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447B1 - 약용탄을 이용한 파프제 - Google Patents

약용탄을 이용한 파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447B1
KR100373447B1 KR10-2000-0038024A KR20000038024A KR100373447B1 KR 100373447 B1 KR100373447 B1 KR 100373447B1 KR 20000038024 A KR20000038024 A KR 20000038024A KR 100373447 B1 KR100373447 B1 KR 100373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al
agent
coal
wat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3462A (ko
Inventor
강진양
Original Assignee
강진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양 filed Critical 강진양
Priority to KR10-2000-0038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447B1/ko
Publication of KR20020003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4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44Elemental carbon, e.g. charcoal, carbon bl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용탄(활성탄)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프제로서, 약용탄을 이용하여 수분함수율과 점착성을 개선하여 습포작용을 향상시킨 파프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약용탄을 이용한 파프제{CATAPLASMA USING THE MEDICINAL CHARCOL}
본 발명은 흡착작용이 강하여 이전부터 염증 및 물리적 해독제로 사용되어 왔던 약용탄(활성탄)을 이용하여 수분함수율과 점착성을 개선시킨 성형파프제(Cataplasma)에 관한 것이다.
숯(Charcol)이란 과거 오래전부터 민간에서 사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의약적으로도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물질로서, 그 화학적 구성성분은 탄소( C:12 )로 구성되어 있고, 흑연(Diamond, Graphite), 연탄(Coal) 또는 끄으름(Lampblack), 비결정질 탄소(Amorphous carbon) 등이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탄소 덩어리 들이다. 그리고 비결정질 탄소는 다시 동물성 숯(Animal Charcol : 뼈, 근육, 혈액등을 태워 얻어지는 것), 가스성 숯(Gas black : 굴뚝이나 아궁이에서 자연가스의 불완전연소에서 얻어지는 것), 끄으름(Lampblack : 기름이 연소될 때 얻어지는 끄으름같은 것), 활성탄(Activated charcol 또는 Activated carbon), 의약분야 용도로서의 활성탄인 약용탄(Medicinal Charcol) 등으로 나누어지고, 활성탄이나 약용탄의 경우 나무나 풀 등을 태워 얻어지는 것들이다. 그런데 숯(Charcol)과 활성탄 즉, 약용탄(Medicinal Charcol)은 차이가 있으므로 구별되어야 한다.즉, 숯을 다시 제탄작업을 거쳐서 더 정제하여 다공성인 활성탄 또는 약용탄이 만들어 지는 것으로, 이들 사이에는 그 효과와 안전성에 어느 정도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그러므로 의약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숯 보다는 약용탄을 사용해야 안전하고 그 효과를 더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숯이라고해서 모두 효용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다. 끄으름이나 불완전연소된 물질 또는 재질에 따라 숯은 발암물질로 되어 있어, 그 사용에 대하여 경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국약전(U.S.P), 일본약전(J.P), 대한약전(K.P)등에 수록되어 있는 약용탄은 흡착력시험을 통하여 약용탄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보통 약용탄은 표면활성을 가지는 다공성물질로 입자크기(Particle Size)가 0.002 인치(45μ)이하이며, 1㎜의 크기가 약 1000㎡의 표면적을 가지고 있다.
숯의 작용은 종합해 보면, 그 흡착력에 있다. 1㎜의 크기가 약 1000㎡의 표면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각보다 많은 양의 물질을 흡착할 수 있고, 또한 여러 다양한 물질을 가리지 않고 흡착할 수 있다. 이런 작용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물리적 해독제로서, 그리고 지사제 및 흡착제, 탈취제로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약용탄과 약물과의 흡수 비율은 대개 10:1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약용탄을 경구투여 하였을 경우 먼저 들어온 약물이 흡수되기전 또는 간내통과를 차단시켜 몸 안에 있는 성분을 장 안으로 보내 배설시키므로 물리적 해독제 또는 응급해독제로 우수한 작용을 나타낸다. 특이한 것은 어떤 약물의 경우 이미 흡수된 상태에서 약물의 배설능(Clearance)을 증가시켜 생물학적 반감기를 현저히 줄이는 경우도 있어 주목을 받은 보고도 있다.
한편, 파프제(Cataplasma)는 분말의약품을 글리세린, 물 또는 기타 적당한 액상물질과 혼화하고, 여기에 정유성분 또는 방향제를 가해서 균등하게 혼화한 것으로 분말의약품과 정유성분을 함유하는 니상(泥狀)의 외용제로서 포편(布片)에 전연하여 환부에 붙여, 습포 목적으로 사용하는 제제이다.
그 구성은 일반적으로 지지체, 고체, 라이너 등의 요소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고체는 주약을 함유하며 적당한 점착력, 응집력 등을 갖는 파프제의 중요한 구성성분이다. 주로 수용성폴리머, 보습제, 습윤용해제, 무기 충전제, 점도 조정제, 가교제, 유효성분 등으로 이루어지며, 현재 많이 이용되는 기제는 천연폴리머인 젤라틴, 반합성 폴리머인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합성폴리머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메톡시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및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등이 있다. 또한 유효성분은 진통소염제로서, 살리실산메칠 및 살리실산글리콜,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과 ℓ-멘톨 및 ㎗-캄파 등을 사용하고 있다.
파프제의 점착력과 응집력을 위해 사용하는 물질은 고무질 및 폴리머(고분자물질)이며, 이것은 파프제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분이고, 폴리머타입이 유화 점착 등 여러 가지면에서 여타 고무질에 비하여 우수하다.
통상의 경고제는 고무질 및 폴리머를 용매에 용해하여 주약과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며, 용매로 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수분함량은 문제되지 않고 보습작용이 필요치 않다. 그러나 습포제인 파프제는 주약이 인체의 표피에 이행되기 위해서는 수분함수율인 보습작용이 파프제의 약효의 지속과 약효의 발현과 밀접불가분의 관계를 갖는다.
그러나 성형파프제는 초기에 환부에 첨포시 체온, 땀등에 의하여 연화, 피부에 고체의 일부가 달라붙어 남으며, 사용 중에 경시변화가 생겨 석고상으로 되고, 때에 따라서는 깨끗하게 박리되지 않는 등의 결점이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성형파프제에 사용되는 고체는 먼저 그 보수성(保水性) 및 유연성이 우수하여야 하는데 피부에 대한 점착성이 좋고 환부의 움직임에 잘 따르는 밀착감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 온도, 경시 보존 조건등에 의하여 연화되어 높은 안정성을 지녀야 한다.
고체 중에 다량의 물을 함유하는 성형파프제는 사용 중 수분함유율의 변동에 따라 유효성분과의 상가작용으로 나타나는 찜질(습포)효과의 변동을 나타내며, 이는 고체 물성이 수분함유율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그 주된 이유는 수분의 감소에 따라서 소위 고체의 점탄성이 저하되는 것이고, 이런 성능저하는 밀착력이 손상되어 습포효과의 주약성분 등의 경피흡수율도 당연히 나빠진다. 그러므로, 고체의 성능면에서 보면 높은 약효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 중 보수성(保水性)과 점착력이 우수한 파프제가 요구된다.
보수성을 위해 기존에는 파프조성물에 일정량의 카올린과 글리세린을 사용하였으나, 보습작용이 충분치 않아 개선이 요구된다.
약용탄을 파프제에 적용한 예는 아직 없는데, 이는 약용탄을 파프제에 적용할 경우 파프조성물이 굳어져서 파프제로서 성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또한 파프제의 사용시에 피부에 약용탄이 묻어나서 피부가 검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약용탄을 적정비율로 첨가하고, 또한 파프조성물의 기제로서 특정 성분들을 사용하므로써, 파프제로의 성형성도 양호하고, 동시에 함수율 및 점착성도 개선될 뿐 아니라 사용성도 양호한 성형파프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파프제는 공지의 파프조성물에 약용탄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1∼2%중량%의 약용탄이 첨가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약용탄은 참나무, 굴참나무, 적송, 대나무 등으로부터 제조된 활성탄으로서, 대한약전(K.P. Ⅶ)에 수록된 흡착력시험법으로 시험한 결과 기준이 되는 1.2ml 이상되는 약용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파프조성물중의 약용탄의 바람직한 함량은 1∼2중량%인데, 약용탄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약용탄 첨가에 따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2중량%를 초과하면 파프조성물이 굳어져서 파프제의 성형, 제조가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파프제에 있어 약용탄을 사용하였을 경우 물의 흡착으로 인한 함수율이 높아져서 점도가 높아지는 경우를 대비하여 종래에 파프제에 사용되던 카올린을 일정량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때 카올린:약용탄의 비율은, 파프조성물의 함수율을 양호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60∼80:20∼40의 조성비(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파프제에 있어서는, 파프조성물의 기제성분으로서 폴리아크릴산나트륨과 메톡시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를 선택하여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 두성분을 병용할 경우, 약용탄이 함유된 파프조성물이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파프제 사용시 약용탄이 피부에 묻어나서 피부가 검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파프조성물중의 상기 두성분의 함량은 적당한 점착력을 유지하면서, 파프조성물의 성형성을 유지하기위하여,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이 2∼10중량%, 메톡시에틸렌 무수말레인산공중합체가 1∼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파프제는 상기 성분들과 통상의 파프조성물 성분들을 공지의 방법으로 혼합하여 파프조성물을 조성한 후, 공지의 방법으로 파프제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고,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2
하기 표 1과 같이 통상의 파프조성물 성분들과 약용탄을 혼합한 후, 이를 부직포에 도포하여 냉감형 파프제를 제조하였다. 온감형 파프제의 경우에는 디엘-캄파 대신 캡사이신을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1과 2의 파프제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방법>
① 건조감량시험에 따른 보습작용 시험 : 칭량병을 미리 30분간 건조하고, 그 무게를 정밀하게 재었다. 황토 및 카올린 각각 5g을 물 5ml과 섞고, 이 시료를 각 2g씩 달아 미리 건조한 칭량병에 넣고, 그 층의 높이가 5mm 이하가 되도록 편다음 전체 무게를 달았다. 이것을 건조기에 넣고 40℃에서 건조시키면서, 30분∼150분간 30분 간격으로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② 수분증발율시험(칼핏샤법) (K.P. Ⅶ) : 실시예 1과 2의 파프제 및 기존의 시판 파프제에 대하여 경과시간에 따른 수분증발율을 시험하기 위하여, 초기, 30, 60, 90, 120, 150분이 경과한 때에 다음에 기재한 칼핏샤법으로 수분을 정량하여 수분증발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 장치 : 뷰렛, 건조적정플라스크
- 시약 : 수분측정용클로로포름, 수분측정용메탄올, 수분측정용메틸셀로솔브, 수분측정용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수분측정용피리딘, 수분측정용이미다졸, 수분측정용2-메틸아미노피리딘
- 조작법 : 수분측정용메탄올 적당량을 건조플라스크에 취하여 미리 수분용측정용시액으로 종말점까지 적정하여 플라스크 안을 무수상태로 하여 두고, 수분 30mg을 함유하는 검체를 30분 간격으로 건조후 빨리 적정플라스크에 넣고 습기를 피하면서 10분간 저어 섞은 다음 세게 교반하면서 정량하였다.
검체의 적정에 소비된 수분측정용시액의 양(ml)×f(mg/ml)
물(H2O)% = --------------------------------------------------------- × 100
검체의 양(ml)
③ 점착력 시험 : 필 어드히션(peel adhesion) 시험가운데 PSTC(Pressure-Sensitive Test Council) No. 1 방법으로 성형파프를 스테인레스 강판에 적용후 파프를 180°각도로 당겨서 측정하는 방법으로 폭 ㎠ 당 g으로 표시한다. 시험결과는 표3에 수분증발율(%)과 함께 나타내었다.
표 1. 조성 (중량%)
함 량 실시예 1 실시예 2
엘-멘톨디엘-캄파살리실산메칠염산디펜히드라민치몰약용탄카올린산화티탄젤라틴글리세린디-솔비톨정제수폴리비닐알콜메톡시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폴리아크릴산나트륨폴리소르베이트80 5461225510201073785 5461216510201073785
표 2. 건조감량시험에 따른 보습효과시험 ( 건조온도 40℃, 증발량 ㎖ )
시간 약용탄 카올린
30분 0.51 0.82
60분 1.88 2.20
90분 2.62 3.17
120분 3.01 3.41
표 3. 파프제의 수분증발율과 점착력 상관관계
[단위 : 점착력(g/㎠)/수분증발율(%)]
경과시간(분) 초기 30 60 90 120 150
A 6.8/0 6.8/29.0 6.9/48.3 5.8/66.8 5.0/82.2 5.8/98.0
B 5.7/0 5.0/18.0 4.1/38.0 5.0/71.5 5.6/88.0 0.4/95.0
C 4.8/0 4.3/24.0 4.2/45.0 3.9/74.5 2.7/87.5 0.4/95.0
D 4.5/0 4.3/27.0 4.9/45.0 3.7/62.0 2.3/79.0 0.6/98
E 2.9/0 1.4/33.0 0.2/53.0 0.1/68.5 0.1/81.5 0/96.5
실시예1의파프제 12.1/0 12.3/7.5 12.1/11.1 12.1/13.5 11.8/17.7 11.8/21.8
실시예2의파프제 12.8/0 12.8/8.7 12.4/15.2 12.2/18.1 12.1/23.6 11.8/28.3
(주) A 내지 D:카올린을 함유하는 폴리머 파프제
E:카올린을 함유하는 고무질 파프제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보습작용에 대한 실험에서 약용탄이 카올린보다 보습작용이 우수하였다.
그리고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약용탄을 이용한 파프제와 약용탄이 전혀 사용되지 않고 기존 카올린을 함유하는 파프제(A∼E)에 대한 점착력 및 수분증발율 시험결과, 본 발명의 약용탄을 첨가한 파프제가 시판 파프제들보다 보습작용 및 점착력이 모두 우수하였다.
또한 약용탄을 이용한 파프제는 습도조절능력(외부가 습하면 수분을 흡수하고, 건조해지면 보유하고 있던 수분을 방출) 및 일정시간 실온유지능력이 우수하였다.
이상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약용탄을 이용한 파프제는 수분함수율과 점착성이 매우 우수하여 습포작용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그외에도 약용탄 고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파프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용탄 1∼2중량%,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2∼10중량% 및 메톡시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1∼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프제
  2. 제1항에 있어서, 파프조성물에 카올린:약용탄=60∼80:20∼40의 중량비로 카올린을 더 포함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프제.
  3. 삭제
KR10-2000-0038024A 2000-07-04 2000-07-04 약용탄을 이용한 파프제 KR100373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024A KR100373447B1 (ko) 2000-07-04 2000-07-04 약용탄을 이용한 파프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024A KR100373447B1 (ko) 2000-07-04 2000-07-04 약용탄을 이용한 파프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462A KR20020003462A (ko) 2002-01-12
KR100373447B1 true KR100373447B1 (ko) 2003-02-25

Family

ID=19676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024A KR100373447B1 (ko) 2000-07-04 2000-07-04 약용탄을 이용한 파프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4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492A (ko) * 2000-07-18 2000-11-06 김병출 챠콜(숯) 파스
WO2011031116A2 (ko) * 2009-09-14 2011-03-17 Kim Hee Gu 약재 성분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76548B1 (ko) 2008-09-12 2010-08-17 김희구 약재 성분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10980752B2 (en) 2009-09-14 2021-04-20 Bm Biotechnology Co., Ltd. Device for herbal medicine in which release of medicinal ingredient can be controll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3425A (en) * 1978-08-30 1980-03-08 Japan Atom Energy Res Inst Production of gradually releasing preparation
JPH02258717A (ja) * 1989-02-18 1990-10-19 Lts Lohmann Therapie Syst Gmbh & Co Kg 活性物質の作用を遅延及び制御する形の皮膚経由又は粘膜経由投与のための治療薬
JPH08245374A (ja) * 1995-03-15 1996-09-24 Sekisui Chem Co Ltd 貼付剤
JPH10109932A (ja) * 1996-10-02 1998-04-28 Tadashi Sawami 痛み取りシート
KR20000056925A (ko) * 1999-02-27 2000-09-15 안종서 숯을 이용한 일반의약품인 파스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3425A (en) * 1978-08-30 1980-03-08 Japan Atom Energy Res Inst Production of gradually releasing preparation
JPH02258717A (ja) * 1989-02-18 1990-10-19 Lts Lohmann Therapie Syst Gmbh & Co Kg 活性物質の作用を遅延及び制御する形の皮膚経由又は粘膜経由投与のための治療薬
JPH08245374A (ja) * 1995-03-15 1996-09-24 Sekisui Chem Co Ltd 貼付剤
JPH10109932A (ja) * 1996-10-02 1998-04-28 Tadashi Sawami 痛み取りシート
KR20000056925A (ko) * 1999-02-27 2000-09-15 안종서 숯을 이용한 일반의약품인 파스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462A (ko) 200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3860A (en) Non-invasive transmucosal drug level monitoring method
CA1093967A (en) Thermogenic sheet-combines poultices
JP4511691B2 (ja) 経皮的投与のためのマトリックスパッチ
US4795436A (en) Bioadhesive composition and method of treatment therewith
CN101370487B (zh) 含有疏水性非甾体抗炎药的经皮制剂
Mutalik et al. Formulation development,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 of membrane controlled transdermal systems of glibenclamide
BRPI0707043A2 (pt) comprimidos matriciais, comprimidos matriciais à base de oxicodona, comprimidos, processo de fabricação dos comprimidos matriciais e uso
CA241564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oral use with improved absorption
Banala et al. Transmucosal Delivery of Duloxetine Hydrochloride for Prolonged Release: Preparation, in vitro, ex vivo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ex vivo Correlation
KR100373447B1 (ko) 약용탄을 이용한 파프제
CN1909929A (zh) 消炎镇痛外用药
US4795645A (en) Sustained release tablets of theophylline
Wolff et al. In vitro and in vivo-release of nitroglycerin from a new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AU1639701A (en) Active substance patch, kind to the skin, for transdermal administration of nonsteroidal antirheumatics
BRPI0704028A (pt) composição farmcêutica antiácida em forma de pó para a neutralização rápida e prolongada da acidez gástrica, preparação farmacêutica em forma de pó e procedimento para preparar a composiçao
JPH0424324B2 (ko)
CN102018962B (zh) 在控释制剂中的聚合物增强剂
JPS58196458A (ja) 潜血の存在を判定するための診断助剤および方法
Pereira et al. Methamphetamine, morphine, and their combination: acute changes in striatal dopaminergic transmission evaluated by microdialysis in awake rats
CN100482210C (zh) 一种外用治疗关节疼痛的中药组合物贴膏
RU2240784C1 (ru)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на основе арбидола
RU2116069C1 (ru) Твердые капсулы окфосфата цитарабина
BRPI0408805A (pt) composição farmacêutica contendo complexo de platina e método de fabricação da mesma
KR100362265B1 (ko) 황토를 이용한 파프제
JP2003212760A (ja) ゲル組成物、ゲル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