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646B1 - 신축시이트 및 그를 이용한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신축시이트 및 그를 이용한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646B1
KR100371646B1 KR10-2000-0035789A KR20000035789A KR100371646B1 KR 100371646 B1 KR100371646 B1 KR 100371646B1 KR 20000035789 A KR20000035789 A KR 20000035789A KR 100371646 B1 KR100371646 B1 KR 100371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waterproof
water tank
base plate
pl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5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1298A (ko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10-2000-0035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646B1/ko
Publication of KR20020001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1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6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corrosion by soil or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저수조용 구조물의 내면에 설치된 방수시이트가 훼손됨이 없이 방수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서, 저수조용 구조물에서 조기에 누수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줄 뿐만 아니라,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층에 대한 보수작업의 횟수를 대폭적으로 줄여서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축시켜 주는 신축시이트 및 그를 이용한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기술구성상의 특징은; 합성수지를 소재로하여 일정한 강도를 나타내는 두께와 유연성을 가지며 적절한 넓이를 가지도록 성형된 바탕판체(110)로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바탕판체(110)의 양측 끝단부에 소정의 폭으로서 평활한 일측 및 타측 접합단부(120)(130)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일측 및 타측 접합단부(120)(130)를 경계로하여 상기 바탕판체(110)의 중간에 소정의 형상으로서 굴곡지는 주름부(140)를 형성하여서, 상기 바탕판체(110)의 수축작용에 대하여 주름부(140)가 능동적으로 신축 대응하도록 한 신축시이트 및;
저수조용 구조물(1)의 양측벽(1a), 양마구리벽(1b), 바닥면(1c)에 일정한 공간부를 확보하여 두고 평활한 방수시이트(200)들을 배치 고정시켜서 설치하고, 상기 방수시이트(200)들 사이에 확보된 공간부에 주름부(140)를 가지는 신축시이트(100)들을 각각 배치시키고 일체로 용착하여서, 상기 저수조용 구조물(1)의 내면에 방수시이트(200)와 신축시이트(100)가 교대로 배치되는 신축성 방수층(2)을 이루도록 시공한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이다.

Description

신축시이트 및 그를 이용한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Expansible Water-Proof Joint Sheet and Method of Water-Proofing the Water Tank Thereby}
본발명은 저수조용 구조물 내부의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되는 방수시이트 사이에 설치되어서, 그 방수시이트의 수축작용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신축 대응하는 신축시이트 및 그를 이용한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저수조용 구조물은 구조적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한 철근콘크리트로서 시공되는 바, 이러한 저수조용 구조물은 수분이 투과되는 철근콘크리트의 재질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자체적인 방수능력이 결여되어서 반드시 별도의 방수공사를 실시하여야 할 대상으로 인식되어 있다.
이전의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사는 그 저수조용 구조물의 내표면에 주로 에폭시수지를 소재로한 방수도료를 도포하여서 비교적 간편하게 방수층을 시공하였으나, 이 방수도료는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저수조용 구조물의 내표면으로부터 쉽게 박리되어서 수명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방수도료의 소재인 에폭시수지가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을 생성시키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층 시공용도로서 사용을 기피하는 실정에 있다.
최근에는 방수시이트를 이용한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으며, 본 출원인도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과 관련하여 수차례 제안하여서 특허받은 사실이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이 제안한 것 중에는 특허출원 제98-9288호로 출원하여 공개번호 제98-19445호로서 선출원공개된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이 있다.
이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은 도1 및 도2의 도시와 같이, "구조물(10)의 내면에 적절한 폭을 가지는 방수성 바탕시이트(20)를 고정하되 그 시이트(20)의 일측은 자유단이 되고 그 시이트(20)의 타측은 고정수단(30)으로 고정되는 고정단이 되며 서로 이웃하는 시이트(20)들간에 이음부(A)를 가지도록 고정하는 바탕시이트의 고정공정과, 상기 바탕시이트(20)의 이음부(A)에 상기 고정수단(30)을 충분히 덮여주도록 배치되며 상기 자유단 및 고정단에 그 끝단부들이 수밀하게 용착되며 그 가운데는 인장력을 받을 때에 신축가능한 신축부(41)를 가지는 신축연결띠(40)를 용착하는 신축연결띠의 용착공정을 수행하여서 됨을 기술요지로 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에 의하면, 저수조용 구조물(10)의 내면에 바탕시이트(20)로서 방수층을 형성하여서 우수한 방수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바탕시이트(20)들의 이음부(A)마다 신축이 가능한 신축연결띠(40)를 용착시켜서 저수조용 구조물(10)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온도에 따라 수축되는 시이트(20)의 찢어짐을 방지하여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에 있어 바탕시이트(20)들의 이음부(A)에 용착되는 신축연결띠(40)는, 그 바탕시이트(20) 자체의 수축작용을 감당하기에 역부족하여서 방수층을 심각하게 훼손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탕시이트(20)는 저수조용 구조물(10)을 이루는 철근콘크리트와 대비하여 약 10배 정도의 커다란 수축률을 가지는 데 비하여, 신축연결띠(40)는 바탕시이트(20)의 이음부(A)에서 극히 제한된 폭으로서 신축작용하게 되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현실적으로 신축연결띠(40) 만으로는 바탕시이트(20)의 수축작용에 대하여 융통성있게 대응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저수조용 구조물(10)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온도변화에 따라 바탕시이트(20)가 수축되면, 그 바탕시이트(20) 자체가 찢어지거나 신축연결띠(40)의 접합부위가 단락됨에 따라 방수층이 훼손되어서 방수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본발명은 저수조용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수시이트의 수축작용에 대한 신축 조절폭을 극대화하여 주도록 구성하여서, 저수조용 구조물 내부에서 방수시이트가 훼손됨이 없이 방수능력을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신축시이트 및 그를 이용한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종래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을 발췌한 확대단면도
도3는 본발명의 신축시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발명의 신축시이트를 설치한 시공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신축시이트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6은 본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신축시이트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7은 본발명의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을 나타낸 것임
도8은 본발명의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에 따른 연결용 시이트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발췌 사시도
도9는 본발명의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에 따른 마구리용 시이트의 설치상태 를 예시한 발췌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신축시이트 110: 바탕판체
120: 일측 접합단부 130: 타측 접합단부
140: 신축주름 141: 굴곡파형
142: 공극부 143: 접착성수지
144: 접합절첩부 145: 자유절첩부
본발명도 합성수지를 소재로하여 일정한 강도를 나타내는 두께와 유연성을 가지며 적절한 넓이를 가지도록 성형된 바탕판체(110)로서 이루어진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발명의 신축시이트(100)는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바탕판체(110)의 양측 끝단부에 소정의 폭으로서 평활한 일측 및 타측 접합단부(120)(130)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일측 및 타측 접합단부(120)(130)를 경계로하여 상기 바탕판체(110)의 중간에 소정의 형상으로서 굴곡지는 주름부(140)를 형성하여서, 상기 바탕판체(110)의 수축작용에 대하여 주름부(140)가 능동적으로 신축 대응하도록 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다시말해서, 본발명의 신축시이트(100)는 도4의 도시와 같이, 그 바탕판체(110)의 중간에 일측 및 타측 접합단부(120)(130)를 가져서 저수조용 구조물(1) 내면의 방수시이트(200)들 사이에 일체로 융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그 일측 및 타측 접합단부(120)(130)를 경계로하여 주름부(140)를 형성하여서 신축 조절폭이 대폭적으로 향상된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하여서, 저수조용 구조물(1)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온도변화에 따른 방수시이트(200)의 수축작용을 효율적으로 완충하여서 찢어지거나 단락됨을 방지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발명의 신축시이트(100)는 저수조용 구조물(1)의 내면에 설치된 방수시이트(200)가 훼손됨이 없이 원래의 방수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저수조용 구조물(1)에서 조기에 누수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줄 뿐만 아니라, 저수조용 구조물(1)의 방수층에 대한 보수작업의 횟수를 대폭적으로 줄여서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축시켜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바탕판체(110)는 화학적인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수지로 성형하여서,저수조용 구조물(1) 내에서 접촉되는 내용물에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을 생성시키게 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측 및 타측 접합단부(120)(130)는 상기 바탕판체(110) 양측의 끝단부에 형성되어서, 서로 맞대어서 접착제나 열융착하여서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는 정도의 평활한 접합면적을 확보하여 준다.
상기 주름부(140)는 상기 일측 및 타측 접합단부(120)(130) 사이의 바탕판체(110) 중간에 굴곡 형성되도록 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저수조용 구조물(1)의 내면에 설치된 방수시이트(200)들이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되면, 그 방수시이트(200)들의 수축률에 따라 상기 주름부(140)가 균등하게 신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주름부(140)는 상기 바탕판체(110) 중간에 연속 반복적으로 배열 형성되는 굴곡파형(141)들로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주름부(140)는 도5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상기 바탕판체(110) 중간에 수개의 굴곡파형(141)들을 1개조로하여 공극부(142)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배열 형성하여서 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주름부(140)는 도6의 도시와 같이, 상기 바탕판체(110)의 중간에 접착성수지(143)가 채워진 접합절곡부(144)를 두고 다시 자유절곡부(145)로 연이어지게 형성하여서 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발명의 신축성 방수시이트를 이용한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7의 도시와 같이, 저수조용 구조물(1)의 양측벽(1a), 양마구리벽(1b), 바닥면(1c)에 일정한 공간부를 확보하여 두고 평활한 방수시이트(200)들을 배치 고정시켜서 설치하고, 상기 방수시이트(200)들 사이에 확보된 공간부에 주름부(140)를 가지는 신축시이트(100)들을 각각 배치시키고 일체로 용착하여서, 상기 저수조용 구조물(1)의 내면에 방수시이트(200)와 신축시이트(100)가 교대로 배치되는 신축성 방수층(2)을 이루도록 시공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발명의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에 의하면, 저수조용 구조물(1)의 내면에서 방수시이트(200)들 사이에 신축시이트(100)가 배치되어서 열신축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신축성 방수층(2)을 얻을 수 있게 됨으로써, 저수조용 구조물(1)의 내부에서 온도변화에 구애됨이 없이 원래의 방수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려는 본발명의 기술적인 목적을 실현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수시이트(200)와 신축시이트(100)는 일정간격마다 각각 고정수단(3)으로서 고정시켜서 저수조용 구조물(1)의 내면에 교대로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방수시이트(200)들은 그 각각의 일측은 자유단이 되도록 하고 타측은 고정수단(3)으로 고정시켜서 고정단이 되도록 설치하고, 이웃하는 양측의 방수시이트(200) 각각의 자유단 및 고정단에 신축시이트(100)의 일측 및 타측 접합단부(120)(130)을 포개어서 융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방수시이트(200)와 신축시이트(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3)은 타정못 등이 되며, 이 고정수단(3)은 노출된 두부를 밀봉시켜서 부식은 물론이고 누수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8은 상기 저수조용 구조물(1)의 바닥면(1c)에서 방수시이트(200)들 사이에 용착된 사방의 신축시이트(100)들의 중앙부에 배치되도록 가상의 종축선 및 횡축선을 중심으로하여 직각으로 배열되어 4방향으로 지향되는 연결주름(310)을 가지는 연결용 시이트(300)를 나타낸다. 이러한 연결용 시이트(300)는 방수시이트(200)들 사이의 사방에서 서로 마주하는 신축시이트(100)들의 주름부(140)을 방향성있게 연결시키는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도9는 저수조용 구조물(1)의 양측벽(1a)과 양마구리벽(1b) 및 바닥면(1c)이 만나는 꼭지모서리부(1d)에 배치되도록 직각으로 배열되어서 2방향으로 지향되는 연결주름(410)들을 가지는 마구리용 시이트(400)를 나타낸다. 이 마구리용 시이트(400)는 꼭지모서리부(1d)에 설치된 신축시이트(100)의 주름부(140)을 방향성있게 연결시키는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발명은 저수조용 구조물의 내면에 설치된 방수시이트가 훼손됨이 없이 방수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서, 저수조용 구조물에서 조기에 누수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줄 뿐만 아니라,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층에 대한 보수작업의 횟수를 대폭적으로 줄여서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축시켜 주는 등의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7)

  1. 합성수지를 소재로하여 일정한 강도를 나타내는 두께와 유연성을 가지며 적절한 넓이를 가지도록 성형된 바탕판체(110)로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바탕판체(110)의 양측 끝단부에 소정의 폭으로서 평활한 일측 및 타측 접합단부(120)(130)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일측 및 타측 접합단부(120)(130)를 경계로하여 상기 바탕판체(110)의 중간에 소정의 형상으로서 굴곡지는 주름부(140)를 형성하여서, 상기 바탕판체(110)의 수축작용에 대하여 주름부(140)가 능동적으로 신축 대응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시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140)는 상기 바탕판체(110) 중간에 연속 반복적으로 배열 형성되는 굴곡파형(141)들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시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140)는 상기 바탕판체(110) 중간에 수개의 굴곡파형(141)들을 1개조로하여 공극부(142)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배열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시이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140)는 상기 바탕판체(110)의 중간에 접착성수지(143)가 채워진 접합절곡부(144)를 두고 다시 자유절곡부(145)로 연이어지게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시이트.
  5. 저수조용 구조물(1)의 양측벽(1a), 양마구리벽(1b), 바닥면(1c)에 일정한 공간부를 확보하여 두고 평활한 방수시이트(200)들을 배치 고정시켜서 설치하고, 상기 방수시이트(200)들 사이에 확보된 공간부에 주름부(140)를 가지는 신축시이트(100)들을 각각 배치시키고 일체로 용착하여서, 상기 저수조용 구조물(1)의 내면에 방수시이트(200)와 신축시이트(100)가 교대로 배치되는 신축성 방수층(2)을 이루도록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용 구조물(1)의 바닥면(1c)에서 방수시이트(200)들 사이에 용착된 사방의 신축시이트(100)들의 중앙부에는, 가상의 종축선 및 횡축선을 중심으로하여 직각으로 배열되어 4방향으로 지향되는 연결주름(310)을 가지는 연결용 시이트(300)를 배치 접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
  7. 제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용 구조물(1)의 양측벽(1a)과 양마구리벽(1b) 및 바닥면(1c)이 만나는 꼭지모서리부(1d)에는, 직각으로 배열되어서 2방향으로 지향되는 연결주름(410)들을 가지는 마구리용 시이트(400)를 배치 접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2000-0035789A 2000-06-27 2000-06-27 신축시이트 및 그를 이용한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0371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789A KR100371646B1 (ko) 2000-06-27 2000-06-27 신축시이트 및 그를 이용한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789A KR100371646B1 (ko) 2000-06-27 2000-06-27 신축시이트 및 그를 이용한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298A KR20020001298A (ko) 2002-01-09
KR100371646B1 true KR100371646B1 (ko) 2003-02-11

Family

ID=1967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5789A KR100371646B1 (ko) 2000-06-27 2000-06-27 신축시이트 및 그를 이용한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6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4809A (ko) * 2006-02-22 2007-08-27 송재환 코너부의 방수 보호대 및 방수용 시트와 이들을 사용한옥상 방수공법
KR100942375B1 (ko) * 2007-09-22 2010-02-12 김기태 콘크리트 수로의 이음용 복합 방수 시트 및 그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로 이음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298A (ko) 200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8017A (en) Expansion joint means
JP4657071B2 (ja) 目地用止水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71646B1 (ko) 신축시이트 및 그를 이용한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0659402B1 (ko)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구조
KR100274220B1 (ko)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
JP3670621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目地止水継手
US2853871A (en) Expansion joints for insulation structures
JP4911906B2 (ja) 構造物の目地止水継手
CN220813497U (zh) 一种适应于桥梁伸缩缝处的声屏障
JP5758785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止水装置
JP3791965B2 (ja) 陸屋根等における防水装置
KR200332532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9980018620A (ko) 저수조용 철근콘트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JP2007039986A (ja) 防水シートの固定構造
JPH01151698A (ja) 防水シート
KR100240837B1 (ko) 저수조용 지하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방수공법
JP2009068268A (ja) 遊間用止水材
JP5144130B2 (ja) シート状外囲体及びシート状外囲体の施工法
JP3979734B2 (ja) バルコニーの防水構造
KR200266583Y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판
JP2004270375A (ja) 伸縮継手用止水材
JP3172804B2 (ja) コンクリート打ち継ぎ用の水膨張性止水材
JP2005120780A (ja) 遊間用止水材
KR100440612B1 (ko) 탱크구조물의 방수구조
JPS612882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