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9420A - 통신망을 이용한 영상 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망을 이용한 영상 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9420A
KR20000059420A KR1019990006987A KR19990006987A KR20000059420A KR 20000059420 A KR20000059420 A KR 20000059420A KR 1019990006987 A KR1019990006987 A KR 1019990006987A KR 19990006987 A KR19990006987 A KR 19990006987A KR 20000059420 A KR20000059420 A KR 20000059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manned
signal
video
surveillan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3651B1 (ko
Inventor
이철호
Original Assignee
이철호
도원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호, 도원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철호
Priority to KR1019990006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651B1/ko
Publication of KR20000059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6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영상 감시시스템은 사람이 상주하여 감시할 수 없는 영역에 카메라를 구비한 무인장치를 이용하여 지정된 영역을 다른 장소에서 감시하기 위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가 부착된 무인 감시장치를 사람이 상주하여 감시할 수 없는 장소에 설치하고, 무인 감시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시 대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신호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장치로 전송하면, 관리장치에서는 무인 감시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면서 감시 대상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람이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없는 감시 대상이 산인 경우 무인 감시장치를 이용하여 수시로 감시하여 산불이 발생한 경우 그 발화시점에서 바로 진화할 수 있기 때문에 산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통신망을 이용한 영상 감시시스템{Monitoring System using a network}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영상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이 상주하여 감시할 수 없는 영역에 카메라를 구비한 무인 감시장치를 이용하여 감시 대상이 있는 소정의 영역을 다른 장소에서 감시하기 위한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영상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시시스템이라 함은 소정의 장소에 CCD 카메라를 설치한 후 상기 CCD 카메라를 소정 각도로 좌, 우, 상, 하로 회전되도록 하여 그 회전각도만큼 주어지는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데이터를 보면서 감시하는 시스템이다. 상술한 감시시스템은 대부분 유선라인을 통해 영상신호가 전송되고, 전송된 영상신호가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그러므로 그 감시 영역은 한정되게 된다.
그러나, 산불 및 차량 추적 등과 같이 그 감시 대상의 규모가 커지게 되는 경우에서는 상술한 시스템을 활용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산불, 차량 추적 및 중요한 장소 등과 같은 곳에 상술한 CCD 카메라를 구비하는 감시장치를 설치하고, 상술한 CCD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위성통신을 통해 관리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장치를 상술한 감시장치에 구비시키게 되면, 산이나 그밖에 감시 대상이 넓은 영역에 분포되어 있는 경우에도 모두 적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위성을 이용한 감시장치는 그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므로 실용적인 측면에서 볼 때 구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사람이 상주하여 감시할 수 없는 영역에 카메라를 구비한 무인장치를 이용하여 지정된 영역을 다른 장소에서 감시하기 위한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영상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영상 감시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무인 감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관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무인 감시장치
200 : 관리장치
300 : 유무선 통신망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감시 대상이 존재하는 영역에 카메라가 구비된 무인 감시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무인 감시장치에 구비된 카메라가 소정 회전각을 가지면서 회전하여 감시 대상을 촬영하고, 이 촬영되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신호 처리한 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장치로 송출하고, 관리장치는 무인 감시장치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무인 감시장치에서 전송하는 영상신호를 수신받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면서 감시 대상을 관찰하며, 경우에 따라서 무인 감시장치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무인 감시장치는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감시 대상을 폭넓게 촬영할 수 있는 이동용 무인 감시장치, 또는 감시 대상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마다 복수개가 설치되어 감시대상을 촬영할 수 있는 고정용 무인 감시장치로 구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영상감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 대상이 존재하는 영역에 설치되고, 소정의 회전각으로 회전하면서 감시 대상을 촬영하여 신호 처리한 후 전송하는 무인 감시장치(100)와, 상기 무인 감시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무인 감시장치(100)에서 전송하는 영상신호를 수신받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면서 감시 대상을 관찰하고, 무인 감시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관리장치(200)와, 상기 무인 감시장치(100)와 관리장치(200) 상호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유무선 통신망(300)으로 구성된다.
이때, 무선 감시장치(100)는 공간이동이 가능한 무선 감시장치와 소정의 영역에 감시 대상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된 위치에 다수 설치되는 고정용 무선 감시장치가 있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무인 감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으며,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105)와, 감시 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10)와, 상기 카메라(1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코덱부(115)와, 상기 영상 코덱부(115)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120)와, 상기 제어부(105)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110)가 소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구동부(125)와, 상기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신호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임시로 저장하는 저장부(130)와, 상기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13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하는 이동전화 인터페이스부(135)와, 상기 이동전화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고, 관리장치(200)에서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복조한 후 상기 제어부(105)로 출력하는 이동전화 송수신부(140)와, 현재 이동중인 무인 감시장치(1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145)로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무인 감시장치(100)에 공간이동이 가능한 무인 감시장치가 소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감시 장치 구동부(150)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무인 감시장치(100)가 공간이동이 가능한 경우에만 활용될 수 있는 블록이다.
여기서, 무인 감시장치(100)와 통신망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관리장치(200)에 대해서 후술하고자 하는데, 이 후술하는 관리장치(200)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출원번호 제 98-27970 호 및 제 98-57406 호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후술하는 관리장치(200)를 선출원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무인 감시장치(100)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적용된 관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장치(200)는 고정 감시 장치로서, 전회회선을 통해 무인 감시장치(100)에서 송출하는 영상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인터페이스된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220)와, 상기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230)와, 상기 신호 처리부(230)에서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는 영상 코덱부(240)와, 상기 영상 코덱부(240)에서 복호화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50)와, 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260)와, 관리자의 의도에 따라 무인 감시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키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280)와, 상기 무인 감시장치(100)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맵(MAP)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285)로 구성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270은 음성코덱부로서, 관리장치(200)를 통신장치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필요한 블록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장치(200)는 이동 감시 장치로서, 관리자의 의도에 따라 제어신호를 휴대용 단말기(400)를 통해 무인 감시장치(100)로 전송하고, 무인 감시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 또는 문자신호를 수신받아 관리자가 볼 수 있도록 복호화한 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상술한 휴대용 단말기(400)는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무인 감시장치(100)와 통화라인을 연결시키고, 잭을 통해 연결된 상기 이동 감시 장치(20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통화라인으로 연결된 무인 감시장치(100)로 전송하고, 무인 감시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 또는 문자신호를 이동 감시 장치(200)로 전송한다.
상술한 휴대용 단말기(400)는 셀룰라폰, PCS, IMT 2000 등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된 휴대용 디지털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도 3의 고정 감시 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가지며, 그 상세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감시장치(100)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400)를 연결하기 위한 잭연결부(205)와, 제어부(220)의 제어신호를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무인 감시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하고, 무인 감시장치(100)로부터 송출되는 영상신호를 제어부(220)로 인터페이스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도 3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그 블록에 대해 간단히 설명을 했다.
그 외의 블록으로서, 도면 부호 220은 제어부, 230은 신호 처리부, 240은 영상 코덱부, 250은 디스플레이부, 260은 메모리, 280은 키입력부, 285는 GPS 수신부로서,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함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미설명 도면부호 290은 음성코덱부, 291은 스피커, 292는 마이크로서, 이동 감시 장치를 통신장치로 이용할 경우 필요한 블록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관리장치(200) 중 이동 감시 장치는 보조전원을 별도로 구비하여 유사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관리장치(200) 중 이동 감시 장치는 차량에 장착시켜 가지고 다닐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이때 이동 감시 장치의 전원 커넥터에 어댑터를 이용한 시가 잭을 형성시켜 차량에 구비된 시가 잭 커넥터에 시가 잭을 삽입시키면 시가 잭을 통해 공급되는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보조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첨부도면 도 6 참조).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있어, 무인 감시장치(100)를 공간 이동이 가능한 장치로 한정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카메라가 구비된 무인 감시장치(100)는 감시 대상이 있는 영역을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여 공간이동을 하면서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하기 시작한다.
이때 카메라(110)는 줌 기능을 이용하여 감시 대상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이렇게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는 영상 코덱부(115)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신호 처리부(120)에 의해 신호 처리된다. 이렇게 신호 처리된 디지털화된 영상신호는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130)에 임시 저장시킨 후 순차적으로 이동전화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이동전화 송수신부(140)로 출력되어 송신하기에 적당한 신호로 변조된다.
이렇게 변조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되고, 이렇게 송출된 영상신호는 유, 무선 통신망(300)을 통해 관리장치(200)로 전송된다.
이때, 제어부(105)는 카메라 구동부(125)를 제어하여 감시 대상을 원하는 방향 및 위치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공간이동용 무선 감시장치(100)에 구비된 카메라(110)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무선 감시장치(100)는 감시장치 구동부(150)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현재 이동중인 무선 감시장치(100)를 정상적으로 이동되는 궤도가 아닌 다른 궤도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05)에서 감시장치 구동부(150)를 제어하게 되고, 이로 인해 무선 감시장치(100)가 소정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무선 감시장치(100)는 GPS 수신부(145)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는데, 이 GPS 수신부(145)는 무선 감시장치(100)의 이동 궤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원하는 위치를 GPS에서 제공하는 지도를 이용하여 좀더 쉽게 찾아 무선 감시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카메라(110)를 구동시키는 과정이나, 무선 감시 장치(100)를 구동시키는 과정은 제어부(105)에 내장된 제어프로그램 및 무선 감시 장치(100)를 제조할 때 설정해 놓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후술하고자 하는 무선 감시 장치(100)로부터 송출되는 영상신호를 수신받아 감시 대상을 원격 감시하는 관리장치(200)에서 관리자의 의도에 따라 제어신호를 무선 감시 장치(100)로 송출하고, 무선 감시 장치(100)의 이동전화 송수신부(140)는 이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동전화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제어부(105)로 전송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관리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감시 장치와 이동 감시 장치가 있을 수 있는데, 상술한 무인 감시장치(100)로부터 송출되는 영상신호를 관리장치(200)로 수신되는 경우, 관리장치를 고정 감시 장치와 이동 감시 장치로 각각 분리하여 설명하지 않고 동일한 블록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므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무인 감시장치(100)의 이동전화 송수신부(140)를 통해 송출되는 영상신호는 이동전화 기지국을 통해 고정 감시 장치인 경우 전화회선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수신되고, 이동 감시 장치인 경우 휴대용 단말기(400), 잭연결부(205)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수신된다.
이렇게 수신된 영상신호는 제어부(220)에 의해 신호 처리부(230)로 출력되어 신호 처리되고, 이렇게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는 영상코덱부(240)를 통해 복호화된 후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화면상으로 디스플레이되므로, 관리자가 고정 감시 장치를 가지고 무인 감시장치(100)를 통해 수신되는 감시 대상을 감시할 수 있거나, 관리자가 이동 감시 장치를 가지고 무인 감시장치(100)를 통해 수신되는 감시 대상을 감시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장치(200)가 고정 감시 장치일 경우보다 이동 감시 장치가 더 유용한 경우는 관리자가 이동하면서도 감시 대상을 감시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다. 이에 반해 고정 감시 장치는 이동 감시 장치에 비해 무인 감시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관리장치(200)는 키입력부(280)를 통해 소정의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무인 감시장치(10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입력되는 키신호를 제어부(220)에서 입력받아 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무인 감시장치(100)로 송출하고, 무인 감시장치(100)는 이동전화 송수신부(140) 및 이동전화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제어부(105)에서 수신받아 감시장치 구동부(150)를 제어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원하는 위치로 무인 감시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관리장치(200)에는 GPS 수신부(285)가 구비되어 있어 맵(MAP)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상으로 원하는 지역의 지도를 출력시켜 놓고, 그 지도상에서 상술한 무인 감시장치(100)를 표출시킬 수 있어 그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 속하는 무인 감시장치(100)는 공간 이동이 가능하여 무인 감시장치로 한정해서 설명되어 있으나, 무인 감시장치가 고정된 경우에 대해서도 상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단지 고정 상태의 무인 감시장치인 경우에는 감시 대상의 주변으로 다수의 무인 감시장치가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람이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없는 감시 대상체가 산인 경우 무인 감시장치를 이용하여 수시로 감시하여 산불이 발생한 경우 발화시점에서 바로 진화할 수 있기 때문에 산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범죄가 많아 예방하고자 할 때, 그 예방지역이 넓거나, 아니면 차량 추적을 해야하는 경우 공중에 본 발명을 위치시켜 원하는 궤적을 따라 감시 대상체를 지속적으로 감시함으로써 범죄예방뿐만 아니라 차량 추적 또한 쉽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감시 대상이 존재하는 영역에 설치되고, 소정의 회전각으로 회전하면서 감시 대상을 촬영하여 신호 처리한 후 전송하는 무인 감시장치;
    상기 무인 감시장치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무인 감시장치에서 전송하는 영상신호를 수신받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면서 감시 대상을 관찰하는 관리장치; 및
    상기 무인 감시장치와 관리장치 상호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유무선 통신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영상감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감시 무인 감시장치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으며,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
    감시 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코덱부;
    상기 영상 코덱부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제어부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가 소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구동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임시로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하는 이동전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이동전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고,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복조한 후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이동전화 송수신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영상감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감시장치는, 공간이동이 가능한 무인 감시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영상감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감시장치는, 소정의 영역에 감시 대상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된 위치에 다수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영상감시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영상감시 시스템은,
    현재 이동중인 무인 감시장치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영상감시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영상감시 시스템은, 공간이동이 가능한 무인 감시장치가 소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감시장치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영상감시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전회회선을 통해 상기 무인 감시장치에서 송출하는 영상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인터페이스된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는 영상 코덱부;
    상기 영상 코덱부에서 복호화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관리자의 의도에 따라 무인 감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키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영상감시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무인 감시장치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잭연결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무인 감시장치로 전송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하고, 무인 감시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영상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인터페이스된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는 영상 코덱부;
    상기 영상 코덱부에서 복호화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관리자의 의도에 따라 무인 감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키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영상감시 시스템.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무인 감시장치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맵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GPS 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영상감시 시스템.
KR1019990006987A 1999-03-03 1999-03-03 통신망을 이용한 영상 감시시스템 KR100323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987A KR100323651B1 (ko) 1999-03-03 1999-03-03 통신망을 이용한 영상 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987A KR100323651B1 (ko) 1999-03-03 1999-03-03 통신망을 이용한 영상 감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420A true KR20000059420A (ko) 2000-10-05
KR100323651B1 KR100323651B1 (ko) 2002-02-07

Family

ID=19575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987A KR100323651B1 (ko) 1999-03-03 1999-03-03 통신망을 이용한 영상 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65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057B1 (ko) * 2001-07-06 2004-08-30 조지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화상 감시시스템 및 그감시방법
KR100641852B1 (ko) * 2003-06-23 2006-11-0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원격 카메라와 통신시의 휴대단말의 조작
KR100744455B1 (ko) * 2005-10-06 2007-08-01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네트워크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KR101044342B1 (ko) * 2008-11-03 2011-06-29 주식회사 오카스 휴대용 열화상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잔불 및 열원 영역 감지 방법
KR101369648B1 (ko) * 2012-11-10 2014-03-05 정원철 사찰 영상관리 시스템
CN109676623A (zh) * 2019-01-23 2019-04-26 广东水利电力职业技术学院(广东省水利电力技工学校) 辅助监理机器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244B1 (ko) 2020-02-26 2020-09-29 (주)윈텍 산업설비 및 장치 감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413B1 (ko) * 1997-07-09 1999-11-01 박이규 폐쇄회로 텔레비젼의 다중 송수신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057B1 (ko) * 2001-07-06 2004-08-30 조지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화상 감시시스템 및 그감시방법
KR100641852B1 (ko) * 2003-06-23 2006-11-0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원격 카메라와 통신시의 휴대단말의 조작
KR100744455B1 (ko) * 2005-10-06 2007-08-01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네트워크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KR101044342B1 (ko) * 2008-11-03 2011-06-29 주식회사 오카스 휴대용 열화상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잔불 및 열원 영역 감지 방법
KR101369648B1 (ko) * 2012-11-10 2014-03-05 정원철 사찰 영상관리 시스템
CN109676623A (zh) * 2019-01-23 2019-04-26 广东水利电力职业技术学院(广东省水利电力技工学校) 辅助监理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3651B1 (ko) 200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5681B2 (en) Method of using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for monitoring purposes and a system for implementation thereof
KR100404885B1 (ko) 휴대용 동화상 폰을 이용한 원격감시 장치
US8265597B2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ce gathering and position tracking
US20070019077A1 (en) Portable surveillance camera and personal surveillance system using the same
US20090195655A1 (en) Remote control video surveillance apparatus with wireless communication
EP3361723B1 (en) Monitoring vehicle involved in a collision
KR100323651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영상 감시시스템
KR20150041939A (ko) 실시간 이벤트 감지를 통한 도어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JPH10112855A (ja) 携帯用画像及び音声自動送信装置
KR20070105062A (ko) 화상 촬영용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0884623B1 (ko)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80746B1 (ko) 씨씨티브이 시스템
KR2014013627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ptz 감시 장치 및 감시 시스템
JP2004021604A (ja) 監視システム
KR100930999B1 (ko) 이동형 영상감시시스템
KR20020069544A (ko) 동영상 전화기를 이용한 원격 멀티미디어 정보 송수신장치 및 방법
JP2000228790A (ja) 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事象発生位置推定装置
JP2002344957A (ja) 画像監視装置
JP2002305742A (ja) 情報送信プログラム及び当該情報送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並びに情報送信装置
JP2006246051A (ja) 映像送信システム、映像送信方法、及びカメラ装置
JP2000197161A (ja) アダプタ装置および該アダプタ装置を備える電子カメラシステム
KR200305976Y1 (ko) 차량 장착용 폐쇄회로 텔레비전 원격제어 시스템
JP4656468B2 (ja) 消防用映像伝送システム
JP3081064U (ja) 全方位撮像センサ内蔵携帯電話装置
WO2002063863A1 (en) Superviso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