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6842B1 - 버스용 이중 폴딩 도어의 개폐안내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용 이중 폴딩 도어의 개폐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6842B1
KR100376842B1 KR10-2000-0052422A KR20000052422A KR100376842B1 KR 100376842 B1 KR100376842 B1 KR 100376842B1 KR 20000052422 A KR20000052422 A KR 20000052422A KR 100376842 B1 KR100376842 B1 KR 100376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s
door
bus
opening
doubl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9257A (ko
Inventor
민병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2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842B1/ko
Publication of KR20020019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8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b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용 이중 폴딩 도어의 개폐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폐 시 도어의 궤적을 안내하면서 궤적을 구속시켜 항상 정 위치에 오도록 유도하여 주행 중 전달되는 진동에 의한 떨림을 흡수하여 소음을 방지함은 물론 도어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반대로 접혀지면서 개·폐되는 좌·우측 도어(D',D") 하단의 인접 모서리부에 각각 좌·우측 스토퍼(1,1')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D',D")의 닫힘 시 상기 스토퍼(1,1')들에 대응되는 발판(S) 상의 위치에 상기 스토퍼(1,1')의 궤적을 유도하여 정위치시키는 가이더(2)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버스용 이중 폴딩 도어의 개폐안내장치{An open and close guiding device for a double folding door of bus}
본 발명은 버스용 이중 폴딩 도어의 개폐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 시 도어의 궤적이 정 위치에 서도록 유도하여 주행 중 전달되는 진동에 의한 떨림과 소음을 방지함은 물론 도어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버스용 이중 폴딩 도어의 개폐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인원을 수송하는 버스에 사용되는 도어는 승객의 승하차가 용이하도록 열 때 좌·우측의 2 부분으로 나뉘어져 각각 서로 접혀지는 구조(이를, 이중 폴딩 타입 도어(Double Folding Type Door)라 함)로 되지만, 이러한 이중 폴딩 타입 도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을 매개로 서로 접혀지면서 열려지도록 되어 도어와 차체의 도어 프레임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불규칙한 노면에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떨림을 가져와 내구성이 약화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은 내구성의 저하로 인해 도어의 개·폐 시 원활하게 작동되지 않거나 소음을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개·폐 시 도어의 궤적을 안내하면서 궤적을 구속시켜 항상 정 위치에 오도록 유도하여 주행 중 전달되는 진동에 의한 떨림을 흡수하여 소음을 방지함은 물론 도어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반대로 접혀지면서 개·폐되는 좌·우측 도어 하단의 인접 모서리부에 각각 좌·우측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닫힘 시 상기 스토퍼들에 대응되는 발판 상의 위치에 상기 스토퍼의 궤적을 유도하여 정위치시키는 가이더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이중 폴딩 도어의 개폐안내장치의 장착도
도 2는 도 1의 A-A선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이중 폴딩 도어의 개폐안내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더를 확대하여 도시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스토퍼 1a,1a' : 고정부
1b,1b' : 이동단 2 : 가이더
2a,2a' : 가이드홈 2a1,2a1' : 제1궤적면
2a2,2a2' : 제2궤적면 2b,2b' : 완충부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이중 폴딩 도어의 개폐안내장치의 장착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은 서로 반대로 접혀지면서 개·폐되는 좌·우측 도어(D',D")의 하단의 인접되는 각 모서리부에 각각 좌·우측 스토퍼(1,1')가 장착되는 한편, 상기 도어(D',D")의 닫힘 시, 상기 스토퍼(1,1')가 위치되는 발판(S) 상의 위치에는 상기 스토퍼(1,1')의 궤적을 유도하여 정위치키는 가이더(2)가 설치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1,1')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도어(D',D")에 보올트와 같은 고정부재를 매개로 장착되는 고정부(1a,1a')와, 이 고정부(1a,1a')에서 일 측면으로 90°절곡 되면서 하방으로 돌출 된 이동단(1b,1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발판(S)에 구비된 가이더(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 스토퍼(1,1')의 이동단(1b,1b')의 이동 궤적을 유도하도록 대향된 면상에 각각 좌우 대칭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홈(2a,2a')이 형성되되, 이 가이드홈(2a,2a')은 상기 도어(D',D")의 안쪽 궤적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궤적면(2a1,2a1')과, 이 제1궤적면(2a1,2a1')의 대향되는 부위에서 평평하게 형성되는제2궤적면(2a2,2a2')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밖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더(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2a,2a')을 형성하고 있는 제1궤적면(2a1,2a1')과 제2궤적면(2a2,2a2')상에 각각 완충부재(2b,2b')가 접합되어 일체를 형성하고 있는 바, 이 가이드홈(2a,2a')상에 접합된 완충부재(2b,2b')는 상기 스토퍼(1,1')가 도어(D',D")의 닫힘시 가이더(2)측으로 회동되어 수용될 때 스토퍼(1,1')의 이동단(1b,1b')과 가이더(2)의 가이드홈(2a,2a') 사이에서 발생되는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켜 주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이중 폴딩 도어의 개폐안내장치의 작동 상태도를 도시한 것인바, 이와 같이 닫혀진 상태에서 열리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즉, 가이더(2)의 가이드홈(2a,2a')에 스토퍼(1,1')의 이동단(1b,1b')이 정 위치된 상태에서 좌·우측도어(D',D")를 열게되면, 이 좌·우측도어(D',D")가 서로 반대방향의 도어이동궤적(Q,Q')을 따라 열려지게 되는데, 이때 도어이동궤적(Q,Q')은 좌·우측도어(D',D")가 각각 안쪽으로 접혀지면서 이동되는 궤적이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도어(D',D")의 이동과 함께 스토퍼(1,1')의 이동단(1b,1b')이 스토퍼이동궤적(P,P')을 따라 가이더(2)의 가이드홈(2a,2a')으로부터 이탈되어 좌·우측도어(D',D")가 열리게 된다.
한편, 열려진 좌·우측도어(D',D")를 닫는 경우는 전술한 설명의 반대로 즉, 좌·우측도어(D',D")가 각각 도어이동궤적(Q,Q')을 따라 펼쳐지면서 스토퍼(1,1')의 이동단(1b,1b')도 각각 스토퍼이동궤적(P,P')을 따라 가이더(2)의 가이드홈(2a,2a')으로 유입되어져 구속되어진다.
이때, 상기 가이더(2)의 가이드홈(2a,2a')에 형성된 제1궤적면(2a1,2a1')은 도어(D',D")와 스토퍼(1,1')의 이동궤적(Q,Q';P,P')에 상응하는 경사를 형성하여 도어(D',D")의 개·폐 시 스토퍼(1,1')의 이동단(1b,1b')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됨은 물론이다.
또한, 도어(D',D")가 닫혀지게 되면 스토퍼(1,1')의 이동단(1b,1b')이 가이더(2)의 가이드홈(2a,2a')내에 위치되므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스토퍼(1,1')의 떨림이 발생되더라도 이 떨림폭이 가이드홈(2a,2a')의 폭으로 제한되어 진동의 발생이 미미하게 됨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스토퍼(1,1')의 이동단(1b,1b')은 가이더(2)의 가이드홈(2a,2a')을 형성하는 제1궤적면(2a1,2a1')과 제2궤적면(2a2,2a2')상에 각각 접합되어 고정된 완충부재(2b,2b')에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스토퍼(1,1')에 발생되는 떨림이 흡수됨은 물론, 발생되는 소음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 시 도어의 궤적을 안내하면서 궤적을 구속시켜 항상 정 위치에 오도록 유도하여 주행 중 전달되는 진동에 의한 떨림을 흡수하여 소음을 방지함은 물론 도어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5)

  1. 서로 반대로 접혀지면서 개·폐되는 좌·우측 도어(D',D") 하단의 인접 모서리부에 각각 좌·우측 스토퍼(1,1')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D',D")의 닫힘 시 상기 스토퍼(1,1')들에 대응되는 발판(S) 상의 위치에 상기 스토퍼(1,1')의 궤적을 유도하여 정위치시키는 가이더(2)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버스용 이중 폴딩 도어의 개폐안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1')는 각 도어(D',D")에 보올트와 같은 고정부재를 매개로 장착되는 고정부(1a,1a')와, 이 고정부(1a,1a')에서 일 측면으로 90°절곡 되면서 하방으로 돌출 된 이동단(1b,1b')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가이더(2)는 좌·우측 스토퍼(1,1')의 이동단(1b,1b')의 이동 궤적을 유도하도록 대칭형상으로 가이드홈(2a,2a')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이중 폴딩 도어의 개폐안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2a,2a')이 밖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이중 폴딩 도어의 개폐안내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2a,2a')은 한 쪽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제1궤적면(2a1,2a1')과, 이 제1궤적면(2a1,2a1')의 대향되는 부위에서 평평하게 형성되는 제2궤적면(2a2,2a2')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밖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이중 폴딩 도어의 개폐안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궤적면(2a1,2a1')과 제2궤적면(2a2,2a2')상에는 충격흡수용 완충부재(2b,2b')가 각각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이중 폴딩 도어의 개폐안내장치.
KR10-2000-0052422A 2000-09-05 2000-09-05 버스용 이중 폴딩 도어의 개폐안내장치 KR100376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422A KR100376842B1 (ko) 2000-09-05 2000-09-05 버스용 이중 폴딩 도어의 개폐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422A KR100376842B1 (ko) 2000-09-05 2000-09-05 버스용 이중 폴딩 도어의 개폐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257A KR20020019257A (ko) 2002-03-12
KR100376842B1 true KR100376842B1 (ko) 2003-03-19

Family

ID=1968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422A KR100376842B1 (ko) 2000-09-05 2000-09-05 버스용 이중 폴딩 도어의 개폐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8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668B1 (ko) 2013-10-29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딩 도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668B1 (ko) 2013-10-29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딩 도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257A (ko) 2002-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31138B2 (ja) 窓障子用ステ−
KR100376842B1 (ko) 버스용 이중 폴딩 도어의 개폐안내장치
KR20180068250A (ko) 선루프의 리어 레일 먼지유입 방지장치
CN113829853A (zh) 用于遮挡滑动门车辆的侧梁的结构和滑动门车辆
KR20020008937A (ko) 버스용 이중 폴딩 도어의 개폐안내장치
KR200381599Y1 (ko) 미닫이 창호 및 이에 사용되는 크리센트
JP2006103882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S6016689A (ja) 二重防音ドア構造
JP3319182B2 (ja) カーフェリー用舷門装置
JPH1072984A (ja) シャッタ消音装置
JP3173939B2 (ja) 運転キャビンのスライド窓支持構造
KR200230522Y1 (ko) 슬라이드 도아의 완충ㆍ밀폐구조
JP2009051271A (ja) ホームドア構造
JP3602766B2 (ja) エレベーター乗りかご
KR100471777B1 (ko) 도어체커의 체커암 형상구조
JPH11280337A (ja) 引戸構造
KR100552048B1 (ko) 자동차의 도어 래치
JP2508117Y2 (ja) プラグドアの閉位置支持装置
JP2523724Y2 (ja) 折り畳み扉装置
KR0115714Y1 (ko) 차량용 서비스 홀 커버의 고정구조
JPH06144752A (ja) エレベーターの両引き戸装置
KR19980036908U (ko) 트렁크게이트 래치의 노이즈 방지용 댐퍼
KR200202090Y1 (ko) 철도차량용 슬라이딩도어의 방음장치
JPH0967975A (ja) 折り畳み扉の走行装置
JPH0853973A (ja) 折り畳み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