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041B1 - 와이어캐소드를구비한엔벨롭을가진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캐소드를구비한엔벨롭을가진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041B1
KR100371041B1 KR1019960702638A KR19960702638A KR100371041B1 KR 100371041 B1 KR100371041 B1 KR 100371041B1 KR 1019960702638 A KR1019960702638 A KR 1019960702638A KR 19960702638 A KR19960702638 A KR 19960702638A KR 100371041 B1 KR100371041 B1 KR 100371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cathode
display device
support
catho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텐스 피터
코넬리스 드리에센 요한네스
요하네스 요세푸스 라데마커즈 안토니우스
후베르투스 프란시스커스 트롬펜아르즈 페트루스
시멘 발러 데우니스
게고리우스 페트루스 반 고르콤 게라르두스
람베르트 니콜라스
트요크 데 즈바르트 지에베
안드레 몬티에 에드윈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01J31/123Flat display tubes
    • H01J31/125Flat display tubes provided with control means permitting the electron beam to reach selected parts of the screen, e.g. digital selection
    • H01J31/126Flat display tubes provided with control means permitting the electron beam to reach selected parts of the screen, e.g. digital selection using line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13Solid thermionic cathodes
    • H01J1/15Cathodes heated directly by an electric current
    • H01J1/18Supports; Vibration-damping arrangement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와이어 캐소드 또는 와이어 캐소드들과 이 와이어 캐소드에 의해 방출된 전자들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구들(apertures)이 제공된다. 이 와이어 캐소드는 와이어 캐소드를 위한 위치 결정 홈들을 갖는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에서 끌어당겨진다(stretch). 이 지지체는 전자의 통과가 이루어지는 요소와 맞물린다(engage). 이 지지체 및 상기 요소에는 대응하는 접촉 표면들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와이어 캐소드를 구비한 엔밸롭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having an envelope comprising a wire cathode}
본 발명은 전자를 방출하기 위한 와이어 캐소드 및 이 와이어 캐소드에 의해 방출된 전자들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개구들의 열을 갖는 요소를 구비한 엔벨롭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EP-A 0436997에 공지되어 있다.
개구들에 의해 와이어 캐소드에서 방출된 전자의 통과가 가능해진다. 와이어 캐소드와 상기 개구들은 가급적이면 서로 정확하게 상대적인 위치에 존재해야 하고 또한 이 상대적인 위치가 유지되어야 한다. 만약 와이어 캐소드와 개구들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되면 이 개구들을 통과하는 전자 흐름에 바람직하지 못한 변화가 야기된다. 이러한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화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 캐소드와 개구들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거의 허용하지 않는 엔벨롭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언급된 요소 및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는 대응하는 접촉 표면상에서 서로 결합되고, 이 접촉 표면의법선(normal)은 개구들의 열(row)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는 다수의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홈을 포함하는데, 이 홈에 와이어 캐소드가 자리잡게 되며 이 홈 사이에 와이어 캐소드가 자기(self) 지지방식으로 개구들로부터 일정 거리로 연장한다.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홈은 열(row)과 접촉 표면들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대응하는 접촉 표면들 및 와이어 위치 지정 홈들은 와이어 캐소드가 개구들의 열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특히, 접촉 표면에 횡방향이고 개구들의 열에 횡방향인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 및 상기 요소는 사전 장력(pre-tension)을 받는 동안, 서로 맞물린다(engage).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와 요소가 나사 또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실시예와 비교하면, 이는 파손의 위험이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와 상기 요소가 사전 장력하에서 서로 맞물리는 것을 보장하는 분리된 압력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요소나 혹은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가 이러한 압력 스프링을 제공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성성분이 하나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압력 스프링"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하는데, 즉 상기 요소 및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가 서로에 대해 압축하는 것을 보장하는 부품들 또는 구성성분들, 혹은 부품들이나 구성성분들의 집합체를 뜻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이 "압력 스프링"은 엔벨롭 내부와 외계간의 압력 차이의 결과로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에 대해 일부 압축하는 엔벨롭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는 개구들의 열 방향에 대해 유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지지체가 상기 방향으로 고정된 실시예에 비해 접촉 표면간에 개선된 접촉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요소 및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가 접촉 표면의 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요소 및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부가적인 지지체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부가적인 지지체 위치 결정 수단은 하나의 위치 지정 돌기(projection)및 하나의 위치 지정 홈(recess)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위치 지정 돌기 및 위치 지정 홈"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의미하는 바로 이해되어져야 하는데, 이는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는 요소들로, 상기 언급된 구성성분들(요소 및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의 각각에 하나씩, 각각 요소들의 쌍이 접촉 표면에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표면상에 서로 결합되도록 상응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요소 및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는 다수의 상기 쌍으로 이루어지는 요소들을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들은 모두 동일한 형태일 수도 있고 상이한 형태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 및 상기 요소 둘 다가 대응하는 지지체 위치 지정 홈을 접촉 표면의 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구비하되, 상기 지지체 위치 지정 홈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고 그 홈들 사이에는 섬유(fibre)가 제공될 수도 있다.
부가적인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개구들의 열에 대한 와이어 캐소드의 위치, 즉 특정하게는 접촉 표면에 대해 평행하고 개구들의 열에 대해 횡 방향인 위치가 한층 더 높은 정밀도를 가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와이어 위치 지정 홈들이 개구들의 열에 면한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의 한 측면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들의 열에 대한 와이어 캐소드의 위치의 정밀도는, 위치 지정 홈이 예를 들면 개구들의 열로부터 반대 면인 한 측면으로 형성된 경우에 비해 더 높다.
위치 지정 홈은 바람직하게는 코너를 형성하도록 연장하는 두개의 표면을 포함하며, 와이어 캐소드는 상기 표면들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에 결속된다. 이에 의하여 홈 내의 와이어 캐소드의 위치가 좀더 정밀하게 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가 적어도 두개의 평행한 와이어 캐소드를 지지하며 상기 요소가 이두 와이어 캐소드에 대응하는 개구들의 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는 모든 와이어 캐소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되는 부품수가 감소된다. 부가적으로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는 분리된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위치 지정 홈에 위치한 와이어 캐소드 상에 사전 장력이 가해지는데, 이 사전 장력은 와이어 캐소드의 길이 방향으로의 구성성분과 상기 방향에 횡방향으로 향하는 구성성분을 포함한다.
동작시 와이어 캐소드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 캐소드의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사전 장력을 가하는 길이 방향 및 횡방향으로 향하는 구성성분에 의해 와이어 캐소드가 위치 지정 홈 사이에 팽팽하게 되도록 보장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는 이 사전 장력을 발생하기 위한 장력 스프링을 포함한다.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에 이러한 장력 스프링을 제공함으로써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에 장력 스프링이 제공되지 않는 실시예에 비해 구조가 단순해지고, 대량 생산에 좀 더 적합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양상 및 다른 양상들은 후술될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해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상술될 것이다.
제 1A도 및 제 1B도는 각각 와이어 캐소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적인 투시도 및 단면도이다.
제 2A도 내지 제 2E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 3A도 내지 제 3C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세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 4A, 4B, 4C도는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 5도는 위치 지정 홈들,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 및 지지체의 상대적인 위치를 도시한다.
제 6도는 위치 지정 홈이 V자 형태이고, 지지체로 연장하는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7도는 두개의 평행한 와이어 캐소드들을 포함하는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의 상면도이다.
제 8도는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든 와이어 캐소드들을 포함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9도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와 지지체 및 이 둘에 대한 엔벨롭을 포함하는 분리 유닛을 구비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10도는 와이어 캐소드를 수용하는 위치 지정 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 11A, 11B, 11C, 11D, 11E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12A, 12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 실시예의 세부를 도시한다.
제 13A, 13B, 13C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 실시예의 세부를 도시한다.
제 13D도 내지 제 13G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 실시예의 세부를 도시한다.
제 14A, 14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 실시예의 세부를 도시한다.
제 15A, 15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 실시예의 세부를 도시한다.
도면은 정확한 스케일로 작성된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제 1A도 및 제 1B도는 각각 엔벨롭(1)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적인 투시도 및 단면도이며,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이 특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소위 평판형(flat-panel type)의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투명한 전면 벽(front wall)(윈도우)(3)과 반대쪽에 위치한 후면 벽(rear wall)(4)을 갖는다. 전기장발광 스크린(electroluminescent screen)(7)은 윈도우(3)상에 제공된다. 전자를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자 이송관(electron-transport duct)(11, 11', 11")은 후면 벽에 평행한 방향으로, 예를 들면 y방향으로 연장한다. 이 실시예에서, 전자들은 이송관 양단에 전위차를 인가함으로써 이송관(11)을 통해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정의 위치들에 이송관(11)으로부터 전자들을 추출하기 위한 수단들을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수단은 벽들(10)상의 전극들(9, 9', 9")과 협력하는 개구들(8, 8', 8")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들을 발광 스크린으로 향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이 수단은 전극들(9) 및 발광 스크린(7) 사이에 전위차가 인가되는 전극들(9) 및 발광 스크린(7)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벽들(10) 및 윈도우(3) 사이에, 격벽(partition)(12)이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바닥 벽(2)을 더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와이어 캐소드(5) 및 전극들(G1, G2)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들은 요소(14)(element)내의 개구들(13) 주변 및/또는 내부에 놓인다. 이 요소(14)는 하기에서 "개구 벽(apertured wall)" 또는 "벽(wall)"으로 불릴 것이다. 이는 한정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용어 "개구 벽"은 다음 텍스트의 판독의 용이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만 그리고 다른 요소들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와이어 캐소드는 개구들(13)로부터 얼마간의 거리만큼 떨어져서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와이어 캐소드(5) 및 전극들(G1및 G2)은 3극(triode)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와이어 캐소드 및 전극들(G1및 G2)간에 전위차들을 인가하기 위한 피드스루(feed-through)(도시되지 않음)들을 포함한다. 캐소드들(5)을 가열하고 캐소드와 전극(G2) 간에 전위차를 인가함으로써, 그리고 제어 전압을 전극들(G1)에 인가함으로써, 전자들은 이송관(11)으로 도입되고, 전자 흐름은 제어 전압에 의해 제어된다.
이송관(11)내의 전자 흐름은 또한 와이어 캐소드(5)와 개구 벽(14)내의 개구들(13)의 상대적인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와이어 캐소드(5)및 개구들(13)의 상대적인 위치들이 더 정확하게 규정되면 될수록 이송관(11)내의 전자 흐름이 더 잘 제어된다. 와이어 캐소드가 개구들의 열에 대해 정밀하게 위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제 2A도 내지 제 2D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의 단면도들이다. 제 1B도 및 제 2A도 내지 제 2D도에서, 와이어 캐소드를 따르는 방향은 z-방향으로 표시되며, 관들을 따르는 방향은 y-방향으로 표시되며 , x-방향은 y-방향 및 z-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나타낸다. 특히 y-방향에서 와이어 캐소드의 위치는 중요한데, 이는 이 위치가 와이어 캐소드와 벽(14)내의 개구들간의 거리를 결정하기때문이다. 이 보다 조금 덜 중요한 것은 다른 방향들, 특히 x-방향, 즉, 개구들의 열의 횡방향(direction transverse)의 와이어 캐소드의 위치이다. 제 1B, 2A, 2B도는 x-y평면에서의 단면도이고, 제 2C도는 z-x평면에서의 단면도이며, 제 2D도는 y-z평면에서의 단면도이다. 이 경우, 벽(14)은 둘 중 어느 하나의 측면 상의 개구들(13)의 열 및/또는 이 개구들의 부분적으로 내부에 있는 전극들(G1및 G2)을 포함한다. 와이어 캐소드(5)는 (y-방향에서 관찰됨) 개구들로부터 약간 떨어진 거리에 놓인다.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15)의 일부들(18)에는 와이어 위치 지정 홈들(wire-positioning grooves)(19)이 제공된다. 와이어 캐소드(5)는 이 위치 지정 홈(19)에 배치되며, 위치 지정 홈들(19) 사이에서 y-방향으로, 개구들(13)의 열로부터 약간 떨어진 거리에서 자기 지지(self-supporting) 방식으로 연장한다. 위치 지정 홈들은 z-방향으로 연장한다. 개구 벽(14) 및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15)에는 z-x방향으로 연장하는 대응하는 접촉 표면들(16, 17)이 제공된다. 이 표면들에 대한 법선(normal)은 y-방향으로, 즉, z-방향으로 연장하는 개구들의 열에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z-x방향의 접촉 표면들과 z-방향의 위치 지정 홈들이 y-방향의 와이어 캐소드의 위치를 정확히 결정한다. 홈들(19)은 개구들의 열과 일직선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제 2A도 내지 제 2D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캐소드(5)에 면한(facing) 개구들(13)의 입구 표면들 및 벽(14)의 접촉 표면(17)은 한 평면으로 연장한다. 제 2E도는 접촉 표면 및 개구들(13)의 입구 표면(18)이 한 평면으로 연장하지 않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접촉 표면들(16, 17)은 개구들(13)의 입구 표면에 대해 약간 움푹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연장한다. 제 2A도 내지 제 2D도에 도시된 구성에 대해 이러한 구성의 단점은 부가적인 에지(19')가 벽(14)에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부정확하게 디멘션된(dimensioned) 에지는 입구 표면과 와이어 캐소드(5)간의 거리에 변화를 야기한다. 만약 에지(19')가 충분히 정확하게 제조되면, 상기 에지(19')가 x-방향으로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15)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면, 에지(19')에 맞물리고 대응하는 에지를 갖는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를 제공함으로써, 이 단점은 장점으로 바뀔 수 있다.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15) 및 벽(14)은 예를 들면, 납땜, 나사에 의해, 또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고정하는(secure)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에서, 고온이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생긴 열적응력들(thermal stresses)이 파손(fracture)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벽(14) 및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는 바람직하게 사전 장력(pre-tension)하에서 서로 맞물린다(engage). 이에 의해, 열적 응력들의 효과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되고, 이에 따라 파손의 위험이 감소된다.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에는 스프링 요소(20)(하기에서 "압력 스프링"으로 불림)가 제공되고 벽(2)에 대해 압축되어 그 결과로서,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 및 벽(14)을 서로 밀어내는 실시예를 제 3A도는 도시한다. 제 3B도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분리된 스프링 요소, 즉, 압력 스프링(21)을 구비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들에서, 압력 스프링(20, 21)은 벽(2)에 대해 압축된다. 제 3C도는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15)가 상기 벽(14)에 고정된(secured) 압력 스프링(22)에 의해 벽(14)에 대해 압착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압력 스프링"은 엔벨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 그 일부는 엔벨롭의 내부와 외계간의 압력의 차이의 결과로 와이어 캐소드 상에 압착한다.
바람직하게,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는 개구들의 열에 따른 방향(z-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나타낸다. 이에 의해, 대응하는 접촉 표면들이 서로 맞물려 정밀도가 향상된다.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 및 개구들이 형성되는 요소(벽(14))는 바람직하게 유사한 열 팽창 계수를 갖는 물질들, 그리고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진다. 이에 의해, 개구들에 대한 와이어 캐소드의 위치에서의 변화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접촉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절연성 표면이다.
제 4A도 및 제 4B도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41) 및 벽(14)에는 위치 지정 홈(positioning recess)(42) 및 위치 지정 돌기(positioning projection)(43)가 제공된다. 이는 개구들의 열에 대한 와이어 캐소드의 위치가, 좀더 특정하게는 x-방향으로 더 규정되게 할 수 있다. "위치 지정 홈 및 위치 지정 돌기"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해되어져야 하며, 각각은 한 쌍의 요소로 전술된 구성성분들(와이어 캐소드 지지체 및 요소)의 각각에 하나씩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접촉 표면에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표면들 상에 서로 맞물린다. 상기 요소 및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에는 이러한 다수의 쌍이 제공되어질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동일한 형태일 수도 있고 상이한 형태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에는 예를 들면, 하나의 돌기와 하나의 홈이 제공되고, 개구 벽에는 대응하는 홈 및 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제 4C도는 z-방향 및 x-방향으로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의 위치의 결정(=제 4A도 및 제 4B도에서의 위치 지정 홈들 및 돌기들의 기능)이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41) 및 요소(47)(z-방향에 대해)의 접촉 표면들(44, 45)에 의해 그리고 요소(47)의 탄력이 있는 종단부(resilient end portion)(48)가 맞물리는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41)의 홈들(grooves) 또는 관(46)에 의해 수행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개구들의 열에 면한 표면에 와이어 위치 지정 홈(groove)들을 구비한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를 도시한다. 이들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와이어 위치 지정 홈은 대안적으로 개구들의 열에서 떨어져 면한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와이어 캐소드가 개구들의 열에 대해 배치되는 정확도는 와이어 위치 지정 홈들이 지지체에 면한 표면에 형성되면 더 크다. 이것이 제 5도에 도시된다. 이 도면은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52)에 위치 지정 홈을 형성하는 2개의 상이한 방법들을 도시한다: 홈(51)은 벽(53)에서 홀들에 면한 표면에 형성되고, 홈(54)은 벽(53)에서 떨어져 면한 표면에 형성된다. 둘 중 어느 한 경우에, 와이어 캐소드 및 개구들간의 거리는 이상적으로는 D1이다. 그러나, 실제로 거리 D1으로부터 항상 편차가 있다. 홈(51)에 대해서, 상기 거리는 홈이 형성된 깊이(δ1)의 정밀도에 의해 결정되고, 홈(54)에 대해서, 상기 거리는 홈이 형성될 수 있는 깊이(δ1)의 정밀도 및 홈의 위치에서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가 형성될 수 있는 두께(δ2)의 정밀도에의해 결정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예리한 코너를 형성하기 위해 연장하는 두개의 표면들을 갖는 위치 지정 홈들을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예를 들면, 홈이 U자 형태인 경우 바람직한데, 이는 위치 지정 홈 내의 와이어 캐소드의 위치가 좀 더 양호하게 규정되기 때문이다.
제 6도는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63)의 위치 지정 홈(62)이 V자 형태인데, 이 V자 형태는 벽(61)으로 연장하고 있다.
제 7도는 다른 실시예에 대한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의 상면도이다. 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예에서, 지지체(70)는 두개의 평행한 와이어 캐소드들(71, 72) 및 대응하는 위치 지정 홈들(73, 74)을 포함한다. 개구 벽은 대응하는 개구들의 열들(75, 76)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두개의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들을 포함하는 경우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보다 소수의 부품들이 필요하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와이어 캐소드들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대응하는 개구들의 열에 대해 배치되는 정밀도에도 유리하게 된다. 제 7도는 접촉 표면들(77, 78, 79)을 갖는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를 도시한다. 접촉 표면들(78, 79)은 와이어 캐소드(들)의 둘 중 한 면에 놓이며 , 위치 지정 홈들은 이 접촉 표면들에 형성된다. 위치 지정 홈들을 접촉 표면들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와이어 캐소드와 지지체간의 거리가 위치 지정 홈들의 깊이에 의해 직접적으로 결정되고, 접촉 표면들 및 위치 지정 홈들간의 거리가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와이어 위치 지정 홈들이 형성되는 표면들이 단지 접촉 표면들이고 지지체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요소와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와이어 캐소드(들) 및 상기 요소간의 거리(y-방향으로)가 결정될 수 있는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제 8도는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든 와이어 캐소드들(81, 82, 83, 84)을 포함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와이어 캐소드들은 스프링들(85)에 의해 접속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이한 구성성분들의 수가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제 9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엔벨롭(93)뿐만 아니라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91) 및 벽(92)을 포함하는 분리 유닛(9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엔벨롭(93)은 접속들(94)에 의해 벽(92)에 고정된다. 이 분리 유닛(90)은 접속들(95)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나머지에 고정된다. 이송관(96)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나머지에 형성된다. 접촉 표면들 및 위치 지정 홈들에 의해 형성된 이 경우에, 벽(92)내의 개구들 및 상기 개구들에 대한 와이어 캐소드(97)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분리된 와이어 캐소드 유닛 혹은 모듈을 사용하는 것의 장점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모듈식으로 구조(modularly structure)될 수 있도록 하고, 즉 하나 및 동일한 와이어 캐소드 유닛이 다양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비용이 절감된다. 와이어 캐소드 유닛의 사용은 예를 들어 대응하는 개구들에 대해 와이어 캐소드의 위치와 같은, 다수의 양상들의 와이어 캐소드 유닛이 개별적으로 체크되는 것을 허용한다는 부가적인 장점을 갖는다. 와이어 캐소드 모듈이 요구조건들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와이어 캐소드 모듈은 사용에 적합하지 않지만, 전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아니다. 이에 의해, 대응하는 개구들에 대해 와이어 캐소드의 배열이 요구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해 야기되는 손실에 의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러한 손실에 의한 비용이 절감됨에 따라, 상기 요구조건은 더 강화될 수 있고, 대응하는 개구들에 대해 와이어 캐소드의 위치의 평균적인 정밀도도 더 높아질 수 있다. 와이어 캐소드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획득자(getter)(98)들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동작에서 양호한 진공 상태가 획득될 수 있다. 와이어 캐소드에 대한 이 획득자(들)의 위치에 관해서는 와이어 캐소드가 이 획득자로부터 차폐(shielding)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와이어 캐소드가 이 획득자로부터 와이어 캐소드 홀더에 의해 차폐되고 있다. 이에 의해, 획득자 물질이 부정적으로 와이어 캐소드의 성질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배제되고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목적은 하나 혹은 다수의 와이어 캐소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 캐소드(들)는 냉각 상태에서 대응하는 개구들에 대해 정밀하게 배치된다.
동작시, 와이어 캐소드(들)는 전자들을 방출하기 위해 가열된다. 이에 의해 와이어 캐소드들이 팽창된다. 이에 따라 개구들에 대한 와이어 캐소드의 위치에 부정적인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와이어 캐소드는 진동을 시작할 수 있다(확성효과(microphony)). 이는 또한 개구들에 대한 와이어 캐소드의 위치에 부정적인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부정적인 효과를 감소하기 위한 조치들이 취해지고 있다.
제 10도는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99) 및 와이어 캐소드(101)를 수용하는 위치 지정 홈(100)의 일부의 개략적 투시도이다. 와이어 캐소드는 와이어의 길이방향(z-방향)의 구성성분 Fz 및 와이어 캐소드의 길이방향에 횡방향(y-혹은 x-방향)으로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사전 장력을 받게 된다. z-방향의 구성성분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조건에서도 와이어 캐소드가 팽팽하게 유지되고, y-혹은 x-방향의 구성성분에 의해 와이어 캐소드가 위치 지정 홈에 밀착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사전 장력은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에 고정된 스프링 요소(102)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 장력 스프링(102)은 와이어 캐소드에 z-방향 및 x-방향 모두로 힘을 가함에 의해 와이어 캐소드를 팽팽하게 한다(tauten).
제 11A, 11B, 11C도는 지지체(111)가 위치 지정 홈들(113)을 갖는 점들(112A 내지 112H)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위치 지정 홈들(113)은 와이어 캐소드(114)를 수용한다. 이 지지체는 이 실시예에서 장력 스프링의 형태를 갖고 있는 스프링 요소들(115)을 포함한다. 참조 번호(116)의 위치에서 스프링 요소들(115)은 와이어 캐소드에 접속되며 상기 스프링 요소들이 와이어 캐소드(114)를 위치 지정 홈들(113)로 끌어당긴다.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에는 장력 스프링(115)을 수용하기 위한 홈들(117)과 위치 지정 홈들(118)에 제공된다. 제 11A도 내지 제 11C도에 있어서, 각각의 와이어 캐소드(114)는 두개의 스프링들(115)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진다.
제 11D도 및 제 11E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와이퍼 캐소드 지지체는 두개의 서브-지지체들(120, 121)을 포함한다. 두개의 와이어 캐소드들(122, 123)은 지지체 상에 존재한다. 이 실시예는 하나의 연속적인 와이어 캐소드가 다수의 (이 실시예에서는 4개) 개구들의 열에 대응한다는 점에서 제 11A도 내지 제 11C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하다. 따라서, 와이어 캐소드들의 수가 감소된다. 와이어 캐소드들은 다수(이 경우 2n, 여기서 n=4)의 위치 지정 홈들을 통해 연장한다. 지지체는 두개의 상이한 타입들의 장력 스프링들 즉, 종단 스프링들(124) 및 중간 스프링들(125)을 포함한다. 장력 스프링들의 수가 2n에서 n+1로 감소된다. 적어도 두개의 위치 지정 홈들은 공통의 중간 스프링을 갖는다.
제 12A도 및 12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예의 세부를 도시한다.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131)는 와이어 캐소드(135)를 끌어당기기 위한 홈(133) 및 장력 스프링들(134)을 갖는 다수의 스프링 요소들(132)을 포함한다. 요소들(132)은 와이어 캐소드에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131) 및 개구들(137)을 포함한 벽(136)에는 접촉 표면들(138, 139) 및 위치 지정 돌기들(140) 및 위치 지정 홈(recess)(141)이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지정 돌기들은 캐버티들(141)과 맞물리는 스프링 요소들의 형태를 갖고 있다. 와이어 위치 지정 홈들(133)은 접촉 표면들(138, 139)(x-z 방향)에 평행한 일직선상(z-방향)으로 연장한다. 와이어 캐소드(135)는 와이어 위치 지정 홈들(133)로 장력 스프링(134)에 의해 끌어당겨진다. 만약 와이어 캐소드가 팽창되면, 와이어 위치 지정 홈(133)이 형성된 요소(132)의 탄성 효과에 의하여 와이어의 팽창에 부응하여 와이어 위치 지청 홈이 조정된다. 와이어 위치 지정 홈이 와이어 캐소드의 팽창에 대해 조절될 수 있는 스프링 요소로 형성되는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위치 지정 홈에서의 와이어 캐소드의 마모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거나 혹은 매우 경미한 정도로만 발생한다는 것이다. 접촉 표면상에 형성된 위치 지정 흠을 가진 실시예에 대비한 단점중의 하나는 "냉각 상태"에서의 위치 지정 효과가 약간 덜 정밀하다는 것이다.
제 13A, 13B, 13C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세부를 도시한다. 제 13A도는 위치 지정 홈들(151, 152)이 부분들(153, 154)에 두개씩 형성되어진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150)를 도시한다. 이 위치 지청 홈은 한 쌍의 와이어 캐소드(155, 156)를 고정시킨다. 각각의 와이어 캐소드의 쌍은 장력 스프링(157)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2n개의 와이어 캐소드들(n쌍의 와이어 캐소드)에 필요한 장력 스프링의 수는 n+1로 감소된다. 따라서 제 13A도에서는 쌍으로(쌍에서 쌍으로) 고정된 와이어 캐소드를 도시한다. 두개 이상의 와이어 캐소드를 장력 스프링에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결합 요소(158)(제 13B도 참조)는 한쌍의 와이어 캐소드들에 고정되고, 장력 스프링은 이 결합 요소에 바람직하게 중간(와이어 캐소드 쌍에 대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 캐소드들간의 열팽창에 있어서의 어떠한 차이들도 장력 스프링의 자연적인 유연성에 의해 보상된다. 결합 요소는 약간 회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장력 스프링(157)은 또한 와이어 캐소드간의 전기적 접촉으로서 역할을 한다. 장력 스프링은 와이어 캐소드들의 방향으로 큰 장력이 얻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체는 장력 스프링(157)에 와이어 캐소드의 길이 방향에 횡방항으로 힘을 가하는 두 번째의 스프링(159)(제 13C도)을 포함한다. 이 힘은 (장력 스프링(157)에 인가되는 장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스프링 요소는 와이어 캐소드들을 팽팽하게 하기 위한 힘을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스프링(157)) 이 힘에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발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프링 요소(스프링 (159))와는 상이한 것이다. 필요한 힘간의 비율이 매우 크기 때문에 한 개의 스프링 요소로 두개의 힘 모두를 충분히 정확하게 발생한다는 것이 매우 어렵다. 와이어를 홈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필요한 것보다 더 커지는 결과가 발생할 수도 있다. 와이어 캐소드의 팽창 및 수축이 홈 내의 와이어의 마모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 캐소드의 개구들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를 초래하는 마멸의 정도에까지 이를 수 있다. 와이어 캐소드를 팽팽하게 하는 목적과 와이어 캐소드를 와이어 위치 지정 홈에 끌어당기는 목적에 상이한 스프링 요소를 사용함에 의해 와이어 캐소드를 홈에 끌어당기는 힘을 좀 더 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 상에 단지 미약한 정도의 마모만이 존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 캐소드의 개구들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도 매우 적게 된다. 스프링(159)은 또한 전기적인 접촉을 위해 사용되어질 수도 있다.
제 13A도 내지 제 13C도는 다수의 와이어 캐소드가 스프링 요소(157)에 의해 서로 연결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도면들에 있어서 와이어 캐소드의 쌍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것들이 제한된 의미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되는테,단일의 와이어 캐소드가 또한 마찬가지로 장력 스프링(157)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질 수도 있다.
와이어 캐소드를 서로 연결하는 것은 두개의 장력 스프링을 사용, 즉 와이어 캐소드의 양쪽 편 모두에 하나씩 사용하는 것에 비해 장력 스프링(157)의 개수가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부가적인 장점으로는 각각의 와이어 캐소드가 대략적으로 동일한 장력 응력에 구속된다는 것이다. 이는 각각의 와이어 캐소드가 대략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팽창되고, 각각의 홈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마모율을 갖는다는 점에서 중요한 장점이다. 부가적인 장점으로는 종단의 장력 스프링과는 별도로, 장력 스프링(157)이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 상에는 힘을 거의 혹은 전혀 인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장력 스프링이 장력을 지지체에 전달하는 구성에서는 상기 지지체는 굽힘 작용을 받을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와이어 캐소드의 위치의 정밀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장력이 지지체의 종단 부분에만 전달되어야 문제 발생 가능한 부분이 더 적은 수로 더 좁은 영역으로 제한될 수 있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와이어 캐소드는 굽혀질 필요가 없다. 장력 스프링은 지그재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데, 이에 따라 가용 공간이 효과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고, 또한 (만약 와이어 캐소드가 쌍으로 사용된다면) 스프링이 한쪽 면으로부터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결합 요소가 사용된다면 와이어 캐소드는 먼저 예를 들면 용접 등에 의해 상기 결합 구성성분들에 정밀하게 고정되어질 수 있다. 와이어 캐소드의 쌍은 부수적인 도구를 사용하여 와이어 캐소드를 팽팽하게 함으로써 지지체 상에 장착될 수 있고, 이후에 사전 장력이 인가된 장력 스프링이 이 결합 요소들에 용접된다.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 상의 과도한 마모에 대한 대안적인 해법은 스프링의 형상을, 냉각 상태에서, 와이어 캐소드가 홈에 밀착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제공된다. 장력 스프링은 와이어가 고온이 되고, 이에 따라 팽창하게 되면, 와이어가 위치 지정 홈 쪽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고온 상태에서만 와이어가 홈에 밀착되게 된다. 제 13D도는 홈(161)을 가진 지지체(160)를 도시한다. 냉각 상태에서 와이어 캐소드(163)는 위치 지정 홈(161)과 접촉하지 않는다. 엽상(leaf) 스프링(162)을 사용하여 y-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엽상 스프링의 포인트는 제 13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y-방향(Δy)으로는 물론 z-방향으로도 이동한다. 필요하다면, 엽상 스프링은 각도 α로 장착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y-방향으로의 더 큰 이동이 발생한다(제 13F도 참조). 스프링의 일부를 일정 각도로 배치(비틀어진 스프링)함으로써 z-방향의 이동도 가능하다(제 13G도 참조). 이러한 스프링이 굽혀지면, 이 비틀어진 부분의 비스듬한 부분이 그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만 굽혀질 것이고, 따라서 z-방향으로 미소한 변위만이 발생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는 냉각 상태에서, 와이어 캐소드가 위치 지정 홈과 접촉하지 않고, 고온 상태에서 와이어 캐소드가 위치 지정 홈과 접촉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상의 마모가 제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위치 지정 홈은 개구들의 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개구들의 열에 대한 평행"이라는 표현은 위치 지정 홈이 개구들이 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실시예, 즉 위치 지정 홈이 개구들의 열에 대해 작은 각도로 경사진 경우까지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제 14A도 및 제 14B도는 위치 지정 홈이 개구들의 열에 대해 작은 각도로 경사진 실시예의 상세부를 도시한다. 제 14A도는 와이어 캐소드의 일부 및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의 세부를 도시한다. 제 14B도는 위치 지정 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와이어 캐소드는 결합 요소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위치 지정 홈은 개구들의 열에 대해 작은 각도로 경사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이러한 경사진 위치 지정 홈에서의 와이어 캐소드들이 장력 스프링에 의해 위치 지정 흠으로 끌어당겨 진다는 것이다.
제 15A도 및 제 15B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수의 요소의 세부 투시도 및 세부 단면도이다.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160)는 와이어 위치 지정 홈(163, 164)을 포함하는 접촉 표면(161, 162)을 포함한다. 이 접촉 표면(161, 162)을 통해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160)가 개구들(166)의 열을 포함하는 판(165)과 결합한다. 와이어 캐소드(167, 168)는 홈(163, 164)내에 위치한다. 와이어 캐소드는 결합 요소(169)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 결합 요소는 장력 스프링(17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는 위치 지정 홈들 사이에 개구(172)를 제공하고, 와이어 캐소드에 대한 장력 스프링을 이 실시예에서는 결합 요소로 고정한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지지체가 이러한 장착 개구와 같은 것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단면도(제 15B도)는 지지체(160)가 와이어 캐소드(167, 168)를 둘러싸고 있음을 도시한다. 이러한 U자 형태의 구성은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가 x-방향으로 견고한 구성을 형성하고, 와이어 캐소드를 일정 정도 보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는 에지(182)를 포함한다.이 에지는 제 15B도에서 명백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 표면(161, 162)에 비해 약간 낮은데(판(165)과 이격됨) 이는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160) 및 판(165)이 접촉 표면(161, 162)을 통해서만 접촉하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판(169) 및 에지(182)는 지지체 위치 지정 홈(173) 및 섬유(fibre)(174)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x-방향으로 이 양호한 위치 지정이 달성된다. 이에 의해 와이어 캐소드 및 판(165)간의 거리 결정의 정밀도가 에지가 접촉 표면으로도 이용된 실시예에 비해 개선된다. 이 지지체는 z-방향으로는 유연하지만 x 및 y-방향으로는 견고히 고정되어 있다.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는 판(165)에 압력 스프링(175)에 의해 압착되어 있다.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의 후면 벽(178)은 전기적 전하를 제거할 수 있는 하나의 층, 예를 들면 저항성 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의 충전이 배제되거나 또는 감소된다. 이러한 충전은 와이어 캐소드에 의한 전자의 방출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
당해 분야에 숙달된 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많은 변이가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전술된 양상(특히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 상에 장력 스프링이나 와이어 캐소드를 쌍으로 연결하기 위한 결합 요소에 의해 와이어 캐소드를 연결하는 것, 와이어 캐소드를 팽팽하게 하는 것과, 와이어 캐소드를 위치 지정 홈 내에 배치하기 위한 목적에 상이한 타입의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 모든 와이어 캐소드가 고정되는 단일의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의 사용, 개구 벽은 물론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를 포함하는 와이어 캐소드 유닛의 사용, 선택적으로는 획득자, U자 형태의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의 사용,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의 후면 벽을 전기적 충전을 배제하는 층을 구비하게 한다든지, 와이어 캐소드가 냉각 상태에서는 위치 지정 홈과 접촉하지 않고, 고온 상태에서만 접촉하도록 하는 형태를 가진 스프링의 사용 등)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가 개구 벽과 고정되는 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의 사용과 매우 유리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 또한 상기 양상들은 또한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를 개구 벽에 대해 적절히 위치시키기 위해 사용된 수단의 현상 및 위치 외에 장점도 제공한다. 이러한 양상들과 관련하여, "상기 요소 및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가 개구들의 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대응하는 접촉표면상에서 서로 결합된다"라는 양상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요소 및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를 서로에 대해 적절히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Claims (16)

  1. 전자들을 방출하기 위한 와이어 캐소드와 상기 와이어 캐소드에 의해 방출된 전자들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개구들의 열을 갖는 벽 요소(wall element)를 구비한 엔벨롭(envelope)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벽 요소 및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는 대응하는 접촉 표면들 상에서 서로 맞물리며(engage), 그 대응하는 접촉 표면들의 법선이 개구들의 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는 다수의 와이어 위치 지정 홈들을 가지며, 그 홈들 사이에서 와이어 캐소드가 개구들의 열로 부터 얼마의 거리에서 자기 지지 방식(self-supporting manner)으로 연장하며, 상기 위치 지정 홈들은 상기 열 및 접촉 표면들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 및 상기 벽 요소가 사전 장력을 받으면서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 및 상기 벽 요소가 사전 장력하에서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보장하는 분리된 압력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벽 요소 혹은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는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 및 상기 벽 요소가 사전 장력하에서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압력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가 개구들의 열의 방향으로 유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 요소 및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에는 접촉 표면들에 대해 법선의 횡방향으로 상기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 및 상기 벽 요소의 상대적인 위치들을 결정하기 위한 부가적인 지지체 위치 결정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지정 홈들은 개구들의 열에 면한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의 면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지정 홈들은 상기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의 접촉 표면들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지정 홈들이 예리한 코너를 형성하도록 연장하는 두개의 표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는 적어도 두개의 평행한 와이어 캐소드들을 지지하고, 상기 벽 요소는 이 두개의 와이어 캐소드들에 대응하는 개구들의 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하나보다 많은 와이어 캐소드를 포함하고, 모든 와이어 캐소드들이 하나의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 상에 놓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와이어 위치 지정 홈들 내에 놓인 와이어 캐소드 상에 사전 장력이 인가되고, 상기 사전 장력은 와이어 캐소드의 길이 방향의 구성성분 및 상기 방향에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와이어 캐소드 지지체는 와이어 캐소드에 인가된 사전 장력을 일으키는 장력 스프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장력 스프링이 두개의 와이어 캐소드들 사이에 고정되고 두개의 와이어 캐소드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장력 스프링이 두쌍의 와이어 캐소드들 사이에 고정되고, 두쌍의 와이어 캐소드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위치 지정 홈들은 공통의 장력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960702638A 1994-09-21 1995-09-12 와이어캐소드를구비한엔벨롭을가진디스플레이장치 KR100371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4202710 1994-09-21
EP94202710.3 1994-09-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1041B1 true KR100371041B1 (ko) 2003-04-11

Family

ID=821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638A KR100371041B1 (ko) 1994-09-21 1995-09-12 와이어캐소드를구비한엔벨롭을가진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26526A (ko)
EP (1) EP0729639B1 (ko)
KR (1) KR100371041B1 (ko)
DE (1) DE69527701T2 (ko)
TW (1) TW273626B (ko)
WO (1) WO19960096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540B1 (ko) 2011-12-28 2018-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7431649B2 (ja) * 2020-04-13 2024-02-15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電子線発生源、電子線照射装置、及びx線照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2040A (en) * 1980-07-14 1982-09-28 Burroughs Corporation Display panel with anode and cathode electrodes located in slots of base plate
JPH061674B2 (ja) * 1984-12-04 1994-01-05 ソニー株式会社 螢光表示管
US4804887A (en) * 1986-11-19 1989-02-14 Matsushita Electrical Industrial Co., Ltd. Display device with vibration-preventing plate for line cathodes
NL8800423A (nl) * 1988-02-19 1989-09-18 Philips Nv Beeldweergeefapparaat voorzien van een vlak beeldvenster en microfoniearme lijnvormige thermische draadkathodes.
DE68911846T2 (de) * 1988-10-26 1994-04-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ideo-Bildschirm.
ES2086365T3 (es) * 1990-01-10 1996-07-01 Philips Electronics Nv Dispositivo de reproduccion de imagen de tipo fino.
US5489815A (en) * 1990-05-24 1996-02-06 U.S. Philips Corporation Flat-panel type picture display device with electron transport ducts and a double selection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73626B (ko) 1996-04-01
DE69527701D1 (de) 2002-09-12
WO1996009640A1 (en) 1996-03-28
US5726526A (en) 1998-03-10
EP0729639A1 (en) 1996-09-04
DE69527701T2 (de) 2003-07-03
EP0729639B1 (en) 200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176B1 (ko) 표시장치
US4887000A (en) Electron beam generation apparatus
KR100371041B1 (ko) 와이어캐소드를구비한엔벨롭을가진디스플레이장치
US2683833A (en) Electrode structure
JPH09505940A (ja) ワイヤカソードを有するエンベロープを持つ表示装置
TW448462B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 lower expansion tension mask attached to a higher expansion frame
JP4295022B2 (ja) 複合型フィラメント支持体を有する蛍光表示管
KR20070002238A (ko) 액정모듈
JP2894263B2 (ja) 蛍光表示管
JPS59146139A (ja) 画像表示装置
US20080211383A1 (en) Flat displa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displacement prevention member for use in the flat display
JPH02295032A (ja) ゲッタ装置
KR20070040648A (ko) 열전자 방출 백라이트 장치
TW200921741A (en) Flourescent display tube
JPH08264138A (ja) 蛍光表示管及び蛍光表示管用陰極支持体
JP4249842B2 (ja) 蛍光表示管
JPH10188639A (ja) 面光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H01241743A (ja) 扁平表示窓と低マイクロホニックス線状熱電子ワイヤ陰極とを有する表示装置
JPS63124350A (ja) 平板型表示装置
ITTO20000889A1 (it) Sistema di accoppiamento di un attuatore piezoelettrico su uno zoccolo rigido di supporto.
JPH0746578B2 (ja) 電子ビ−ム発生装置
JPS6334841A (ja) 画像表示装置
JPH0221545A (ja) 表示装置
JPH0254841A (ja) 平板形表示装置
KR20040030985A (ko) 마스크 인장 완화 기능을 갖는 음극선관용 인장 마스크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