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495Y1 - 축조블록 - Google Patents

축조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495Y1
KR0131495Y1 KR2019940035811U KR19940035811U KR0131495Y1 KR 0131495 Y1 KR0131495 Y1 KR 0131495Y1 KR 2019940035811 U KR2019940035811 U KR 2019940035811U KR 19940035811 U KR19940035811 U KR 19940035811U KR 0131495 Y1 KR0131495 Y1 KR 0131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cave
concrete
block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5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833U (ko
Inventor
이종하
Original Assignee
이종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하 filed Critical 이종하
Priority to KR2019940035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495Y1/ko
Publication of KR9600228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8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4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대를 쌓을 때 사용되는 축조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록의 후단에 요입부를 가진 돌출부를 구성시켜 축대를 쌓았을 때 상하 돌출부 사이에 콘크리트 몰드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보다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토록 함과 아울러 블록 상하면에 상호 삽입 지지돌 수 있는 돌출턱과 요입홈을 구성시켜 설치시 전후로의 유동을 방지하여 뛰어난 물림상태를 보유토록 하고 블록 전면에 파형 요철부를 두어 빗물 등의 낙하시 유속을 저감시켜 지반의 훼손과 급류 형성을 방지하여, 별도의 보조블럭을 구비시켜 일정간격 마다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여 축대의 보강력 및 블록 사이의 결합력을 증강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조블록
제1도는 본 고안 축조 블록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보조 축조 블록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축조 블록으로 축대를 쌓은 상태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축조 블록으로 축대를 쌓은 상태의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보조 블록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시킨 상태를 보이는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A-A 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블록 12 : 돌출턱
13 : 요입홈 14 : 요입부
15 : 돌출부 H : 요입공간부
16 : 파형 요철부 17 : 유토공
20 : 보조블록 21: 파형요철부
22 : 충입홈 23 : 걸림턱
24 : 걸림홈
본 고안은 축대를 쌓을 때 사용되는 축조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록의 후단에 요입부를 가진 돌출부를 구성시켜 축대를 쌓았을 때 상하 돌출부 사이에 콘크리트 몰드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보다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토록 함과 아울러 블록 상하면에 상호 삽입 지지돌 수 있는 돌출턱과 요입홈을 구성시켜 설치시 전후로의 유동을 방지하여 뛰어난 물림상태를 보유토록 하고 블록 전면에 파형 요철부를 두어 빗물 등의 낙하시 유속을 저감시켜 지반의 훼손과 급류 형성을 방지하여, 별도의 보조블럭을 구비시켜 일정간격 마다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여 축대의 보강력 및 블록 사이의 결합력을 증강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축조 블록은 대개 전후면이 평면적으로 구성된형 단면의 블록들이 이용되고 블록을 엇갈리게 적층시켜 상하 블록 사이에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한 뒤 이에 콘크리트 몰드를 유입시켜 상호 결속되도록 한 것이나,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노출된다.
각 블록이 축조된 상태에서 후면이 틈새가 없는 평판 상태를 이루고 있게 되므로 콘크리트 몰드가 (가) 블록 사이로 침투될 수 없어 블록은 오로지 블록 상하 사이에 유입시킨 콘크리트만으로 결속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블록 끼리는 일정한 결속도를 가질 수 있으나, 뒷채움재인 콘크리트 몰탁과는 거의 결속 될 수 없게 되어 진동 등에 의해 쉽게 분리 될 우려가 많아 설치 상태의 미약함을 노출시키게 되는 것이며, 블록의 축조시 전면 또한 후면과 마찬가지로 평면상을 이루고 있게 되므로 우기시 빗물의 유속을 저하시켜 줄 수 없어 지반의 훼손과 급류 형성등으로 인한 수해를 초래시키는 것이며, 한가지 형상 규격을 갖는 블록을 이용하게 되므로 블록을 빈틈없이 쌓은 상태에서 축대를 보강시켜 줄 수 있는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시킬 수가 없어 사용 효과가 제한적인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축조 블록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블록의 후측에 요입홈을 가진 돌출부를 구성시켜 콘크리트가 물 듯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블록 전면을 파형의 요철부로 구성시키고, 주블록 외에 보조 블록을 구비시켜 원하는 간격마다 뒷채움재와 일체로 되는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록의 보다 견고한 설치 상태 유지와 축대 보강, 빗물의 유속저하 등을 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몸체(11)상하면에 형성되며 상호 끼워져 결속되는 돌출턱(12) 및 요입홈(13)과 블록 축조시 상하측 블록 사이에 콘크리트 몰드가 채워질 수 있는 요입 공간부(H)를 구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체(11)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하면에 요입부(14)를 구비시킨 돌출부(13)와, 상기 몸체(11)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빗물의 유속을 저감시켜 주기 위한 파형의 요철부(16)와, 상기 몸체(11)의 중간에 횡으로 관통 형성되며, 공기 유통을 유도하여 블록 수명 연장 등을 기하기 위한 유통공(17)으로 이루어진 주블록(10)과, 상기 주블록(10)과 선택적으로 결합 사용되며, 전면에 상기한 파형 요철부(16)와 동일 형상, 목적을 갖는 파형 요철부(21)을 가지며, 후면에 콘크리트 몰드의 충입홈(22)을 두고 상하면에 상호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턱(23)과 걸림홈(24)을 갖는 보조블록(20)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30)는 견칫돌이고, (31)은 잡석과 콘크리트 몰탈을 혼합시킨 뒷채움재이고, (32)는 뒷채움재와 블록 사이에 채워질 콘크리트 몰탈이며, (33)은 보조블록(20)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기둥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3도 및 제4도는 축조 상태를 보인 것으로, 축조 방법은 일반 블록과 같이 상하측 블록이 서로 엇갈리도록 쌓게 되며 주블록(10) 상부의 돌출턱(12)이 적충되는 주블록(10)의 요입홈(13)에 끼워지도록 순차적으로 적충하게 된다.
견칫돌(30)쪽으로 잡석과 콘크리트 몰탈을 혼합시켜 뒷채움재(31)를 채우고 그 안쪽으로 콘크리트 몰탈(32)를 채워 상하 돌출부(15)사이에 형성되는 요입공간부(H)에 충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뒷채움재(31)와 일체로 양생되는 콘크리트 몰탈(32)이 제4도에서와 같이 요입 공간부(H)내에서 일체로 굳어지게 되므로 뒷채움재(31)와 주블록(10)이 상호 물리듯이 일체 상태로 견고히 결속되는 것이어서, 매우 견실한 설치 상태를 유지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각 주블록(10)은 돌출턱(12) 및 요입홈(13), 요입공간부(H)에 의해 주블럭 끼리의 결속력은 물론 뒷채움재(31)와의 결속도도 함께 증강시켜 줄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5도에서와 같이 주블록(10)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보조블록(20)을 개재시켜 축조하게 되면 주블록(10)과 보조블록(20)의 길이 차이에 따른 공간부로 콘크리트 몰탈이 채워지게 되어 콘크리트 기둥부(33)를 형성시켜 주게 되므로 주블록(10)의 결속도 증강은 물론 축대에 보강력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두게 된다. 이때 제6도에서와 같이 보조블록(20)의 충입홈(22)내에 콘크리트 몰드가 채우져 콘크리트 기둥부(33)와 견고한 결속력을 갖게 되므로 보조블록(20)이 분리될 우려가 전혀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축조 방법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주블록(10)과 보조블럭(20)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경 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고안의 블록이 어느 한가지 축조 방법으로만 축조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축조되는 본 고안의 주블록(10) 및 보조블록(20)은 전면에 파형요철부(16),(21)를 가지므로써, 빗물이 흘러내릴 때 파형 요철부(16),(1)를 거치면서 유속이 급격히 저감되게 되므로 지면이 훼손되는 것을 예방하며, 급류가 형성되지 않게 되므로, 타건축물의 붕괴 요인을 감소시켜 주게 되는 것이며, 유통공(17)에 의해 각 주블록(10) 사이에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블록의 물리적 취약 요인인 습기나 물기를 신속히 건조시켜 수명을 연장시켜 줄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몸체(11)상하면에 형성되며 상호 끼워져 결속되는 돌출턱(12) 및 요입홈(13)과 블록 축조시 상하측 블록 사이에 콘크리트 몰드가 채워질 수 있는 요입 공간부(H)를 구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체(11)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하면에 요입부(14)를 구비시킨 돌출부(15)와 상기 몸체(11)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빗물의 유속을 저감시켜 주기 위한 파형의 요철부(16)와, 상기 몸체(11)중간에 횡으로 관통 형성되며, 공기 유통을 유도하여 블록 수명 연장을 기하기 위한 유통공(17)으로 이루어진 주블록(10)과 상기 주블록(10)과 선택적으로 결합 사용되며, 전면에 상기한 파형 요철부(16)와 동일 형상, 목적을 갖는 파형 요철부(21)을 가지며, 후면에 콘크리트 몰드의 충입홈(22)을 두고 상하면에 상호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턱(23)과 걸림홈(24)을 갖는 보조블록(20)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 블록.
KR2019940035811U 1994-12-26 1994-12-26 축조블록 KR01314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5811U KR0131495Y1 (ko) 1994-12-26 1994-12-26 축조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5811U KR0131495Y1 (ko) 1994-12-26 1994-12-26 축조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833U KR960022833U (ko) 1996-07-20
KR0131495Y1 true KR0131495Y1 (ko) 1998-12-15

Family

ID=19402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5811U KR0131495Y1 (ko) 1994-12-26 1994-12-26 축조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4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833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7845A (en) System for building a structure
US20170167086A1 (en) Permeable surface covering units and permeable surface covering
US6146054A (en) Lightweight embankment
KR0131495Y1 (ko) 축조블록
KR100662028B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WO1997025499A1 (en) Building block
JP3320618B2 (ja) 棒形のり枠ブロック
JPH078561Y2 (ja) 天然石敷石
JP2767391B2 (ja) 構築用ブロック
JP3246772B2 (ja) 単位路盤材構成用枠体
JPS6157731A (ja) 側溝構築方法
JPS585710Y2 (ja) ノリドメワクソウチ
JPS6124563Y2 (ko)
JPH0554540B2 (ko)
JPH0529721B2 (ko)
JPS6322184Y2 (ko)
JPS6227548Y2 (ko)
JP2001348805A (ja) 舗装用平板ブロック、及びこれを布設した舗装構造
KR100764688B1 (ko) 농로의 벽면을 형성하는 벽면블록 및 그 시공방법
JP2005097909A (ja) 側溝用ブロック及びその施工方法
JP2860761B2 (ja) 構築用ブロック
JP3812617B2 (ja) 地中構造物構築用ケーソン及びその潜函接続方法
JPH0530946B2 (ko)
JPS6223877Y2 (ko)
JPS602283Y2 (ja) 擁壁用l状コンクリ−ト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