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706B1 - 탕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탕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706B1
KR100370706B1 KR10-1999-0033251A KR19990033251A KR100370706B1 KR 100370706 B1 KR100370706 B1 KR 100370706B1 KR 19990033251 A KR19990033251 A KR 19990033251A KR 100370706 B1 KR100370706 B1 KR 100370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main body
water
faucet main
mount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2305A (ko
Inventor
안도유즈루
하야시게이이치
임남혁
권현석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 주식회사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 주식회사,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대림통상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00052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7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1Taps specially designed for dispensing boiling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5Water supply lines as such, e.g. shower h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Abstract

본 발명은 탕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도꼭지 본체에 형성된 호스삽통 통부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침입한 탕수나 호스를 따라서 흐르는 탕수를 확실하게 물받이 탱크내에 흐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착 기대(1)에 장착된 수도꼭지 본체(2)에 인출 가능하게 삽통한 호스(3)의 선단부에 토수헤드(4)를 형성하는 동시에 장착 기대(1)의 아래쪽에 있어서 호스(3)의 중간을 U 자형으로 하여 수납하는 물받이 탱크(5)를 배설한 탕수공급장치이다. 수도꼭지 본체(2)에 형성된 호스삽통 통부(6)에 변형 가능한 신축관(7)의 상단부를 접속한다. 신축관(7)의 하단부를 물받이 탱크(5)내에 넣는다.

Description

탕수공급장치{HOT AND COLD WATER SUPPLYING SYSTEM}
본 발명은 세면 화장대나 싱크대 등에 설치되는 탕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세면 화장대에 있어서, 장착 기대에 장착된 수도꼭지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삽통한 호스의 선단부에 토수헤드를 설치하는 동시에 장착 기대의 아래쪽에 있어서 호스의 중간을 U 자형으로 하여 수납하는 물받이 탱크를 배설한 탕수공급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종래예에 있어서는, 사용에 있어서 호스를 꺼내지 않고 토수(吐水)헤드로부터 탕수를 토수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토수헤드를 손으로 잡고 호스를 꺼내어 목적한 위치까지 토수헤드를 이동시켜서 토수하여 사용하거나 하는 것으로, 호스를따라서 흐르는 물을 장착 기대의 아래쪽에 배치한 물받이 탱크에서 받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에 있어서, 호스를 인출 가능하게 하기 위해 수도꼭지 본체에 형성된 호스삽통 통부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침입한 탕수가 호스삽통 통부의 내면을 따라서 수도꼭지 본체의 장착 기대의 하면측으로 돌아 들어가서 장착 기대의 하면측을 적신다거나, 또는 장착 기대의 아래쪽으로 흘러서 장착 기대의 아래쪽의 캐비넷내를 적실 우려가 있다.
또, 호스를 따라서 흐르는 탕수가 물받이 탱크에 이르기 전에 호스에서 낙하하여 물받이 탱크에 받아지지 않고 장착 기대 아래쪽의 캐비넷내를 적실 우려가 있다.
또, 종래, 인출 가능한 호스의 선단부에 형성하는 토수헤드는 손으로 잡아 꺼낸다고 하는 사용형태 때문에, 통상의 비(非)인출타입의 수도꼭지의 토수헤드와 같이 금속제로 하면 열탕을 통과시킬 때에 토수헤드의 표면의 온도가 상승하여,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없어 경우에 따라서는 화상을 입을 위험성도 있다.
그러므로, 종래에 있어서는 인출 가능한 호스의 선단부에 형성하는 토수헤드는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토수헤드를 합성수지로 형성하면 외관이 값싸게 보여 상품가치가 저하되고, 또한 흠집이 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수도꼭지 본체에 형성된 호스삽통 통부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침입한 탕수가 장착 기대의 하면측으로 돌아 들어가거나, 장착 기대의 아래쪽으로 낙하하여 장착 기대의 아래쪽의 캐비넷내를 적신다거나 할 우려가 없고, 확실하게 물받이 탱크내를 흐를 수 있고, 또 호스를 따라서 흐르는 탕수가 중간에 낙하해도 확실하게 물받이 탱크내에 흐르게 할 수 있고, 또 손으로 잡고 인출 가능하게 된 토수헤드의 외관을 금속제로 하여 상품가치를 높이는 동시에 흠집이 쉽게 나지 않도록 했음에도 불구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고온의 뜨거운 물을 통과시켜도 토수헤드가 뜨거워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탕수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홈부 단면도이며,
도 1b는 신축관의 상단을 호스삽통 몸통부에 접속한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호스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5a는 도 4의 수도꼭지 본체의 정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배면도.
도 6a는 상기 수도꼭지 본체의 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저면도.
도 7은 상기 토수헤드가 인출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계합돌기와 계합 홈부를 나타낸 계합 전의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착 기대, 2 : 수도꼭지 본체,
3 : 호스, 4 : 토수헤드,
5 : 물받이 탱크, 6 : 호스삽통 통부,
7 : 신축관, 8 : 내부통로부,
9 : 외곽부, 10 : 단열용 공간.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탕수공급장치는,장착 기대(1)에 장착된 수도꼭지 본체(2)에 인출 가능하게 삽통한 호스(3)의 선단부에 토수헤드(4)를 형성하는 동시에 장착 기대(1)의 아래쪽에 있어서 호스(3)의 중간을 U 자형으로 하여 수납하는 물받이 탱크(5)를 배설한 탕수공급장치로서, 수도꼭지 본체(2)에 형성된 호스삽통 통부(6)에 변형 가능한 신축관(7)의 상단부를 접속하고, 이 신축관(7)의 하단부를 물받이 탱크(5)내에 넣어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상기 호스삽통 통부(6)에 삽입되는 토수헤드(4)는 탕수가 흐르는 내부통로부 (8)와 동 내부통로부(8)를 덮는 외곽부(9)로 구성되는데,상기 내부통로부(8)는 합성수지로 형성됨과 동시에 외곽부(9)는 금속으로 형성되며,그리고 상기 내부통로부(8)와 외곽부(9)와의 사이에는 단열용 공간(10)이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수도꼭지 본체(2)에 형성된 호스삽통 통부(6)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탕수가 침입해도 신축관(7)의 내면을 따라서 물받이 탱크(5)내에 배수될 수 있는 것이며, 또 호스(3)를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 탕수가 중간에 호스(3)로부터 낙하해도 신축관(7)에서 받아 물받이 탱크(5)내로 배수할 수 있음은 물론, 또한 손으로 잡고 인출 가능한 토수헤드(4)의 외면이 금속제로 되어 외관이 향상되고,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동시에, 내부통로부(8)를 뜨거운 물이 흘러도 토수헤드(4) 외부면의 금속제의 외곽부(9)가 뜨거워지지 않고, 따라서 외부면이 금속제로 된 토수헤드(4)를 손으로 잡고 조작해도 화상 등의 우려가 없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단열용 공간(10)에 의해 한층 금속제의 외곽부(9)가 뜨거워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수도꼭지(11)는 수도꼭지 본체(2)와, 수도꼭지 본체(2)에 형성된 조작레버와 같은 조작부(12)와, 수도꼭지 본체(2)에 대하여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토수헤드(4)로 구성되어 있다.
도 1a,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도꼭지 본체(2)의 상부에는 탕수혼합부 (31)가 형성되어 있고, 수도꼭지 본체(2)내의 하부는 중공부(中空部)(13)로 형성되며 중공부(13)는 수도꼭지 본체(2)의 하면 개구부(14)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 수도꼭지 본체(2)는 전면부에 통형상을 한 통형상 돌출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형상 돌출부(15)는 외부로 개구되는 동시에 중공부(13)에 연통되어 있다.
통형상 돌출부(15)에는 호스삽통 통부(6)를 끼워 넣어 장착되어 있고, 호스삽통 통부(6)의 전단부는 통형상 돌출부(15) 보다 앞쪽으로 돌출하고 있어 토수헤드 삽입부(16)로 되어 있다.
호스삽통 통부(6)의 후단부는 중공부(13)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호스삽통 통부(6)의 후단부의 외주부에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용 돌기(17)가 형성되어 있으며, 변형 가능한 신축관(7)의 상단부의 장착용 홈부(18)를 끼워 넣어 장착하고 있다.
신축관(7)은 수도꼭지 본체(2)의 하면 개구부(14)로부터 아래쪽으로 도출하고 있다.
수도꼭지 본체(2)의 탕수혼합부(31)에는 탕수혼합부(3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호스부(43a)와, 탕수혼합부(31)에 뜨거운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호스부(43b)와, 탕수혼합부(31)에서 혼합된 탕수를 공급하는 접속호스부(43c)의 각 일단부가 각각 접속하고 있으며, 이들 접속호스부(43a),(43b),(43c)는 각각 수도꼭지 본체(2)의 중공부(13)를 거쳐서 하면 개구부(14)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각 호스부(43a),(43b),(43c)의 타단부에는 접속부(21)가 형성되어 있어서, 접속호스부(43a)의 접속부(21)에 물공급호스(19)의 일단부를 접속하고, 접속호스부(43b)의 접속부(21)에 탕공급호스(20)의 일단부를 접속하고, 접속호스부 (43c)의 접속부(21)에 혼합된 탕수를 공급하기 위한 호스(3)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또, 혼합된 탕수를 공급하기 위한 호스(3)는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어 상기와 같이 수도꼭지 본체(2)의 하면 개구부(14)로부터 일단 아래쪽으로 도출한 후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U 자형으로 굴곡하고, U 자형으로 굴곡된 앞쪽을 신축관(7)의 하단에서 신축관(7)내에 삽통하고, 신축관(7), 수도꼭지 본체(2)에 형성된 호스삽통 통부(6)를 통과하여 호스삽통 통부(6)의 개구로부터 앞쪽으로 도출되어 있으며, 이 호스(3)의 선단부에 토수헤드(4)를 접속하고 있다.
토수헤드(4)는 탕수가 흐르는 내부통로부(8)와, 내부통로부(8)를 덮는 외곽부(9)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통로부(8)는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후단부에 호스(3)가 접속되어 있고, 내부통로부(8)의 후단부의 호스(3)와의 접속부보다 약간 전방 위치에 지지테부(8a)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내부통로부(8)의 전단부의 하면부에 내주부에 암나사부(23)를 형성한 장착용 홈부(24)가 형성되어 있어서, 장착용홈부(24)의 바닥에 내부통로부(8)내의 통로부분과 연통하는 토출구멍(8b)이 형성되어 있다.
외곽부(9)는 내부가 금속제로서 내부가 중공(中空)으로 되어 있어서 후면이 후면 개구부(25)로 되어 있는 동시에 전단 하면에 삽입용 개구부(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곽부(9)를 후면 개구부(25)측에서 내부통로부(8)에 씌우고, 지지테부(8a)를 외곽부(9)의 내면에 접촉하여 외곽부(9)를 내부통로부(8)에 지지하는 동시에 내부통로부(8)와 외곽부(9)와의 사이에 단열용 공간(10)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통로부(8)의 장착용 홈부(24)의 개구에지부 가까이에 계합돌기(32a)를 형성하고, 삽입용 개구부(6) 가까이에 계합홈부 (32b)를 형성하고 있어, 상기와 같이 외곽부(9)를 내부통로부(8)에 씌운 상태로 계합돌기(32a)가 계합홈부(32b)에 걸어 맞춰져 위치 결정되는 동시에 유동이나 어긋남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외곽부(9)를 내부통로부(8)에 씌운 상태로, 통형상을 한 살수부재(27)를 외곽부(9)의 내부통로부(8)로부터 삽입하여 살수부재(27)에 형성된 수나사부(28)를 내부통로부(8)의 암나사부(23)에 나사 결합하여 살수부재 (27)를 장착하는 것이지만, 여기서 살수부재(27)의 하부는 삽입용 개구부(26)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외곽부(9)가 내부통로부(8)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내부통로부(8)의 후단부의 호스(3)와의 접속부분과 외곽부(9)의 후단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간극(2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도꼭지 본체(2)에 형성된 호스삽통 통부(6)에는 전방으로부터 토수헤드(4)의 후단부의 내부통로부(8)의 후단부의 호스(3)와의 접속부분이 끼울 수 있게 되어 있으며, 호스삽통 통부(6)에 내부통로부(8)의 후단부의 호스(3)와의 접속부분이 끼워진 상태로 호스삽통 통부(6)의 전단이 지지테부(8a)에 접촉하여 토수헤드(4)를 수도꼭지 본체(2)측에 지지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 경우, 호스삽통 통부(6)의 전단부의 토수헤드 삽입부(16)가 토수헤드(4)의 후단부의 간극(29)내에 끼워져서 외곽체(9)에 의해 덮여지는 것이다.
수도꼭지 본체(2)의 하면부는 비스듬하게 경사지고 있으며, 이 비스듬하게 경사진 하면부에 복수의 볼트(30)가 경사진 하면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세면 화장대나 싱크대 등의 캐비넷(도시하지 않음)의 상부에 배설되는 카운터나 카운터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백가드 등의 장착 기대(1)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장착 구멍(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착 기대(1)의 상면측에 수도꼭지 본체(2)가 위치하도록 장착 구멍(51)부분에 있어서 수도꼭지 본체(2)가 장착 기대(1)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장착 기대(1)의 장착 구멍(51)을 형성한 부분은 경사져 있으며, 따라서 수도꼭지 본체(2)는 장착 기대(1)의 경사진 부분에 장착되게 된다.
수도꼭지 본체(2)의 하면의 경사면과 장착 기대(1)의 수도꼭지 본체(2)를 장착하는 경사진 부분과는 동일한 경사로 되어 있다.
수도꼭지 본체(2)를 장착 기대(1)의 장착구멍(51)부분에 있어서 장착하는데는, 수도꼭지 본체(2)의 경사진 하면부를 장착 기대(1)의 경사진 부분의 상면에 접촉하는 동시에 수도꼭지 본체(2)의 하면 개구부(14)를 장착구멍(51)에 연통시키고, 볼트(30)를 장착구멍(51)으로부터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이 아래쪽에 돌출한 볼트(30)에 장착패킹(33), 장착와셔(34)를 삽입하여 조임너트(35)에 의해 조임으로써, 수도꼭지 본체(2)를 경사진 장착 기대(1)에 장착하는 것이다.
여기서, 장착패킹(33)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C 자형을 하고 있으며, 내주부에 복수(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돌출편부를 돌출 형성하여 각 돌출편부에 삽입구멍(36)을 형성하고 있으며, 복수의 볼트삽입구멍(36)을 장착구멍(51)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복수의 볼트(30)에 끼워 넣어 장착패킹(33)을 장착기대(1)의 하면측에 접촉하는 것이다.
장착와셔(34)는 도 3,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 자형을 하고 있으며, 내주부에 복수(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돌출편부(37)를 형성하여, 각 돌출편부(37)에 볼트삽입구멍(37a)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C 자형을 한 장착와셔(34)의 내주부에는 위쪽을 향하여 복수의 위치결정 돌출편(3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와셔(34)의 복수의 볼트삽입구멍(37a)을 장착 구멍(5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볼트(30)에 끼워 넣는 동시에 복수의 위치결정편(38)을 장착 구멍(51)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장착와셔(34)의 위치결정을 하고, 이 상태에서 볼트(30)에 조임너트(35)를 조임으로써, C 자형의 장착패킹(33)을 통하여 C 자형의장착와셔(34)를 장착 기대(1)의 하면측에 압착하여 수도꼭지 본체(2)를 경사진 장착 기대(1)에 장착하는 것이다.
이 경우, 수도꼭지 본체(2)로부터 돌출 설치한 복수의 볼트(30)에 복수의 볼트삽입구멍(36)을 삽통한 상태로, 복수의 위치결정편(38)을 장착구멍(51)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장착와셔(34)의 위치결정을 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수도꼭지 본체(2)가 장착구멍(51)에 대하여 바른 위치에 위치결정된 상태로 장착되게 된다.
또, 수도꼭지 본체(2)의 하면의 경사면과 장착 기대(1)의 수도꼭지 본체(2)를 장착하는 경사진 부분과는 동일한 경사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수도꼭지 본체(2)의 하면의 경사면을 장착 기대(1)의 경사진 부분의 상면에 장착함으로써, 장착 기대(1)가 경사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도꼭지 본체(2)를 수직자세로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도꼭지 본체(2)의 하면이 경사면으로 되고, 또 장착 기대(1)의 수도꼭지 본체(2)를 장착하는 부분이 경사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도꼭지 본체(2)의 하면이 경사면에서 볼트(30)를 이 경사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돌출 형성하고 있으므로, 장착에 있어서 볼트(30)에 조임너트(35)를 나사 결합하여 조이는 것만으로, 다른 상면만이 경사진 특별한 스페이서 등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수도꼭지 본체(2)를 장착 기대(1)에 장착하는 것이지만, 장착 기대(1)의 아래쪽에는 캐비넷내에 물받이 탱크(5)가 배설되고, 이 물받이 탱크(5)내의 상부에 신축관(7)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동시에 호스(3)의 중간의 U 자형으로 굴곡된 부분이 수납되는 것이다.
물받이 탱크(5)에는 변형성을 가지는 배수용 배수호스(40)가 배설되어 있어서, 배수호스(40)의 상단부가 물받이 탱크(5)의 측벽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걸어 멈춰져 있다.
또, 물공급호스(19)의 타단부의 접속부(21)와, 탕공급호스(20)의 타단부의 접속부(21)를 각각 급수배관(41)이나 탕배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사용에 있어서는 조작레버와 같은 조작부(12)를 조작함으로써, 물공급호스(19)와 탕공급호스(20)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뜨거운 물과의 혼합량을 탕수혼합부(31)에서 조정하여 호스(3)에 흐르게 하여 토수헤드(4)로부터 토수하는 것이다.
여기서, 토수헤드(4)를 수도꼭지 본체(2)에 장착한 상태대로 토수헤드(4)로부터 탕수를 토수하게 하거나, 또는 토수헤드(4)의 외곽부(9)를 손으로 잡아 수도꼭지 본체(2)로부터 빼는 동시에 호스(3)를 호스삽통 통부(6)로부터 꺼내어, 수도꼭지 본체(2)로부터 떨어진 소정의 위치까지 토수헤드(4)를 이동하여 토수헤드(4)로부터 탕수를 토수하게 하거나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토수헤드(4)를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경우, 토수헤드(4)의 외면은 고급감을 나타내고 또한 잘 흠집이 나지 않도록 금속제의 외곽부(9)에 의해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탕수는 합성수지제의 내부 삽통부(8)를 흐르므로, 뜨거운 물이 흘러도 토수헤드(4)의 외면의 금속제의 외곽부(9)가 뜨거워지지 않는 것으로서, 금속제의 토수헤드(4)의 외면을 손으로 잡고 조작해도 손이 뜨거워지지 않고, 화상 등의 우려가 없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내부통로부(8)와 외곽부(9)와의 사이에 단열용 공간(10)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단열용 공간(10)에 의해 한층 금속제의 외곽부(9)가 뜨거워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쾌적한 사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토수헤드(4)를 수도꼭지 본체(2)에 대하여 이탈 가능하게 하여 호스(3)를 수도꼭지 본체(2)의 호스삽통 통부(6)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한 구조의 것에 있어서는, 수도꼭지 본체(2)에 배설한 호스삽통 통부(6)의 개구에지부로부터 탕수가 침입하거나 호스(3)를 따라서 탕수가 침입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도꼭지 본체(2)에 배설한 호스삽통 통부(6)에 변형 가능한 신축관(7)의 상단부를 접속하고, 이 신축관(7)의 하단부를 물받이 탱크(5)내에 넣고, 호스(3)의 중간의 U 자형으로 굴곡된 부분이 수납되어 있으므로, 호스삽통 통부(6)의 개구에지부로부터 침입한 탕수는 호스삽통 통부(6)로부터 호스삽통 통부 (6)에 접속한 신축관(7)의 내면에 흐르고, 호스삽통 통부(6)의 하단에서 물받이 탱크(5)내에 흘러 내려 고인다.
또, 호스(3)를 따라서 침입하는 탕수는 호스(3)를 지나 흘러서 호스(3)의 중간의 U 자형으로 굴곡된 부분의 하단부에서 차단되어 빠져 물받이 탱크(5)내에 흘러 드는 것이며, 이 경우 호스(3)의 U 자형의 하단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호스(3)로부터 떨어지는 탕수는 신축관(7)의 내면에 떨어져서 물받이 탱크(5)내에 흘러 들든가 또는 직접 물받이 탱크(5)내에 흘러 내리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수도꼭지 본체에 형성된 호스삽통 통부에 변형 가능한 신축관의 상단부를 접속하고, 이 신축관의 하단부를 물받이 탱크내에 넣는 구성에 의해,수도꼭지 본체에 형성된 호스삽통 통부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탕수가 침입해도 신축관 내면을 따라서 물받이 탱크내에 배수할 수 있고, 또 호스를 따라서 흘러 드는 탕수가 도중에서 호스로부터 낙하해도 신축관에서 받아 물받이 탱크내에 배수할 수 있으며, 또한 신축관이 변형 가능하므로, 수도꼭지 본체의 바로 아래에 물받이 탱크가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도 신축관을 변형시켜 신축관의 하단부를 물받이 탱크내에 삽입할 수 있어 확실하게 수도꼭지 본체에 형성된 호스삽통 통부(6)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침입한 탕수나, 호스를 따라서 흐르는 탕수를 물받이 탱크로 배수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결과, 수도꼭지 본체에 형성된 호스삽통 통부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침입한 탕수나, 호스를 따라서 흐르는 탕수가 장착 기대의 하면측을 적신다거나, 장착 기대의 아래쪽 캐비넷내를 적신다거나 할 우려가 없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토수헤드가 탕수가 흐르는 내부통로부와 내부통로부를 덮는 외곽부로 구성되어 있고, 내부통로부가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곽부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어,토수헤드의 외관이 향상되고 흠집이 나지 않으며, 내부통로부에 뜨거운 물이 흘러도 토수헤드의 외면의 금속제의 외곽부가 뜨거워지지 않으므로 외면이 금속제로 된 토수헤드를 손으로 잡고 조작해도 화상 등의 우려가 없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며,더욱이, 내부통로부와 외곽부와의 사이에 단열용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단열용 공간에 의해 한층 금속제의 외곽부가 뜨거워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한층 토수헤드를 손으로 잡고서의 조작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3)

  1. 장착 기대에 장착된 수도꼭지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삽통한 호스의 선단부에 토수헤드를 형성하는 동시에 장착 기대의 아래쪽에 있어서 호스의 중간을 U 자형으로 하여 수납하는 물받이 탱크를 배설한 탕수공급장치로서, 수도꼭지 본체에 형성된 호스삽통 통부에 변형 가능한 신축관의 상단부를 접속하고, 이 신축관의 하단부를 물받이 탱크내에 넣어서 이루어지는 탕수공급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상기 호스삽통 통부에 삽입되는 토수헤드를 탕수가 흐르는 내부통로부와 동 내부통로부를 덮는 외곽부로 구성하고,
    상기 내부통로부를 합성수지로 형성함과 동시에 외곽부를 금속으로 형성하며,
    상기 내부통로부와 외곽부와의 사이에 단열용 공간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탕수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KR10-1999-0033251A 1999-01-21 1999-08-13 탕수공급장치 KR100370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83799A JP3184807B2 (ja) 1999-01-21 1999-01-21 湯水供給装置
JP12837 1999-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305A KR20000052305A (ko) 2000-08-16
KR100370706B1 true KR100370706B1 (ko) 2003-02-05

Family

ID=11816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251A KR100370706B1 (ko) 1999-01-21 1999-08-13 탕수공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84807B2 (ko)
KR (1) KR100370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9938B2 (ja) * 2001-05-30 2011-07-06 Toto株式会社 水栓
WO2006059878A1 (en) * 2004-12-01 2006-06-08 Zeon Soo Park Water saving faucet with valve applied
JP4974148B2 (ja) * 2007-01-19 2012-07-11 株式会社Lixil 吐水ヘッド引出式水栓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6288A (ja) * 1997-03-26 1998-10-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シャワーホースの収納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6288A (ja) * 1997-03-26 1998-10-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シャワーホースの収納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305A (ko) 2000-08-16
JP2000213021A (ja) 2000-08-02
JP3184807B2 (ja) 200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14749A (ja) カランの取付構造
KR100370706B1 (ko) 탕수공급장치
KR960010618Y1 (ko) 좌변기용 세척수 공급장치
JP2008082002A (ja) シャワーヘッドの支持装置
KR100352842B1 (ko) 수도꼭지의 장착구조
KR930006805Y1 (ko) 욕실용 샤워꼭지의 연결 호오스 보호 멈춤구
EP0234723A2 (en) Hydrotherapy nozzle
KR200173543Y1 (ko) 씽크대의 급수관 연결구조
SU1652472A1 (ru)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JP4208163B2 (ja) 水栓金具の取付構造
JP3538478B2 (ja) ロータンクの操作レバー
KR101117488B1 (ko) 수전금구
KR200268997Y1 (ko) 냉온수 혼합 수도밸브
KR100570127B1 (ko) 급수 및 난방 분배기의 이중체결시스템
KR200187554Y1 (ko) 자압식 비데기의 퇴수(退水)장치
JPH0630264U (ja) 吐水設備
KR101755165B1 (ko) 수전박스 고정장치
US5161569A (en) Water supply device for a drinking fountain
JP2569243Y2 (ja) 吐水装置
JPH09313392A (ja) シャワー装置
US5517833A (en) Washing machine water discharge handling system
KR200334320Y1 (ko) 벽면부착형 샤워기용 물공급관 고정구
JP3227999B2 (ja) 洗面化粧台の据付方法
JP3044147B2 (ja) 浴室のカウンター装置
KR200334338Y1 (ko) 수도전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