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136B1 - 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용 화학적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폐수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용 화학적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폐수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136B1
KR100373136B1 KR10-2000-0042827A KR20000042827A KR100373136B1 KR 100373136 B1 KR100373136 B1 KR 100373136B1 KR 20000042827 A KR20000042827 A KR 20000042827A KR 100373136 B1 KR100373136 B1 KR 100373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nitrogen
phosphorus
tank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3595A (ko
Inventor
안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정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정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정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00-0042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136B1/ko
Publication of KR20000063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1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02F1/58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by removing ammoniacal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용 화학적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 폐수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KMnO42∼6중량%, Ca(OH)20.01∼0.06중량%, FeSO410∼50중량% 및 나머지는 물로 구성된 화학적 처리제를 이용하여 집수된 폐수를 무산소 조건에서 1.5∼3시간동안 교반,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처리)된 폐수에 응집제 및 응집보조제를 첨가하여 고·액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액분리된 처리수를 호기성 부유성장법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용 화학적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 폐수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① 질소 및 인의 처리(제거)성능이 우수하고 안정성이 있으며, ② 기존의 설치된 관련시설과의 부합, 일체성이 있고, ③ 유입수량과 수질의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④ 건설비 및 유지관리비가 저렴하고, ⑤ 국내에서 개발되어 국내 처리장에 적합한 공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용 화학적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 폐수의 처리방법{Chemical composition for removing nitrogen and phospate in waste water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 wa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용 화학적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 폐수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각종 하수 및 폐수, 특히 축산폐수에서 영양물질로 문제가 되고 있는 질소(T-N)와 인(T-P), 및 난분해성 유기물을 제거하여 질소와 인으로 인한 적조현상과 부영양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폐수내의 질소 및 인을 제거하기 위한 화학적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 폐수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농촌사회는 축산산업의 발전으로 복지의 향상과 소득증대를 도모하여 왔으나, 축산업의 부산물인 축산폐수와 폐기물로부터 질소와 인 등의 오염물질을 다량 배출하여 왔다. 환경오염물질 중에서도 질소와 인은 우리나라 상수원의 오염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물질중의 하나지만, 제거가 어려운 성질을 가지고 있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처리되고 있다.
최근에는 질소 및 인 등의 영양염류를 제거하기 위한 고도처리공정이 다수 개발되어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국내, 외에서 각종 연구를 통하여 개발되어 중, 소규모 하수처리장이나 축산폐수처리장을 중점으로 적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종래의 고도처리방법을 제거대상물질별로 분류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영양물질 제거를 위한 종래의 고도처리 방법
제거대상물질 고도 처리 공법
질소(T-N) 순환법, 내생탈질법, 산화구법
인 (T-P) 응집침전법, 응집제첨가, 활성슬러지법혐기, 호기법(A/O), 포스트립(phostrip)
질소,인 동시제거 응집제첨가법산화구법, VIP공법, MUCT공법, A2/O공법, P/L공법,SBR공법, DNR공법, 바덴포(Bardenpho) 공법, NAP공법
고도처리공법은 처리를 행하는 목적, 제거대상물질이나 처리성능, 목표수질, 운전관리의 용이성, 슬러지 발생량,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하며, 하나의단위공정 또는 두 개 이상의 단위공정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한편, 호소 등의 폐세성 수역에서는 생활하수, 공장폐수가 유입되어 하, 폐수의 질소, 인에 의한 부영양화(Eutrophication)가 또한 문제로 되고 있다. 하천에서도 상류에서 방류된 축산처리장이나 하수처리장의 처리수를 하류의 정수장에서 취수하는 예가 늘어나고, 정수장에서 암모니아성 질소를 제거하기 위해 주입되는 염소량이 증대하며 더욱이 수돗물에 THM(TrihalloMethane), 클로아민(Chloramines) 등의 유해물질이 생성되므로 질소 제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 폐수의 질소와 인의 제거법은 상기 표 1과 같은 방법 등이 있고, 처리원리 및 공정개요, 제거대상물질, 설계인자등을 비교하면 하기 표 2와 같다. 또한, 하, 폐수의 질소와 인의 제거하기 위한 기존에 등록된 특허들로는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90903호, 제121218호, 제136162호, 제156438호, 제159327호, 제195579호, 제188804호, 제127893호, 제212198호, 제235250호, 제239917호, 제244376호, 제242715호 및 제235251호 등이 있으나, 이들은 거의 생물학적 처리방법이거나 새로운 구조를 갖는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처리효율이 낮고 처리비용이 많이 들거나 처리공간이 과대한 단점이 있다.
종래의 국내·외 고도처리 공정개요
구분 공 정 구 분 처리 효율 설계 인자
표준활성슬러지법(CAS) 호기성부유성장처리공법+물리확학적처리(선택) T-NT-P 20-30%10-25% HRTSRTF/M비 4-8시간5-15일0.2-0.6kg.BOD
연속회분식반응조(SBR) 호기성부유성장 처리공법 T-NT-P 30-80%30-70% 혐기시간호기시간F/M비 1.8-3.0hr1.0-4.0hr0.15-0.5
A2/O 혐기+무산소+호기성부유성장 처리공법 T-NT-P 40-70%60% HRTSRTF/M비 5.8hr4-27days0.1-0.3
반덴포 공법 혐기+무산소+호기+무산소+호기조 T-NT-P 90%50-90% HRTSRTF/M비 10-20hr10-40days0.1-0.2
MUCT공법 혐기+무산소+무산소+호기성 부유성장 처리공법 T-NT-P 50-70%70-80% HRTSRTF/M비 5-8hr10-30days0.1-0.2
PID공법(Bio Denipho) 호기성 부유성장공법 T-NT-P 50-70%50-90% HRTSRTF/M비 12-24hr20-35days0.03-0.1
DNR공법(Daewoo Nutrient Removal) 혐기+무산소+호기성부유성장 처리공법 T-NT-P 70%70% HRTSRTF/M비 6-8hr5-12days0.1-0.3
NAP공법(Nightsol Application Process) 분뇨주임에의한 혐기.무산소.호기성부유성장처리공법(국내) T-NT-P 70%70% HRTSRTF/M비 6-8hr5-12days0.1-0.3
B3 공법 호기성부유성장처리공법 T-NT-P 90%70% HRTSRTF/M비 4-9hr5-15days0.05-0.45
포스트립(phostrip)공법 호기성부유성장+반류수공법 (약품사용) T-NT-P 20-30%90% HRTSRTF/M비 4-10hr10-30days0.1-0.5kg.BOD
P/L 공법 〃(국내공법) T-NT-P 75%85% HRTSRTF/M비 5-8hr10-20days0.2-0.8
산화구법(Oxidation Ditch) 호기성 부유성장처리공법 T-N 30-80% HRTSRTF/M비 24-36hr15-50days0.03-0.05
Dual Sludge Process(분리단계질소.인 처리법) 호기성 부유성장처리공법(Methanol 주입) T-NT-P 90-95%90-95% HRTSRT 6-17hr9-25days
종래에 폐수내에 질소 및 인을 동시에 제거하는 가장 통상적인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2/O공법으로 반응조는 혐기성조(Anaerobic Tank), 무산소조(Anoxic Tank), 호기성조(Aerobic Tank)로 구성되며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내부반송(Nitrifier Recycle)과 침전지 반송으로 되어 있으며, 혐기성조에서는 혐기조건에서 인을 방출시켜 호기성조에서 미생물이 과잉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며, 무산소조는 호기성조의 내부반송수의 질산성 질소(Nitrate)를 탈질시키는 방법으로 영양염류 및 유기물을 제거하였다.
이러한 영양물질 제거를 위한 종래의 고도처리공법에 따른 유기물(BOD: Biological Oxygen Demand) 제거률은 90%이상, 부유물질(SS: Suspended Solid)제거률은 90%이상, 영양염류인 총질소(T-N)는 40∼70%, 총 인(T-P)은 60%로써 초기건설비용이 많이들고 유지관리가 어려워 가동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것에 비해 처리효율이 낮고, 특히 난분해성 폐수인 축산폐수에 대해서는 그 처리효율이 극히 낮았으며, 경제적이지 못하므로 실질적으로 그 이용가치가 거의 없었다.
이렇게 불완전하게 처리된 영양염류(T-N, T-P)가 주위의 하천이나 강으로 점진적으로 방류되어 유입되면 적조와 부영양화 현상으로 인하여 생태계(Ecosystem)는 파괴될 것이며, 인류 또한 위협할 것이다. 또한, 악취의 대량발생으로 인한 불쾌감을 느끼게 하며 식욕감퇴나 알레르기의 질병을 유발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영양염류(질소, 인)의 제거를 위한 고도처리에 이용함은 물론 수입대체기술으로서의 국제수지를 개선하는 한편, 2차 환경오염 방지를 통한 자연생태계의 보전과 고비용 저효율의 종래의 고도처리공법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고도처리를 연구한 결과, 저비용의 산화제와 고효율의 고도처리공정를개발하였고,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처리방법으로는 완전처리가 불가능 하거나 초기 건설비용이 많이 들었던 영양염류제거를 위한 고도처리방법을 개선하며, 특히 축산폐수(T-N, T-P, Odor)를 완전무결하게 제거, 처리함으로써 자연 생태계의 보전은 물론 처리수의 재사용이 가능케 하여 가동비용의 절감효과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폐수내의 질소 및 인 제거용 화학적 처리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처리제를 이용하여 폐수내의 질소 및 인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학적 처리제는 KMnO42∼6중량%, Ca(OH)20.01∼0.06중량%, FeSO410∼50중량% 및 나머지는 물로 구성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수의 처리방법은 집수된 폐수를 무산소 조건에서 KMnO42∼6중량%, Ca(OH)20.01∼0.06중량%, FeSO410∼50중량% 및 나머지는 물을 포함하는 화학적 처리제 100∼5,000mg/ℓ로 1.5∼3시간동안 교반,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처리)된 폐수에 응집제 및 응집보조제를 첨가하여 고·액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액분리된 처리수를 호기성 부유성장법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에 폐수내에 질소 및 인을 동시에 제거하는 A2/O 공법의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폐수내에 질소와 인을 동시에 제거하는 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약품주입구 2: 폐수 배출구
3: 약품주입 펌프 4: 교반기
이하 본 발명의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폐수처리 공정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를 집수처리한 저류조 다음공정에 무산소조(Anoxic Tank)를 연결하고, 응집·침전으로 1차 처리한 다음, 호기성 부유성장조와 2차 침전조 및 방류조를 순차적으로 거쳐 최종 처리시킨다.
한편, 상기 무산소조에는 혼합제조된 화학적 처리제(이하 "산화제"로도 표기함)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약품탱크를 설치하여, 정량주입펌프(3)에 의해 약품탱크의 산화제가 무산소조내로 유입되어 폐수와 혼합되어 완전반응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무산소조에 유입되는 폐수와 혼합되는 산화제의 반응을 촉진시키도록 교반장치 (4)가 부착(설치)되어 있으며, 산화제로는 본 발명의 산화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교반장치(4)는 폐수와 산화제의 반응을 충분히 촉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기계적 교반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무산소조내에서의 반응처리 시간은 1∼4시간, 바람직하게는 1.5∼3시간 처리하는 것이 처리효율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응집조에 투여되는 응집제 및 보조제로는 황산반토([Al2(SO4)317H2O]와 고분자 응집제(Polymer: 음이온(Anion)계)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산화제는 KMnO42∼6중량%, Ca(OH)20.01∼0.06중량%, FeSO410∼50중량% 및 나머지로 구성된다. 상기 KMnO4의 사용량이 2중량% 미만이면 산화력이 저하되고, 6중량%를 초과하면 용해가 어려워 수용화가 어렵다. 또한, Ca(OH)2의 사용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pH 조절 및 플럭형성이 저하되고, 0.06중량%를 초과하면 잔유물이 형성되어 정량주입이 어려우며, FeSO4의 사용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영양물질 제어능력이 저하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일부 가스가 발생되어 2차 오염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산화제가 대부분의 영양염류 (T-N, T-P)를 처리할 수 있어 바람직하나, 폐수의 성상에 따라 필요한 성분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도 벗어날 수 있다.
한편, 상기 산화제의 폐수에 대한 투입농도는 100∼5,000mg/ℓ, 바람직하게는 2,000∼3,500mg/ℓ으로 통상의 폐수를 처리하기에 바람직한 범위이나, 폐수의 COD(Chemical Oxygen Demand) 및 총 질소(T-N), 총 인(T-P)의 농도에 따라 상기 범위를 벗어 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산화제의 폐수에 대한 투입농도가 100mg/ℓ 미만이면 미반응으로 영양염류의 제어가 어렵고, 5,000mg/ℓ를 초과하면 잔류 산화제에 의한 2차 오염물질이 형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무산소조에서 폐수와 산화제를 반응시킨 다음, 응집조에서 첨가되는 응집제 및 응집보조제는 시판되는 어떠한 제품이라도 사용 가능하지만, 바람직 하게는 삼양화학(주)의 황산반토와 이양화학의 음이온(Anion)계 고분자 응집제 (Polymer)를 사용하며, 폐수에 대하여 100∼400mg/ℓ, 1∼10mg/ℓ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비용 및 효율면에서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상기 산화제의 농도는 폐수의 종류에 따라 변동될 수 있지만,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예들로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산소조는 개방된 구조물로서 인측면에 약품주입구(1) 및 상대측면에 폐수 배출구(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조물의 내부 중앙에 교반기(4)가 설치되어 있으며, 주입부(1) 상단에 악품주입 탱크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다시말하면, 상기 무산소조의 내부에는 한 개 또는 다수개의 교반기(4)를 가지며, 약품주입장치가 그 외부에 설치된다. 산화제와 폐수의 완전반응을 위한 교반속도는 90∼180rpm으로 유지시킨다. 상기 교반속도가 90rpm 미만이면 퇴적부분이 형성되어 혐기성 상태가 될 수 있고, 180rpm를 초과하면 기포발생으로 인한 호기상태로 전환되어 제거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무산소조내에서는 완전 산화반응으로 인하여 악취(Odor)가 완전 제거됨으로 2차 대기오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정중 무산소조에서의 교반장치를 송풍기(Root's Blower)를 통한 산기장치(Air Diffuser) 방법으로 이용하거나 반응시간을 1.5∼3시간을 주지 않으면 완전한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며, 악취의 발생과 총 질소(T-N)와 총 인(T-P)의 제거 효율이 70%이하로 떨어지므로 이용가치는 현격히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수가 집수되어 저류조에 유입되면 레벨스위치(Level Switch)의 감지에 의해 중앙제어실 (M.C.C: Main Control Center, 도시되지 않음)내의 작동으로 자동펌핑(pumping)되면서, 모든 공정의 기계가 작동하면서 저류조의 폐수가 무산소조로 유입되기 시작하고, 이와 동시에 약품탱크에 연결된 주입펌프(3)가 작동하여 약품탱크내의 산화제가 이송, 공급되어 폐수와 혼합된 상태로 무산소조로 유입된후, 내부의 교반기(4)에 의해 교반되며 충분히 반응이 일어난 다음, 응집처리 후, 침전지로 이송된 후, 처리수와 슬러지로 고·액 분리한 다음, 통상의 호기성 부유탱크 및 최종 침전지를 거쳐서 완전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침전조 하부로 침전된 슬러지는 유기질 비료로 이용되거나 통상의 슬러지 처리법으로 처리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 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사용폐수(축산폐수)
경기도 용인시 근교에 위치한 축산폐수를 대상으로 종래의 방법 및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상기 폐수는 분과 뇨가 혼합된 폐수로서 세척시 발생하며 일일 발생량은 300㎥/day 이다.
이 경우 원폐수의 평균 농도의 실험분석 결과 아래와 같았다.
pH: 7∼8
BOD(Biological Oxygen Demand): 약 30,000 mg/ℓ
COD(Chemical Oxygen Demand): 약 20,000 mg/ℓ
T - N(Total Nitrogen): 약 72 mg/ℓ
T - P(Total Phospate): 약 20 mg/ℓ
비교예 1
상기 폐수는 질소와 인을 처리하기 위한 공법으로 도 1에서와 같이 폐수를 집수조로 유입시킨 다음, 1차 침전조에서 고·액 분리시킨 후, 반응조는 혐기성조 (Anaerobic Tank), 무산소조(Anoxic Tank), 호기성조(Aerobic Tank)로 구성되며(질산성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내부반송(Nitrifier Recycle)과 침전지 슬러지 반송으로 구성되어 있음), 2차 침전조를 거쳐 최종 처리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1) 반송슬러지내 질산성 질소(Nitrate)로 인하여 혐기성 조건에서 인방출이 억제됨으로써 인제거 효율이 낮음.
2) BOD/T-N비가 12이상 요구됨으로 유입수중의 BOD/T-N비가 낮은 국내 축산폐수처 리에 부적절하며, 처리시에는 외부 탄소원(Carbon Source)를 주입하여야 함 .
3) 수온이 저하하는 겨울철에는 질소·인 제거효율이 다소 저하됨.
등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상기 폐수를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공정을 거쳐 고·액 분리한 처리결과는 하기 표 3과 같았다. 이때, 반응탱크내에 유입되는 폐수와 혼합되는 산화제는 물 1ℓ에 5중량%의 KMnO4, 0.05중량%의 Ca(OH)2및 30중량%의 FeSO4를 하기 표 3과 같이 투입농도를 달리하면서 혼합하였고, 응집조에서 응집제와 응집보조제로는 삼양화학 (주)의 황산반토와 이양화학(주)의 음이온계 고분자 응집제를 각각 200mg/ℓ및 5mg/ℓ로 첨가하였다. 한편, 각 반응조의 온도는 상온에서 실시하였으며, 처리 반응시간은 반응조내에서는 약 2시간 기타 응집조에서는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30분을 반응시켰다.
약품투입농도에 따른 영양물질 제거 효율
구분 투입농도(mg/l) COD T - N T - P 비고
원수(mg/l) 처리수(mg/l) 제거율(%) 원수(mg/l) 처리수(mg/l) 제거율(%) 원수(mg/l) 처리수(mg/l) 제거율(%)
산화제 500 20,000 10,000 50.0 72.11 32.45 55.0 16.85 2.35 86.1
1,000 20,000 15,000 92.5 72.11 15.23 78.8 16.85 0.52 96.9
2,000 20,000 13,000 93.5 72.11 9.71 86.5 16.85 0.34 98.0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사용된 폐수의 경우는 투입농도가 약 1000mg/ℓ 및 약 2,000 mg/ℓ인 경우가 질소 및 인의 제거율면에서 바람직하였다. 그러나, 대상폐수에 따라 투입농도는 변화될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투입농도를 약 2,000mg/ℓ으로 고정하고, 반응시간을 하기 표 4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고, 그 처리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반응시간에 따른 영양물질 제거 효율
구분 반응시간(hr) COD T - N T - P 비고
원수(mg/l) 처리수(mg/l) 제거율(mg/l) 원수(mg/l) 처리수(mg/l) 제거율(mg/l) 원수(mg/l) 처리수(mg/l) 제거율(mg/l)
산화제2,000(mg/l) 0.5 20,000 2,000 90.0 72.11 52.12 27.7 16.85 12.40 26.4
1.0 20,000 1,500 92.5 72.11 23.78 67.0 16.85 1.85 89.0
2.0 20,000 1,300 93.5 72.11 9.71 86.5 16.85 0.34 98.0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응시간은 1시간보다는 2시간인 경우가 질소 및 인의 제거율면에서 바람직하였다. 반응시간은 투입농도에 대한 제거율의 변화보다는 투입농도가 고정되었을 경우 변화의 폭이 작았다.
비교예 2
하수처리장의 원수의 질소와 인의 농도가 32.1mg/ℓ, 0.269mg/ℓ인 하수를 대상으로 무산소 조건이 아닌 호기상태에서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에 사용된 방법을 적용하여 하기 표 5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투입농도(mg/l) 시료+호기조(Aerobic Tank)
T - N T - P
원수(mg/l) 처리수(mg/l) 제거율(%) 원수(mg/l) 처리수(mg/l) 제거율(%)
50 32.1 16.13 47.97 0.269 0.213 19.01
100 32.1 17.76 42.73 0.269 0.217 17.49
200 32.1 16.78 45.89 0.269 0.224 14.83
400 32.1 17.63 43.81 0.269 0.151 42.59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산화제를 무산소 조건이 아닌 호기상태에서 적용한 경우는 무산소 조건보다 질소 및 인의 제거율이 급격히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질소 및 인 제거용 화학적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 폐수의 처리방법은 수요처에 적용시 종래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효능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① 질소 및 인의 처리(제거)성능이 우수하고 안정성이 있으며, ② 기존의 설치된 관련시설과의 부합, 일체성이 있고, ③ 유입수량과 수질의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④ 건설비 및 유지관리비가 저렴하고, ⑤ 국내에서 개발되어 국내 처리장에 적합한 공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KMnO42∼6중량%, Ca(OH)20.01∼0.06중량%, FeSO410∼50중량% 및 나머지는 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용 화학적 처리제.
  2. 집수된 폐수를 무산소 조건에서 KMnO42∼6중량%, Ca(OH)20.01∼0.06중량%, FeSO410∼50중량% 및 나머지는 물로 구성된 화학적 처리제 100∼5,000mg/ℓ로 1.5∼3시간동안 교반,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처리)된 폐수에 응집제 및 응집보조제를 첨가하여 고·액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액분리된 처리수를 호기성 부유성장법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용 화학적 처리제를 이용한 폐수의 처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산소 조건에서의 교반속도가 90∼180rpm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용 화학적 처리제를 이용한 폐수의 처리방법.
KR10-2000-0042827A 2000-07-25 2000-07-25 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용 화학적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폐수의 처리방법 KR100373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827A KR100373136B1 (ko) 2000-07-25 2000-07-25 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용 화학적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폐수의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827A KR100373136B1 (ko) 2000-07-25 2000-07-25 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용 화학적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폐수의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595A KR20000063595A (ko) 2000-11-06
KR100373136B1 true KR100373136B1 (ko) 2003-02-25

Family

ID=1967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827A KR100373136B1 (ko) 2000-07-25 2000-07-25 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용 화학적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폐수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1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140B1 (ko) 2010-10-22 2013-05-29 고재석 인 제거제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3511A (en) * 1978-08-16 1981-12-01 Kraftwerk Union Aktiengesellschaft Method of purifying tenside and detergent contaminated waste waters
KR960001394A (ko) * 1994-06-15 1996-01-25 고성종 비밀번호에 의한 버스요금함 개폐보호장치
KR960014003A (ko) * 1994-10-01 1996-05-22 곽용규 시멘트를 폐수 정화제로 사용하는 방법 및 시멘트를 이용한 폐수 정화제의 제조방법
KR970042311A (ko) * 1995-12-07 1997-07-24 오재곤 강한 산화제인 PI(Potassium lodate)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폐수처리제
KR20000035098A (ko) * 1998-10-30 2000-06-26 노라스 아울리 불순 황산 제2철 용액으로부터 유용한 생성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3511A (en) * 1978-08-16 1981-12-01 Kraftwerk Union Aktiengesellschaft Method of purifying tenside and detergent contaminated waste waters
KR960001394A (ko) * 1994-06-15 1996-01-25 고성종 비밀번호에 의한 버스요금함 개폐보호장치
KR960014003A (ko) * 1994-10-01 1996-05-22 곽용규 시멘트를 폐수 정화제로 사용하는 방법 및 시멘트를 이용한 폐수 정화제의 제조방법
KR970042311A (ko) * 1995-12-07 1997-07-24 오재곤 강한 산화제인 PI(Potassium lodate)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폐수처리제
KR20000035098A (ko) * 1998-10-30 2000-06-26 노라스 아울리 불순 황산 제2철 용액으로부터 유용한 생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140B1 (ko) 2010-10-22 2013-05-29 고재석 인 제거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595A (ko) 200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47836B1 (en) Anaerobic ammonia oxidation-based sewage treatment process using mbr
KR101665636B1 (ko) 폐수 전처리방법 및 그 전처리방법을 이용한 오염수처리방법
AU731280B2 (en) Process, using ammonia rich water for the selection and enrichment of nitrifying micro-organisms for nitrification of wastewater
CN106116031A (zh) 一种屠宰废水的高效处理工艺
CN103068748A (zh) 接触-稳定/初期-浮选混合
Zhao et al. Advanced primary treatment of waste water using a bio‐flocculation‐adsorption sedimentation process
CN109205954A (zh) 微电解催化氧化、生化处理高浓度废水工艺
CN105198160A (zh) 一种利用复合菌剂处理生活污水的方法
CN111268872A (zh) 一种农药废水处理工艺及其处理装置
KR100422211B1 (ko)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생물학적 질소 인 제거장치 및 방법
CN112591951A (zh) 一种市政污水的催化电解净化系统及净化方法
WO2020133553A1 (zh) 一种强化sbr工艺池处理煤化工高氨氮废水的方法
CN114291942A (zh) 一种催化电解市政污水净化系统及净化方法
KR20070018192A (ko) 연속 배치식 액상부식법에 의한 고농도 유기오수의처리방법
KR100814743B1 (ko) 소규모 하·폐수처리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KR100705541B1 (ko) 하·폐수에서 영양염류를 제거하기 위한 하·폐수처리방법 및장치
CN110015808A (zh) 一种异丁烯氧化法生产甲基丙烯酸甲酯生产废水处理方法
CN212222737U (zh) 一种农药废水处理装置
KR101269877B1 (ko) Snd를 적용한 mbr 반응조에서 격벽에 의한 하수고도처리 시스템
KR100373136B1 (ko) 폐수의 질소 및 인 제거용 화학적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폐수의 처리방법
JPH08318292A (ja) 廃水処理方法および廃水処理装置
KR960011888B1 (ko) 질소, 인제거 겸용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0329069B1 (ko) 연속식회분반응조를 이용한 오/폐수내 유기물 및 질소화합물 제거방법
KR100325722B1 (ko) 오존과 고농도 산소를 이용한 오폐수의 처리방법
KR102607197B1 (ko) 상향류 복합 생물 반응조를 이용한 고농도의 매립장 침출수, 축산폐수, 분뇨,음폐수,산업폐수및저농도의 하폐수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