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056B1 - 에어컨 컴프레서의 돌입전류 제어방법 및 제어기 - Google Patents

에어컨 컴프레서의 돌입전류 제어방법 및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056B1
KR100372056B1 KR10-2000-0077654A KR20000077654A KR100372056B1 KR 100372056 B1 KR100372056 B1 KR 100372056B1 KR 20000077654 A KR20000077654 A KR 20000077654A KR 100372056 B1 KR100372056 B1 KR 100372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ompressor
current limiting
reacto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8510A (ko
Inventor
서성규
Original Assignee
최 윤 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 윤 식 filed Critical 최 윤 식
Priority to KR10-2000-0077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056B1/ko
Priority to AU1643602A priority patent/AU1643602A/xx
Priority to AU2002216436A priority patent/AU2002216436B2/en
Priority to PCT/KR2001/002154 priority patent/WO2002050477A1/en
Publication of KR20020048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02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motor
    • H02P25/04Single phase motors, e.g. capacit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3/00Motor parameters
    • F04B2203/02Motor parameters of rotating electric motors
    • F04B2203/0201Curr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5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riable-flow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컴프레서의 돌입전류 제어방법 및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서, 출력이 높은 대용량의 에어컨에서도 충분히 돌입전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주코일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릴레이와 콘덴서를 제어하는 릴레이 및 전류제한소자와 리액터를 보호하기 위한 릴레이를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기동시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제어하는 방법과 전류제한소자에서 발생되는 열로부터 기판에 장착된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한 저항모듈을 따로 구성한 제어기를 제공하여 돌입전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Description

에어컨 컴프레서의 돌입전류 제어방법 및 제어기{CONTROLLING METHOD FOR A INRUSH CURRENT OF AIR-CONDITIONER COMPRESSOR AND THEREOF A CONTROLLER}
본 발명은 에어컨 컴프레서의 돌입전류 제어방법 및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력이 높은 대용량의 에어컨에서도 충분히 돌입전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주코일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릴레이와 콘덴서를 제어하는 릴레이 및 전류제한소자와 리액터를 보호하기 위한 릴레이를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기동시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제어하는 방법과 전류제한소자에서 발생되는 열로부터 기판에 장착된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한 저항모듈을 따로 구성한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용량 유도성 부하들은 전기적인 특성상 기동과 동시에 기동 도중의 소비전류보다 수십 배에 달하는 높은 전류가 몇 msec 동안 흐르게 되어 전기 또는 전자 부품에 과도한 부하를 일으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높은 돌입전류와 이로 인해 발생되는 역기 써지전압으로 인해 온, 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 등의 접점에 융착 또는 용융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즉, 사용되는 기판에 장착된 부품에 고장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동 콘덴서(20)가 연결된 기동코일(12)과 주코일(11)을 포함하는 컴프레서(10)에 전원(40)으로부터 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접점 단자로 최고 전류 및 전압 보다 수배 정도 더 높은 고내압급의 접점 제어소인 마그네틱 스위치(30) 또는 교류용 파워릴레이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단지 돌입전류에 의한 장애를 견딜 수 있는 정도이고, 기동시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전혀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동콘덴서(60)가 연결된 기동코일(52)과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92)와 전류제한소자(70)가 연결된 주코일(51)을 갖는 컴프레서(50), 그리고 상기 컴프레서(50)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릴레이(91)를 이용하여 돌입전류를 제어하고 있으나, 이러한 제어장치는 보다 높은 용량에서는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당해 분야의 기술자들은 여러 가지 방면으로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예를 들어 전류제한소자와 함께 세멘트(세라믹) 저항을 함께 구성하는 방식 또는 전류제한소자에 열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모두 1.5Kw 이상의 대용량 유도성 에어컨의 경우에는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종래의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용량이 크면 클수록 기동시 발생되는 돌입전류의 크기는 비례하여 더욱 커지게 되고, 그로 인해 발생되는 저항의 특성과 열에 의해 오히려 저항에 손상이 발생되며, 돌입전류를 제어할 능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출력이 높은 대용량의 에어컨에서도 충분히 돌입전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주코일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릴레이와 콘덴서를 제어하는 릴레이 및 전류제한소자와 리액터를 보호하기 위한 릴레이를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기동시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제어하는 방법과 전류제한소자에서 발생되는 열로부터 기판에 장착된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한 저항모듈을 따로 구성한 제어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 특징은 주코일과 기동코일을 갖는 컴프레서를 구비하고 순차제어회로에 의해 릴레이가 제어되는 회로로 구성된 제어기로 에어컨 컴프레서에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감소시키는 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주코일에는 릴레이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에는 저항을 구성하는 전류제한소자와 리액터 그리고 상기 전류제한소자 및 리액터를 보호하기 위한 릴레이가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저항을 구성하는 전류제한소자와 리액터는상기 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되게 구성되고; 상기 기동코일에는 운전콘덴서 그리고 기동콘덴서 및 기동콘덴서를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기동콘덴서와 릴레이는 운전콘덴서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각 릴레이는 순차제어회로 연결되어 제어되게 구성되는 에어컨 컴프레서의 돌입전류 제어기에 있다.
그리고 또 다른 본 발명의 일 특징은 주코일과 기동코일을 갖는 컴프레서를 구비하고 순차제어회로에 의해 릴레이가 제어되는 회로로 구성된 제어기로 에어컨 컴프레서에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감소시키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에어컨에 전원이 인가되면 주코일에 직렬로 연결된 릴레이는 접점이 떨어져 있는 상태로 유지되고, 기동콘덴서와 직렬로 연결된 릴레이는 접점되어 컴프레서의 기동코일 쪽으로 만 전류가 흐르게 하여 운전콘덴서와 기동콘덴서 모두에 전류가 흐르게 하는 단계; 상기 기동콘덴서와 운전콘덴서에 충전이 발생되어 각 콘덴서가 기동코일과 공진 조건이 최고에 달하게 되면, 순차제어회로에 의해 상기 릴레이를 접점시켜 전류제한소자 및 리액터를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하므로 상기 컴프레서가 정상적인 기동을 하게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 의해 컴프레서가 완전히 기동되면, 순차제어회로에 의해 상기 기동콘덴터와 직렬로 연결된 릴레이의 접점을 차단시켜 운전콘덴서 만으로 운전을 하게 하고, 동시에 전류제한소자 및 리액터의 모듈과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를 접점되게 하여 컴프레서를 정상적으로 운전할 수 있게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컴프레서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그 양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컨 컴프레서를 구동하기 위한 개략적인 회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순차제어회로를 이용하여 돌입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개략적인 회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컴프레서를 제어하기 위해 구성된 제어기의 개략적인 회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컴프레서를 제어하기 위한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제어기의 개략적인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제어기의 상세한 회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제한소자와 릴레이가 별도의 모듈을 구성하는 돌입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종래의 일반적인 회로를 갖는 에어컨 컴프레서를 기동할 때 전류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종래의 전류 제한소자를 이용한 제어기가 장착된 에어컨 컴프레서를 기동할 때 전류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종래의 전류제한소자와 세멘트(세라믹) 저항을 이용한 제어기가 장착된 에어컨 컴프레서를 기동할 때 전류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제한소자와 리액터를 이용한 제어기가 장착된 에어컨 컴프레서를 기동할 때 전류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50,100,100' ... 컴프레서 11,51,110,110' ... 주코일
12,52,120,120' ... 기동코일 20,60,320,320' ... 기동콘덴서
30 ... 스위치 40 ... 전원
70,410,410' ... 전류제한소자 80,500,500' ... 순차제어회로
91,92,210,210',220,220',230,230' ... 릴레이
310,310' ... 운전콘덴서 420 ... 리액터
600 ... 기판 700 ... 방열 케이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컴프레서의 돌입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제어기의 개략적인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기의 구성은 돌입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와 저항을 구성하는 전류제한소자(410) 및 릴레이(420)가 함께 도시되어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전류제한소자(410)와 릴레이(420)는 회로 기판(600)과 별도의 일 모듈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전류제한소자(410)와 릴레이(420)를 별도의 모듈로 구성하는 이유는 전류제한소자(410)가 발열 특성을 갖는 저항체 이기 때문에 통전시 전류제한소자(410)에서는 열이 발생되고, 이러한 열은 용량이 크면 클수록 높아지기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제어기의 회로 자체의 성능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되어 그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전류제한소자(410)의 저항값은 리액터(420)의 임피던스의 약 0.5배 내지 5배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전류제한소자(410)의 저항값과 리액터(420)의 임피던스 값은 에어컨 컴프레서(100)의 출력에 대비하여 아래 표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저항값과 임피던스 값은 본 발명의 단순한 실험치로 이러한 값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부하출력 전류제한소자의 저항값 리액터의 임피던스 값
2.0Kw 5 내지 20 Ω 1 내지 15 Ω
3.0Kw 2 내지 40 Ω 1 내지 10 Ω
4.0Kw 1 내지 30 Ω 0 내지 7 Ω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방열 케이스(700)에 덮여진 상태로 구성되는전류제한소자(410)는 그 자체의 순수저항 성분이 거의 0에 가깝기 때문에 발열이 거의 되지 않는 리액터(420)와 함께 직렬로 구성되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정상 온도로 회복될 수 있고, 따라서 보다 안정적인 전류의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는 컴프레서(100)의 주코일(110)에는 주코일(110)을 따라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210)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210)에는 저항을 구성하는 전류제한소자(410)와 리액터(420) 그리고 상기 전류제한소자(410) 및 리액터(420)를 보호하기 위한 릴레이(220)가 직렬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저항을 구성하는 전류제한소자(410)와 리액터(420)는 상기 릴레이(220)와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컴프레서(100)의 기동코일(120)에는 운전콘덴서(310) 그리고 기동콘덴서(320) 및 기동콘덴서(320)를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230)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기동콘덴서(320)와 릴레이(230)는 운전콘덴서(310)와 병렬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각 릴레이(210,220,230)는 순차제어회로(500)에 연결되어 상기 순차제어회로(500)에 의해 제어된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제어기의 구성은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220')와 저항(전류제항소자(410') 및 리액터(420'))이 주코일(110')에 직렬로 연결되고, 그 다음 주코일(110')을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210')가 직렬로 연결된다.
그리고 기동코일(120')에는 직렬로 연결된 기동콘덴서(320')와 릴레이(230')에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310')가 연결된다. 상기 각 릴레이(210',220',230')는 순차제어회로(500')에 의해 제어된다.
즉, 도 3b에 도시된 제어기는 도 3a에 도시된 제어기와 단지 릴레이(210',230')의 위치만 바뀌었을 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최초 에어컨을 구동할 때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제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우선 처음 전원이 인가되면, 컴프레서(100,100')의 주코일(110,110')과 기동코일(120,120')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주코일(110,110')에 직렬로 연결되어 주코일(110,110')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210,210')는 접점과 떨어져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전류를 차단하게된다.
따라서 전류는 컴프레서(100,100')의 기동코일(120,120')을 따라 흐르게 되고, 이때 기동콘덴서(320,320')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230,230')는 접점되어 운전콘덴서(310,310')와 기동콘덴서(320,320') 모두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 운전콘덴서(310,310')와 기동콘덴서(320,320')의 용량은 에어컨의 용량에 따라 약 60μF 내지 300μF으로 하고, 운전콘덴서(310,310')의 용량을 30μF 내지 100μF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하 출력을 3.8Kw로 하였으며, 초기 구동시 기동코일(120,120')로 약 30A의 전류가 흐르게 하였다.
상기 기동콘덴서(320,320')와 운전콘덴서(310,310')에 충전이 일어나 상기 각 콘덴서(310,320,310',320')가 기동코일(120,120')과 공진 조건이 최고에 달하게되고, 이때 상기 기동코일(120,120')에 에어컨의 기동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전류(예를 들어 약 20 내지 40A)가 흐르게 된다. 이 순간 순차제어회로(500,500')는 주코일(110,110')에 직렬로 연결된 릴레이(210,210')에 신호를 주게되고, 상기 릴레이(210,210')의 작동에 의해 주코일(110,110')와 전류제한소자(410,410') 및 리액터(420,420')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즉, 상기 컴프레서(100,100')가 정상적인 기동을 하게된다.
이때 상기 전류제한소자(410,410') 및 리액터(420,420')와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220,220')는 접점이 떨어진 상태이다. 그리고 이때 발생되는 돌입전류는 컴프레서(100,100')의 전체 돌입전류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즉, 상기 기동코일(120,120')이 먼저 통전되어 상기 각 콘덴서(310,320,310',320')를 통해 전류량을 감소시키고, 다시 상기 전류제한소자(410,410')와 리액터(420,420') 모듈을 통해 전류량을 재차 감소기키게 되어 컴프레서(100,100')에 발생되는 전체적인 순간 돌입전류는 컴프레서(100,100')가 가지는 값의 50% 이하가 된다.
상기 과정을 거쳐 컴프레서(100,100')가 완전히 기동되면, 순차제어회로(500,500')는 상기 기동콘덴터(320,320')를 제어하는 릴레이(230,230')를 제어하여 기동콘덴서(320,320')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여 운전콘덴서(310,310') 만으로 정상적인 운전을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230,230')의 접점을 끊어버리는 동시에 상기 순차제어회로(500,500')는 전류제한소자(410,410')와 리액터(420,420')의 모듈과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220,220')가 접점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릴레이(220,220')를 접점시키는 이유는 상기 전류제한소자(410,410')와 리액터(420,420')의 모듈로 많은 용량의 전류가 지속적으로 흐르게 되면, 발열 특성을 갖는 상기 전류제한소자(410,410')가 손상될 우려가 있거나 또는 에어컨을 정지한 후에 다시 기동할 경우 전류제한소자(410,410')가 정상적인 온도로 회복되지 않은 상태가 되어 기능을 다 할 수 없기 때문에 전류를 분산하여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제어기를 통해 3.8Kw의 출력 부하를 기동할 경우 발생되는 돌입전류의 크기를 기존의 회로와 비교하여 오실로 그래프로 출력하여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하였다. 이러한 비교는 동일한 환경, 즉, 출력량을 동일하게 하고 동일장소에서 시험하였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반적인 에어컨 컴프레서를 기동할 때 전류류는 최대 159.56A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그래프를 통해 마그네트 스위치를 작동함과 동시에 상당히 과도한 순전 돌입전류가 발생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는 전류제한소자를 장착한 에어컨 컴프레서를 기동할 때의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나타내었으며, 이때 발생되는 돌입전류는 116.52A임을 알 수 있다.
도 8에는 전류제한소자와 세멘트 저항을 장착한 에어컨 컴프레서를 기동할 때의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나타내었으며, 이때 발생되는 돌입전류는 99.32A임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돌입전류 제어방법을 이용하는 제어기로 에어컨 컴프레서를 기동할 때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생되는 돌입전류는 컴프레서가 정상적으로 기동되기 시작하는 부분, 즉 주코일에 연결된 릴레이(210,210')가 작동되는 순간 발생된다. 이때 발생되는 돌입전류는 50.39A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험을 통해 출력량이 크면 클수록 발생되는 돌입전류의 크기는 더욱더 커지게 되므로 종래의 방식으로는 돌입전류를 제어하기 어려우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충분히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에어컨용 컴프레서(2Kw급 이상)는 대략 60A 내지 150A 정도의 순간 돌입전류가 발생되나 본 발명에 의하면 돌입전류의 수치가 20A 내지 45A 정도로 현저히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컴프레서의 돌입전류 제어방법 및 제어기는 대부분 주코일 측에서 발생되는 돌입전류가 초기 기동코일 쪽으로 분배되어 컴프레서의 총 기동전류가 감소되고, 재차 주코일 쪽으로 통전이 되더라도 전류제한소자와 리액터 모듈에 의해 다시 과전류가 흡수되기 때문에 컴프레서 전체의 돌입전류가 현저히 제어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주코일 쪽의 저항을 이루는 전류제한소자와 리액터를 별도의 모듈로 구성하기 때문에 전류제한소자에 발생되는 열을 빨리 정상적인 온도로 회복시켜 보다 안정적인 기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회로 및 전류제한소자와 리액터 모듈로 컴프레서에 대한 모든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므로 불필요한 마그네틱 스위치를 제거할 수 있어 원가절감을 할 수 있으며 컴프레서 제어용 전장박스의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컴프레서의 돌입전류 제어방법 및 제어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주코일과 기동코일을 갖는 컴프레서를 구비하고 순차제어회로에 의해 릴레이가 제어되는 회로로 구성된 제어기로 에어컨 컴프레서에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감소시키는 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주코일(110)에는 릴레이(210)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210)에는 저항을 구성하는 전류제한소자(410)와 리액터(420) 그리고 상기 전류제한소자(410) 및 리액터(420)를 보호하기 위한 릴레이(220)가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저항을 구성하는 전류제한소자(410)와 리액터(420)는 상기 릴레이(220)와 병렬로 연결되게 구성되고;
    상기 기동코일(120)에는 운전콘덴서(310) 그리고 기동콘덴서(320) 및 기동콘덴서(320)를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230)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기동콘덴서(320)와 릴레이(230)는 운전콘덴서(310)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각 릴레이(210,220,230)는 순차제어회로(500)에 연결되어 제어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컴프레서의 돌입전류 제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코일(110) 쪽의 저항을 구성하는 전류제한소자(410)와 릴레이(420)는 회로 기판(600)과 별도의 일 모듈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제한소자(410)의 저항값은 리액터(420)의 임피던스의 약 0.5배 내지 5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서(100)의 부하출력이 2.0Kw일 경우 전류제한소자(410)의 저항값은 5 내지 20 Ω이고, 리액터(420)의 임피던스 값은 1 내지 15 Ω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서(100)의 부하출력이 3.0Kw일 경우 전류제한소자(410)의 저항값은 2 내지 40 Ω이고, 리액터(420)의 임피던스 값은 1 내지 10 Ω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서(100)의 부하출력이 4.0Kw일 경우 전류제한소자(410)의 저항값은 1 내지 30 Ω이고, 리액터(420)의 임피던스 값은 0 내지 7 Ω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7. 주코일과 기동코일을 갖는 컴프레서를 구비하고 순차제어회로에 의해 릴레이가 제어되는 회로로 구성된 제어기로 에어컨 컴프레서에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감소시키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에어컨에 전원이 인가되면 주코일(110)에 직렬로 연결된 릴레이(210)는 접점이 떨어져 있는 상태로 유지되고, 기동콘덴서(320)와 직렬로 연결된릴레이(230,230')는 접점되어 컴프레서(100)의 기동코일(120) 쪽으로 만 전류가 흐르게 하여 운전콘덴서(310)와 기동콘덴서(320) 모두에 전류가 흐르게 하는 단계;
    상기 기동콘덴서(320)와 운전콘덴서(310)에 충전이 발생되어 각 콘덴서(310,320)가 기동코일(120)과 공진 조건이 최고에 달하게 되면, 순차제어회로(500)에 의해 상기 릴레이(210)를 접점시켜 전류제한소자(410) 및 리액터(420)를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하므로 상기 컴프레서(100)가 정상적인 기동을 하게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 의해 컴프레서(100)가 완전히 기동되면, 순차제어회로(500)에 의해 상기 기동콘덴터(320)와 직렬로 연결된 릴레이(230)의 접점을 차단시켜 운전콘덴서(310) 만으로 운전을 하게 하고, 동시에 전류제한소자(410) 및 리액터(420)의 모듈과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220)를 접점되게 하여 컴프레서(100)를 정상적으로 운전할 수 있게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컴프레서(10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그 양을 순차적으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컴프레서의 돌입전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제한소자(410)의 저항값은 리액터(420)의 임피던스의 약 0.5배 내지 5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서(100)의 부하출력이 2.0Kw일 경우 전류제한소자(410)의 저항값은 5 내지 20 Ω이고, 리액터(420)의 임피던스 값은 1 내지 15 Ω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서(100)의 부하출력이 3.0Kw일 경우 전류제한소자(410)의 저항값은 2 내지 40 Ω이고, 리액터(420)의 임피던스 값은 1 내지 10 Ω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서(100)의 부하출력이 4.0Kw일 경우 전류제한소자(410)의 저항값은 1 내지 30 Ω이고, 리액터(420)의 임피던스 값은 0 내지 7 Ω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KR10-2000-0077654A 2000-12-18 2000-12-18 에어컨 컴프레서의 돌입전류 제어방법 및 제어기 KR100372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654A KR100372056B1 (ko) 2000-12-18 2000-12-18 에어컨 컴프레서의 돌입전류 제어방법 및 제어기
AU1643602A AU1643602A (en) 2000-12-18 2001-12-13 Controller for a inrush current of air-conditioner compressor and thereof controlling method
AU2002216436A AU2002216436B2 (en) 2000-12-18 2001-12-13 Controller for a inrush current of air-conditioner compressor and thereof controlling method
PCT/KR2001/002154 WO2002050477A1 (en) 2000-12-18 2001-12-13 Controller for a inrush current of air-conditioner compressor and thereof controll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654A KR100372056B1 (ko) 2000-12-18 2000-12-18 에어컨 컴프레서의 돌입전류 제어방법 및 제어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432U Division KR200229439Y1 (ko) 2000-12-18 2000-12-18 에어컨 컴프레서의 돌입전류 제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510A KR20020048510A (ko) 2002-06-24
KR100372056B1 true KR100372056B1 (ko) 2003-02-15

Family

ID=19703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654A KR100372056B1 (ko) 2000-12-18 2000-12-18 에어컨 컴프레서의 돌입전류 제어방법 및 제어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72056B1 (ko)
AU (2) AU2002216436B2 (ko)
WO (1) WO20020504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97011B1 (en) 2008-12-12 2013-08-07 ABB Research Ltd. Drive system for operating an electric device
US9219365B2 (en) * 2010-08-26 2015-12-22 Oscar E. Ontiveros Controller for reducing electricity demand spik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1520A (ja) * 1982-06-04 1983-12-09 Nissan Motor Co Ltd 電動ラジエ−タフアンモ−タ回路
JPH0454469U (ko) * 1990-09-07 1992-05-11
KR19990069235A (ko) * 1998-02-05 1999-09-06 윤종용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11296238A (ja) * 1998-04-08 1999-10-29 Okuma Corp 電源回路
JP2000092695A (ja) * 1998-09-11 2000-03-31 Murata Mfg Co Ltd 突入電流抑制回路および素子
KR200229439Y1 (ko) * 2000-12-18 2001-07-19 최 윤 식 에어컨 컴프레서의 돌입전류 제어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0337A (ja) * 1991-01-21 1992-08-2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960002564B1 (ko) * 1992-04-30 199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축기 제어회로
JPH07284271A (ja) * 1994-04-05 199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1520A (ja) * 1982-06-04 1983-12-09 Nissan Motor Co Ltd 電動ラジエ−タフアンモ−タ回路
JPH0454469U (ko) * 1990-09-07 1992-05-11
KR19990069235A (ko) * 1998-02-05 1999-09-06 윤종용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11296238A (ja) * 1998-04-08 1999-10-29 Okuma Corp 電源回路
JP2000092695A (ja) * 1998-09-11 2000-03-31 Murata Mfg Co Ltd 突入電流抑制回路および素子
KR200229439Y1 (ko) * 2000-12-18 2001-07-19 최 윤 식 에어컨 컴프레서의 돌입전류 제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50477A1 (en) 2002-06-27
AU2002216436B2 (en) 2005-03-03
KR20020048510A (ko) 2002-06-24
AU1643602A (en) 200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9786C2 (ru) Электронный предохранитель блока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US8598820B2 (en) Surge current protection circuit and motor using the same
EP0571956A1 (en) Circuit for starting single-phase AC induction motor
US5657194A (en) Circuit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setting a solid state relay
WO2015164686A1 (en) Control system for an induction motor
JP4318662B2 (ja) 保護回路,電源装置
CN111727487B (zh) 直流电断路器
US5606246A (en) Power supply unit for vehicles
KR100372056B1 (ko) 에어컨 컴프레서의 돌입전류 제어방법 및 제어기
KR200229439Y1 (ko) 에어컨 컴프레서의 돌입전류 제어기
EP2104198B1 (en)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Protection Of Superconducting Generators For Power Applications
US6122154A (en) Motor starting device and protector module with motor starter cut-out switch
JP2003169474A (ja) 電源装置
CN101868842B (zh) 用于保护受控开关中的线圈结构的系统和方法
CN113557161B (zh) 高电压辅机及高电压辅机控制系统
CN111630748B (zh) 转换装置
DE102005020673A1 (de) Auswerte- und Steuerelektronik für DC-Motoren
JP2001339918A (ja) 過負荷保護装置および過負荷保護装置を備えた密閉型電動圧縮機
CN217159364U (zh) 供电电路、电机驱动系统和运动控制设备
CN219697307U (zh) 一种电机控制器的电源输入电路、电机控制器及汽车
KR20050034259A (ko) 돌입 전류 방지 회로
CN217270572U (zh) 一种起动机控制保护装置
DE102007017581A1 (de)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s kaltleitenden elektrischen Lastelementes
EP2179495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ergizing an electric motor auxiliary winding and electric motor
SU1483443A1 (ru)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опитани магниторазр дного насос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