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446B1 - 승객 보호용 에어백 쿠션 - Google Patents

승객 보호용 에어백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446B1
KR100375446B1 KR10-2000-0073913A KR20000073913A KR100375446B1 KR 100375446 B1 KR100375446 B1 KR 100375446B1 KR 20000073913 A KR20000073913 A KR 20000073913A KR 100375446 B1 KR100375446 B1 KR 100375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ushion
airbag
passenger
auxiliary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4497A (ko
Inventor
박용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3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5446B1/ko
Publication of KR20020044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4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24Inner walls crating separate compartments, e.g. communicating with vents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 보호용 에어백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승객이 정상 착좌 위치에 있을시는 종래와 같이, 에어백 팽창 압력이 에어백 쿠션에 전달되고, 에어백 장치에 근접 착좌시는 에어백 팽창 압력이 리바운드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측면에 장착된 보조 에어백을 팽창시킴으로써, 승객의 상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승객 보호용 에어백 쿠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승객 보호용 에어백 쿠션{Airbag-cusion for passenger-protection}
본 발명은 승객 보호용 에어백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승객이 정상 착좌 위치에 있을시는 종래와 같이, 에어백 팽창 압력이 에어백 쿠션에 전달되고, 에어백 모듈에 근접 착좌시는 에어백 팽창 압력이 리바운드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측면에 장착된 보조 에어백을 팽창시킴으로써, 승객의 상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승객 보호용 에어백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나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안전 장치가 요구되는 바, 그 중에서 자동차의 운행중 갑작스런 감속 내지는 충돌에 의해 동작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센서에 의해 작동되어 에어백을 팽창시킴으로써 운전자나 승객을 그 충돌로부터 보호하는 여러 가지 타입의 에어백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그 대표적인 에어백 장치로는 에어백의 팽창 물질에 따라 가스 발생제의 연소 내지는 폭발에 의해 가스를 발생시켜 에어백을 순간적으로 팽창시키는 폭발식 에어백장치와, 압력용기에 저장된 압축가스를 충돌시 분출시켜 에어백을 순간적으로 팽창시키는 가스 충전식 에어백 장치와, 그 두가지 타입의 장점을 겸비한 하이브리드 타입 에어백 장치가 있다.
자동차의 핸들에 장착된 대표적인 폭발식, 즉 화약식 에어백 장치는 핸들의 중앙부인 핸들 베이스상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인플레이터의 상부에 에어백이 접혀진 상태로 배치되고 그 위를 패드 커버가 덮고 있다.
그 패드커버에는 크리스가 형성되어 있어 에어백의 팽창시 그 크리스가 파열됨으로써 에어백이 운전자측으로 팽창되어 나오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에어백 쿠션의 내압이 일정하게 팽창되므로 에어백 장치에 근접 착좌시, 치명적인 상해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실제로 어린이와 작은 체구의 여성들이 에어백 쿠션 팽창에 의해 사망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에어백 장치에 근접 착좌시 에어백 팽창 압력이 리바운드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측면에 장착된 보조 에어백 쿠션을 팽창시킴으로써, 승객의 상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승객 보호용 에어백 쿠션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 보호용 에어백 쿠션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에어백 쿠션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 보호용 에어백 쿠션의 팽창 과정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에어백 쿠션 11 : 메인 패널
12 : 사이드 패널 20 : 보조 에어백 쿠션
이하,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1개의 메인 패널(11)과 2개의 사이드 패널(12)로 구성된 에어백 쿠션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패널(12)에 보조 에어백 쿠션(20)이 접혀진채 박음질 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에어백 쿠션(20)으로 팽창 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사이드 패널(12)이 중첩되어 막음처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사이드 패널(12)의 중첩되어 막음처리된 부분은 정상 압력 이상일 경우에 오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에어백 쿠션(20)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에어백 쿠션(20)은 접혀진 상태로 외측이 박음질 처리되어 있는데, 가스의 팽창 압력에 의해 박음질 처리된 부분이 팽창되어 풀어질 수 있도록 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 보호용 에어백 쿠션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에어백 쿠션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 보호용 에어백 쿠션의 팽창 과정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에어백 쿠션을 나타낸다.
상기 에어백 쿠션(10)은 주로 1개의 메인 패널(11)과 2개의 사이드 패널(12)로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 패널에는 육면체 형상의 보조 에어백 쿠션(20)이 접혀진채로 상기 사이드 패널(12)에 박음질된다.
또한, 상기 보조 에어백 쿠션(20)으로 인플레이터의 팽창 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에어백 쿠션(10)의 사이드 패널(12)이 중첩되는 한편, 막음처리 되어 있다.
이때, 중첩된 부분은 보조 에어백 쿠션(20)이 박음질된 부분에 한정된다.
또한, 접혀진 상태의 보조 에어백 쿠션(20)은 외측이 박음질 처리되어 있는데, 상기 보조 에어백 쿠션(20)의 팽창 압력에 의해 박음질 처리된 부분이 팽창되어 풀어질 수 있도록 된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승객이 정상 착좌 위치에 있을시에는 종래의 에어백 쿠션(10)과 동일하게 팽창 압력이 에어백 쿠션(10) 내부에 전달되는데, 이때 사이드 패널(12)의 중첩된 부분은 정상적인 팽창 압력 이상에서 오픈되어 보조 에어백 쿠션(20)을 팽창시킨다.
그런데, 승객이 에어백 장치에 근접 착좌시는 상기 에어백 쿠션(10)이 팽창되면서 승객의 신체에 압력을 가하고, 이때의 반발 압력에 의해 정상적인 팽창 압력 이상이 되므로 상기 사이드 패널(12)의 중첩되어 막음처리된 부분이 오픈되어 보조 에어백 쿠션(20)을 팽창시킨다.
이와같이, 인플레이터에서 분출되는 가스의 압력을 보조 에어백 쿠션(20)을 설치하여 분산시킴으로써,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에 근접 착좌시 에어백 팽창 압력이 리바운드되어 에어백 쿠션을 팽창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에어백 쿠션의 측면에 장착된 보조 에어백 쿠션도 팽창시킴으로써, 승객의 상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개의 메인 패널(11)과 2개의 사이드 패널(12)로 구성된 에어백 쿠션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패널(12)에 보조 에어백 쿠션(20)이 접혀진채 박음질 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에어백 쿠션(20)으로 팽창 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사이드 패널(12)이 중첩되어 막음처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용 에어백 쿠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패널(12)의 중첩되어 막음처리된 부분은 정상 압력 이상일 경우에 오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용 에어백 쿠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에어백 쿠션(20)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용 에어백 쿠션.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에어백 쿠션(20)은 접혀진 상태로 외측이 박음질 처리되어 있는데, 가스의 팽창 압력에 의해 박음질 처리된 부분이 팽창되어 풀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용 에어백 쿠션.
KR10-2000-0073913A 2000-12-06 2000-12-06 승객 보호용 에어백 쿠션 KR100375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913A KR100375446B1 (ko) 2000-12-06 2000-12-06 승객 보호용 에어백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913A KR100375446B1 (ko) 2000-12-06 2000-12-06 승객 보호용 에어백 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497A KR20020044497A (ko) 2002-06-15
KR100375446B1 true KR100375446B1 (ko) 2003-03-10

Family

ID=27680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913A KR100375446B1 (ko) 2000-12-06 2000-12-06 승객 보호용 에어백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54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1085A3 (en) * 2009-09-10 2011-07-14 Autoliv Development Ab Passenger airbag,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deploying the same
KR101094879B1 (ko) * 2009-09-10 2011-12-1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1085A3 (en) * 2009-09-10 2011-07-14 Autoliv Development Ab Passenger airbag,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deploying the same
KR101094879B1 (ko) * 2009-09-10 2011-12-1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497A (ko) 200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60424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US20050029781A1 (en) Dual cushion passenger airbag
JP2003034215A (ja) 乗員保護装置
JPH10119703A (ja) 車輌乗員保護装置
JPH09169252A (ja) 膝保護装置
US20060125215A1 (en) Airbag module
JPH1067292A (ja) 車両乗員用の膝拘束装置
JPH0680057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配設構造
US20060220364A1 (en) Airbag module
KR100375446B1 (ko) 승객 보호용 에어백 쿠션
JPH0725303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070042262A (ko) 운전석 에어백 쿠션 구조
KR20150022257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0196187B1 (ko) 조수석 에어백의 도어 장치
JPH0672275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配設構造
JPH0672269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配設構造
KR200176767Y1 (ko) 자동차의 조수석용 에어백
KR100565369B1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JPH03109147A (ja) 自動車のニープロテクタ構造
KR20230017607A (ko)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100512856B1 (ko) 자동차용 2단 운전석 에어백
KR19990034490U (ko) 에어백 시스템의 패드커버구조
KR19990034489U (ko) 에어백 시스템의 패드커버구조
KR200174820Y1 (ko) 에어백의 충격흡수 압력조절장치
KR0114406Y1 (ko)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