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947B1 - Cctv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문자 자동변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Cctv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문자 자동변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947B1
KR100372947B1 KR10-2001-0002496A KR20010002496A KR100372947B1 KR 100372947 B1 KR100372947 B1 KR 100372947B1 KR 20010002496 A KR20010002496 A KR 20010002496A KR 100372947 B1 KR100372947 B1 KR 100372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ignal
user
charact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1419A (ko
Inventor
장주식
Original Assignee
(주)코스모씨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스모씨앤티 filed Critical (주)코스모씨앤티
Priority to KR10-2001-0002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947B1/ko
Publication of KR20020061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9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CTV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문자 정보를 표시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변화할 때마다 그 변화하는 영상과 문자정보가 일치하도록 문자 정보를 자동으로 변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장소에 설치된 감시용 회전 카메라가 자동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해 감시하는 방향이 변화하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정보가 변화할 경우에 사용자가 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장치에 삽입시킨 감시 지역의 지명, 도로, 방향 등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가 그 변화한 영상에 일치하도록 문자정보를 자동으로 변환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별다른 기기의 조작없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문자정보만으로 감시 지역의 상황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하며,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문자정보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어느 위치라도 표시 될 수 있도록 하고, 문자정보의 서체나 크기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CCTV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문자 자동변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CCTV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문자 자동변환 장치 및 방법 {Displayed character automatic - change equipment and method of CCTV system}
본 발명은 CCTV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문자 정보를 표시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변화할 때마다 그 변화하는 영상과 문자정보가 일치하도록 문자 정보를 자동으로 변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장소에 설치된 감시용 회전 카메라가 자동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해 감시하는 방향이 변화하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정보가 변화할 경우에 사용자가 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장치에 삽입시킨 감시 지역의 지명, 도로, 방향 등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가 그 변화한 영상에 일치하도록 문자정보를 자동으로 변환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별다른 기기의 조작없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문자정보만으로 감시 지역의 상황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하며,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문자정보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어느 위치라도 표시 될 수 있도록 하고, 문자정보의 서체나 크기를 사용자와 취향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CCTV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문자 자동변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시스템이란 카메라에서 촬영된 화상정보를 불특정 다수의 수신자가 아닌 특정 소수의 수신자를 대상으로 화상정보를 전송하고, 그 전송된 화상정보를 통해서 특정 소수의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용도에 따라 감시하고자 하는 지역을 관찰할 수 있도록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텔레비전 방식을 말하는 것으로, 화상의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수신대상자 이외의 사용자는 임의로 수신할 수 없도록 되어 있어 폐쇄회로 텔레비전으로도 불리우고 있으며, 원거리의 관찰, 보이지 않는 영역의 관찰, 사람의 근접이 불가능한 환경하의 관찰, 다수인에 의한 동시 관찰, 또는 특정지역을 집중 감시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보안 감시용 및 산업용, 차량의 화상감시용, 교통관리용 등의 다양하고 광범위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용도로 사용되는 CCTV 시스템은 사용 목적과 규모에 따라 조금씩 구성요소가 달라지지만, 기본적으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장치와, 이 전기 신호를 원격지에 전송하는 전송장치와, 전송되어 온 영상 신호를 재생하며 화상으로 표시하는 수상장치의 3부분으로 대별되며, 비교적 규모가 작은 시스템에서도 3부분의 구성요소 중에서 어느 한 부분이라도 빠지면 시스템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CCTV 시스템의 규모가 커질 경우에는 상기 3부분으로 구성되는 각 장치외에도 여러 부속장치가 설치되므로 각 장치를 통합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별도로 구성하여야 하며 각 장치 내부, 혹은 각 장치의 상호간에서 영상의 해석과 가공 및 처리를 위한 화상 처리장치 등의 부대 장비가 결합되어 대규모의 CCTV 시스템이 구성되게 된다.
상기 촬상장치는 감시용 카메라를 주체로 하는 것으로서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할 카메라, 렌즈 및 필터의 종류 등이 결정되고 카메라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 카메라 하우징 등이 필요하게 되며, 그 위에 카메라 본체, 렌즈, 카메라와 피사체의 상호 위치관계를 원격제어하는데 필요한 주변 기기를 카메라에 부속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 전송장치는 화상을 이용할 목표 지점까지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목적이며 유선 전송과 무선 전송으로 크게 나누어지는데, 통상의 CCTV 시스템에서는 한정된 목적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유선에 의한 것이 많으며, 그 영상신호의 전송 방식은 주로 근거리에서 사용되는 영상 신호를 그대로 전송하는 베이스 밴드(base band) 전송방식과, 반송파를 변조하여 전송하는 반송파 전송방식, 또는 펄스를 부호화하고 변조하여 전송하는 펄스 부호 변조(PCM: Pulse Code Modulation) 전송방식 및 광섬유와 레이저를 이용한 광통신 방식 등이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 목적과 경제적 여건에 따라서 가장 적당한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수상장치는 전송 되어온 영상 신호를 수신 재생하는 것이 목적이며, CCTV 시스템의 규모와 사용목적에 따라서 감시용 카메라와 수신되는 영상신호 및 기타 부속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와 화상의 가공 및 기록, 재생, 하드카피(hard copy)화 등의 정보 처리를 위한 화상처리장치를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CCTV 시스템은 감시용 카메라를 일측으로 고정시키고 소정의 장소에 설치한 후 감시용 카메라의 구동없이 일측 방향을 집중감시하기 위한 고정형과, 소정의 장소에 설치한 카메라를 자동 또는 수동 조작하여 여러 방향을 감시하기 위한 회전형으로 구분된다.
상기 고정형 및 회전형 CCTV 시스템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각각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간의 결합관계와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고정형 CCTV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로서, 소정의 장소에 일측의 방향으로 고정시켜 설치되는 감시용 카메라(1)와, 그 감시용 카메라(1)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원격지에 설치된 수신측에 전송하기 위한 영상신호 송신기(5)와, 그 영상신호 송신기(5)에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영상신호 수신기(10)와, 그 영상신호 수신기(10)에서 수신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니터(15)로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고정형 CCTV 시스템의 동작은, 소정의 장소에 일측의 방향을 주시하도록 설치된 감시용 카메라(1)에서 촬영된 영상을 원격지에 전송하기 위하여 적당한 신호로 변환하고, 그 변환시킨 신호를 증폭 후에 영상신호 송신기(5)를 통하여 원격지의 영상신호 수신기(10)로 전송하게 된다.
영상신호 수신기(10)에서 상기 영상신호 송신기(5)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영상 신호로 재변환하여 모니터(15)에 출력함으로서 원격지에서 현장의 상황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형 CCTV 시스템은 감시하고자 하는 동일 지역에서 여러 방향을 감시하고자 할 경우 감시하고자 하는 모든 방향에 감시용 카메라를 설치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사용자의 시간적 부담과 경제적인 부담이 따랐다.
또한, 감시 지역이나 감시 방향에 따라서 여러 대의 고정형 감시용 카메라를 설치하여 운용할 경우 각각 일정한 방향을 감시하고 있는 감시용 카메라에서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하게 되므로 감시지역의 현장 상황에 익숙하지 않거나 기기 조작에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가 여러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정보만으로 각각의 감시 지역의 상황을 판독해 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형 CCTV 시스템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2는 종래 회전형 CCTV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소정의 장소에 설치한 감시용 카메라(21)와, 감시용 카메라(21)를 상하좌우로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기 (PAN / TILT)(22)와, 원격지에서 전송되는 카메라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카메라의 감시 방향을 변환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신호 수신기(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촬상장치(20)와, 그 촬상장치(20)의 감시용 카메라(21)에서 촬영되는 영상신호를 원격지에 설치된 수신측에 전송하기 위한 영상신호 송신기(25)와, 그 영상신호 송신기(25)에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영상신호 수신기(30)와, 원격지에 설치된 감시용 카메라(21)의 감시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수단인 카메라 제어신호 송신기(41)와 수신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니터(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상장치(40)로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회전형 CCTV 시스템의 동작은, 사용자가 소정의 장소에 설치된 감시용 카메라(21)의 감시 방향을 변환하고자 할 경우에 제어신호 송신기(41)를 통하여 제어신호를 송출하면, 원격지의 감시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신호 수신기(23)가 이 신호를 감지하고 회전기(22)를 구동시켜서 감시용 카메라(21)의 감시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어서, 감시용 카메라(21)는 현장의 상황을 촬영하게 되고, 감시용카메라(21)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는 영상신호 송신기(25)에서 일정한 신호처리 과정을 거쳐 전기신호로 변환된 후, 영상신호 수신기(30)로 전송되고, 영상신호 수신기(30)에서는 상기 송신측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전기신호를 본래의 영상신호로 복원하여 모니터(45)에 감시지역의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형 CCTV 시스템은 동일 지역에서 여러 방향을 감시할 경우에 한 대의 카메라를 여러 방향으로 회전시켜 감시할 수 있으므로, 고정형 CCTV 시스템에 비해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는 있으나, 회전형 CCTV 시스템 또한 고정형 CCTV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에 카메라의 회전에 따라 변화되어 출력되는 영상정보만으로는 감시지역의 상황을 용이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 회전형 CCTV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수신측에 문자 발생장치를 설치한 후, 각 사용자가 현장의 상황을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감시지역의 출력 영상에 대해 부가적 설명을 할 수 있는 문자정보를 영상정보와 함께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서, 감시지역에 익숙하지 않거나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라 할 지라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출되는 각 영상정보와 그에 대한 부가 문자정보을 보고도 비교적 용이하게 현장의 상황을 용이하게 판독해 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부가 설명을 위한 문자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감시용 카메라를 구동시켜 감시 방향이나 지역을 변화시키면 그에 따라 감시지역에 대한 영상정보는 변화하게 되나, 문자정보는 변환되지 않기 때문에 화면상에 표시되는 감시 지역에 대한 영상정보와 문자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도 3a 및 3b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종래 회전형 CCTV 시스템에서 감시용 카메라를 가변하기 전의 디스플레이 정보 출력 실시예이고, 도 3b는 상기 감시용 카메라를 가변한 후에 디스플레이 정보 출력 실시예이다.
도 3a 및 3b는 교통관제를 목적으로 CCTV 시스템을 이용하여 교차로를 관찰중인 것을 일실시예로 하여 표현한 것이지만, 이와 같은 상황은 CCTV 시스템의 설치 목적 및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어 있다.
도 3a에서는 카메라가 북쪽을 가리키고 있을 경우에 각 도로의 방향, 지명 등의 문자정보를 영상정보에 삽입한 것으로,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과 문자가 서로 일치하여 디스플레이 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카메라의 감시 방향을 동쪽을 가리키도록 회전하였을 경우는 도 3b에서와 같이 카메라가 회전하여 영상은 변화하였으나 화면상에 표시되는 문자정보는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문자정보와 영상정보가 일치되지 않음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회전형 CCTV 시스템에서 영상정보의 부가 설명을 위하여 삽입되는 문자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도록 할 경우, 카메라가 회전함에 따라 영상이 변화하더라도 문자정보는 변경전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고 사용자는 상호 일치하지 않는 영상정보와 문자정보를 통해 감시지역에 대한 상황을판단하게 됨에 따라 현장의 상황에 대한 오판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카메라의 감시 방향이 변화하더라도 특정 표시나 방향 등을 나타내는 문자정보가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이동, 변경 및 삭제 등이 되지 않기 때문에 변화한 감시지역의 주요 감시 대상물이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정보에 의해 가려져서 영상정보의 부가 설명을 위한 문자정보가 오히려 감시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감시용 카메라의 회전에 따라 변화하는 영상정보에 적합하도록 감시지역명, 방향 등을 나타내는 문자정보가 자동으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영상정보에 따라 자동변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출되는 문자정보의 크기, 화면 표시 위치, 글자체 및 기호문자 등을 사용자가 임의로 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정보에 의해 주요 감시 대상이 가려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감시용 카메라의 감시 방향의 가변에 따른 카메라의 이동 각도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다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에 촬영된 영상신호와 중첩시켜서 수신측으로 전송하면, 수신측에서는 중첩되어 전송된 각도신호와 영상신호를 분리하고, 그 분리한 각도신호를 수신측에서 판단한 후에 미리 저장된 해당 각도신호와 일치하는문자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고정형 CCTV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종래 회전형 CCTV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3a는 종래 회전형 CCTV 시스템에서 감시용 카메라 가변 전 디스플레이 정보 출력 실시예
도 3b는 종래 회전형 CCTV 시스템에서 감시용 카메라 가변 후 디스플레이 정보 출력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각도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정보처리 장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감시지역 관찰시 사용자 확인 및 문자정보를 입력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문자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도
도 9a는 본 발명에서 감시용 카메라 가변 전 디스플레이 정보 출력 실시예
도 9b는 본 발명에서 감시용 카메라 가변 후 디스플레이 정보 출력 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부호의 설명 ***
100: 촬상장치부 110: 감시용 카메라
120: 회전기(PAN / TILT) 130: 카메라 제어신호 수신기
200: 각도 감지부 210, 430: 중앙처리장치
220: 전압신호 감지장치 230: A / D 신호변환장치
240: 각도 및 영상신호 혼합장치 300: 촬상장치부측 정보신호 송수신부
350: 사용자측 정보신호 송수신부 400: 정보처리 장치부
410: 영상신호 수신장치 420: 각도신호 분리장치
440: 기억장치 450: 문자 발생장치
460: 영상 및 문자신호 혼합장치 470: 통신포트
500: 입력장치부 600: 수상장치부
610: 카메라 제어신호 송신기 620: 디스플레이 장치
700: 환경설정 단계 710: 사용자번호 지정단계
720: 사용자서체 지정단계 730: 사용자 문자크기 지정단계
800: 문자정보입력 단계 810: 문자입력 단계
820: 각도입력 단계 830: 문자위치 입력단계
840: 문자수정 단계 850: 문자삭제 단계
860: 문자저장 단계 900: 정보전송 단계
910: 문자전송 단계 920: 저장정보 수정단계
930: 저장정보 삭제 단계 940: 정보저장 단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과정을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인 CCTV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문자 자동변환 장치는 사용자가 감시하고자 하는 지역 및 방향을 촬영하기 위하여 소정의 장소에 설치하는 감시용 카메라(110)와, 감시용 카메라(110)를 상하좌우로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기(PAN / TILT)(120)와, 원격지의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감시용 카메라(11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카메라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신호 수신기(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촬상장치부(100)와, 감시용 카메라(110)의 회전에 따라 변화하는 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각도 감지부(200)와, 촬상장치부(100)와 각도 감지부(200)에서 촬영되고 감지된 영상신호와 각도신호를 원격지로 전송하고 사용자측 정보신호 송수신부(350)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촬상장치부측 정보신호 송수신부(300)와, 정보신호 송수신부(300)에서 전송되는 영상신호와 각도신호를 수신하고 촬상장치부측 정보신호 송수신부(300)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사용자측 정보신호 송수신부(350)와, 사용자측 정보신호 송수신부(350)에서 전송된 영상신호와 각도신호를 분석한 후에 그 각도신호에 해당하는 문자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620)에 표시하기 위한 정보처리 장치부(400)와, 촬상장치부(100)에서 전송되는 감시용 카메라(110)의 각도신호 변화에 따라 해당하는 문자정보가 화면상에 영상정보와 함께 표출되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기 위한 입력장치부(500)와, 원격지에 설치된 감시용 카메라의 감시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원격제어 수단인 카메라 제어신호 송신기(610)와, 감시지역의 영상과 문자정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디스플레이장치(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상장치부(600)로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각도 감지부(2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상기 각도 감지부(200)는 각 장치의 제어와 내부 연산을 위한 중앙처리장치(210)와, 감시용 카메라(110)의 회전에 따라 변화하는 전압값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신호 감지장치(220)와, 그 전압신호 감지장치(220)에서 감지된 전기적 신호인 각도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신호변환장치(230)와, 그 A/D 신호변환장치(230)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각도신호와 감시용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중첩시켜 전송하기 위한 각도 및 영상신호 혼합장치(240)로 구성되어 있다.
각도 감지부(200)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감시용 카메라(110)의 감시각도가 변화할 경우에 그 변화한 각도와 비례하여 전압의 크기가 변화하도록 하기 위한 각도측정용 전압을 인가하고 사용자가 카메라의 감시 방향을 변화시키면 그 변화한 감시 방향의 각도에 해당하는 전압신호를 전압신호 감지장치(220)가 인식한다.
상기 전압신호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아날로그 신호이므로 이를 영상신호와 혼합하여 전송하기 위해서는 불연속적인 신호인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A/D 신호변환장치(230)를 거친다.
상기 A/D 신호변환장치(230)에서는 아날로그인 입력 신호를 이산 신호로 만들기 위해 이 신호가 갖는 최고 주파수(fm)의 2배 이상의 속도로 주파수를 채취하는 표본화 과정을 거치고, 표본화된 신호의 진폭을 그 신호와 가장 가까운 이산적인 양자화 레벨(2n)에 근사화시키는 과정인 양자화 과정과, 양자화된 신호 펄스의 진폭 크기를 2진 부호로 변환하는 부호화 과정을 거쳐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게 된다.
또한, 수신측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각도신호를 인식하도록 하기 위하여 각도신호의 전단과 후단에 식별비트를 삽입하여, 수신측에서 이 식별비트를 통해 각도신호임을 인지하도록 한다.
영상신호 혼합장치(2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각도신호를 촬영된 영상신호에 영향이 없도록 영상신호의 휴지 시간, 즉 신호의 빈 구간에 부가하여 신호를 혼합하여 수신측으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정보처리 장치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정보처리 장치부(400)는 전송되는 영상신호 및 각도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영상신호 수신장치(410)와, 그 영상신호 수신장치(410)에서 영상신호와 중첩되어 전송된 각도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각도신호 분리장치(420)와, 각 장치의 제어와 내부 연산 및 각도신호 분리장치(420)에서 분리된 각도신호를 판독하고 처리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430)와, 해당되는 각도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620)에 영상과 함께 표출되는 문자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장치(440)와, 그 기억장치(440)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정보를 영상신호와 혼합할 수 있도록 신호의 가공 및 변환을 하기 위한 문자 발생장치(450)와, 영상신호 수신장치 (410)에서 각도신호가 분리된 영상신호와 문자 발생장치(450)에서 생성된 문자정보를 혼합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620)에 전송하여 영상과 문자가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 및 문자신호 혼합장치(460)와, 사용자가 미리 문자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입력장치부(500)와의 상호 교신을 하기 위한 통신포트(470)로 구성되어 있다.
정보처리 장치부(400)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면 각도 감지부(200)에서 중첩하여 전송하는 영상신호와 각도신호를 영상신호 수신장치(410)에서 수신하며, 수신된 영상신호와 각도신호는 중첩되어 있으므로 신호를 분리하기 위하여 각도신호 분리장치(420)를 거치게 된다.
상기 각도신호 분리장치(420)는 각도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비트를 통하여 각도신호임을 인지한 후 영상신호와 각도신호를 분리하게 된다.
중앙처리장치(4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된 각도신호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기억장치(440)에 미리 입력시켜둔 각도신호에 해당하는 문자정보를 불러오게 된다.
기억장치(440)에서 출력된 각도신호에 해당하는 문자정보는 문자 발생장치(450)에서 문자정보의 밝기, 선명도 조정 등의 보정 과정을 거친 후, 영상 및 문자신호 혼합장치(460)에서 감시지역의 영상정보와 영상의 설명을 위한 문자정보가 서로 침범하여 왜곡되는 일이 없도록 혼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620)에 표시되는 것이다.
이어서 감시 각도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영상정보에 맞도록 각 사용자별로지정하여 저장한 문자정보가 자동으로 변환되도록 하기 위한 문자정보 입력 방법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감시지역 관찰시 사용자 확인 및 문자정보를 입력하는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문자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정보처리 장치부(400)의 통신 포트(470)를 통해 기억장치(440)에 저장된 문자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정보가 변화할 경우에 그 변화한 영상과 문자정보가 일치하도록 자동변환하기 위한 방법과, 감시지역을 관찰할 경우에 각 사용자마다 자신의 취향 및 용도에 맞도록 미리 저장된 문자정보를 통해 감시지역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의 취향이나 주요 감시 대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각 사용자별 문자정보를 각각 따로 저장하고 그 저장된 문자정보에 대한 각 사용자 번호를 부여함으로서 각 사용자에게 맞는 운용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환경설정 단계(700)와, 사용자가 영상에 대한 문자 및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정보 입력단계(800)와,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전송 단계(900)로 구성된다.
상기 환경설정 단계(700)는 영상에 대한 문자정보를 사용자의 취향이나 주요 감시 대상 설정에 따라 사용자마다 다르게 저장하고 각 사용자마다 자신이 설정한 문자정보의 내용대로 감시지역을 관찰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번호 지정단계(710)와, 각 사용자마다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정보의 글자체를 지정하기 위한 사용자서체 지정단계(720)와, 각 사용자마다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정보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문자크기 지정단계(7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문자정보 입력단계(800)는 사용자가 감시 대상의 지명이나 방향등의 문자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입력 단계(810)와, 입력된 문자정보가 화면에 표시될 각도신호의 범위를 입력하기 위한 각도입력 단계(820)와, 입력된 문자정보가 화면상에 표시되는 위치를 지정하고 입력하기 위한 문자위치 입력단계(830)와, 입력된 문자정보의 수정을 위한 문자수정 단계(840)와, 입력된 문자정보의 삭제를 위한 문자삭제 단계(850)와, 입력된 문자정보의 저장을 위한 문자저장 단계(86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정보전송 단계(900)는 문자정보입력 단계(800)에서 완성된 문자정보를 통신포트(470)를 통하여 기억장치(440)로 전송하기 위한 문자전송 단계(910)와, 저장되어 있는 문자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저장정보 수정단계(920)와, 저장되어 있는 문자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저장정보 삭제단계(930)와, 저장정보 수정단계(920)에서 수정된 문자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저장 단계(9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저장된 각 사용자의 문자정보는, 감시지역 관찰시에 각 사용자의 고유번호의 입력을 통해 장치에서 인지되어, 사용자별로 정의한 문자정보가 카메라의 위치 가변에 따라 변화하는 영상정보에 맞도록 자동으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전체 동작을 교통관제 시스템을 일실시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9a는 본 발명에서 감시용 카메라를 가변하기 전의 디스플레이 정보 출력실시예이며, 도 9b는 감시용 카메라를 가변한 후의 디스플레이 정보 출력 실시예이다.
도 9a는 사용자가 교통관제를 목적으로 교차로를 관찰 중인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감시용 카메라(110)가 북쪽의 동호대교 방향을 가리키고 있을 경우에, 그 영상정보에 맞게 사용자가 미리 저장한 문자정보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620)에 상단방향은 동호대교 방향임을 설명하는 화살표와 문자가 표시되고, 다른 방향도 사용자가 미리 정의하고 저장한 문자정보에 의해 각 방향에 대한 문자정보가 표시되어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9b는 사용자가 필요에 의하여 카메라의 감시 방향을 가변하였을 경우의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감시용 카메라(110)의 감시 방향을 동쪽의 논현동 및 삼성동 방향으로 변환하면, 상기 설명한 각도 감지부(200)에서 이를 인지하고 가변된 각도신호와 영상신호를 혼합하여 수신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수신측의 정보처리장치부(400)에서는 혼합되어 전송된 영상신호와 각도신호를 분리한 후에, 그 분리된 각도신호에 해당하는 문자정보를 영상신호와 합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620)에 변환된 방향에 해당하는 문자정보가 자동으로 변환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감시 및 관찰하고자 하는 소정의 지역에 설치한 감시용 카메라의 감시 방향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변경할 경우, 변화하는 감시지역의 영상정보에 적합하도록 감시지역명, 방향 등을 나타내는 문자정보가 자동으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출이 되므로,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영상정보에 의해 현장의 상황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독해 내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변되는 영상정보에 따라 자동변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출되는 문자정보의 크기, 화면 표시 위치, 글자체 및 기호문자 등을 사용자가 임의로 정할 수 있도록 해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정보에 의해 주요 감시 대상이 가려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감시 방향의 주요 감시 대상 항목에 대하여 각각의 감시 대상마다 기호 및 글자 등을 사용해 자세한 문자정보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있어 보다 효과적인 감시 및 관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획기적인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사용자가 감시하고자 하는 지역 및 방향을 촬영하기 위하여 소정의 장소에 설치하는 감시용 카메라(110)와, 감시용 카메라(110)를 상하좌우로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기(PAN / TILT)(120)와, 원격지의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감시용 카메라(11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카메라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신호 수신기(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촬상장치부(100)와, 감시용 카메라(110)의 회전에 따라 변화하는 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각도 감지부(200)와, 촬상장치부(100)와 각도 감지부(200)에서 촬영되고 감지된 영상신호와 각도신호를 원격지로 전송하고 사용자측 정보신호 송수신부(350)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촬상장치부측 정보신호 송수신부(300)와, 정보신호 송수신부(300)에서 전송되는 영상신호와 각도신호를 수신하고 촬상장치부측 정보신호 송수신부(300)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사용자측 정보신호 송수신부(350)와, 사용자측 정보신호 송수신부(350)에서 전송된 영상신호와 각도신호를 분석한 후에 그 각도신호에 해당하는 문자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620)에 표시하기 위한 정보처리 장치부(400)와, 촬상장치부(100)에서 전송되는 감시용 카메라(110)의 각도신호 변화에 따라 해당하는 문자정보가 화면상에 영상정보와 함께 표출되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기 위한 입력장치부(500)와, 원격지에 설치된 감시용 카메라의 감시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원격제어 수단인 카메라 제어신호 송신기(610)와, 감시지역의 영상과 문자정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디스플레이장치(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상장치부(600)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문자 자동변환 장치.
  2. 제 1항에서,
    각도 감지부(200)는 각 장치의 제어와 내부 연산을 위한 중앙처리장치 (210)와, 감시용 카메라(110)의 회전에 따라 변화하는 전압값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신호 감지장치(220)와, 그 전압신호 감지장치(220)에서 감지된 전기적 신호인 각도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신호변환장치(230)와, 그 A/D 신호변환장치(230)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각도신호와 감시용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중첩시켜 전송하기 위한 각도 및 영상신호 혼합장치(240)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문자 자동변환 장치.
  3. 제 1항에서,
    정보처리 장치부(400)는 전송되는 영상신호 및 각도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영상신호 수신장치(410)와, 그 영상신호 수신장치(410)에서 영상신호와 중첩되어 전송된 각도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각도신호 분리장치(420)와, 각 장치의 제어와 내부 연산 및 각도신호 분리장치(420)에서 분리된 각도신호를 판독하고 처리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430)와, 해당되는 각도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620)에 영상과 함께 표출되는 문자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장치(440)와, 그 기억장치(440)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정보를 영상신호와 혼합할 수 있도록 신호의 가공 및 변환을 하기위한 문자 발생장치(450)와, 영상신호 수신장치 (410)에서 각도신호가 분리된 영상신호와 문자 발생장치(450)에서 생성된 문자정보를 혼합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620)에 전송하여 영상과 문자가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 및 문자신호 혼합장치(460)와, 사용자가 미리 문자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입력장치부(500)와의 상호 교신을 하기 위한 통신포트(470)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문자 자동변환 장치.
  4. 사용자의 취향이나 주요 감시 대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각 사용자별 문자정보를 각각 따로 저장하고 그 저장된 문자정보에 대한 각 사용자 번호를 부여함으로서 각 사용자에게 맞는 운용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환경설정 단계(700)와, 사용자가 영상에 대한 문자 및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정보 입력단계(800)와,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전송 단계(9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문자 자동변환 방법.
  5. 제 4항에서,
    환경설정 단계(700)는 영상에 대한 문자정보를 사용자의 취향이나 주요 감시 대상 설정에 따라 사용자마다 다르게 저장하고 각 사용자마다 자신이 설정한 문자정보의 내용대로 감시지역을 관찰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번호 지정단계(710)와, 각 사용자마다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정보의 글자체를 지정하기 위한 사용자서체 지정단계(720)와, 각 사용자마다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정보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문자크기 지정단계(730)로 이루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문자 자동변환 방법.
  6. 제 4항에서,
    문자정보 입력단계(800)는 사용자가 감시 대상의 지명이나 방향등의 문자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입력 단계(810)와, 입력된 문자정보가 화면에 표시될 각도 신호의 범위를 입력하기 위한 각도입력 단계(820)와, 입력된 문자정보가 화면상에 표시되는 위치를 지정하고 입력하기 위한 문자위치 입력단계(830)와, 입력된 문자정보의 수정을 위한 문자수정 단계(840)와, 입력된 문자정보의 삭제를 위한 문자삭제 단계(850)와, 입력된 문자정보의 저장을 위한 문자저장 단계(860)로 이루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문자 자동변환 방법.
  7. 제 4항에서,
    정보전송 단계(900)는 문자정보입력 단계(800)에서 완성된 문자정보를 통신포트(470)를 통하여 기억장치(440)로 전송하기 위한 문자전송 단계(910)와, 저장되어 있는 문자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저장정보 수정단계(920)와, 저장되어 있는 문자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저장정보 삭제단계(930)와, 저장정보 수정단계(920)에서 수정된 문자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저장 단계(940)로 이루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문자 자동변환 방법.
KR10-2001-0002496A 2001-01-16 2001-01-16 Cctv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문자 자동변환 장치 및 방법 KR100372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496A KR100372947B1 (ko) 2001-01-16 2001-01-16 Cctv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문자 자동변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496A KR100372947B1 (ko) 2001-01-16 2001-01-16 Cctv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문자 자동변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419A KR20020061419A (ko) 2002-07-24
KR100372947B1 true KR100372947B1 (ko) 2003-02-25

Family

ID=2769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496A KR100372947B1 (ko) 2001-01-16 2001-01-16 Cctv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문자 자동변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9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395B1 (ko) * 2006-04-25 2008-04-18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교통정보 표출시스템
KR100961719B1 (ko) 2008-07-07 2010-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리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카메라 위치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971B1 (ko) * 2007-01-23 2007-08-22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문자발생장치 제어부, 이를 포함하는 폐쇄회로 시스템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395B1 (ko) * 2006-04-25 2008-04-18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교통정보 표출시스템
KR100961719B1 (ko) 2008-07-07 2010-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리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카메라 위치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419A (ko) 200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2421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method and method with a remote signaling device
EP1279150B1 (en) Surveillance system with camera
US20060009257A1 (en) Multifunctional personal portable digital image capturing device
US200901352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position information into image
EP1653743A1 (en) Monitoring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using panorama image
US7382936B2 (en) Surveillance camera apparatus having a selecting operation of image information in a receiving side
US494541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pre-setting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JP2006013923A (ja) 監視装置
AU2000241410A1 (en) Surveillance system with camera
KR100372947B1 (ko) Cctv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문자 자동변환 장치 및 방법
KR10032375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획득 및 기기 제어 장치및 방법
JP2001309233A (ja) 撮影装置の遠隔操作システム
KR20060062031A (ko) 원격 감시 시스템
JP2003037838A (ja) 画像配信システム
JPH11102495A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10285585A (ja) 監視カメラおよび監視カメラシステム
JP2010124263A (ja) 撮像装置
KR19980039422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도어 상황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JP2003101488A (ja) 無線品質測定装置
KR100642687B1 (ko) 폐쇄회로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2002185954A (ja) パノラマ映像システム及びパノラマ受像機
JP2001304873A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その情報通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101229496B1 (ko) 카메라 이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525751B1 (ko) 촬영영상의 지명정보를 합성 출력하는 원격 다중 위치표시 감시시스템
KR20180052353A (ko) 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