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8076B1 - 음극선관용패널포장조립체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패널포장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8076B1
KR100378076B1 KR1019960072667A KR19960072667A KR100378076B1 KR 100378076 B1 KR100378076 B1 KR 100378076B1 KR 1019960072667 A KR1019960072667 A KR 1019960072667A KR 19960072667 A KR19960072667 A KR 19960072667A KR 100378076 B1 KR100378076 B1 KR 100378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anel
pallet
cathode ray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2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3561A (ko
Inventor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72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8076B1/ko
Publication of KR19980053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ampoules; for lamp bulbs; for electronic valve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패널을 파손의 우려 없이 보관 및 운반하도록 그 패널을 효과적으로 포장하는 패널 포장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파형단면을 갖는 수평보강리브를 구비하는 평판 바닥부와, 상기 평판바닥부의 외주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 1플랜지와, 바닥부로부터 하향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형 보강부를 갖는 복수의 레그를 갖는 파레트와; 격벽에 의해 구분되는 다수개의 볼록부를 갖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향연장되는 4개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로부터 내면을 향해 돌출하는 복수의 수직보강리브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주연으로부터 외향연장되는 제 2플랜지 및 그 제 2플랜지의 단부로부터 상향연장되는 림을 구비하며, 상기 파레트위에 적층되는 패드와; 보강부를 갖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주연에서 하향연장되는 스커트와, 상기 평판부와 스커트부 사이에서 평판부의 외주부를 따라 형성되는 슬롯과, 패드의 림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스커트부와 슬롯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패널 포장조립체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조원가의 절감 및 쓰레기공해의 감소는 물론 포장자동화 시스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패널 포장조립체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패널 포장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유리를 원료로 하여 제작되는 패널을 파손의 우려 없이 보관 및 운반하도록 그 패널을 포장하는 패널 포장조립체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텔레비젼이나 컴퓨터모니터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음극선관은 실제 화면을 표출하는 패널(panel)과 이 패널의 후방에 연결되는 훤넬(funnel)그리고 훤넬의 후단중앙에 형성되는 네크(neck)로 구성되는 것으로, 패널은 유리원료를 1500℃의 고온용해로에서 용융시키고, 용융유리를 프레스로 압축성형하여 제작한다. 압축성형된 패널은 연마후 최종화면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정확한 곡률을 가져야 함은 물론, 고도의 청결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음극선관은 이와 같은 패널에 핀을 봉착하여 새도우마스크를 지지하고, 그 후 훤넬과 네크를 구성하여 하나의완성품으로 제조되어 판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패널만을 성형하여 패널들만을 부분품으로 음극선관 제조업체에 공급하기 위하여 또는 차후에 음극선관의 제작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임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하여 패널들만을 포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패널의 포장에는 포장박스(Carton Box)가 사용되며, 포장박스는 내부에 패널을 수납한 후 자동화시스템에 의하여 운반되는 포장방식이 채용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상기한 포장박스는 주로 펄프와 석회로 제조되는 일반골판지 보다는 천연펄프가 필히 사용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인조펄프를 사용한 포장박스의 경우에는 포함된 석회의 영향으로 인하여 패널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고정밀도를 유지하여야 하는 패널에는 적합하지 않아 반드시 제품의 품질에 영향이 없는 천연펄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포장박스에 의한 패널의 포장체는 천연펄프를 원료로 하는 종이포장재로 된 포장박스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제조원가가 많이 소요되고, 강도가 충분하지 못하여 내용물의 파손위험성도 높아지게 되는 것은 물론 내구성이 떨어져 1회 사용후 폐기함에 따른 비용증가 및 쓰레기 발생으로 인해 공해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첫째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장박스는 패널의 품질을 보전하기 위하여 천연펄프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천연펄프로 제작한 포장박스의 원가는 인조펄프로 제작한 판지의 원가보다 10배이상이고, 더욱이 포장박스는 2 내지 3회 사용될 수도 있으나 회수율이 극히 낮을 뿐만 아니라 보통은 1회사용으로 폐기되어 재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음극선관의 수요에 따른 포장박스의 사용이 막대하므로 포장박스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지대하다는 점이다.
둘째로, 포장박스의 취약성 및 취급부주의로 인하여 수납된 패널이 파손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으며, 이에 따라 패널이 수납된 포장박스를 취급하는데 있어서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셋째로, 최근 환경문제가 무엇보다도 우선되고 있는 상황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포장박스가 1회만 사용되고 쓰레기로 폐기되어 외부의 환경오염은 물론 포장 박스와 간지등에서 발생하는 파편 및 부스러기등으로 인하여 공장내의 환경이 열악해지는 문제점이 수반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패널의 포장박스는 포장자동화 시스템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음극선관용 패널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상 유리제조업체에서 제조된 후 음극선관 제조업체로 운반되어 완제품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따라서, 패널을 별도의 포장박스로 포장한 후 음극선관 제조업체로 이송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종이포장재로 된 박스포장재에 패널을 수납한후 이를 목재 파레트위에 다수 적층하여 운반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포장 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최근의 자동화 추세에 맞추어 다수의 컨베이어장치 및 다관절 로봇등으로 구성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포장자동화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는바, 종래의 포장박스는 구조적으로 취약하며, 내구성의 떨어지므로 컨베이어 상의 이송에 대한 내구성 및 로봇등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의 공간 이동시 로봇의 파지에 대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자동포장 시스템에 적용하기가 어렵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 으로서, 그 목적은 구조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유지시켜 반복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며, 포장자동화 시스템에 적합하게 사용가능한 음극선관용 패널 포장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포장조립체의 결합상태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포장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포장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포장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포장조립체의 패드간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포장조립체 12: 패널
20: 파레트 22: 평판 바닥부
24: 제 1 플랜지 26: 수평보강리브
28: 레그 30: 주름형 보강부
40: 패드 42: 볼록부
44: 측벽부 46: 수직보강리브
48: 제 2플랜지 50: 림
52: 격벽 54: 보강부
56: 수납홈 57: 돌기
58: 끼임방지턱 60: 커버
62: 평판부 64: 스커트부
66, 67: 보강부 68: 슬롯
70: 패널 받침대 72: 슬릿
74: 날개부 76: 받침부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파형단면을 갖는 수평보강리브를 구비하는 평판 바닥부와, 상기 평판 바닥부의 외주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 1플랜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하향연장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주름형 보강부를 갖는 복수개의 레그를 갖는 파레트와; 다수개의 볼록부와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격벽으로 이루어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향연장되는 4개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로부터 내면을 향해 돌출하는 다수개의 수직보강리브와, 상기 측벽부의 상측으로부터 외향연장되는 제 2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로부터 상향연장되는 림을 구비하며, 상기 파레트위에 적층되는 패드와; 보강부가 형성된 평판부의 외주부를 따라 형성되는 슬롯과, 패드의 림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스커트부와 슬롯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음극선관용 패널 포장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패널 포장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패널 포장조립체(10)의 파레트(20)와, 패드(40) 그리고 커버(60)의 결합 상태의 외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단부에는 파레트(20)가 위치되며, 파레트(20)위에는 다수개의 패드(40)가 적층되며, 최상층 패드의 위에는 커버(60)가 씌워지게 된다. 패널(12)은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부가 상면을 향하도록 패드(40)내에 수납된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포장조립체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레트(20)는 평판 바닥부(22)와 그 외주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 1 플랜지(24)를 가지며, 바닥부(22)는 파형단면을 갖는 수평보강리브(26)를 갖는다. 이 수평보강리브(26)는 바닥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으로 도면상 수평보강리브(26)의 형상이 대각선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파레트(2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 또는 횡방향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바닥부(22)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복수개의 레그(28)는 속이 빈 홈통 형상을 가지며, 예컨대, 롤러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장치에서 이송되는 경우, 레그(28)가 롤러사이에 끼이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접촉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복수개의 레그(28) 역시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주름형 보강부(30)를 갖는다. 또한, 레그(28)는 지게차등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패드(40)는 다수개의 볼록부(42)로 이루어지는 바닥부와 그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4개의 측벽부(44)를 갖는다. 측벽부(44)는 패드의 내면을 향해 돌출하는 다수개의 수직보강리브(46)와, 측벽부(44)의 상측으로부터 외향연장되는 제 2플랜지(48) 및 제 2플랜지(48)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림(Rim; 50)을 구비한다. 플랜지(48)는 패드가 다수 적층되는 경우 전체 조립체로부터 돌출됨으로써 패널의 자동화 시스템에서 로봇등이 패드(40)를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림(50)은 제 2플랜지(48)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볼록부(42)는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44)를 연결하는 격벽(52)에 의해 분할되는 것으로 2개 이상으로 분할되며, 바람직하게는 직각방향으로 교차하는 2개의 격벽(52)에 의해 4개의 볼록부를 형성함이 좋다. 격벽(52)은 양방향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보강부(54)를 갖는다. 각 볼록부(42)의 네 모서리부에는 패널(12)의 각 모서리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패널 받침대(70)가 끼워질 수 있는 수납홈(56)이 형성되며, 수납홈(56)의 바닥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패드로부터 하향돌출되는 돌기(57)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패널 받침대(70)는 수납홈(56)에 끼워맞춤되기 위한 한쌍의 날개부(74)와, 패널의 모서리 하단부가 안착되는 받침부(76)를 갖는다. 날개부(74)사이에는 가요성을 주기 위한 슬릿(72)이 형성되는 바, 슬릿(72)에는 돌기(57)가 삽입되어 상부에 위치되는 패드의 수납홈(56)과 하부에 위치되는 패드의 수납홈에 삽입되는 패널받침대(70)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조립체의 분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측벽부(44)는 바닥부로부터 위로 올라오면서 점차 외향으로 벌어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측벽부(44)에는 끼임방지턱(58)이 형성되어, 패널이 수납된 상태에서 패드가 적층되더라도 패드의 볼록부(42)와 패널의 화면부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며, 패널이 제거된 상태에서 패드가 적층되더라도 패드끼리 끼워 맞춤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후 자동포장작업시 자동포장기계가 패드를 개별적으로 신뢰성있게 파지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로 삽입되는 또 다른 패드는 그 하면이 하부 패드의 끼임방지턱(58)에 의해 걸려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할 때 상부패드의 측벽부 외면이 하부패드의 측벽부 내면에 대해 소정의 갭(G)이 형성되도록 하여 결합상태의 패드조립체로부터 하나의 패드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커버(60)는 네모서리부 및 길이방향 중앙부에 보강부(66)(67)가 형성된 평판부(62)와, 평판부(62)로부터 하향연장되는 스커트부(64)로 구성된다. 보강부(66)(67)는 평판부(62)의 전면에 걸쳐 형성 될 수 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에 걸쳐서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따르면 평판부(62)와 스커트부(64)의 사이에는 평판부의 외주부를 따라 슬롯(68)이 형성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68)의 외측 즉, 스커트부(64)와 슬롯(68)사이에는 림(50)을 수용하는 삽입홈(69)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조립체(10)의 파레트(20), 패드(40) 및 커버(60)등은 합성수지와 같은 방수 및 방습성이 우수한 하이드로포빅(Hydrophobic) 물질로 제조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포장조립체는 자동화 설비에 의한 위치이동시에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는 에이비에스수지(ABS수지;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Resin)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레트상부에 하나의 패드를 올려놓고 볼록부에 패널(12)을 삽입하게 되면, 패널의 모서리가 볼록부(42)의 네 모서리부에 결합되는 패널조립체(70)의 받침부(76)상에 얹혀지게 된다. 그리고 볼록부(42)에 패널이 모두 삽입되면 그 상부에 또 다른 비어 있는 패널이 올려지는데, 이때 상부에 올려지는 패널은 돌기(57)가 패널받침대(70)의 슬릿(72)으로 삽입되고, 동시에 소정깊이에서 패드의 저면이 끼임방지턱(58)에 걸려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부에 결합된 또 다른 패드상에 패널을 삽입안치하게 된다. 그리고 패널이 삽입된 패널이 예정된 수 만큼 적층되면 그 마지막 패드의 상부에는 커버(60)가 덮혀지게 된다. 이때, 패드(40)의 제 2 플랜지(48)는 커버(60)의 삽입홈(69)으로 삽입되어 커버(6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조립체는 에이비에스수지로 제작되는 파레트와 패드 및 커버를 구비하여 반복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조원가의 절감은 물론 폐기량을 최소화하므로써 쓰레기공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파레트 및 패드 그리고 커버가 각각 보강부에 의해 충분한 강도를 보유하게 되므로 패널의 손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포장자동화 시스템에 적용이 용이하게 되어 인력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파형단면을 갖는 수평보강리브를 구비하는 평판 바닥부와, 상기 평판 바닥부의 외주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 1플랜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하향연장 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주름형 보강부를 갖는 복수개의 레그를 갖는 파레트와;
    격벽에 의해 구분되는 다수개의 볼록부를 갖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향연장되는 4개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로부터 내면을 향해 돌출하는 다수개의 수직보강리브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주연으로부터 외향연장되는 제 2플랜지 및 그제 2플랜지의 단부로부터 상향연장되는 림을 구비하며, 상기 파레트위에 적층되는 패드와;
    보강부가 형성된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주연으로부터 하향연장되는 스커트와, 상기 평판부와 스커트부 사이에서 평판부의 외주부를 따라 형성되는 슬롯과, 패드의 림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스커트부와 슬롯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패널 포장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각 볼록부의 네 모서리부에는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저면에는 패드로부터 하향돌출되는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패드는 상기 수납홈에 삽입되는 패널 받침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패널 받침대는 상기 삽입홈에 끼워맞춤되기 위한 한쌍의 날개부와, 패널의 모서리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날개부 사이로부터 돌출되는 받침부와, 상기 날개부사이에 형성되어상부에 위치되는 패드의 돌기와 결합하는 슬릿을 구비하는 음극선관용 패널 포장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측벽부는 하부로 갈수록 점차 내측으로 좁아지는 기울기를 갖으며, 각각의 측벽부의 내측에는 상부에서 하강하며 볼록부를 향해 진입하는 또 다른 패드의 진입을 소정위치에서 제한하는 끼임방지턱을 구비하는 음극선관용 패널 포장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 패드 및 커버는 에이비에스수지로 제조되는 음극선관용 패널 포장조립체.
KR1019960072667A 1996-12-27 1996-12-27 음극선관용패널포장조립체 KR100378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2667A KR100378076B1 (ko) 1996-12-27 1996-12-27 음극선관용패널포장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2667A KR100378076B1 (ko) 1996-12-27 1996-12-27 음극선관용패널포장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561A KR19980053561A (ko) 1998-09-25
KR100378076B1 true KR100378076B1 (ko) 2003-06-19

Family

ID=37496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2667A KR100378076B1 (ko) 1996-12-27 1996-12-27 음극선관용패널포장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80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1808B2 (en) 2006-02-27 2009-08-11 Lg Electronics Inc. Packing materials for module of display apparatus
EP2824035A1 (de) * 2013-07-03 2015-01-14 Feurer Febra GmbH Transportvorrichtung
WO2022055850A1 (en) * 2020-09-11 2022-03-17 Orbis Corporation Integrated tray and pallet system
DE102020124667A1 (de) 2020-09-22 2022-03-24 Feurer Febra Gmbh Transportbehäl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99461A1 (en) * 2022-06-27 2024-01-03 Nefab Ab Packaging system and method for packing products using a packaging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1808B2 (en) 2006-02-27 2009-08-11 Lg Electronics Inc. Packing materials for module of display apparatus
EP2824035A1 (de) * 2013-07-03 2015-01-14 Feurer Febra GmbH Transportvorrichtung
WO2022055850A1 (en) * 2020-09-11 2022-03-17 Orbis Corporation Integrated tray and pallet system
DE102020124667A1 (de) 2020-09-22 2022-03-24 Feurer Febra Gmbh Transportbehä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561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16584A1 (en) Packaging Tray
US10059509B2 (en) Assembly box for transportation
US7481316B2 (en) Article storage case
US5667065A (en) Stackable packaging unit
KR100615026B1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수납용 트레이, 및 그 디스플레이용기판을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
US4483441A (en) Flat-type semiconductor device and packing thereof
EP0945356A1 (en) Synthetic resin pall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0378076B1 (ko) 음극선관용패널포장조립체
US6311460B1 (en) Method of using a packing insert as an assembly fixture
EP3456645A1 (en) Plastic container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agricultural products and method for stacking containers
US3637073A (en) Separator for glass articles
EP3279097B1 (en) Support plate for a package suitable for a food product
GB2040875A (en) Load transporting pallet
US2561561A (en) Stacking guide for crates, boxes, and cases
KR100378077B1 (ko) 음극선관용패널의자동포장방법및자동포장장치
JP3472463B2 (ja) 運搬用パレット
KR200308893Y1 (ko) 음극선관용 패널 포장 조립체
CN216333451U (zh) 一种便于叠放运输的塑料周转箱
KR200345547Y1 (ko) 절곡형 상자
CN217100782U (zh) 收袋装置及理袋设备
KR20030006995A (ko) 곤포재 및 이 곤포재를 이용한 곤포체 및 이 곤포체의반송방법
EP0778216A1 (en) Linkable crate
KR200401590Y1 (ko) 네크리스 훤넬 포장 조립체 및 다단적재용 상자의 가이드부재
KR200371004Y1 (ko) 음극선관용 유리 포장재
KR940007976Y1 (ko) 바닥처짐방지용 운반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