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743B1 - 소규모 하·폐수처리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소규모 하·폐수처리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743B1
KR100814743B1 KR20070013163A KR20070013163A KR100814743B1 KR 100814743 B1 KR100814743 B1 KR 100814743B1 KR 20070013163 A KR20070013163 A KR 20070013163A KR 20070013163 A KR20070013163 A KR 20070013163A KR 100814743 B1 KR100814743 B1 KR 100814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erobic
sewage
raw water
wastewater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13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항배
박상민
박노백
이준상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070013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유량 및 수질의 변화가 심한 소규모 하수처리장에 적합하게 운전이 간단하고, 고형물 발생량이 적은 하수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수를 침사지에서 유입하여 그릿(Grit)을 제거한 후, pre-anoxic filter에서는 혐기성 반응기에서 SS가 제거된 상등수와 질화균에 의해 Aerobic filter에서 질산화 된 처리수를 혼합하여 유기물 제거 및 탈질반응을 일으킨다. 상기 pre-anoxic filter에서는 여과, 흡착, 탈질반응 등에 의해 원수 내 유기물의 90%이상이 제거되어 Aerobic filter에서는 종속영양생물(heterotrophic bacteria)과 독립영양생물(autotrophic bacteria)와의 경쟁이 없이 독립영양생물인 질화균에 의해 질산화 반응을 안정적으로 수행 할 수 있다. 상기 혐기성 반응기의 하부에 축적된 슬러지 중 일부 VS(Volatile Solid) 성분은 소화(digestion)작용에 의해 산화 및 메탄화되어 탈질에 필요한 탄소원으로 사용된다. 소화작용으로 인해 제거된 슬러지내 VS 만큼 슬러지가 감소되어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고형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post-anoxic filter 에서는 외부탄소원을 주입하여 추가 탈질반응으로 인한 질소제거 및 filter 내 생물막 형성으로 SS 및 탁도를 제거 할 수 있다. 또한 유입되는 하수 원수에 Jar-test를 통하여 도출된 최적 응집제를 주입하여 하수내에 존재하는 총인의 양을 감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규모 하·폐수처리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Removal of Nitrogen and Phosphate using Small sewage treatment system with an anaerobic, anoxic, aerobic combined biofilters}
도 1 은 하·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화한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원수조 101 : 응집제주입장치
102 : 교반기 200 : 혐기성생물여과조
201 : 혐기성생물반응조 202 : 무산소성 필터조
203 : 교반기 204 : 슬러지 배출 포트
300 : 호기성 생물여과조 301 : 슬러지 배출 포트
302 : 확산기 303 : 호기성 필터
304 : 송풍기 305 : 최종수 유출관
401 : 원수유입구 402 : 반송관
403 : 이송관
본 발명은 유입유량 및 수질의 변화가 심한 소규모 하수처리장의 하·폐수로부터 유기물과 질소, 인 및 고형물 발생량을 감소시키는데 적합한 하·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하·폐수 중에 존재하는 유기물질 뿐만 아니라 질소 및 인 제거와 동시에 하·폐수 처리시 발생되는 고형물의 양을 감소시키는데 적합한 하·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폐수 처리장치 및 그 장치에 따라 처리되는 하·폐수는 도시하수, 가축 폐수, 농업폐수 및 산업폐수 등을 포함한다. 상기 하·폐수에는 BOD(Biological Oxygen Demand) 성분이라고도 불리는 유기물질 뿐만 아니라 질소 및 인을 포함하는 영양염류 성분이 존재한다.
여기서 영양염류란 유기물 분해를 일으키는 미생물의 생육과 증식에 필요한 무기성 원소로서, 이들 중 특히 질소 화합물과 인산염은 생물 세포형성과 에너지 대사를 위하여 연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는 원소이다. 그러나 이러한 질소나 인등의 영양염류가 증가하면 생태계의 균형이 파괴되면서 부영양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부영양화 발생의 원인이 되는 질소 발생원으로는 생활하수와 공장폐수 및 농업폐수를 들 수 있다. 생활하수에는 유기 질소 화합물로서 단백질, 펩타이드, 아미노산 및 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무기 질소 화합물로서 암모늄이온과 소량의 암모니아가 포함되어있다. 폐수에 포함되는 질산염 형태의 산화질소는 공업폐수 혹은 농업폐수로부터 발생된 것이다. 비료에 사용되어진 질산염과 암모늄 화합 물은 대부분 수용성인데 음이온인 질산이온은 토양의 이온교환 자리에 약하게 결합되어 있다가 물에 씻겨져 냇물 또는 호수로 유입된다.
유기질소 화합물 형태 혹은 질소는 물속에서 미생물의 작용을 아질산염 혹은 질산염으로 산화되면서 물 속의 산소를 소모시킨다. 아질산염 혹은 암모니아는 어류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인산염 비료의 사용량은 질소질 비료의 절반정도에 지나지 않으며 또한 인산염은 불용성이므로 농업폐수에 포함되는 인의 함량은 매우 적다. 오히려 인의 주요 발생원은 합성세제로서 수중생태계로 흘러드는 인의 30~40%가 이에 속한다. 인산염은 합성 세제의 충진제(builder)로 사용되어 계면활성제와 더불어 세척작용에 상승효과를 일으키는 것으로 합성세제의 큰부분을 차지한다. 합성세제의 사용량이 날로 늘어감에 따라 인산염이 하수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질소나 인이 저수지 등의 수역에 축적되면 부영양화(Eutropication)가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한다. 부영양화는 질소나 인 성분이 저수지 등의 수역으로 유입되어 질 때 이들 질소나 인을 먹이로 하는 조류(algae)등의 미생물이 과잉 번식되면서 일어나기 시작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부영양화를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하·폐수 내의 영양염류 성분이 호소나 하천 등의 수역으로 유입되기 전에 제거되어져야한다.
또한, 하·폐수 처리시 발생되는 고형물의 발생원으로는 호기, 무산소, 혐기성 반응에서 발생되는 세포합성과 매우 미량이기는 하지만 질산화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질화균등이 있고, 이러한 슬러지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는 혐기성 소화, 프 레데터(predator)에 의한 슬러지 섭취, 호기성 산화와 같은 경제적이고도 2차 오염이 적은 생물학적인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하·폐수 처리방법은 유기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고안되어진 것으로 동시에 질소 성분과 발생되는 슬러지를 제거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특히, 유량 및 수질 변동이 심한 소규모 하·폐수처리에 적용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처리방법에 의할 경우 도시하수의 질소 제거율이 10~40%에 불과하며, 슬러지 제거와 2차오염이 적은 생물학적 처리보다는 처리비용이 큰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하·폐수 처리 장치에서는 원수가 침사지를 거쳐 1차침전지를 지나면서 침전성이 양호한 부유성 물질(SS: Suspended Solids)이 1차 슬러지(Primary sludge)로 침전 제거된다. 이 1차 슬러지는 슬러지 처리시설로 이송되어 처리된다. 침전되지 않은 용존성 유기물질은 폭기조에서 미생물이 의하여 2차 슬러지로 합성되어 제거된다. 이 2차 슬러지는 약 90% 정도의 유기물을 함유하는데, 이 2차 슬러지를 통상 활성 슬러지라 한다. 이 활성슬러지는 혼합액 휘발성 부유고형물(MLVSS: Mixed Liquid Suspended solids)이라 불리기도 한다. 상기 활성 슬러지는 2차 침전지에서 고액 분리되면서 상등수는 유출되고 침전된 2차 슬러지의 일부는 반송관을 통하여 폭기조로 반송되며 나머지 침전 슬러지는 슬러지 처리시설로 이송되어 처리된다. 상기 과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면서 하·폐수 내의 오염물질이 정화되어 진다.
상기한 종래의 하·폐수 처리장치은 용존 유기물질의 제거를 주된 목적으로 설계된 것이기 때문에 수역 부영양화의 요인이 되는 질소나 인과 같은 영양염유의 제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국내 유입하수의 BOD가 낮고 암모니아성 질소(NH4 +-N)성분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상기 문제점은 더욱 심각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고형물의 발생량을 최소화시키고, 영양염류를 제거하기 위한 하·폐수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하·폐수 처리방법을 수행하는데 특히 적합한 하·폐수 처리장치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즉, 하수 원수에 존재하는 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하수원수에 생물반응에 저해를 주지 않는 범위의 응집제인 응집제(Alum)를 주입하여 수중에 존재하는 인산염과 응집제를 반응시켜 혐기성 반응조로 유입·제거하고, 혐기성 필터(pre-anoxic filter)에서는 혐기성(anaerobic)반응기에서 SS가 제거된 상등수, 질화균에 의해 호기성 필터(Aerobic filter)에서 질산화 된 처리수를 혼합하여 유기물 제거 및 탈질반응을 일으키고, 상기 혐기성필터(pre-anoxic filter)에서는 여과, 흡착, 탈질반응 등에 의해 원수 내 유기물의 90%이상이 제거되어 호기성 필터(Aerobic filter)에서는 종속영양생물(heterotrophic bacteria)과 독립영양생물(autotrophic bacteria)과의 경쟁이 없이 독립영양생물인 질화균에 의해 질산화 반응을 안정적으로 수행 할 수 있으며, 상기 혐기성 반응기의 하부에 축적된 슬러지 중 일부 VS(Volatile Solid) 성분은 소화(digestion)작용에 의해 산화 및 메탄화되어 탈질에 필요한 탄소원으로 사용되어, 소화작용으로 인해 제거된 슬러지내 VS 만큼 슬러지가 감소되어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고형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혐기성필터(post-anoxic filter)에서는 외부탄소원을 주입하여 추가 탈질반응으로 인한 질소제거 및 필터(filter) 내 생물막 형성으로 SS 및 탁도를 제거 할 수 있는,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고형물의 발생량을 최소화시키고, 영양염류(질소, 인)를 제거하기 위한 하 · 폐수 처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하 · 폐수처리 장치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혐기-무산소-호기성 생물여과 방법을 사용하는 소규모 하 · 폐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유입원수에 응집제 종류의 하나인 응집제(Alum)를 주입하여 원수에 존재하는 인산염과 응집제의 응집반응의 유도하고, 혐기성 생물 여과 반응조로 원수를 유입시켜 SS가 제거된 상등수와, 호기성 생물 여과조로부터 질산화된 처리수를 상기 혐기성 생물여과 반응조로 유입하여 체류시켜 탈질 및 소화 반응을 시킨 후 발생되는 슬러지는 유출시키고, 미 반응수는 다시 호기성 생물 여과조로 반송시키고, 상기 호기성 생물여과조에서의 발생 슬러지와 최종처리수를 배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소규모 하 · 폐수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소규모 하·폐수 처리방법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소규모 하 · 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원수 유입구와 슬러지 배출구가 있으며, 원수유입구에는 응집제인 응집제를 정량적으로 주입할 수 있는 응집제 주입장치를 설치하고, 모터로 작동하는 교반기를 갖추고 내부에는 소화조에 필터조로 이루어지는 혐기성 생물여과 반응조와, 상기 혐기성 생물여과 반응조와 반송관들로 연결되며, 외부 송풍기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를 확산시키는 확산기를 갖추고 있으며, 슬러지 배출구와 최종수 유출구가 있고 내부에 메디아를 담고 있는 호기성 생물 여과조로 구성되는 소규모 하 · 폐수 처리 장치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혐기성 생물여과 반응조 내의 필터는 혐기성 필터이며, 상기 소화조에는 폴링형 담체가 충진 되어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먼저 처리하고자 하는 원수의 유입 반응조(100)의 응집제 주입장치(101)를 통하여 원수와 응집제를 접촉시키고, 혐기성 생물여과 반응조(200)의 원수 유입구(401)를 통해 혐기성 생물여과 반응조(200)로 유입되고, 이 때 호기성 생물여과조(300)로부터 질화균에 의해 호기성 필터(303)인 메디아에서 질산화된 처리수가 반송관(402)을 통해 동시에 혐기성 생물여과 반응조(200)로 유입된다.
이렇게 혐기성 생물여과 반응조(200)로 유입된 원수는 반응조(200)내의 소화조(201)에서 SS및 총인이 제거되고, 호기성 생물여과조(300)로부터 유입된 처리수와 혼합되어 반응조(200)내에서 혼합되어 유기물 제거 및 탈질 반응을 일으키고, 반응조(200)내의 무산소조인 필터조(202)에서의 혐기성 필터에 의해 여과, 흡착, 탈질 및 소화 반응에 의해 원수내의 유기물이 90%이상 제거되게 된다. 여기서 발생하는 슬러지는 슬러지 배출구(204)에 의해 배출되게 되고, 미반응수인 암모니아는 이송관(403)을 통해 다시 호기성 생물여과조(300)로 이송된다.
또한 반응조(100)에서의 반응을 원활히 하기 위해 모터(M)를 통해, 호기성 생물여과조(300)에서는 송풍기(304)에 의한 공기가 유입되어 확산기(302)를 통해 여과조 내로 공기를 불어 넣고, 여과조(300)에서 발생된 슬러지는 슬러지 배출포트(301)를 통해 배출하고, 최종수는 최종수 유출관(305)을 통해 배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장치에서, 혐기성 생물여과조(200)에서의 체류시간과 호기성 생물여과조(300)에서의 체류시간은 각각 12시간으로 함이 좋다.
표 2 와 같은 조건으로 본원발명을 실시해 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호기성, 혐기성 생물여과조에는 효과적인 질산화와 탈질을 유도하기 위해 지름이 각각 1.5, 1 인치인 폴링형 플라스틱 담체가 충진되어 있다. 혐기 소화반응조에는 슬러지 농도의 균일한 가스 발생으로 인한 슬러지 부상을 막기 위하여 10rpm의 교반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호기성 생물여과조에서 발생된 슬러지는 슬러지 감소와 탈질을 위한 탄소원으로 사용되기 위하여 혐기성 소화조로 반송되고, 각 반응조의 슬러지 농도는 슬러지 배출구를 설치하여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응집제를 하수 원수에 직접 주입하였으며 급속교반(120rpm, 3분)과정을 거친 후 완속교반(40rpm) 상태를 유지시킨 다음 혐기성 반응조로 유입하였으며, 응집제(Alum)의 최적 주입률은 60mg/L였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폐수 처리방법에 따라 유기물질(COD) 313mg/L, 총질소(T-N)47.7mg/L, 총인(T-P)6.8mg/L 농도인 도시하수를 유입시킨 결과, 유기물질은 20mg/L, 총질소는 17.9mg/L, 총인은 0.5mg/L로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그 제거효율은 94%, 62.5%, 92%이였다.
표 1. 본 발명을 이용한 영양염류 처리 성과
구 분 유 입 유 출 제거율
유 기 물(COD) 313mg/L 20mg/L 94%
총질소(T-N) 47.7mg/L 17.9mg/L 62.5%
총인(T-P) 6.8mg/L 0.5mg/L 92%
표 2. Operation conditions and media properties
Values
HRT Anaerobic, anoxic tank : 12hr (involved anoxic filter : 5hr)
Aerobic tank : 12hr(DO : 4∼7mg/L)
Recycle ratio 100∼300%
Parameter Anoxic filter Aerobic filter
Description Pall ring (Producted by Gu-jin chemical)
Size(inch) 1.5 1
표 3. Mixing conditions of the jar-test
Parameters Rapid mixing Slow mixing Settling time
Mixing speed (RPM) 120 40 -
Time (min) 2 3 3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물질과 인뿐만 아니라 국내 하·폐수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암모니아성 질소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운영이 간편하고 하·폐수의 성상과 기후적인 특수성에 대하여 유연성 있는 대응이 가능하며 내부순환 등에 의한 동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제한된 유기물질을 최대한 이용하여 영양염류 제거를 향상시켜 운영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혐기성 반응조에서의 탈질반응에 대한 유기물의 사용과 메디아의 부착식 미생물을 이용함으로 슬러지 발생량이 감소하게 되어 소규모 하·폐수 처리 장치으로 소요부지 절감 및 운전비용 및 동력소비를 절감 할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소규모 하·폐수처리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원수를 배출하여 혐기성 생물여과 반응조로 유입시키며, 하·폐수내에 존재하는 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원수에 60~80mg/L의 주입율로 응집제인 알럼(Alum)을 주입하는 장치를 구비한 원수 유입 반응조와 ;
    원수 유입구와 슬러지 배출구가 있으며 모터로 작동하는 교반기를 갖추고 내부에는 폴링형 담체가 충진된 소화조와, 혐기성 필터조로 이루어지는 혐기성 생물여과 반응조와 ;
    상기 혐기성 생물여과 반응조와 반송관으로 연결되며, 외부 송풍기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를 확산시키는 확산기를 갖추고 있으며, 슬러지 배출구와 최종수 유출구가 있고, 내부에 메디아를 담고 있는 호기성 생물여과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규모 하·폐수처리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070013163A 2007-02-08 2007-02-08 소규모 하·폐수처리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KR100814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3163A KR100814743B1 (ko) 2007-02-08 2007-02-08 소규모 하·폐수처리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3163A KR100814743B1 (ko) 2007-02-08 2007-02-08 소규모 하·폐수처리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4743B1 true KR100814743B1 (ko) 2008-03-19

Family

ID=3941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3163A KR100814743B1 (ko) 2007-02-08 2007-02-08 소규모 하·폐수처리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7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292B1 (ko) 2011-05-30 2012-03-27 (주) 에덴 하폐수 처리수 재이용 장치 및 방법
CN105084541A (zh) * 2015-08-19 2015-11-25 安徽科技学院 一种污水处理新工艺
CN108529838A (zh) * 2018-04-15 2018-09-14 苏州建益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消化池污泥搅拌系统
KR20190117260A (ko) 2018-04-06 2019-10-16 (주)패스미 소형 폐수 처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818A (ko) * 1999-12-29 2000-03-06 안석훈 오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방법
KR20040044702A (ko) * 2002-11-21 2004-05-31 황규대 질산화조가 분리된 변형 연속회분식 하폐수 처리장치 및그 방법
KR20050083097A (ko) * 2004-02-21 2005-08-25 (주) 태흥테크놀리지 혐기-무산소-호기성 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소규모하·폐수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818A (ko) * 1999-12-29 2000-03-06 안석훈 오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방법
KR20040044702A (ko) * 2002-11-21 2004-05-31 황규대 질산화조가 분리된 변형 연속회분식 하폐수 처리장치 및그 방법
KR20050083097A (ko) * 2004-02-21 2005-08-25 (주) 태흥테크놀리지 혐기-무산소-호기성 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소규모하·폐수 처리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292B1 (ko) 2011-05-30 2012-03-27 (주) 에덴 하폐수 처리수 재이용 장치 및 방법
CN105084541A (zh) * 2015-08-19 2015-11-25 安徽科技学院 一种污水处理新工艺
KR20190117260A (ko) 2018-04-06 2019-10-16 (주)패스미 소형 폐수 처리 장치
CN108529838A (zh) * 2018-04-15 2018-09-14 苏州建益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消化池污泥搅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485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wastewater
CN100494102C (zh) 污水除磷脱氮生物处理方法
CN106565017B (zh) 一种双循环的脱氮除磷废水处理系统及其方法
CN1229403A (zh) 多阶段双循环周期的污水处理工艺
KR101010053B1 (ko) 하수 처리 장치
KR101161801B1 (ko) 오염물질 부하변동이 큰 오/폐수의 고도처리 시스템 및고도처리방법
KR19990040951A (ko) 고농도 유기물 및 암모니아성 질소가 포함된 침출수의 처리장치
KR100814743B1 (ko) 소규모 하·폐수처리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RU2672419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биопленочной нитрификации-контактной денитрификации
CN102259981B (zh) 一种序批式生物除磷脱氮工艺
CN113443714A (zh) 污水深度脱氮处理装置和方法
KR100479649B1 (ko) 축산 폐수 처리공정 및 장치
CN107973406A (zh) 一种实现污水中有机物和氨氮分离的装置和方法
CN111153551A (zh) 一种市政污水处理装置及处理工艺
KR20140132258A (ko) 생물학적 하수고도처리공법
US20130098815A1 (en) Sewage treatment apparatus
KR100435107B1 (ko) 오.폐수 및 하수의 질소, 인 제거를 위한 고도 처리장치 및 고도처리방법
KR100258637B1 (ko) 오·폐수처리방법
CN1309096A (zh) 处理高浓度废水的方法和装置
CN210945245U (zh) 一种洗羊毛废水处理设备
KR100438323B1 (ko) 생물학적 고도처리에 의한 하수, 폐수 처리방법
KR20120008209A (ko) Snd를 적용한 mbr 반응조에서 격벽에 의한 하수고도처리 시스템
KR0129831B1 (ko) 탈인, 탈질을 위한 하수처리공정
KR960011888B1 (ko) 질소, 인제거 겸용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20050083097A (ko) 혐기-무산소-호기성 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소규모하·폐수 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