하는 바, 일본에서 생산되는 방적기 종류의 일종인 MURATA JET SPINNER의 약자로서 MJS사라고 한다. 이라 MJS사라 한다)로 대체하였고, 호부제를 첨가하지 않고 직조함으로 직물의 기본 물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비용절감과 환경친화적 성능을 갖게한 연마포용 직물기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마포를 구성하고 있는 기재의 실은 그 구성 성분에 따라 면, 화학 섬유, 혼방 섬유사로 구분되며, 경우에 따라 이들 실은 단독 혹은 한 가지 이상의 성분으로 혼합한 채 적절히 사용되고 있다.
현재, 연마포 기재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직물로는 그 직물을 구성하고 있는 실의 위사 보다 경사의 밀도가 많은 쪽이 선택되고 있는데, 이는 연마포용 직물기재의 기본 물성으로 매우 중요한 신율, 인장력, 접착강력, 평활도(균제도) 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종래 국내 연마포용 기재의 경우 면과 합성섬유만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으나, 최근 들어 화학 섬유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중 연마포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화학성분은 폴리에스터(이하, PET) 직물을 들 수 있다.
그러나, PET는 화학섬유로써 연마포 기재로 사용 할 시 여러 가지 제한적인 요인을 포함하고 있다.
즉, PET 직물을 직조할 경우 그 직물의 직조 생산성은 양호하지만 PET는 그 고유한 특성상 신율이 크고, 연마포 제조시 사용되는 접착제와 원할 한 결합이 되지 못하여 접착강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신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높은 온도에서 열고정(HEAT SETTING)을 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직물을 직조하는 과정에서 정전기 발생과 마찰시 실의 표면에 부프라기가 뭉쳐서 직조 후 직물의 평활도(균제도)에 문제를 발생시킨다.
특히, PET 직물을 연마재의 크기가 작은 제품에 사용할 경우 큰 손실이 야기됨과 동시에 피연삭체 표면의 조도가 저하될 수 있다.
더욱이, 직물 직조시 생산성과 품질의 향상을 목적으로 가호(SIZING)를 하게되는데, 가호된 호부제는 PVA, 전분, 아크릴, 윤활제 등으로서 이들 성분은 연마포 제조시의 접착을 저해하는 문제를 발생시킴으로 이들 성분을 모소, 정련, 표백 등의 공정으로 제거하는 것이나 정련시 가호된 호부제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서 접착강력에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제거된 호부제는 BOD와 COD가 높고 부유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폐수처리가 곤란하다는 등의 환경오염적 요인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마포 직물을 구성하고 있는 위사 또는 경사를 대체 개선함으로서 종전 PET 직물에서 문제점으로 나타난 평활도(균제도), 인장력, 신율, 접착강력을 개선하였으며, 직조시 호부제를 첨가하지 않아 비용절감과 폐수처리의 원활함을 구현하여 연마포의 환경친화적 제조가 가능토록 함에 본 발명의 안출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연마포용 직물기재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양호한 상태로 재현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은 연마포 직물을 구성하고 있는 위사와 경사 중 어느 한 곳 이상을 단사 또는 합사로 이루어진 MJS사로 대체하였으며, 그 제조과정 중 호부제의 사용을 제거하였음에 그 기술적 사상의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실험조건은 아래에서와 같다.
〈실험조건〉
(1)연마재 : Al2O3.
(2)연마재 사용 메쉬와 부착량 : 36 메쉬의 경우 1200g/㎡, 320 메쉬의 경우 215g/㎡.
(3)접착제 : 페놀 레진 고형분 70%, 점도 2000 CPS/25℃의 특성을 갖는 페놀수지.
(4)충진제 : 접착제에 사용되는 것으로 35~40% 무게비.
(5)접착제 건조 및 경화 조건 : 70~120 ℃ ×10 hr.
(6)인장강도 측정 : 길이 12.5 Cm ×폭 2.54 Cm 제품을 인장력기에서 50 M/MIN의 속도로 실험, 인장력기의 CELL은 500 KGf.
(7)접착력 : 길이 10 Cm ×폭 5 Cm 제품을 접착하여 인장력기에서 50 M/MIN의 속도로 실험, 인장력기의 CELL은 500KGf.
(8)평활도(균제도) : 길이 1M ×폭 1M 안의 슬러브나 네프(NEP), 돌출 등의 개체수.
(9)직물 조직 : 1/4 SATIN(주자직).
(10)열고정 : 150℃ × 3MIN.
(11)직물 밀도 : 가로 1˝×세로 1˝ 안의 실의 수.
(12)직물 제직성 : 종래의 조직을 기준.
〈실시예 1〉
종래 PE RING사와 본 발명의 PE MJS사를 이용하여 연마포용 직물을 직조한 결과 그 연마포용 기재의 물성과 제직성을 평가하였다.
종래의 조직 1과 본 발명의 조직 1을 비교하면 경사방향(MD)의 인장력은 종래조직이 유리하지만 경사방향의 하중에 따른 신율을 비교하면 60KGf 일 때 본 발명 조직 1이 10%로 종래조직 1 보다 40% 이상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신율이 적은 것은 연마포의 품질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종래조직 보다 본 발명조직의 제직성이 감소되는 이유는 MJS사의 특성과 직조시 경사방향에 호부제를 첨가하지 않기 때문이며, 그러나 제직성의 저하에도 불구하고 직조시 호부제가 없어 모소, 표백, 정련 등의 필요가 없는 등 공정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폐수를 줄일 수 있어 환경오염의 방지와 접착강력의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결점의 수가 종래조직 1 보다 본 발명조직 1이 30% 정도 줄어들어 연마제품 사용시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그 만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조직 2와 본 발명조직 2를 비교하면 본 발명조직 2는 연마재가 작은 입자를 생산하기 때문에 연마된 피연삭체는 면(조도)위주로 관리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조직에서 언급된 신율과 인장력도 매우 중요하지만 결점의 수가 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경사방향의 인장력은 종래의 조직이 유리하지만 경사방향의 하중에 따른 신율을 비교하면 60KGf 일 때 본 발명조직이 14%로 종래조직 보다 25% 이상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점의 수는 종래조직 2 보다 본 발명조직 2가 50% 정도 줄어들어 연마제품 사용시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그 만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종래조직 1과 본 발명조직 1을 이용하여 연마포 제품을 생산하였다.
(상기 표는 본 출원인의 제품 PA631 P36을 비교하여 실험한 결과이다)
상기의 결과를 분석하여 연마포 제품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 중 접착강력과 경사방향의 신율을 비교하면 접착강력에 있어서는 본 발명조직 1이 종래조직 1보다 80% 이상 향상되었으며, 신율은 경사방향의 100kgf 하중에서 40% 이상 개선되었다.
연마제품에서 접착강력과 하중별 신율이 중요한 이유는 접착강력은 연마작업을 수행하면서 연마재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연마 벨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개선된 신율은 연마제품을 연마 벨트로 가공하여 사용할 시 연마작업을수행하면서 발생된 마찰열과 연마기계에서 연마 벨트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벨트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성능을 보장함에 있는 것이다.
〈실시예 3〉
종래조직 2와 본 발명조직 2를 이용하여 연마포 제품을 생산하였다.
(상기 표는 본 출원인의 제품 PA631 P320을 비교하여 실험한 결과이다)
상기의 결과를 분석하여 연마재 입자가 작은 제품에 사용되는 기재로 연마제품을 생산하면 그 대부분이 연삭보다는 연마작업을 하는데 연마된 피연삭체 표면의 조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신율과 접착강력 보다는 결점의 수가 연제품의 품질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다.
결점의 수가 중요한 이유는 결점에 의해서 피연삭체 표면에 기스(SCRATCH)를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종래조직 2와 본 발명조직 2는 경사방향의 100kgf 하중을 비교하여 신율이 25% 이상 개선되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접착강력에 있어서도 본 발명조직 2가 30% 이상 향상되었고, 결점의 수 역시 40% 이상 향상되는 효과를 얻었다.
본 발명조직 2는 연마재 입자가 작은 연마제품의 생산용 기재로 사용되기 때문에 연마포 품질의 중요한 인자인 결점의 수가 적어 피연삭체의 기스와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신율과 접착강력 역시 개선되는 효과를 얻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마포 직물을 구성하고 있는 위사와 경사중 어느 한 곳 이상을 단사 또는 합사로 이루어진 MJS사로 대체 이용함으로서 평활도(균제도), 인장력, 신율, 접착강력 등을 현저하게 개선하였으며, 호부제를 사용하지 않아 직조시의 공정단축과 비용절감 및 폐수처리의 원활함을 구현하는 등 환경친화적 제조가 가능하다는 유용성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그에 관한 최선의 실시예만을 언급하였으나, 굳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범위내에서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임은 자명하다.

Claims (3)

  1. 경사 및 위사의 성분이 면사, 혼방 섬유사 또는 화학 섬유사로 이루어진 연마포용 직물기재에 있어서, 직물제직시 경사와 위사 중 어느 한 곳 이상이 단사 또는 합사로 이루어진 MJS사로 대체되어 제직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포용 직물기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경사와 위사 모두 호부제를 첨가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포용 직물기재.
KR10-2000-0059540A 2000-10-10 2000-10-10 연마포용 직물기재 KR100378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540A KR100378461B1 (ko) 2000-10-10 2000-10-10 연마포용 직물기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540A KR100378461B1 (ko) 2000-10-10 2000-10-10 연마포용 직물기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508A KR20020028508A (ko) 2002-04-17
KR100378461B1 true KR100378461B1 (ko) 2003-03-29

Family

ID=19692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540A KR100378461B1 (ko) 2000-10-10 2000-10-10 연마포용 직물기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84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82604A (zh) * 2014-04-21 2014-06-25 爱谱诗(苏州)服装有限公司 一种保湿保健面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230B1 (ko) * 2004-11-03 2007-04-05 (주)성보산업 신축성이 강화된 심지직물 및 그 제조방법
CA2813187C (en) * 2010-11-18 2018-09-11 Teijin Frontier Co., Ltd. Woven fabric and garment
CN103726174A (zh) * 2013-11-19 2014-04-16 江苏博欧伦家纺有限公司 光泽柔和的纺织品
CN103879109B (zh) * 2014-03-31 2016-02-03 晋江万兴隆染织实业有限公司 一种抗菌防水抗静电环保面料
CN104172480A (zh) * 2014-08-22 2014-12-03 江苏雪山狼服饰有限公司 一种舒适型婴儿内衣面料
CN105386205A (zh) * 2015-12-21 2016-03-09 常熟市荣程纺织品有限公司 经编面料条绒布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7700A (en) * 1990-10-03 1995-08-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lyester/viscose composite yarns and fabric material containing said yarns as flexible coated abrasive support
KR0148549B1 (ko) * 1996-03-05 1998-12-01 이기완 연마포용 직물기재
KR20000039354A (ko) * 1998-12-12 2000-07-05 윤호철 연마포 제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7700A (en) * 1990-10-03 1995-08-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lyester/viscose composite yarns and fabric material containing said yarns as flexible coated abrasive support
KR0148549B1 (ko) * 1996-03-05 1998-12-01 이기완 연마포용 직물기재
KR20000039354A (ko) * 1998-12-12 2000-07-05 윤호철 연마포 제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82604A (zh) * 2014-04-21 2014-06-25 爱谱诗(苏州)服装有限公司 一种保湿保健面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508A (ko) 200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8461B1 (ko) 연마포용 직물기재
KR100421705B1 (ko) 연마포용 직물기재
CN1192139C (zh) 以平幅形式染色后具有无方向表面特征的正面整理织物
KR100306925B1 (ko) 연마포제품
KR100421704B1 (ko) 유연성 기능을 갖는 연마포용 직물기재
KR100378460B1 (ko) 초광폭 연마포용 직물기재
RU1828423C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 шлифовани
KR100354575B1 (ko) 연마포용 기재
deGruy et al. Microscopical observations of abrasion phenomena in cotton
KR20010010572A (ko) 연마포용 직물기재
Arora Effect of abrasion resistance on the woven fabric and its weaves
US3984594A (en) Method for producing cellulosic fiber-containing yarns with a non-aqueous sizing solution
KR101138812B1 (ko) 직물 절단장치
KR100469068B1 (ko) 함침촉진형 연마포용 기재
JP2004339647A (ja) 高堅牢度芯鞘型複合繊維
Ortlek et al. Factors influencing the abrasion properties of chenille yarns
CN212199542U (zh) 一种维纶/芳纶平纹混织砂带基布
KR102128199B1 (ko) 고속 면직물 제직용 복합호제의 조성물
JP5363057B2 (ja) 研磨用布帛およびその製法
CN115852677A (zh) 抗紫外线莱赛尔面料的加工方法
EP2097567A1 (en) Abrasive backing, method for manufacturing abrasive backing, and abrasive cloth
US20030073361A1 (en) Process to manufacture novel abrasive belt substrate
JPS6094675A (ja) 立毛布帛の製造法
KR100718957B1 (ko) 러빙 포재
CN114836984A (zh) 一种纺织涤纶纱组合浆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148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515

Effective date: 2019010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17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5000070;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90724

Effective date: 2019092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1759;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131

Effective date: 2019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