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4853B1 - 건축물의 해충 침입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해충 침입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4853B1
KR100374853B1 KR10-2000-0027006A KR20000027006A KR100374853B1 KR 100374853 B1 KR100374853 B1 KR 100374853B1 KR 20000027006 A KR20000027006 A KR 20000027006A KR 100374853 B1 KR100374853 B1 KR 100374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le
salt
building
ground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0163A (ko
Inventor
박현철
Original Assignee
박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철 filed Critical 박현철
Priority to KR10-2000-0027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853B1/ko
Publication of KR20000050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0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2Pest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3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craw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4Arrangements connected with buildings, doors, windo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1Crawl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해충 침입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흰개미 등의 해충으로 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목조 건축물의 해충 침입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흰개미의 침입을 차단할 때 환경오염을 방지함과 아울러 원천적으로 침입할 수 없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목조형 건축물 주변인 건축물 하측의 지중(1)에 기거하는 흰개미 등이 건축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 지면(2)을 천공하여 안내홀(3)을 형성하는 제 1 단계(S1)와, 상기 안내홀(3) 내측에 분사수단(4)을 통해 염수를 투입함과 아울러 안내홀(3) 내측과 상측 주변을 도시하지 않은 히팅기로 열처리하여 지중(1)에 흡수된 염수가 소금(5)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 2 단계(S2)와, 상기 제 2 단계(S2) 후 안내홀(3)에 데카메트린(Decamethrine) 계통의 약제를 투입한 후 외부와 차단되게 캡(6)을 덮는 제 3 단계(S3)와, 상기 제 3 단계(S3) 후 숯과 소금이 적정 비율로 섞인 혼합물(7)을 산포하는 제 4 단계(S4)와, 상기 제 4 단계(S4) 후 폴리에틸렌 등으로 된 합성수지 필름(8)을 피복한 후 합성수지 필름(8)상에 면솜(9)을 적정 두께로 위치시킴과 아울러 면솜(9)에 살충제를 살포한 후 합성수지 필름(8')을 재차 피복하는 제 5 단계(S5)와, 상기 제 5 단계(S5) 후 염분이 함유된 바다 모래(10) 등을 적정량 채우는 제 6 단계(S6)로 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해충 침입 방지방법 {INSECT PESTS PREVENT METHOD OF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의 해충 침입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흰개미 등의 해충으로 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목조 건축물의 해충 침입 방지방법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해충의 범주에 속하는 흰개미(Termites) 등은 지중 또는 지상을 이동하면서 건조 목재 등을 주로 먹는 것으로서, 상기 흰개미는 소화관 내에 원생 동물을 공생시킴과 아울러 원생 동물을 통해서 목재의 셀룰로스(Cellulose)를 분해하도록 하여 목재 내의 영양분을 얻는 것이고, 상기 영양분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토양으로 배설되어 토양 동물이나 미생물 및 식물 등에 영양 물질을 공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흰개미 중의 일부 흰개미는 다리와 전신주 또는 목재 건축물 등의 목조 구조물에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서, 상기 목조 구조물에 피해를 입힐 때는 천적과 빛으로 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구조물 내부만을 먹어 영양분을 얻는 것이고, 상기 흰개미가 외부손상을 가하지 않고 구조물 내부를 먹게 되면서 그 부분의 공동화를 진행시키는 것이며, 상기 공동화의 진행을 확대시킬 때 빗물 또는 외부충격 등이 구조물에 가해지면 구조물의 붕괴를 초래하는 것이다.
상기한 흰개미의 침입으로 부터 구조물을 보호함과 아울러 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물 외부와 구조물 주변의 지면상에 살충제를 살포하는 것으로서, 상기 살충제는 적정 기간이 지나면 약효 저하를 초래하게 되어 정기적으로 살포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건축물의 해충 침입 방지방법은, 살충제를 정기적으로 살포할 때 구조물 외부와 주변의 지면상에 직접 살포하기 때문에 토양이나 환경오염의 주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정기적으로 살충제를 살포하기 때문에 흰개미의 방제비용과 살충제의 과다사용을 유도하는 것이고, 상기 살충제의 살포를 지상에만 하기 때문에 원천적으로 흰개미의 침입을 차단할 수 없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흰개미의 침입을 차단할 때 환경오염을 방지함과 아울러 원천적으로 침입할 수 없도록 한 건축물의 해충 침입 방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 주변을 천공하여 안내홀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안내홀 내측에 분사수단을 통해 염수를 투입함과 아울러 안내홀 주변을 열처리하여 소금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후 안내홀에 약제를 투입한 후 캡을 덮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후 숯과 소금이 섞인 혼합물을 산포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 후 합성수지 필름을 피복한 후 상기 필름상에 면솜을 위치시킴과 아울러 살충제를 살포한 후 합성수지 필름을 피복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5 단계 후 염분이 함유된 모래를 적정량 채우는 제 6 단계로 된 것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1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2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3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5 단계 및 제 6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업순서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지중 2: 지면 3: 안내홀
4: 분사수단 5: 소금 7: 혼합물
8,8': 합성수지 필름 9: 면솜 10: 모래
11: 기단 12: 기둥 13: 마루
14: 압력호스 15: 노즐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조형 건축물 주변인 건축물 하측의 지중(1)에 기거하는 흰개미 등이 건축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 지면(2)을 천공하여 안내홀(3)을 형성하는 제 1 단계(S1)와, 상기 안내홀(3) 내측에 분사수단(4)을 통해 염수를 투입함과 아울러 안내홀(3) 내측과상측 주변을 도시하지 않은 히팅기로 열처리하여 지중(1)에 흡수된 염수가 소금(5)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 2 단계(S2)와, 상기 제 2 단계(S2) 후 안내홀(3)에 데카메트린(Decamethrine) 계통의 약제를 투입한 후 외부와 차단되게 캡(6)을 덮는 제 3 단계(S3)와, 상기 제 3 단계(S3) 후 숯과 소금이 적정 비율로 섞인 혼합물(7)을 산포하는 제 4 단계(S4)와, 상기 제 4 단계(S4) 후 폴리에틸렌 등으로 된 합성수지 필름(8)을 피복한 후 합성수지 필름(8)상에 면솜(9)을 적정 두께로 위치시킴과 아울러 면솜(9)에 살충제를 살포한 후 합성수지 필름(8')을 재차 피복하는 제 5 단계(S5)와, 상기 제 5 단계(S5) 후 염분이 함유된 바다 모래(10) 등을 적정량 채우는 제 6 단계(S6)로 된 것이다.
상기 제 1 단계(S1)에서 지면(2)에 안내홀(3)을 형성할 때 기단(11)의 기둥(12)에 설치된 마루(13)의 설치위치가 지면(2)과 근접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루(13)를 철거한 후 형성하는 것이고, 흰개미의 거주 예상 지역에 안내홀(3)을 다수개 형성함과 아울러 지면에서 지중으로 약 1M 내외로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안내홀(3)을 형성할 때 기둥(12) 또는 기둥(12)과 지면(2)의 접합부위에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안내홀(3)에 염수를 투입하는 분사수단(4)은 도시하지 않은 염수탱크에 일단이 연결되어 염수를 일정 이상의 압력으로 압송하는 압력호스(14)와, 상기 압력호스(14)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측면과 하방에 다수개의 분출공(16)을 형성한 노즐(15)로 된 것이다. 상기 노즐(15)의 분출공(16)을 측하방에 형성함으로써 안내홀(3)의 측면 내측 지중(1)으로 염수가 원활하게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며, 각각의안내홀(3)에 염수를 분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건축물 주변의 지중(1)에 염수가 전반적으로 분포되는 것이다.
상기한 히팅기를 통해 지면(2)과 지중(1)을 열처리하면 수분이 증발되면서 소금(5)만 지중(1)속에 남게되는 것이며, 상기 소금(5)이 지중(1)속에 존재함으로써 흰개미 등의 침입이 일차적으로 저지되는 것이다.
상기 데카메트린 계통의 약제는 천연물 합성 피레트로이드(Pyrethroid)계 살충제로서 온혈 동물인 인체에는 매우 저독성이면서 곤충에 따라 살충력이 강하여 위생 해충 방제용으로 사용되다가 농약으로 개발된 것이다. 상기 피레트로이드계 살충제는 직접 접촉제로서 작용하며 곤충의 기문(숨구멍)이나 피부를 통해 체내에 침입하여 침입 즉시 신경계통에 작용하여 신경마비를 일으키게 됨으로써 해충을 죽이는 것이다.
상기 제 4 단계(S4)에서 사용된 혼합물(7)의 숯과 소금은 1 대 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으로서, 지면(2)의 평방미터(㎡)당 각각 1㎏의 숯과 소금이 사용되며, 상기 숯과 소금의 비율을 0.2 ∼ 0.4 대 0.8 ∼ 0.6 으로 변경시켜 혼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살충제가 살포되는 면솜(9)은 외부와 차단되도록 합성수지 필름(8,8')을 상하측에 피복한 것으로서, 상기 면솜(9)이 외부와 차단되게 되어 살충제의 유효기간이 특정되지 않게 됨과 아울러 지중(1)으로 살충제가 흡수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제 6 단계(S6)의 바다 모래(10) 등은 기타 세균과 곤충들이 침입하는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습기를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흰개미 등의 이동을 정기적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도시하지 않은 검출통을 제 4 단계(S4) 전후에서 설치할 수 있는 바, 상기 검출통에 다수개의 홀을 형성함과 아울러 검출통 내측에 흰개미가 좋아하는 유인제가 함유된 유도체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유도체는 적당한 수분을 함유함과 아울러 보습력이 뛰어난 것으로 제작되며, 상기 유도체의 보습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검출통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유인제는 도시하지 않은 소나무에서 채취한 수용성 추출액으로 된 것으로서, 상기 수용성 추출액을 채취하는 방식은 침지 방법과 가압처리 방법으로 나뉘어 지는 바, 상기 전자의 방법은 소나무를 절단후 수용된 물에 침지시켜 일정 시간이 경과되게 한 후 물을 증발시키는 것이고, 상기 후자의 방법은 소나무를 절단후 고압 멸균기 등으로 소나무를 가압하여 수용성 추출액을 얻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목조형 건축에 흰개미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축물 주변의 지면(2)에 안내홀(3)을 형성하고(제 1 단계(S1)), 상기 안내홀(3) 내측으로 노즐(15)을 인입시켜 염수를 투입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되게 한 후 지면(2)과 지중(1)을 열처리하여 지중(1)속에 소금(5)이 존재하도록 하며(제 2 단계(S2)), 상기 안내홀(3)에 데카메트린 계통의 약제를 투입한 후 캡(6)을 이용하여 외부와 차단하는 것이다(제 3 단계(S3)).
상기 약제를 투입한 후 지면(2)에 숯과 소금을 혼합한 혼합물(7)을 산포하고(제 4 단계(S4)), 상기 혼합물(7)을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합성수지 필름(8)을 피복하는 것이다. 상기 합성수지 필름(8)을 피복한 후 살충제를 적정한상태로 유지시킴과 아울러 적정 높이로 살충제의 층이 형성되도록 면솜(9)을 위치시키고, 상기 면솜(9)에 살충제를 살포한 후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하여 합성수지 필름(8')을 재차 피복하는 것이다(제 5 단계(S5)). 상기 재차 피복되는 합성수지 필름(8')은 기 피복된 합성수지 필름(8)과 접합시켜 면솜(9)이 원래의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면솜(9)을 외부와 차단시킨 후 염분이 함유된 바다 모래(10) 등을 적정량 채워 외부로 부터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게 하는 것이며, 상기 과정이 완료되면 흰개미 등이 접근할 수 없는 것이다(제 6 단계(S6)). 그리고 합성수지 필름(8,8')으로 살충제가 살포되는 면솜(9)을 커버하게 됨으로써 지중(1)으로의 살충제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흰개미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킨 후 정기적으로 흰개미의 활동을 감시하기 위하여 제 4 단계(S4) 전후에 검출통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검출통 내부에 유인제가 함유된 유도체를 설치하고, 상기 검출통을 외부와 차단시키는 것이다. 상기 검출통은 흰개미가 이동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 주변에 흰개미가 거주하게 됨과 동시에 검출통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흰개미가 유입되게 되면 그 부분을 상술한 방법으로 방역하여 건축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안내홀(3)은 지면(2)을 천공하여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기둥(12) 또는 기둥(12)과 지면(2)의 접합부위에 형성하여 흰개미 등이 건축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흰개미의 침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지중 또는 기둥에 안내홀을 형성하여 소금과 약제를 지중에 위치시키고, 상기 안내홀 상측인 지면상에 숯과 소금의 혼합물을 산포하며, 상기 혼합물의 상측에 살충제가 함유되는 면솜을 합성수지 필름으로 수용하여 위치시킨 후 염분이 함유된 모래 등으로 커버함으로써 흰개미가 접근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합성수지 필름을 통해서 살충제의 지중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살충제의 약효 잔류성이 향상되게 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염수탱크의 염수가 노즐 등을 통해서 안내홀 내측으로 분사되게 되어 지중으로 원활하게 토출시킬 수 있으며, 상기 노즐의 측하방에 분출공을 형성함으로써 지중속으로 염수를 균일하게 침투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건축물 주변을 천공하여 안내홀(3)을 형성하는 제 1 단계(S1);
    상기 안내홀(3) 내측에 분사수단(4)을 통해 염수를 투입함과 아울러 안내홀(3) 주변을 열처리하여 소금(5)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 2 단계(S2);
    상기 제 2 단계(S2) 후 안내홀(3)에 약제를 투입한 후 캡(6)을 덮는 제 3 단계(S3);
    상기 제 3 단계(S3) 후 숯과 소금이 섞인 혼합물(7)을 산포하는 제 4 단계(S4);
    상기 제 4 단계(S4) 후 합성수지 필름(8)을 피복하고, 상기 필름(8)상에 면솜(9)을 위치시킴과 아울러 살충제를 살포한 후 합성수지 필름(8')을 피복하는 제 5 단계(S5);
    상기 제 5 단계(S5) 후 염분이 함유된 모래(10)를 적정량 채우는 제 6 단계(S6)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해충 침입 방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4)은 염수탱크에 연결되어 염수를 일정 이상의 압력으로 이동시키는 압력호스(14)와, 상기 압력호스(14)의 단부에 연결되고 측하방에 분출공(16)이 형성된 노즐(15)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해충 침입 방지방법.
KR10-2000-0027006A 2000-05-19 2000-05-19 건축물의 해충 침입 방지방법 KR100374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006A KR100374853B1 (ko) 2000-05-19 2000-05-19 건축물의 해충 침입 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006A KR100374853B1 (ko) 2000-05-19 2000-05-19 건축물의 해충 침입 방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163A KR20000050163A (ko) 2000-08-05
KR100374853B1 true KR100374853B1 (ko) 2003-03-04

Family

ID=1966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006A KR100374853B1 (ko) 2000-05-19 2000-05-19 건축물의 해충 침입 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85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163A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6021A (en) Fire ant bait station
US6618986B2 (en) Method for producing a mulch for killing termites
US7247311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nsects in buildings and agricultural uses
US5542207A (en) Process for controlling insect infestations in a structure
US5435096A (en) Nematode and arthropod repelling apparatus
US6290992B1 (en) Foam formulation for termite control and method of application therefor
US8020341B2 (en) Pest borderline control system
Peterson Subterranean Termites: Their prevention and control in buildings
KR100767783B1 (ko) 소나무재선충 방제방법
KR100374853B1 (ko) 건축물의 해충 침입 방지방법
PT1824339E (pt) Método para repelir pragas com uma composição repelente de insectos à base de alho
KR100374852B1 (ko) 건축물의 해충 침입 방지방법
KR101348879B1 (ko) 방충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
WO1999026481A1 (fr) Produit de preservation du bois, systeme de protection contre la pourriture et les insectes, et kit d&#39;appat
JP2004329148A (ja) ハチの巣の駆除方法
KR980007977A (ko) 수간주입법을 이용한 버즘나무 방패벌레와 흰불나방의 통제방법
KR200200403Y1 (ko) 건축물의 해충 침입 방지구조
CN206895629U (zh) 白蚁监测控制装置
KR20170006993A (ko)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 살충용 망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53851A (ko) 목조 건축물의 해충 처리방법
Akre et al. Insect answers: Carpenter ants: their biology and control
MXPA00009128A (es) Aparato y metodos para controlar insectos reptantes en edificios y para usos agricolas
JPH08325108A (ja) 土壌燻蒸剤の燻蒸方法
JP2023086694A (ja) 猪忌避剤、猪忌避方法、猪忌避剤収容器および猪忌避剤製造方法
JPH02149504A (ja) ダニ防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