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279B1 - 축조블록 및 그 축조방법과 축조벽체 - Google Patents

축조블록 및 그 축조방법과 축조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279B1
KR100371279B1 KR10-1999-0030268A KR19990030268A KR100371279B1 KR 100371279 B1 KR100371279 B1 KR 100371279B1 KR 19990030268 A KR19990030268 A KR 19990030268A KR 100371279 B1 KR100371279 B1 KR 100371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concrete
building
block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8602A (ko
Inventor
이종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호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80019873U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04050U/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호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호이엔씨
Priority to KR10-1999-0030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279B1/ko
Priority to KR2019990015295U priority patent/KR200163603Y1/ko
Priority to JP11248033A priority patent/JP2000120088A/ja
Priority to CN 99119307 priority patent/CN1251404A/zh
Publication of KR20000028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조상태의 견고함을 유지토록 함과 동시에 블록의 상하방향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하고, 기초의 유실시에도 블록의 결합상태에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블록을 지반에 결속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설치시킬 수 있으며, 낙수(落水) 또는 유수(流水)의 유속을 저감시켜 지반의 훼손과 급류형성을 방지시킬 수 있는 축조블록 및 그 축조방법과 축조벽체를 제공한다.
그 축조블럭은, 축대, 옹벽, 건물 등을 건조하기 위한 것에 있어서: 축조되는 때에 상하방향 내지 좌우방향으로 콘크리트를 서로 결속되게 충진시켜 양생시킬 수 있도록 몸체(2,22)의 측면 중간에서 요입상태로 형성되며 축조시 상하방향 유입공간(4,24)을 형성하기 위한 측면 요입부(3,23)와, 몸체(2,22) 상면 중간에서 좌우로 형성되며 축조시 좌우방향 유입공간(6,26)을 형성하기 위한 좌우방향 요입부(5,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조블록 및 그 축조방법과 축조벽체{BUILDING BLOCK AND THEIR BUILDING METHOD AND WALL BODY}
본 발명은 축조블록 및 그 축조방법과 축조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하천부지나 고수부지 등의 축대나 응벽을 축조하거나, 건물을 건조하는데 이용되는 축조블럭에 있어서, 축조블럭을 축조하는 때에 상하,좌우로 콘크리트를 유입시켜 견고하게 결속시킴으로써 특히 지지강도를 크게 향상시킨 축조블록 및 그 축조방법과 축조벽체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축조블럭은 대개 전후면이 평면상태로 구성된 "I"형 단면의 블록들이 이용되고 있으며, 그 블록을 엊갈리게 적충시켜 상,하 블록 사이에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한 뒤 이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유입시켜 상호 결속되도록 한 것이나,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노출된다.
각 블록이 축조된 상태에서 후면이 틈새가 없는 평판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모르타르가 블록사이로 침투될 수 없어 블록은 오로지 좌우방향으로 침투시킨 모르타르만으로 결속력을 유지하게 되기 때문에 인접블록끼리는 어느 정도의 결속력을 가질 수 있으나 뒷채움재인 콘크리트 모르타르와는 거의 결속될 수 없어 진동이나 기초의 유실 등에 의해 쉽게 분리될 우려가 많아 설치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는 폐단이 있다.
또한, 모르타르와 블록이 입체적이 아닌 평면상태로 결합되므로 기초가 유실된 때에 블록에 부여되는 상하방향의 하중에 의해 모르타르에서 블록이 쉽게 분리되어 축대가 붕괴되는 등 대형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많은 문제가 있다.
전면 또한 후면과 마찬가지로 평면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우기시 빗물의 유속을 저하시킬 수 없어 급류형성 등으로 인하여 지반의 훼손이 심하게 발생하며, 나아가 수해를 초래시키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기존의 블록은 오로지 모르타르와 블록의 하중에 의해 지반에 밀착,고정되는 구조일 뿐, 지반과 좀더 강력하게 결속시키기 위한 블록 고정부재를 적용시킬 수 있는 구성이 없는 관계로 지반과의 결속력이 취약하게 되며, 나아가 지반의 훼손시 축대의 붕괴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축조상태의 견고함을 유지토록 함과 동시에 블록의 상하방향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하고, 기초의 유실시에도 블록의 결합상태에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블록을 지반에 결속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설치시킬 수 있으며, 낙수(落水) 또는 유수(流水)의 유속을 저감시켜 지반의 훼손과 급류형성을 방지시킬 수 있는 축조블록 및 그 축조방법과 축조벽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조블럭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콘크리트에 의해 본 발명의 축조블럭이 결합된 시공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선A-A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축조블럭의 지지상태를 도시한 도 2의 선 B-B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축조블럭만의 축조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일부사시도.
도 6은 도 1의 축조블럭의 다른 축조예를 도시한 일부정면도.
도 7은 도 1의 축조블럭의 또 다른 축조예를 도시한 일부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조블럭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상부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선 C-C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축조블럭을 축조시킨 상태의 일부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면※
1,21: 축조블록 2,22: 몸체
3,23: 측면 요입부 4,24: 상하방향 유입공간부
5,25: 좌우방향 요입부 6,26: 좌우방향 유입공간
7,27: 요홈부 8: 삽입홈
9: 돌출부 10: 콘크리트(시멘트 모르타르)
12: 고정부재 13: 뒷채움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조블럭은, 축대, 옹벽, 건물 등을 건조하기 위한 것에 있어서: 축조되는 때에 상하방향 내지 좌우방향으로 콘크리트를 서로 결속되게 충진시켜 양생시킬 수 있도록 몸체의 측면 중간에서 요입상태로 형성되며 축조시 상하방향 유입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측면 요입부와, 몸체 상면 중간에서 좌우로 형성되며 축조시 좌우방향 유입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좌우방향 요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축조블럭으로 축대, 옹벽, 건물 등을 건조하기 위한 축조방법과 축조벽체에 있어서: 두 개의 반원단면형상의 좌우방향 요입부가 접하여 좌우로 하나의 원형단면상의 좌우방향 유입공간을 이루도록 축조블록의 상하위치를 반대로 하여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축조블록이 좌우방향 유입공간에 콘크리트가 채워져 양생됨으로써 축조블럭이 축조후 좌우방향으로 움직임이 없이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상기 좌우방향 요입부의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함으로써 그 경사면을 통한 지그재그식이면서도 상하방향 유입공간과 좌우방향 유입공간을 연결하는 공간이 넓어져 콘크리트의 채움이 더욱 용이하게 되어 시공이 간편하며, 그 연결되는 부분에서 더욱 굵은 굵기로 콘크리트가 형성될 수 있어 좌우방향이나 상하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축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방법과 축조벽체를 제공한다.또, 본 발명은, 상기 축조블록의 경량화와 함께 뒷채움재를 채우기 위한 공간과 연통되게 하어 더욱 시공이 용이하게 하고 설치강도를 증대시키도록 상하방향 유입공간이 후방에서 개방되며, 적층되는 축조블록의 후방에 채워지는 잡석과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혼합시킨 옹벽 내지 축대의 뒷채움재가, 좌우방향 요입부에 의해 형성되는 좌우방향 유입공간과 측면 요입부끼리 형성하는 상하방향 유입공간을 통해 연결되며, 충입되는 콘크리트가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건조되거나, 축조시 콘크리트를 유입시켜 상하로 축조블럭의 결속력을 더욱 강화시키도록 상기 측면 요입부가 위치하는 몸체의 측면 중간에 요홈부를 포함하고, 그 축조블록을 축조하여 건조시키는 때에 상기 상하방향 유입공간과 좌우방향 유입공간에 큰크리트가 충입되면서 상기 요홈부에도 충입되어 축조블록의 분리가 방지되고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벽체를 제공하며, 나아가, 상기 축조블록의 경량화와 함께 옹벽, 축대 등의 건조시 뒷채움재를 채우기 위한 공간과 연통되게 하여 상기 상하방향 유입공간이 후방에서 개방된 축조블록을 건물의 벽용으로는 후방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으며, 외부로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인접한 축조블록에 대해 전후방을 180도 돌려 축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벽체를 제공한다.
또한, 지반 등과의 고정력보강을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를 좌우방향 요입부로 삽입시켜 축조할 수 있도록 몸체의 후방 상면에 모서리로부터 좌우방향 요입부로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낙수 또는 유수의 유속을 저감시켜 주도록 돌출부가 몸체의 전면부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조블럭(1)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된다.
도 1에서 그 축조블록(1)은, 축조되는 때에 상하방향 내지 좌우방향으로 콘크리트를 서로 결속되게 충진시켜 양생시킬 수 있도록 축조시 몸체(2)의 서로 마주하는 면들중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요입부(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는, 그 요입부(3,5)가, 몸체(2)의 측면 중간에서 요입상태로 형성되며 축조시 상하방향 유입공간(4: 도 2 내지 도 7의 축조상태의 도면에 도시됨)을 형성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측면 요입부(3)와, 몸체(2) 상면 중간에서 좌우로 형성되며 축조시 좌우방향 유입공간(6)을 형성하기 위한 좌우방향 요입부(5: 도 3 및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요입부(3,5)는, 어느 일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하,좌우 4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단면형상은 도면에서는 거의 사다리꼴과 반원이지만,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축조된 때에 후방이 약간 개방된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도 5에 도시되지만, 전후방이 좌우방향으로 서로 접촉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조시 콘크리트(10)를 유입시켜 상하로 축조블럭의 결속력을 더욱 강화시키도록 상기 측면 요입부(3)가 위치하는 몸체(2)의 측면 중간에 요홈부(7)가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 축조블럭(1)은 콘크리트제 또는 사출성형된 고강도 플라스틱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지반 등과의 고정력을 보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12)를 좌우방향요입부(5,25)로 삽입시켜 축조할 수 있도록 몸체(2)의 후방 상면에 그 후방 모서리로부터 좌우방향 요입부(5)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8)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수 또는 유수의 유속을 저감시켜 주도록 돌출부(9)가 몸체(2)의 전면부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콘크리트에 의해 축조블록(1)이 결합된 시공상태가 평면도로 도시되고, 도 3에는 도 2의 선A-A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4에는 삽입홈(8)에 고정부재(12)가 채용된 상태가 도시되고, 도 5 내지 도 7은 축조블록(1)의 축조예가 도시된다.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축조블록의 축조예를 보이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상 도 5의 축조예를 기초로 설명하기로 한다.
두 개의 반원단면형상의 좌우방향 요입부(5)가 접하여 좌우로 하나의 원형단면상의 좌우방향 유입공간(6,26)을 이루도록 축조블록(1)의 상하위치를 반대로 하여 순차적으로 적층시킨다. 이때 도 2에서와 같이 좌우로 연접하는 축조블록(1)의 측면 요입부(3)는 인접되는 블록(1)의 측면 요입부(3)와 함께 상하방향 유입공간(4)을 형성하여 콘크리트(10)의 유입통로로 되게 되고, 그 상하방향 유입공간(4) 및 좌우방향 유입공간(6,26)을 통해 유입되어 채워진 콘크리트(10)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한편 적층되는 축조블록(1)의 후방에는 옹벽 내지 축대의 경우 잡석과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혼합시킨 뒷채움재(13)가 채워지게 되는 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두 개의 반원단면형상의 좌우방향 요입부(5)에 의해 형성되는 좌우방향 유입공간(6)와, 측면 요입부(3)끼리 형성하는 상하방향 유입공간(4)을 통해 콘크리트(10)를 요홈부(7)내로까지 골고루 충입시킨다. 이때, 축조블록(1)의 후방의 폭을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좁게 하여 상하방향 유입공간(4)이 후방으로 개방되게 함으로써 축조블록(1)의 경량화와 함께 뒷채움재(13)를 채우기 위한 공간과 연통되게 되어 더욱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양생후, 설치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건물의 벽용으로는 전후방의 폭을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지만, 인접한 축조블록(1)에 대해 전후방을 180도 돌려 축조함으로써 위와 같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으며, 외부로 콘크리트(10)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뒷채음재(13)와 일체로 양생되는 콘크리트(10)가 상기 좌우방향 유입공간(6,26), 상하방향 유입공간(4) 및 요홈부(7)내에서 굳어져 상호 일체화된 상태로 결속시키게 되므로, 종래에서의 일방향으로의 결속과는 달리 콘크리트(10)에 의해 상하,좌우의 격자형태로 축조블록(1)과 결속되게 되고, 보다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요홈부(7)내에도 콘크리트(10)가 침투되어 양생되므로 콘크리트(10)와 각 축조블록(1)간에 상호 입체적인 결속상태가 부여되게 되고, 지반이 훼손되어 최하단의 축조블록(1)의 받침력이 상실되더라도 축대전체가 하나로 결속되어 있어 붕괴되는 것은 억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8)을 통해 임의의 고정부재(12)의 각 단부를 뒷채움재(13)와 좌우방향 유입공간(6,26)에 매설시켜 양생시킴으로써 축조블록(1)의 지반에의 고정력이 크게 보강될 수 있게 되고,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축조블록(1)의 축조방법은 축조위치에 따른 특성 등 제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시공될 수 있는 것으로, 도 7에서와 같이 좌우로 서로 엇갈리게 축조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도 6에서와 같이 절반체의 축조블록(1)을 이용하여 축조함으로써 상하로 서로 엇갈리도록 축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좌우방향 유입공간(6) 내지 상하방향 유입공간(4)이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축조블록(1)은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의 전면부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9)에 의해 낙수 또는 유수(流水)의 흐름을 방해하여 유속을 저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급류의 형성을 방지하여 지반의 훼손억제와 타건축믈의 붕괴요인을 감소시켜 주게 된다.
도 8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조블록(21)이 도시된다. 그 축조블록(21)은, 도 1의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몸체(22)의 양 측면에는 측면 요입부(23)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좌우방향 요입부(25)가 형성되며, 요홈부(27)가 측면 중간에 형성된다. 다만, 상이한 점은, 좌우방향 요입부(25)가 반원형 단면으로서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5a,25a)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사면(25a,25a)을 통해 좌우방향 유입공간(26)에 콘크리트가 채워져 양생됨으로써 축조블럭이 축조후 좌우방향으로 움직임이 없이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게 되며, 더욱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엇갈리게 축조되는 경우, 경사면(25a,25a)을 통한 지그재그식이면서도 상하방향 유입공간(24)과 좌우방향 유입공간(26)을 연결하는 공간이 넓어져 콘크리트(10)의 채움이 더욱 용이하게 되어 시공이 간편하며, 그 연결되는 부분에서 더욱 굵은 굵기로 콘크리트(10)가 형성될 수 있어 설치강도를 크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기타의 점들은 도 1의 실시예에서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축조블럭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좌우방향 요입부(5,25) 내지 측면 요입부(3,23)를 형성시킴으로써 모르타르 내지 콘크리트(10)에 의해 상하,좌우로 축조블럭들과 지반이 결속되므로 축조상태의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각 블록이 모르타르 내지 콘크리트(10)와 입체적으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게 되므로 지반의 유실시에도 블록끼리의 결합상태가 붕괴되지 않게 되고, 축조상태가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지반과의 결속력을 보강하기 위한 고정부재(12)와 같은 수단을 적용할 경우, 더욱 그 사용효과는 증대되며, 유수(流水)의 유속을 저감시킬 수 있어 지반의 훼손과 급류형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9)

  1. 축조되는 때에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콘크리트를 서로 결속되게 충진시켜 양생시킬 수 있도록 몸체(2,22)의 측면 중간에서 요입상태로 형성되며 축조시 상하방향 유입공간(4,24)을 형성하기 위한 측면 요입부(3,23)와, 몸체(2,22) 상면 중간에서 좌우로 형성되며 축조시 좌우방향 유입공간(6,26)을 형성하기 위한 좌우방향 요입부(5,25)를 지니는 축대, 옹벽, 건물 등을 건조하기 위한 축조블럭에 있어서:
    축조시 콘크리트(10)를 유입시켜 상하로 축조블럭의 결속력을 더욱 강화시키도록 상기 측면 요입부(3,23)가 위치하는 몸체(2,22)의 측면 중간에 요홈부(7,27)와, 상하방향 유입공간(24)과 좌우방향 유입공간(26)에 콘크리트가 채워져 양생됨으로써 축조블럭이 축조후 상하좌우방향으로 움직임이 없이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상기 좌우방향 요입부(25)의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5a,25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지반 등과의 고정력보강을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12)를 좌우방향 요입부(5,25)로 삽입시켜 축조할 수 있도록 몸체(2,22)의 후방 상면에 모서리로부터 좌우방향 요입부(5,25)로 향하여 삽입홈(8)이 형성되며;
    옹벽 내지 축대의 뒷채움재(13)가 두 개의 반원단면형상의 좌우방향 요입부(5)에 의해 형성되는 좌우방향 유입공간(6)와, 측면 요입부(3)끼리 형성하는 상하방향 유입공간(4)을 통해 연결되어 충입되는 콘크리트가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축조된 때에 축조블록(1)의 후방이 약간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며;
    낙수(落水) 또는 유수(流水)의 유속을 저감시켜 주도록 돌출부(9)가 몸체(2)의 전면부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블록.
  3. 삭제
  4. 축조되는 때에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콘크리트를 서로 결속되게 충진시켜 양생시킬 수 있도록 몸체(2,22)의 측면 중간에서 요입상태로 형성되며 축조시 상하방향 유입공간(4,24)을 형성하기 위한 측면 요입부(3,23)와, 몸체(2,22) 상면 중간에서 좌우로 형성되며 축조시 좌우방향 유입공간(6,26)을 형성하기 위한 좌우방향 요입부(5,25)를 지니는 축조블럭의 축대, 옹벽, 건물 등을 건조하기 위한 축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축조블록(1)이 좌우방향 유입공간(26)에 콘크리트가 채워져 양생됨으로써 축조블럭이 축조후 좌우방향으로 움직임이 없이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상기 좌우방향 요입부(25)의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5a,25a)을 구비함으로써 그 경사면(25a,25a)을 통한 지그재그식이면서도 상하방향 유입공간(24)과 좌우방향 유입공간(26)을 연결하는 공간이 넓어져 콘크리트(10)의 채움이 더욱 용이하게 되어 시공이 간편하며, 그 연결되는 부분에서 더욱 굵은 굵기로 콘크리트(10)가 형성될 수 있어 좌우방향이나 상하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축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방법.
  5. 삭제
  6. 축조되는 때에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콘크리트를 서로 결속되게 충진시켜 양생시킬 수 있도록 몸체(2,22)의 측면 중간에서 요입상태로 형성되며 축조시 상하방향 유입공간(4,24)을 형성하기 위한 측면 요입부(3,23)와, 몸체(2,22) 상면 중간에서 좌우로 형성되며 축조시 좌우방향 유입공간(6,26)을 형성하기 위한 좌우방향 요입부(5,25)를 지니는 축조블럭으로 건조된 축대, 옹벽, 건물 등의 축조벽체에 있어서:
    축조블록(1)의 상하위치를 반대로 하여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건조함으로써 두 개의 대략 반원단면형상의 상기 좌우방향 요입부(5)가 상하로 접하여 좌우로 형성되는 하나의 원형단면상의 좌우방향 유입공간(6,26)에 콘크리트로 충입되고, 상기 축조블록(1)이 상기 좌우방향 요입부(25)의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5a,25a)을 구비하고, 상기 축조블록이 서로 엇갈리게 축조되어 건조됨으로써 상기 경사면(25a,25a)을 통한 지그재그식이면서도 상하방향 유입공간(24)과 좌우방향 유입공간(26)을 연결하는 공간이 넓어져 콘크리트(10)의 채움이 더욱 용이하게 되며 시공이 간편하고 그 연결되는 부분에서 더욱 굵은 굵기로 콘크리트(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벽체.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1999-0030268A 1998-10-17 1999-07-24 축조블록 및 그 축조방법과 축조벽체 KR100371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268A KR100371279B1 (ko) 1998-10-17 1999-07-24 축조블록 및 그 축조방법과 축조벽체
KR2019990015295U KR200163603Y1 (ko) 1998-10-17 1999-07-28 축조블럭
JP11248033A JP2000120088A (ja) 1998-10-17 1999-09-01 築造ブロック
CN 99119307 CN1251404A (zh) 1998-10-17 1999-09-08 建筑砌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873U KR19990004050U (ko) 1998-10-17 1998-10-17 축조블럭
KR2019980019873 1998-10-17
KR10-1999-0030268A KR100371279B1 (ko) 1998-10-17 1999-07-24 축조블록 및 그 축조방법과 축조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295U Division KR200163603Y1 (ko) 1998-10-17 1999-07-28 축조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602A KR20000028602A (ko) 2000-05-25
KR100371279B1 true KR100371279B1 (ko) 2003-02-07

Family

ID=49514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268A KR100371279B1 (ko) 1998-10-17 1999-07-24 축조블록 및 그 축조방법과 축조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0120088A (ko)
KR (1) KR1003712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4743A (ja) * 1984-09-29 1986-04-30 Nec Corp 診断回路内蔵論理パツケ−ジ
JPS6184743U (ko) * 1984-11-12 1986-06-04
JPS645948A (en) * 1987-06-30 1989-01-10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Supercondu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4743A (ja) * 1984-09-29 1986-04-30 Nec Corp 診断回路内蔵論理パツケ−ジ
JPS6184743U (ko) * 1984-11-12 1986-06-04
JPS645948A (en) * 1987-06-30 1989-01-10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Supercondu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120088A (ja) 2000-04-25
KR20000028602A (ko) 200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5128A (en) Interlocking mortarless building block system
US6363683B1 (en) Insulated concrete form
US3903702A (en) Revetment structure
US6401419B1 (en) Stackable construction panel
CA2992002C (en) Wall blocks, veneer panels for wall blocks and method of constructing walls
US7168218B2 (en) Mortarless fence block system
WO2000017455A1 (en) Retaining wall system
US20080307745A1 (en) Block and connector system
MX2010006059A (es) Bloque de concreto para pared, paredes que tienen tales bloques, y metodos.
US4977730A (en) Roof paver element and system
AU2003245129A1 (en) Building block
KR100371279B1 (ko) 축조블록 및 그 축조방법과 축조벽체
AU736639B2 (en) Concrete building blocks
KR200163603Y1 (ko) 축조블럭
RU2081264C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JPH0754360A (ja) 壁面構成用ブロック及び壁面構築方法
KR19990079265A (ko) 현장타설형 조립식 암거
KR100719281B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조립체
EP0892875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uilding blocks
US4541213A (en) Shuttering elements
KR200374618Y1 (ko) 조적식 축조용 옹벽블럭
JPH055310A (ja) 壁体構築用ブロツク
KR100975649B1 (ko) 건축용 층간 방수용 조인트 장치
KR0131495Y1 (ko) 축조블록
KR200433648Y1 (ko) 옹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