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595B1 - 네트워크를 통해 문서입력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통해 문서입력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595B1
KR100370595B1 KR10-2000-0027030A KR20000027030A KR100370595B1 KR 100370595 B1 KR100370595 B1 KR 100370595B1 KR 20000027030 A KR20000027030 A KR 20000027030A KR 100370595 B1 KR100370595 B1 KR 100370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document
document input
servic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0165A (ko
Inventor
이영태
Original Assignee
이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태 filed Critical 이영태
Priority to KR10-2000-0027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595B1/ko
Publication of KR20000050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0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문서입력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복수의 의뢰인들의 통신단말기기와 컴퓨터 및 복수의 작업자들의 통신단말기기와 컴퓨터 및 서버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문서입력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문서입력 서비스의뢰과정; 상기 작업자들에게 작업을 할당하는 과정; 상기 할당된 작업자들이 문서입력작업을 행하는 과정; 상기 문서입력작업이 완료한 후 작업 결과물을 업로드하는 과정; 및 의뢰인이 서비스결과물을 수령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의뢰인 및 작업자는 문서입력 서비스 업체를 방문할 필요없이 문서입력서비스를 받거나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통해 문서입력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Method for providing text inputting service through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문서입력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뢰인이 인터넷을 통하여 문서입력을 의뢰하면 네트워크상으로 연결된 문서입력 작업자가 문서입력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컴퓨터의 워드프로세서 기능을 이용하여 문서의 입력을 대행해주는 문서입력 서비스회사들이 성업중에 있다.
그런데, 이들 문서입력 서비스회사들은 문서입력을 의뢰하고자 하는 의뢰인이 입력 대상 문서를 가지고 문서입력 서비스 회사를 직접 방문하여 서비스를 의뢰하고, 입력이 완료된 문서를 가지러 다시 방문하곤 하였다.
한편, 문서입력작업자는 문서입력의뢰가 들어왔음을 통보받으면 입력대상 문서를 받기위해 문서입력 서비스 회사를 방문하여 작업을 할당받고 또한 문서입력작업이 종료되면 그 결과물을 제출하기 위하여 다시 회사를 방문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의뢰인과 작업자 모두 직접 문서인식 서비스 회사를 방문하여야 한다는 불편을 감수해야만 하고,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문서의 양이 적을 경우 서비스를 이용하는 불편함 때문에 서비스 받기를 포기하는 문제가 있었다.
작업의뢰와 작업할당과 같이 문서입력이외의 부수적인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신속한 문서입력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문서입력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의뢰인이 직접 입력하고자 하는 문서를 가지고 문서입력 서비스 업체를 방문할 필요없이 인터넷을 통하여 문서입력을 의뢰하고, 문서입력 서비스 업체에 고용된 문서입력 작업자가 서비스업체를 방문할 필요없이 인터넷을 통하여 문서입력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문서입력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서버의 상세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의뢰인이 문서입력 서비스를 의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인터넷 문서입력 서비스업체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였을 때 디스플레이되는 초기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의뢰인이 문서입력 서비스 의뢰를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 6은 의뢰인이 의뢰에 관한 각종 선택사항을 설정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 7은 의뢰인이 인터넷을 통해 문서를 업로드할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의뢰인이 서비스 결과물을 수령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9는 의뢰인이 의뢰 결과물 목록을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서, 의뢰인이 클라이언트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의뢰하고자 하는 문서의 파일을 만드는 과정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작업자에게 작업을 할당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2는 작업자가 작업 할당 목록을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 13은 원시문서를 OCR 자동처리 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작업자가 작업결과물을 업로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5는 작업자가 작업 결과물 업로드를 선택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의뢰인들의 통신단말기기와 컴퓨터 및 복수의 작업자들의 통신단말기기와 컴퓨터 및 서버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문서입력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문서입력 서비스의뢰과정; 상기 작업자들에게 작업을 할당하는 과정; 상기 할당된 작업자들이 문서입력작업을 행하는 과정; 상기 문서입력작업이 완료한 후 작업 결과물을 업로드하는 과정; 및 의뢰인이 서비스결과물을 수령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문서입력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문서입력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것같이,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를 통해 문서입력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복수의 의뢰인 컴퓨터(10), 복수의 작업자 컴퓨터(26), 서버(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의뢰인 및 작업자는 일반전화망(PSTN)(22), 무선전화망(24) 및 인터넷(21)을 통해 의뢰인 및 작업자의 전화 및 팩스(12) 또는 휴대폰(23) 등의 통신기기로 서버(28)와 네트워크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의뢰인 컴퓨터(10)는 스캐너(14), 디지털 카메라(16), IMT2000(18)과 같은 장치를 구비하고, 이들 장비들을 통하여 문서입력을 의뢰할 때 의뢰하고자 하는 문서(이하, 원시문서라고 칭한다)의 이미지파일을 만들어서 이미지파일의 형태로 문서입력을 의뢰한다.
본 발명에서, 인터넷(21)이라 함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 세계를 연결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일컫는다.
의뢰인컴퓨터(10)는 문서입력을 의뢰하고자 하는 자들이 이용하는 컴퓨터로서, 이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서버(28)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문서입력을 의뢰한다.
또한, 의뢰인컴퓨터(10)는 웹의 표준 문서인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문서를 읽을 수 있고 CGI(Common Gateway Interface)를 이용하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인 웹 브라우저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의뢰인은 팩스로 의뢰하고자 하는 문서 즉, 원시문서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작업자컴퓨터(26)는 작업자들이 이용하는 컴퓨터로서, 인터넷 문서입력 서비스업체의 웹 사이트로부터 문서입력 작업을 할당받아 문서입력을 수행하거나 문서입력된 결과물과 원본을 대조하여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는 자들이 이용하는 컴퓨터이다.
서버(28)는 일반적으로 인터넷(21)에 접속된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하는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그 소프트웨어를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서버(28)는 문서입력서비스업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도 2는 서버의 상세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것같이, 서버(28)는 서비스의뢰 처리 프로그램(32)과 클라이언트정보DB(52), 서비스의뢰 정보DB(54), 이미지파일정보DB(56), 작업자정보DB(58), 작업정보DB(60), 결과파일정보DB(62)와 같은 복수개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은 서비스의뢰 처리 응용프로그램(32)이 행하는 여러 처리과정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째, 서비스의뢰 처리 응용프로그램은 여러 가지 DB를 검색 및 갱신한다.
둘째, 의뢰인이 입력한 마감기한과 분량에 대하여 서비스가 가능한지 계산하여 가능여부를 의뢰인에게 통지한다.
셋째, 문서의 입력이 완료되었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문서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E-mail이나 무선통신의 문자전송 기능이나 전화를 통해 의뢰인에게 통지한다.
넷째, 잡스케쥴링(Job scheduling) 기능을 갖고 있어서, 접수 및 등록된 의뢰들로부터 작업들을 생성하고 작업자의 요청이 있을 때 작업을 할당하고, 작업자들에게 E-mail이나 무선통신의 문자전송 기능이나 전화를 통해 통지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다섯째, 의뢰인이 문서입력을 OCR 자동처리로 요구한 문서에 대해 OCR 서버(50)를 구동하여 OCR 자동처리를 지시하는 기능이 있다.
여섯째, 의뢰인이 선택한 서비스 결과물 수령방법을 확인하는 기능을행한다.
또한,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문서의 이미지 파일에 들어있는 문자를 인식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OCR 서버(50)는 이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문서입력 대상 문서의 이미지 파일로부터 문서입력 결과 파일을 생성하는 일을 하는 컴퓨터이다.
서비스 처리 응용 프로그램은 의뢰인이 문서입력방법으로 OCR 자동처리를 선택한 경우 서비스 의뢰 과정이 끝난후 OCR 자동처리 대상인 문서의 이미지 파일들에 대해 각각 OCR 자동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를 통한 문서입력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의뢰인이 문서입력 서비스를 의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의뢰인은 인터넷을 통하여 '인터넷 문서입력 서비스업체'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자신의 ID와 Password를 입력한다(302).
만약, 의뢰인이 인터넷 문서입력 서비스센터의 웹 사이트에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회원 등록을 하여야 한다.
한편, 의뢰인이 ID와 Password를 입력하면, 도 4와 같이 초기화면이 의뢰인의 컴퓨터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인터넷 문서입력 서비스업체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였을 때 디스플레이되는 초기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초기화면에 있어서, 각종 메뉴에 대하여 설명한다.
의뢰인은 화면상의 “클라이언트” 항의 “1. 문서 입력 서비스 의뢰”나 “2. 의뢰 결과물 목록”을 선택할 수 있다. “1. 문서 입력 서비스 의뢰”를 선택하여 마우스의 버튼을 클릭하면 문서 입력 서비스를 의뢰할수 있다.
“2. 의뢰 결과물 목록”을 선택하여 마우스 클릭하면 의뢰인(Client)이 자신이 의뢰한 내용을 확인하고 완료된 결과물을 다운로드할수 있다.
작업자는 화면상의 “서버” 항의 “1. 작업 할당 목록”이나 “2. 작업 결과물 업로드”를 선택할 수 있다. “1. 작업 할당 목록”을 선택하여 마우스 클릭을 하게 되면 작업자는 작업을 할당받을수 있고, “2. 작업 결과물 업로드”를 선택하면 작업자는 자신이 작업한 결과물을 인터넷 문서입력 서비스업체로 업로드할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초기화면에서, 의뢰인이 '1. 문서입력 서비스 의뢰'를 선택하면(304), 도 5와같이 '서비스의뢰'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면, 의뢰인은 자신이 문서입력을 의뢰하고자 하는 문서의 분량과 마감기한을 입력한다(306).
의뢰인은 마감기한과 문서를 입력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화면 하단의 “다음”이라고 이름붙여진 버튼을 클릭한다. 한편, 문서입력 서비스 의뢰를 취소하기 위해서는 “취소”라고 이름붙여진 버튼을 클릭한다.
그리고, 의뢰인(Client)이 분량과 기한을 입력하면 서버(28)에 설치되어 있는 '서비스 의뢰 처리 응용 프로그램'은 입력된 마감기한과 분량에 대하여 서비스가 가능한지 계산하여 그 결과를 의뢰인(Client)에게 통보한다(308).
이때, 서비스가 가능하지 않다면, 의뢰인은 마감기한과 분량을 다시 입력할 수 있다(310).
그러나, 서비스가 가능하면, 서버는 서비스를 의뢰할 것인지 고객에게 확인한다(312). 고객이 서비스를 의뢰하기로 최종적으로 결정하면, 서비스의뢰를 접수한다(314)
그러면, 도 6과 같은 화면이 의뢰인의 컴퓨터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6은 의뢰인이 의뢰에 관한 각종 선택사항을 설정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로서, 의뢰인에게 문서입력 대상 문서의 이미지파일을 문서입력 서비스업체로 전송하는 전송방법, 문서입력방법, 처리완료후 이메일 통지여부, 처리결과물 이메일 수령여부 등과 같이 의뢰에 관련된 사항을 선택하도록 한다(316).
이때, 파일의 전송방식은 인터넷을 통하여 의뢰인(Client)이 직접 업로드하는 것과 FAX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이 있다.
또한, 문서입력방식으로는 ① OCR자동처리, ② OCR + 수동처리, ③ 수동처리가 있다.
이중에서, 수동처리는 작업자가 직접 문서를 입력하는 것이다.
또한,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문자인식프로그램)은 서버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의뢰인이 입력을 의뢰한 문서의 이미지파일을 문서파일로 변환시켜준다.
이와 같이, OCR을 통하여 만들어진 문서파일의 형태로 작업자가 제공받으면,작업자는 의뢰인이 의뢰할 때 제공한 원시문서와 문서파일을 비교하여 문서파일에 오류가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문서입력 처리결과물의 수령방법은 E-mail을 통하여 서비스 결과물을 수령하는 것과 의뢰인이 서비스 웹 사이트에서 직접 다운로드받는 것이 있다.
파일전송방식으로서 의뢰인이 FAX를 통하여 파일을 업로드하겠다고 결정한 경우(324), FAX를 통하여 문서 이미지를 전송한다(326).
한편,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하고자 하면(318), 의뢰인은 스캐너, 디지탈 카메라, IMT-2000 장비 등을 통하여 문서입력을 의뢰하고자 하는 문서 즉, 원시문서에 대한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320), 이 이미지파일을 인터넷을 통하여 업로드한다(322).
도 6에서, 의뢰인이 “다음”이라고 이름붙여진 버튼을 클릭하면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단계로 진행하고, 도 7과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7은 의뢰인이 인터넷을 통해 문서를 업로드할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 7에서, 의뢰인은 “설명”이라고 이름붙여진 입력란에 의뢰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입력할 수 있다. “파일명 1”에서 “파일명 3”까지 이름붙여진 입력란에는 문서입력 대상 이미지파일의 이름을 입력한다. 입력란 오른쪽에 붙어 있는 “찾아보기...” 버튼을 이용하면 이미지파일의 이름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의뢰에 대한 설명과 이미지파일의 이름을 입력한 후 화면 하단의 “파일 올리기” 버튼을 클릭하면 문서입력 서비스 의뢰가 접수되고 이미지파일들이 업로드되게 된다. “취소” 버튼을 클릭하면 서비스 의뢰를 취소할 수 있다.
또한, 의뢰인(Client)이 입력한 의뢰 정보와 업로드한 이미지 파일 정보는 각각 서버의 서비스의뢰 정보 DB(54)와 이미지 파일 정보 DB(56)에 저장된다(330).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의뢰인이 서비스 결과물을 수령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서버의 '서비스 의뢰 처리 응용 프로그램'은 각 의뢰인(Client)의 의뢰물의 입력이 완료되었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입력이 완료되었다고 확인하면(402), E-mail이나 무선통신의 문자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전송 기능이나 전화를 통해 의뢰인(Client)에게 통지한다(404). 전화를 통해 통지하는 경우에는 음성합성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의뢰인(Client)에게 서비스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한 후, '서비스 의뢰 처리 응용 프로그램'은 의뢰인(Client)이 서비스 결과물을 수령하는 방법으로 어떤 것을 선택하였는지 DB를 통해 확인한다(406). 의뢰인(Client)이 E-mail을 통한 수령을 선택하였다면(419) 서비스 의뢰 처리 응용 프로그램은 서비스 결과물을 E-mail로 발송한다(420)
한편, 의뢰인(Client)이 직접 다운로드하기로 선택하였다면(408), 의뢰인(Client)은 문서인식 서비스 결과물을 수령하기 위해 인터넷 문서입력서비스업체의 웹 사이트에 접속한다(410).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등록된 의뢰인(Client)인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면(도시생략), 도 4와 같이 초기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의뢰인(Client)이 서비스결과물을 다운로드받고자 하면, 도 4에서 “클라이언트” 항의 “2. 의뢰 결과물 목록”을 선택한다.
그러면, 도 9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문서입력 서비스 의뢰가 완료된 것이 있으면 웹 서버는 다운로드대상 파일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목록의 각 항목에는 “의뢰번호”, “처리 완료일”, “신청일”, “페이지수”, “설명”이 있다.
만약, 의뢰인(Client)이 문서입력 서비스 결과물을 다운로드 받고자 하면, 의뢰인(Client)은 의뢰번호를 클릭함으로써 원하는 서비스 결과물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416). 결과물의 다운로드가 끝나면 의뢰인(Client)은 이미지 하단의 “완료”버튼을 클릭 하여 결과물의 다운로드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인터넷 문서입력 서비스업체에 통보한다. 만약 의뢰인(Client)이 “취소”버튼을 누르면 의뢰인(Client)이 디스플레이된 결과물들중에서 어느 것도 다운로드 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의뢰인이 직접 또는 이메일을 통해 다운로드받은후, 서비스의뢰 처리응용 프로그램이 DB를 갱신한다(418).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서, 의뢰인이 '클라이언트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의뢰하고자 하는 문서의 파일을 만드는 과정의 플로우챠트이다.
의뢰인은 클라이언트서버 프로그램(Client Server Program)을 이용하여 문서입력 서비스를 의뢰할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서버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한다.
클라이언트서버 프로그램은 의뢰인이 서비스 웹 사이트에서 직접 다운로드받아서 자신이 사용하는 컴퓨터에 설치하는 프로그램으로서, 다음의 기능을 가진다.
첫째, 의뢰인(Client)이 스캐너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문서입력 대상 문서의 이미지 파일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클라이언트서버 프로그램은 각종 스캐너 구동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서 의뢰인(Client)이 스캐너를 이용하는 방법을 잘 모르는 경우에도 스캐너를 이용하여 문서입력 대상 문서의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도록 도와준다.
둘째, 파일을 전송할 때, 전송 속도를 빠르게 해주는 입력영역 지정 기능을 가진다.
셋째, 의뢰인(Client)의 개인 정보나 비밀이 인터넷 문서입력 서비스 회사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해주는 보안 기능을 가진다.
넷째, 클라이언트서버 프로그램은 인터넷 문서입력 서비스업체의 서비스 의뢰 처리 프로그램과 인터넷을 통하여 네트워크상으로 연결되므로, 의뢰인(Client)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인터넷상으로 문서입력 서비스를 의뢰할 수 있다.
이중에서 입력영역 지정 기능은 의뢰인(Client)으로 하여금 문서 이미지에서 입력대상이 되는 특정 영역만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통신을 통하여 전체 문서 이미지를 전송하지 않고 문서 이미지의 일부만 전송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전송 속도를 빠르게 한다. 이 기능은 카드 전표와 같이 문서의 특정 위치만 입력할 필요가 있고 그 분량이 방대한 경우에 유용하다.
또한, 입력 영역 지정 기능을 이용하여 문서에서 특정 영역을 지정한 경우 이 영역들을 각각 독립된 이미지 파일로 생성한다(이하, 이렇게 생성된 파일을 영역 이미지 파일이라 칭한다).
영역이미지파일들은 그 순서가 변하지 않은 채 인터넷을 통하여 문서입력 서비스업체에 전송되었을 때 의뢰인(Client)이 외부에 알리기를 원하지 않는 정보가 예를 들면 신용카드전표의 경우와 같이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서버 프로그램은 영역이미지파일들의 순서를 뒤섞는 기능을 가진다.
영역 이미지 파일들의 순서를 바꾸는 방법은 의뢰인(Client)이 지정하는 특정 문자열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 문자열은 문서입력 서비스업체로 전송되지 않으며 의뢰인(Client)의 컴퓨터 환경에만 남아 있게 된다.
그러므로, 순서가 변경된 이미지파일이 서비스업체로 전송되고, 문서입력이 완료된 결과물이 의뢰인의 컴퓨터로 재 전송되면, 클라이언트서버 프로그램은 의뢰인 컴퓨터에 존재하는 문자열을 참조하여 재전송된 결과물의 순서를 재배치(복원)함으로써 의뢰인(Client)이 원래 의도한 순서를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파일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문서입력 서비스업체에 전송되었을 경우에도 외부에 알리기를 원하지 않는 정보는 유출되지 않음으로써 클라이언트서버 프로그램은 보안 기능을 가지게 된다. 또한, 클라이언트서버 프로그램과 인터넷 문서입력 서비스업체 사이에 주고받는 정보는 모두 암호화되므로 정보가 외부에 유출될 위험이 사라지게 된다.
다음은 의뢰인이 '클라이언트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의뢰하고자 하는 문서의 파일을 만드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의뢰인(Client)은 클라이언트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서입력 서비스를 의뢰하기 위해서 우선 클라이언트서버 프로그램을 실행한다(502). 그리고, 실행된 클라이언트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의뢰인(Client)은 문서입력 대상문서를 스캐닝하여 문서의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504).
문서의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 후 의뢰인(Client)은 문서입력을 의뢰하고자 하는 문서의 이미지파일들을 선택한다(508).
의뢰인(Client)이 문서 이미지를 선택한 후 클라이언트서버 프로그램은 의뢰인(Client)에게 문서 이미지에서 입력 대상 영역을 지정할 것인지 확인한다(510). 의뢰인(Client)이 입력 대상 영역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문서 이미지 전체를 입력 대상 영역으로 간주하게 된다. 입력 대상 영역을 지정한 경우에 의뢰인(Client)은 클라이언트서버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입력 대상 영역을 지정한다(512).
문서 이미지 하나에 대해서만 입력 대상 영역을 지정하면 이 영역이 다른 문서 이미지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게 된다. 따라서 의뢰인(Client)은 같은 유형의 문서들만을 사용하여 입력 대상 영역을 지정하여야 한다. 입력 대상 영역 지정이 끝나면 클라이언트서버 프로그램은 보안을 위하여 이미지 파일들의 순서를 암호화할 것인지 확인한다(514).
의뢰인(Client)이 이미지 파일들의 순서를 뒤바꿀 것을 요구하면 클라이언트서버 프로그램은 의뢰인(Client)에게 임의의 문자열을 입력하도록 한다. 의뢰인(Client)이 임의의 문자열을 입력하면 클라이언트서버 프로그램은 이 문자열에 의하여 이미지 파일들의 순서를 바꾸어 암호화한다(516).
이와 같이, 문서입력을 의뢰하고자 하는 문서의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은 오프라인(off-line)으로 작업할 수 있다.
의뢰인은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의뢰하고자 하는 문서의 파일을 만든후, 도 3에 나타낸 과정과 동일하게 문서입력을 의뢰한다. 그러나, 인터넷에 접속할 때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지 않고 클라이언트서버 프로그램만으로 접속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작업자에게 작업을 할당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인터넷 문서입력 서비스업체의 서비스 의뢰 처리 응용프로그램은 작업자의 편의를 위하여 문서입력 작업이 있을 경우 작업자에게 E-mail이나 전화를 이용하여 작업할 것이 있음을 통지한다. 단, 작업자는 통지를 받았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인터넷 문서입력 서비스업체의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작업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인터넷 문서입력 서비스업체의 웹 사이트에 접속한다(602). 접속이 이루어진 후 작업자는 자신의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한다(604).
그러면, 작업자가 인터넷 문서입력 서비스업체의 웹 사이트에 등록된 회원인지 아닌지 확인한다(606). 작업자는 반드시 회원이어야 하고,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등록과정을 통해 작업자의 예를 들면 신상명세와 같은 개인정보를 기입하고, 이렇게 기입된 정보는 작업자등록DB에 저장된다(610).
도 12는 도 4에서 작업자가 “서버” 항의 “1. 작업 할당 목록”을 선택한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다. 화면에 표시된 것은 작업자가 선택할 수 있는 작업들의 목록이다. 이 작업들은 의뢰인(Client)들이 서비스 의뢰한 것을 바탕으로 인터넷 문서입력 서비스업체에서 실행중인 서비스 의뢰 처리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다. 목록의 각 항목에는 “선택”, “작업번호”, “페이지수”, “기한”, “신청일”, “신청인”, “설명” 등 작업에 관련된 정보가 표시된다. 작업자가 마음에 드는 작업을 선택하고자 하면 “선택”란의 radio control box를 마우스로 클릭하면 된다. 작업을 선택하고 화면 하단의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작업자(Server)는 문서입력 작업을 수행해야 할 이미지 파일들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이 때 어느 작업이 어느 작업자에게 할당되었는지의 정보가 DB에 저장된다. 작업자가 “취소” 버튼을 클릭한 경우에는 작업 할당이 취소되게 된다.
로그인 과정을 마친 작업자는 문서입력 작업을 할당해 줄 것을 요구한다. 서비스 의뢰 처리 응용프로그램은 DB를 검색하여(612), 잡스케쥴링(Job scheduling)을 실시한다. 여기서, 잡스케쥴링이란 현재 주어진 일거리를 특정한 방식에 의해 여러명의 작업자들에게 작업을 할당하는 과정이다. 잡스케쥴링을 통해 할당된 작업들을 구분없이 또는 분량, 기한별로 디스플레이한다(614). 그러면,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된 것을 보면서 할당받은 작업을 수행할지 아닐지를 선택한다(616). 작업자가 할당받은 작업을 승인한후, 작업 대상 이미지 파일들을 다운로드받는다(618). 작업자가 작업 대상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받으면 서비스 의뢰 처리 응용프로그램은 DB에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문서입력 작업을 할당받고, 문서의 이미지파일을 다운로드받은 작업자는 워드프로세서등을 통해 문서입력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반대로 작업자는 OCR을 통해 원시문서의 이미지파일이 문서파일로 변환된 것을 제공받을수 있다.
도 13은 인터넷 문서입력 서비스 업체의 서비스 처리 응용 프로그램이 OCR 자동처리 대상 문서의 이미지 파일을 OCR 서버를 이용하여 OCR 자동처리 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서비스 처리 응용 프로그램은 작업 정보 DB를 검색하여(802), OCR자동처리 대상 작업이 있는지 확인한다(804). OCR자동처리 대상작업이 있을 경우 서비스 처리 응용 프로그램은 그 작업에 포함되는 이미지 파일들에 OCR을 실행할 것을 OCR서버에게 지시하여 OCR서버가 구동된다(806).
OCR서버는 지정받은 이미지 파일에 대해서 OCR을 실행하고 그 결과 파일을 생성한다(808). 결과 파일을 생성한 OCR서버는 작업을 완료하였음을 서비스 처리 응용 프로그램에게 보고한다. 서비스 처리 응용 프로그램은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DB에 기록하고 결과 파일에 대한 정보를 DB에 저장한다(810). 그리고 다시 DB를 검색하여 더이상 OCR자동처리 대상 작업이 발견되지 않을 때까지 앞의 과정을 반복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작업자가 작업결과물을 업로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작업자는 문서입력 작업을 수행하고 문서입력 결과물을 업로드하기 위해서 인터넷 문서입력 서비스센터의 웹사이트에 접속하고(702), 로그인한다(704). 그러면, 작업자의 등록여부를 확인한다(706).
도 15는 도9에서 작업자가 “서버” 항의 “2. 작업 결과물 업로드”를 선택하여 클릭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다. 작업자는 “작업 번호 선택”에서 결과물을 업로드하고자 하는 작업의 번호를 선택하고, “파일명” 오른쪽에 있는 입력란에 작업자의 컴퓨터에 저장된 작업 결과 파일의 이름을 입력하여야 한다. 작업 결과 파일의 이름을 쉽게 입력하기 위하여 “찾아보기” 버튼이 입력란 오른쪽에 있다. 작업 번호를 선택하고 파일명을 입력한 작업자는 화면 하단의 “파일 올리기” 버튼을 클릭하여 작업 결과물을 업로드할 수 있다. “취소” 버튼을 클릭하면 업로드를 취소할 수 있다.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작업자는 자신이 작업한 결과물의 업로드를 신청한다. 작업자가 업로드를 신청하면, 서비스 의뢰 처리 응용프로그램은 수행된 작업의 고유 식별 번호를 입력하도록 요구한다. 작업자는 작업의 고유 식별 번호를 입력한후, 작업결과를 업로드한다(714). 작업결과물이 업로드된후 서비스처리 응용프로그램이 DB를 갱신한다(716).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청구범위로 한정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문서입력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되므로, 다음의 효과를 가진다.
첫째, 문서입력 서비스 의뢰인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FAX를 이용하여 문서입력 서비스를 의뢰할 수 있다.
둘째, 의뢰인은 직접 문서를 가지고 이동할 필요가 없어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인터넷 문서입력 서비스 회사에 고용되어 문서입력작업을 행하는 작업자들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인터넷에 접속하여 작업을 할당받을수 있다.
넷째, 작업자들은 작업이 완료된 후 완료된 결과물을 갖고 직접 서비스 회사를 방문할 필요가 없어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섯째, 문서입력 서비스 요금의 절감을 가져올수 있다.
여섯째, OCR을 통하면 의뢰인이 의뢰한 문서가 문서파일로 변환되어 작업자는 확인작업만 행하면 되므로 작업이 수월해진다.

Claims (14)

  1. 삭제
  2. 복수의 의뢰인들의 통신단말기기와 컴퓨터 및 복수의 작업자들의 통신단말기기와 컴퓨터 및 서버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문서입력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뢰인에게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의 웹 사이트로의 접속을 받아, 문서입력 서비스를 의뢰하고자 하는 입력대상 문서의 분량과 마감기한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문서입력 대상 문서의 분량과 마감기한에 대하여 서비스가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 의뢰인에게 적어도 입력대상문서의 전송방식, 문서입력방식, 처리완료후 통지방식, 처리결과물 수령방식을 포함하는 문서입력 서비스의뢰에 관련된 사항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의뢰인에게 작업을 의뢰받아 상기 작업자들에게 상기 의뢰된 작업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할당된 작업자들에 의해 수행된 문서입력작업의 결과물을 업로드받는 단계;
    상기 의뢰인에게 상기 서비스결과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문서입력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입력 서비스의뢰에 관련된 사항중 입력대상문서의 전송방식은 적어도 인터넷을 통하여 의뢰인이 직접 업로드하는 방식 또는 팩스(FAX)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방식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문서입력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의뢰인이 입력대상문서의 전송방식으로 직접 업로드방식을 선택하는 경우,
    적어도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IMT2000를 포함하는 장비를 이용하여 입력대상문서의 이미지파일을 만드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문서입력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입력 서비스의뢰에 관련된 사항중 문서입력방식은 적어도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자동처리, OCR자동처리와 수동처리 또는 수동처리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문서입력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의뢰인이 문서입력방법으로 OCR 자동처리를 선택한 경우 원시문서의 이미지 파일들에 대해 각각 OCR 자동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문서입력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입력 서비스의뢰에 관련된 사항 중 처리완료 후 통지방식은 적어도E-mail, 무선통신의 문자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전화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문서입력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입력 서비스의뢰에 관련된 사항중 문서입력 결과물 수령방식은 적어도 E-mail을 통하여 결과물을 수령하는 방식 또는 직접 서버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다운로드받는 방식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문서입력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의뢰인 컴퓨터는 클라이언트서버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의뢰인이 상기 클라이언트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서입력을 의뢰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프로그램은
    상기 의뢰인에게 스캐너를 이용하여 문서입력 대상 문서의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의뢰인에게 상기 생성된 이미지에서 입력대상이 되는 특정 영역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영역을 각각의 이미지 파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영역 이미지 파일들의 순서를 바꾸는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된 문서를 서버에 전송하여 문서입력을 의뢰하는 단계;
    상기 문서입력이 완료되었을 때 그 파일들의 순서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문서입력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에게 작업을 할당하는 과정은
    상기 작업자들에게 적어도 작업번호, 페이지수, 기한, 신청일, 신청인, 설명을 포함하는 작업에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에게 작업의 수행여부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가 작업수행을 승인하면, 상기 작업자에게 작업 대상 이미지 파일들을 다운로드받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문서입력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에게 작업을 할당하는 과정은 상기 작업에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전에 작업자에게 E-mail이나 전화를 이용하여 작업할 것이 있음을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문서입력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작업자들이 행하는 문서입력작업은 상기 의뢰인이 선택한 문서입력방식에 따라서 적어도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자동처리된 문서를 원본과 대조하는 것 또는 수동으로 문서입력을 수행하는 것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문서입력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 2항에 있어서,
    의뢰인이 서비스 결과물을 수령하는 과정은
    문서입력작업의 완료여부를 확인하여, 문서입력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의뢰인이 미리 선택한 처리완료 후 통지방식에 따라서 상기 의뢰인에게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의뢰인이 문서입력 결과물 수령방식으로서 E-mail을 통한 수령을 선택한 경우, 문서입력 결과물을 E-mail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문서입력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 2항에 있어서,
    의뢰인이 서비스 결과물을 수령하는 과정은
    문서입력작업의 완료여부를 확인하여, 문서입력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의뢰인이 미리 선택한 처리완료 후 통지방식에 따라서 상기 의뢰인에게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의뢰인이 문서입력 결과물 수령방식으로서 직접 다운로드를 통한 수령을 선택한 경우, 상기 의뢰인에게 문서입력 결과물을 다운로드받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문서입력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00-0027030A 2000-05-19 2000-05-19 네트워크를 통해 문서입력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0370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030A KR100370595B1 (ko) 2000-05-19 2000-05-19 네트워크를 통해 문서입력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030A KR100370595B1 (ko) 2000-05-19 2000-05-19 네트워크를 통해 문서입력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165A KR20000050165A (ko) 2000-08-05
KR100370595B1 true KR100370595B1 (ko) 2003-02-05

Family

ID=19669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030A KR100370595B1 (ko) 2000-05-19 2000-05-19 네트워크를 통해 문서입력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179B1 (ko) 2012-04-17 2014-05-08 한국과학기술원 온라인 기반의 협업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5240A1 (en) * 2000-05-16 2003-06-19 Sok-Hyun Cho Schedule managing character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KR100347612B1 (ko) * 2000-05-26 2002-08-07 이창우 인터넷망을 통한 온라인상의 실시간 번역서비스 종합시스템 및 그에 따른 번역서비스 방법
KR100699151B1 (ko) * 2005-02-28 2007-03-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문서작성을 통한 업무 진행 상태 관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6277A (ja) * 1997-03-26 1998-12-08 Toshiba Corp 翻訳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翻訳サービスシステム
JPH1166058A (ja) * 1997-08-19 1999-03-09 Toshiba Corp 文書作成装置、文書代筆方法、及び記録媒体
KR20010045829A (ko) * 1999-11-08 2001-06-05 송태한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전달 방법-인터넷 웹프로모션 및워드프로세싱 작업 기법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링
KR20010089093A (ko) * 2000-03-21 2001-09-29 지준상 15 개국 언어를 사용하여 외국어를 하지 못하는 인터넷사용자간에 정보 및 생각을 자국어를 통하여 교류할 수있는 인터넷 실시간 번역 송달 관련 비즈니스 모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6277A (ja) * 1997-03-26 1998-12-08 Toshiba Corp 翻訳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翻訳サービスシステム
JPH1166058A (ja) * 1997-08-19 1999-03-09 Toshiba Corp 文書作成装置、文書代筆方法、及び記録媒体
KR20010045829A (ko) * 1999-11-08 2001-06-05 송태한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전달 방법-인터넷 웹프로모션 및워드프로세싱 작업 기법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링
KR20010089093A (ko) * 2000-03-21 2001-09-29 지준상 15 개국 언어를 사용하여 외국어를 하지 못하는 인터넷사용자간에 정보 및 생각을 자국어를 통하여 교류할 수있는 인터넷 실시간 번역 송달 관련 비즈니스 모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179B1 (ko) 2012-04-17 2014-05-08 한국과학기술원 온라인 기반의 협업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165A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91619B1 (en) System for accessing and distributing electronic documents
US7313826B2 (en) Connected support entitlement system method of operation
US9967138B2 (en) Method for configuring an application
CN101185061B (zh) 利用多个网络应用管理文档的系统和方法
US7174289B2 (en) Translating system and translating apparatus in which translatable documents are associated with permission to translate
JP4939572B2 (ja) 製品登録システム
EP1776820B1 (en) Automated remote site downloading on a geographic drive
US20040034799A1 (en) Network system allowing the sharing of user profile information among network users
EP0862765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hypermedium interactive
EP12405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information
EA007778B1 (ru) Генератор прикладных программ
JP2004265409A (ja) モバイルデバイスからのドキュメントサービスリクエスト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WO2003091889A1 (fr) Serveur de collaboration, systeme de collaboration, son procede de gestion de session et programme
US20030083952A1 (en) Web-based imaging service providing the ability to specify a charge-back account
US20020091639A1 (en) Enterpri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080033052A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또는 처리 기능의 제공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 매체, 및 방법
US6889252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selected peripheral of a network using a server as a re-router
WO2004061682A1 (ja) データ保管システム、データ管理方法、データ保管サービス装置、データの受け渡し方法
KR100370595B1 (ko) 네트워크를 통해 문서입력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AU2002350998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selected peripheral of a network
WO2007020682A1 (ja) ブックマーク登録システム、ゲートウェイサーバ、ブックマーク登録方法及びブックマーク登録プログラム
JP4546072B2 (ja) 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3635364B2 (ja) 文書管理システム及びサーバコンピュータ
JP2005158028A (ja) プレゼント贈答システム、プレゼント贈答サーバシステム、プレゼント贈答プログラムおよびプレゼント贈答方法
JP2008065501A (ja) サービス利用制御システム、サービス利用制御装置、およびサービス利用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