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847B1 - 휴대폰의 전자파 차단용 출력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전자파 차단용 출력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847B1
KR100371847B1 KR10-2000-0065430A KR20000065430A KR100371847B1 KR 100371847 B1 KR100371847 B1 KR 100371847B1 KR 20000065430 A KR20000065430 A KR 20000065430A KR 100371847 B1 KR100371847 B1 KR 100371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ase
output
electromagnetic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8050A (ko
Inventor
정관영
Original Assignee
정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관영 filed Critical 정관영
Priority to KR10-2000-0065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847B1/ko
Publication of KR20010008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8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6Electromagnetic 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7/00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means for shaping the antenna pattern, e.g. in order to protect user against rf expo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을 사용함에 있어 발생되는 유해전자파의 인체(두뇌)에 대한 그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발명된 전자파 차단용 출력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휴대폰에서 방사되는 전자파 발생의 최대포인트가 기판에서 안테나로 연결되는 전파출력부(15, 16)이며 그 부위는 사람의 두뇌와 밀착되어 치명적인 폐해를 가져오는 바 직접적인 영향을 차단하고 전자파의 영향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특성에 기인하여 방사의 위치 및 각도를 최대한 멀리하여 폐해를 줄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폰의 구성에서 본체(10)와 전자파 차단장치(20) 및 안테나(30)로 구분하되 본체기판(12)에서 전파출력부(15)를 통하여 차단용 출력케이스(22)를 이루고 차단용 출력케이스(22)의 내부를 전도성 재료로서 코팅을 하여 다시 전파출력부(15)와 접지연결하고 이어서 안테나지지 접속부(31) 및 숏안테나(32)를 통하여 전파를 송, 수신하는 방식이며 전자파의 영향 및 피해에 대하여 차단장치 및 안테나의 각도조절을 통하여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의 전자파 차단용 출력케이스{ Mobilephone Electromagnetic-Wave Shielding Output-Case }
본 발명은 휴대폰을 사용함에 있어서 이동통신 기지국과 휴대폰간의 송, 수신상에서 발생되는 유해전자파의 인체(두부)에 대한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전자파 차단용 출력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에서 방사되는 전자파 출력의 최대포인트는 기판에서 안테나로 연결되는 전파출력부분이며 이 출력부분에서 발생되는 유해전자파를 차단용 출력케이스를 통하여 안테나를 경유하여 외부로 방출시키고 휴대폰에서 방사되는 전자파의 영향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특성에 기인하여 안테나와 두부 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멀리하면서 안테나의 방사각도를 이동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받도록 하여 SAR(인체흡수율)의 기준을 감소시키고 두뇌부분에 대한 직접적인 전자파의 폐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차단용 출력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폰의 조립구조는 이동통신기지국과 휴대폰간의 송, 수신상 감도의 향상만을 목적으로 연구개발 되어왔고 휴대폰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의 유해성과 안전기준에는 관심이 미흡했으며 그런 이유로 전자파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근본적인 방법이 제시되지 못 하고 있으며 다만 휴대폰케이스에 전자파를 흡수하는 스티카를 부착하여 전자파로부터의 폐해를 줄이고자 하였으나 전자파 출력의 최대포인트인 전파출력지지단자와 안테나의 연결지점과 안테나의 끝부분에서 직접적으로 방사되는 전자파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없으므로 안전한 수준에서 그 피해를 기대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휴대전화의 급속한 보급 등으로 휴대폰사용에 의한 전자파가 인체에 미칠 영향에 대한 불안감이 각국에서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으며 인체가 강한 전자파에 노출되었을 경우 심부체온의 상승과 강한 쇼크에 의한 신경근육의 흥분 등 뇌종양 및 각종 장애에 따른 병의 원인을 휴대 전화의 사용에 기인한 것으로일으킨 소송 및 유사한 보도를 계기로 이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현재 법적강제성을 가지고 규제기준이 정해진 나라는 없으나 최근에 세계적인 휴대폰 제조업체들이 SAR기준 측정치를 공지한다는 보도가 나왔으며 국내에서도 전자파에 대한 인체보호 및 대외 수출상의 문제점 등을 감안할 때 SAR기준에 대한 강제적용이 불가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본적인 송, 수신 감도를 유지시키면서 본체출력부로부터 두부쪽에 직접적으로 방출되는 전자파의 영향권을 감소시키고 방사위치를 최대한 멀게하며 안테나의 각도를 이동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게하여 그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함이며 더불어 안테나의 지지대가 본체에서 튀어나온 부분이 휴대폰의 내부에 속하게 되고 차폐용 출력케이스 내부에 숏안테나 및 초소형 벌크안테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불편함을 완전히 해결하고 유해 전자파로부터 사람의 두뇌부위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켜 안전한 상태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분리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확대부분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본체기판과 분리상태의 확대부분 측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본체기판과 적용상태의 확대부분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의 측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의 인체에 미치는 전자파의 영향도
도 6b는 본 발명이 적용되기 이전 기존 형태의 인체에 미치는 전자파의 영향도<도면의 주요부호의 설명>11 : 전면케이스 12 : 기판 13 : 후면케이스14 : 충전지 15 : 전파출력부 16 : 전파출력지지단자21 : 전도체도금 22 : 차단용 출력케이스 23 : 출력부연결홈24 : 기판접촉면 31 : 안테나지지 접속부 32 : 숏안테나40 : 인체두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는휴대폰의 전자파 차단장치(20)에 있어서, 본체기판(12)의 배면에 위치한 전파출력부(15)에 전자파 차폐용 금속인 케이스(22)를 접속설치하고 그 내부에 안테나(30)를 체결하여 전자파를 차단시키며, 또한 상기 전파출력부(15)에 접속 설치된 차단용 케이스(22)는 기판(12)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15°∼ 30°범위 내에 설치되어 전자파의 방사방향을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용 출력케이스가 휴대폰 내부에서 전면케이스와 후면케이스 사이에 위치한 기판의 배면에 접촉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참조부호 11은 기능선택버튼과 액정보호판이 부착된 휴대폰 전면케이스이고 참조부호 12는 기능선택버튼에 의하여 조작되어지는 각종IC부품과 전파를 송출하는 출력부분을 이루는 기판이며 참조부호 13은 기판과 차단용 출력케이스에 결합되는 후면케이스이고 참조부호 21은 전파출력부로부터 차단용 출력케이스를 통하여 안테나 쪽으로 전파를 원활하게 송출시키기 위해서 차단용 출력케이스의 내부를 전도체로서 도금을 한 부분이며 참조부호 22는 전파출력부로부터 두부 쪽으로 방사되는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하여 제작된 차폐용 금속케이스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케이스(11)는 기판(12)의 전면과 조립되고 기판(12)의 배면과 그 위에 접속되어진 차단용 출력케이스(22) 및 안테나(30)는 후면케이스(13)와 조립되어지며 후면케이스(13)의 배면에 최종적으로 충전지(14)가 조립되어지며 도 2는 위의 부분들이 정상적으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a, 도 4b는 차단용 출력케이스(22)와 기판(12)과의 접촉면(24)과 기판(12)에 위치한 전파출력부(15)가 차단용 출력케이스(22)로 통하는 출력부연결홈(23)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전파출력부(15)와 차단용 출력케이스(22)가 적용되는 과정에서의 차단용 출력케이스(22) 내부에서 전파출력부(15)와 전도체도금(21) 부분과의 접촉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장치가 휴대폰 내부에서 적용되어진 것을 전반적으로 도시하는 측 단면도이다. 도 5에서 참조부호 31은 안테나를 지지하면서 차단용 출력케이스 내부에서 전도체로 도금한 부분과 접속되는 나사형 부분이며 참조부호 32는 전파를 원활하게 송출하기 위하여 단계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소형안테나이며 안테나지지접속부 내에 속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장치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본체기판(12)의 배면에 위치한 전파를 송출하는 전파출력부(15)에서 차단용 출력케이스(22)로 연결되는 출력부연결홈(23)을 통하여 차단용 출력케이스(22)의 내부에 전도체도금(21) 부분과 접점을 이루게 하고 전파는 이 접점을 통하여 차단용 출력케이스(22)의 내부로 흐르게 되며 차단용 출력케이스(22)의 내부면(21)과 안테나지지 접속부(31)의 바깥면이 나사형으로 접속되며 전파를 송출하는 안테나(32)는 단계적으로 접혀져 안테나지지 접속부(31)의 내부에 위치하며 필요에 의해 추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6a 는 전자파 차단장치(20)를 적용시킨 상태에서 인체두부에 미치는 전자파의 영향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6b 는 전파출력지지단자(16)와 안테나(30)가 직접연결된 기존 접속방식에 의한 전자파의 영향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내용으로 본 발명의 효과는 전파출력부(15)로부터 두부(40)에 직접적으로 방사되는 유해전자파를 차단용 출력케이스(22)로서 감소시키고 방사위치를 최대한 멀리하며 기존의 인체두부(40)와 평행한 안테나(30)의 각도를 차단용 출력케이스(22) 내부면의 각도에 의거하여 자연적으로 기판(12)면을 기준하여 15°∼ 30°정도 아래쪽으로 기울게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게되며 안테나지지대(31)가 본체(10)에서 위로 튀어나와 불편했던 것을 내부에 안착하여 완전히 해소하고 안테나(32)의 길이를 짧게하여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과 실용성을 겸한 효과가 있으며 기존의 전파출력단자(16)로부터 아무런 저항없이 방사되는 유해전자파를 안테나의 각도와 차단장치로 하여금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휴대폰의 전자파 차단장치(20)에 있어서,
    본체기판(12)의 배면에 위치한 전파출력부(15)에 전자파 차폐용 금속인 케이스(22)를 접속설치하고 그 내부에 안테나(30)를 체결하여 전자파를 차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용 출력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출력부(15)에 접속 설치된 차단용 케이스(22)는 기판(12)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15°∼ 30°범위 내에 설치되어 전자파의 방사방향을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용 출력케이스.
KR10-2000-0065430A 2000-11-04 2000-11-04 휴대폰의 전자파 차단용 출력케이스 KR100371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430A KR100371847B1 (ko) 2000-11-04 2000-11-04 휴대폰의 전자파 차단용 출력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430A KR100371847B1 (ko) 2000-11-04 2000-11-04 휴대폰의 전자파 차단용 출력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050A KR20010008050A (ko) 2001-02-05
KR100371847B1 true KR100371847B1 (ko) 2003-02-11

Family

ID=19697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430A KR100371847B1 (ko) 2000-11-04 2000-11-04 휴대폰의 전자파 차단용 출력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8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4023B2 (en) 2018-02-14 2020-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upled to opening of bracket for adjusting resonance generated from the open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601U (ko) * 1997-06-20 1999-01-15 김영환 휴대폰 안테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601U (ko) * 1997-06-20 1999-01-15 김영환 휴대폰 안테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4023B2 (en) 2018-02-14 2020-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upled to opening of bracket for adjusting resonance generated from the ope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050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2584B2 (en) External case for redistribution of RF radiation away fro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orporating RF radiation redistribution elements
US5546094A (en) Telescopic antenna for portable telephones
KR100782512B1 (ko) 전자파 흡수율을 개선한 휴대 단말기
WO1996027915A1 (en) Antennas for safer hand-held radios
JP2002151923A (ja) 携帯端末機
US20040023682A1 (en) Mobile phone having reduced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using an antenna housed to ensure enhanced antenna gain
US7760147B2 (en) Antenna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US7474269B2 (en) Antenna with low SAR
KR100758633B1 (ko) 돔 스위치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20037261A (ko) 비흡수율의 개선을 위한 휴대단말기
JP2002026627A (ja)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型無線端末
US9905917B2 (en) Antenna device
CN102006766A (zh) 一种移动终端及降低其电磁波能量吸收比的方法
KR100371847B1 (ko) 휴대폰의 전자파 차단용 출력케이스
KR20030027512A (ko)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
KR20100009158A (ko) 비흡수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
KR2005002989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구조
KR100401125B1 (ko) 안테나를 케이스의 내부에 높은 안테나이득을 얻는 구조로장착하여 전자파 흡수율을 감소시킨 휴대폰
KR100378600B1 (ko) 단말기용 고정형 광대역 안테나 시스템
KR100578465B1 (ko) 전자파 저감이 가능한 안테나 셋 및 이 안테나 셋이장착된 휴대폰
KR20080034613A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Shoaib et al. EMC/I Analysis of Miniaturized Bio-Mechanical Sports Wearables
KR20010000456A (ko) 에스에이알 저감을 위한 휴대폰용 헬릭스 안테나
TW201814958A (zh) 金屬通訊裝置之天線結構
KR100372890B1 (ko) 안테나를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하여 전자파흡수율을감소시킨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