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846B1 - 캔본체제조용램으로부터캔을분리시키기위한로터리밸브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캔본체제조용램으로부터캔을분리시키기위한로터리밸브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846B1
KR100369846B1 KR1019960706170A KR19960706170A KR100369846B1 KR 100369846 B1 KR100369846 B1 KR 100369846B1 KR 1019960706170 A KR1019960706170 A KR 1019960706170A KR 19960706170 A KR19960706170 A KR 19960706170A KR 100369846 B1 KR100369846 B1 KR 100369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ram
compressed air
housing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6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2766A (ko
Inventor
랄프 엠. 메인
Original Assignee
세쿠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쿠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세쿠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70702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2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8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6Stripping-off devices
    • B21D45/08Stripping-off devices interrelated with motion of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Abstract

두 부분의 음료수 캔으로 불리는 상대적으로 긴 원통형 몸체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스 가공은 수평왕복식 램을 사용하여 원형 다이 팩(pack)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컵을 구동할 수 있다. 로터리 밸브를 통해 적용된 압축공기는 램으로부터 몸체를 분리시킨다. 이러한 밸브는 램의 구동부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며 각각의 회전자의 회전에서 램은 전방으로의 작업행정과 후방으로의 귀환행정으로 완전한 사이클을 이룬다. 회전자는 서로 맞대어 있는 두개의 디스크로 구성된다. 회전자 구동축은 회전자의 중심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고 서로에 대한 디스크의 각위치는 조절가능하여 매 회전자 회전의 부분을 조절하고 이 부분 동안 압축공기가 분리를 위해 적용된다. 각 디스크에는 아치형 구멍이 제공되어 있고 이 구멍들의 겹침으로 압축공기가 분리를 위해 얼마나 깊이 적용되었는지 결정된다. 구동축에 있는 회전자의 각위치로 압축공기가 분리를 위해 언제 적용되었는지 결정된다.

Description

캔 본체제조용 램으로부터 캔을 분리시키기 위한 로터리 밸브 제어장치
비교적 짧은 금속 컵의 형상을 지닌 블랭크로부터 2 부품 캔용 긴 본체로 변형시키기 위한 본체제조장치의 기술에서, 본체는, 본체의 개구 말단에 있는 단부를 구속하는 기계장치에 의해 램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혹은 램의 하류부분 말단에 있는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통해 캔 본체로 들어가는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램으로부터 분리시킨다. 기계적 분리기는 그 자체로는 신뢰할 수 없으며 특히, 고속으로 제조하는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분리용 압축공기가, 램의 하류부분 말단에서 램 내에 장착되어 캔 본체의 기저부분 윤곽이 완성되었음을 감지했을 때 작동되도록 밸브의 제어 하에서 인가되는 경우, 고제조 속도에서 또한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종래 기술도 또한 기계 프레임의 정지된 위치에 장착된 솔레노이드(solenoid) 작동 밸브를 사용하여 분리용 압축공기의 적용을 제어하였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재순환에 있어서 비교적 느리기 때문에, 고속의 사이클 주기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 공기공급장치의 오염도 이러한 문제점 중의 하나이다. 솔레노이드 밸브가 많은 기계진동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더라도, 저속의 재순환(recycling)과 오염의 총체적 영향으로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이 고속의 순환 주기에서 안정적이지 못하게 하며, 램의 위치와 분리용 압축공기의 적용 사이의 조화를 유지하고 조절하며 제어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캔 본체 분리기의 실시예로는, 분리기 펀치라는 명칭으로 보젝 제이. 에스.(J.S. Bozek)에게 허여되고 1970년 8월 18일 공고된 미국 특허 제 3,524,338호와, 일체형 하부벽을 지닌 캔 본체의 제조라는 명칭으로 프레이즈 이. 시.(E.C. Fraze)에게 허여되고 1971년 3월 23일 공고된 미국 특허 제 3,572,271호와, 금속 펀치로부터 용기본체를 분리용 장치라는 명칭으로 라이트 지. 더블유.(G.W. Wright) 에게 허여되고 1973년 11월 13일 공고된 미국특허 제 3,771,344호와, 지지장치로부터 소재를 분리용 장치와 방법이라는 명칭으로 몬 비. 에이.(B.A. Moen) 와 월리암 더블유. 알.(W.R. Williams)과 요한손 비. 이.(B.E. Johansson) 와 메이어 엘. 더블유 (L.W. Mayer)에게 허여되고 1991년 10월 15일 공고된 미국특허 제 5,056,350호가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캔 본체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성형 다이에서 캔 성형 블랭크를 구동시키는 램으로부터 새로 성형된 캔 본체를 분리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신에 따라 제작된 본체분리장치를 포함하는 캔 본체제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도 1의 화살표 2-2의 방향으로 도시된 도 1의 본체제조기의개략도이다(도 2에서 본체제조기의 램은 귀환행정 완료후 최후방 위치에 있고 도 3에서 램은 작업행정 완료후 최전방 위치에 있다).
도 4는 램 왕복기구의 단편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램과 구동기구의 연결부의 단편적인 부분절취 측면도이다.
도 6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캔 분리 제어 밸브의 장착을 도시하는 후방 측면도이다.
도 7은 캔 분리 제어 밸브의 전방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화살표 8-8의 방향으로 도시되고 8은 선을 따라 절취된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화살표 9-9의 방향으로 도시된 제어 밸브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어 밸브 회전자의 위상 디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제어 밸브 회전자의 색인 디스크의 정면도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체제조기의 램으로부터 캔 본체를 분리하는 압축공기는 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자를 지닌 기계적으로 동작되는 로터리 제어 밸브를 사용함에 의해 제어되고 회전자의 매 회전에서 그 속도는 매우 일정하다. 이것은 램을 양정시키는 기구에 입력구동력을 공급하는 축과 같은 축으로 제어 밸브 회전자를 구동함에 의해 성취된다. 회전자는 매 회전자 회전의 선택된 부분의 시간동안 제어 밸브의 흡입구와 토출구사이에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연결이 만들어졌을 때 제어 밸브는 개방된다. 개방되었을 때 밸브는 하나의 통로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압축공기가 램의 실내를 통하여 새로 형성된 캔 본체의 실내로 유입되며, 여기서 캔 본체가 귀환행정을 할 때 램과 함께 후방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됨에 의해 캔 본체는 램으로부터 분리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어 밸브의 회전자는 회전 밸브 축에 조립된 한 쌍의 디스크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크는 서로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제어 밸브가 열려있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디스크 조립체의 각위치는 타이밍 풀리(timing pulley)에 대해 조절 가능하고 상기 풀리를 통해 상기 밸브축이 구동되어 제어 밸브와 본체제조기 램 사이의 위상을 조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본체제조기 램으로부터 캔 본체를 제거하기 위한 개선된 압축공기 분리장치를 지닌 캔 본체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속으로 제조할 때 안정적이며 보수가 쉽고 장시간의 동작 수명을 지닌 형태의 압축공기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축공기가 캔 본체를 분리하기 위해 인가되는 동안의 각 사이클 부분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형태의 압축공기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밸브 동작과 램 위치 사이의 위상을 조절하기 편리하도록 제작된 형태의 압축공기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이하 첨부도면에 예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히 밝혀진다.
도 1 에서 도 5까지에서 대부분은 개량된 램 지지와 구동부를 지닌 캔 본체제조기라는 명칭으로 메인 알. 엠.(R.M. Main) 과 파라모노프 이.(E. Paramonoff)에게 허여되고 1979년 11월 6일 공지된 미국특허 제 4,173,138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미국특허 제 4,173,138호의 개시 내용은 본 발명에 참고로 포함된다.
금속 음료수 용기의 제조기술에서 잘 알려진 방법으로, 캔 본체제조기(15)는 내부이송장치(17)에 의해 이동된 얇은 금속컵(16, 도 2) 형태의 블랭크를 긴 캔 본체(18, 도 3)로 변형시키며 상기 캔 본체(18)는 하방으로 떨어지고 외부 이송장치(19)에 의해 수용된다. 이것은 왕복하는 구동기구(20)로 수평으로 배치된 블랭크 램(25)을 도 2의 최후방 위치로부터 종방향으로 도 3의 최전방 위치로 움직이는 작업행정과 이 지점에서 램(25)의 운동이 반대로 되어 도 2의 최전방 위치로 움직이는 귀환행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방으로의 작업행정 동안, 램(25)은 링 다이 어셈블리(ring die assembly)(22)를 통해 컵(16)을 구동하고, 상기 링 다이 어셈블리(22)는 캔 본체(18)를 형성하기 위해 같은 크기로 신장되는 동안 블랭크(16)의 직경과 측벽의 두께를 감소시킨다. 전방과 후방 운동 동안, 램(25)은 격리되어 고정된 베어링 슬리브(sleeve)(23, 24)에 의해 지지된다.
구동기구(20)는 베어링 슬라이드 어셈블리(35, 도 5)에 의해 램(25)의 후방에 연결된다. 상기 베어링 슬라이드 어셈블리(35)는 구동로드(36)의 전방 말단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이의 후방 말단이 구동 암(arm)(37)의 자유 상부 말단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 암(37)의 하부 말단은 기계 프레임의 선회 중심부(38)에 고정되어 있어 그곳에서 선회할 수 있다. 암(37)은 전달 암(39)에 의해 구동되고 전달 암(39) 중 일측은 피봇(41)에 의해 크랭크 암(43)에 연결되고 타측은 구동 암(37)의 중간 부분에의 피봇(42)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동 암(37)을 구동한다. 피봇(41)은 크랭크 암(43)의 자유 말단에 있고 이 크랭크 암(43)은 중심축(44)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거기에서의 회전운동을 위해 키로 고정되어 있다. 종동기어(40)도 또한 함께 회전하기 위해 중심축(44)에 키로 고정되어 있으며, 축(47)을 구동하기 위해 키로 고정된 피니언(46)과 맞물려 있고 이 축(47)은 변속 드라이브(49)를 통해 전기구동모터(48)에 의해 구동된다.
캔 본체(18)가 램(25)과 함께 후방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압축공기가 램(25)의 후방에 있는 베어링 슬라이드 어셈블리(35)의 적합한 통로를 통해 램(25)의 내부로 공급되고 이 압축공기는 램(25)의 전방 개구(52, 도 5)로부터 캔 본체(18)의 내부에 걸쳐 존재하여 램(25)의 전방 말단으로부터 캔 본체(18)를 분리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베어링 슬라이드 어셈블리(35)에 축 방향(56)과 축직각(57) 방향으로 연결된 부분을 지닌 통로가 제공되어 있으며, 축직각 방향으로 연결된 부분(57)은 짧은 연장 파이프(57)를 지닌다. 파이프(58)로부터 연장된 유연한 호스(hose)(59)는 도 6 내지 도 11에 걸쳐 특별히 참조되어 설명될 캔 분리 제어밸브(55)에 연결된다.
밸브(55)는 후방부(62), 전방부(63), 그리고 상기 후방부(62)와 전방부(63)사이에 위치되어 대부분의 회전자(65)가 배치된 공동(cavity)을 제공하는 격리자(隔離子)(spacer)(64)로 구성되는 하우징(61)을 포함한다. 하우징(61)의 주요 요소(62-64)는 요소(63, 64)의 외부에 인정한 여유 구멍을 통해 연장된 여섯 개의 볼트(76)에 의해 함께 고정되고, 후방 하우징 요소(62)의 전방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의해 수용된다. 후방 하우징 요소(62)의 후방에 형성된 나사 구멍(78)은 설치 볼트(77)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여섯 개의 구멍(78)이 존재하며 밸브(55)를 설치 브래킷(75)에 고정하기 위해 세 개의 볼트(77)만 요구된다. 두 개의 추가적인 볼트(79)는 브래킷(75)을 고정 프레임(80)에 고정시키고 상기 프레임(80)은 또한 램(25)과 본체제조기(15)의 다른 작동 요소를 지지한다.
밸브축(66)은 회전자(6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타이밍 벨트(67)에 의해 램(25)의 왕복과 함께 동시적으로 구동된다. 다시 말해서, 축(66)의 각 사이클이나 회전에서 램(25)이 전방 작업행정과 후방 귀환행정으로 구성되는 한 번의 완전한 사이클로 구동된다는 것이다. 타이밍 벨트(67)는 풀리(63)에 의해 구동되고 풀리(69)를 구동시킨다. 풀리(63)는 중심축(44)에 키로 고정되어 있고 풀리(69)는 밸브축(66)에 키로 고정되어 있으며, 후방 하우징 부분(62)의 뒤에 배치되어 있다. 축(66)은 링 격리자(73)에 의해 떨어져 있는 베어링 부분(71, 72)내에 구속되어 지지된다.
베어링 부분(71, 72, 도 8)은 후방 하우징 부분(62)을 통해 연장된 구멍(74)에 단단히 맞추어져 있다. 넓은 돌출부(81)와 좁은 돌출부(82)는 축(66)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좁은 돌출부(82)는 구멍(74)의 전방 말단을 통해 구멍(74)의 내부로 연장되고 베어링 부분(71)을 구속한다. 베어링 부분(72)은 마개(84)의 전방 표면에 배치되고 거기에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링(83)에 의해 구속된다. 마개(84)에는 중심부에 구멍이 제공되어 있고 이 구멍을 통해 축(66)이 연장되고 후방 하우징 부분(62)과 풀리(69) 사이에 배치되며, 다수의 볼트(86)에 의해 하우징 부분(62)의 후방 표면에 고정된다.
제어 밸브(55)에는 또한 전방 하우징 부분(63)을 통하는 통로에 의해 형성된 흡입구(87)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는 축(66)의 회전축에 평행하다. 밸브(55)에는 또한 후방 표면에서부터 후방 하우징 부분(62)을 걸쳐 이의 말단으로 연장된 L자 모양의 통로로 형성된 토출구(88)가 제공되어 있다. 흡입구(87)의 후방이나 출구 말단은 토출구(88)의 흡입 말단과 함께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회전자(65)는 위상 디스크(91, 도 10)와 색인 디스크(92, 도 11)로 구성되는 조립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91)의 전방 표면은 디스크(92)의 후방 표면과 인접해 있다. 각각의 회전자를 형성하는 디스크(91, 92)의 중심부에는 환형 구멍(93, 94)과 아치형 구멍(95, 96)이 제공되어 있다. 아치형 구멍(95, 96)은 각각의 디스크(91, 92)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고 120도로 연장되어 있다. 디스크(91, 92)는 같은 직경이고, 중심 구멍(93, 94) 또한 같은 직경이며, 아치형 구멍(95, 96)도 같은 크기(길이와 너비 모두)이고, 디스크 중심부로부터 같은 거리에 위치해 있다. 얇은 마찰평판(97, 98)은 각각의 하우징 부분(62, 63)의 협소한 리세스(recess)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마찰평판(97)의 전면은 위상 디스크(91)의 후면에 인접하고 마찰평판(98)의 후면은 색인 디스크(92)의 전면에 인접한다. 마찰평판(97, 98)에는 밸브(55)의 흡입구와 토출구(87, 88)와 정렬되는 구멍이 제공되어 있고 또한 축(66)이 통과되고 연장되어 있는 구멍이 제공되어 있다.
팽창 가능한 요소(99)가 회전자(65)의 중심 구멍(93, 94) 내부에 배치되고 축(66)을 둘러싸고 있으며, 축(66)에 의한 회전을 전달하기 위해 회전자(65)를축(66)에 키로 고정시키는 조절 가능한 결합부재로 구성된다. 결합부재(99)의 축소는 회전자 디스크(91, 92) 사이의 상대적 각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에서 잘 알려진 방법으로, 결합부재(99)는 축(66)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게 장착된 단단히 결합된 너트(111)에 의해 팽창된다. 이러한 너트(111)의 결속력은 돌출부(81)에서 결합부재(99)를 압착시켜 팽창하게 만들고 축(66)과 회전자(65)를 견고하게 구속하게 한다. 아치형 구멍(95, 96)의 중심부는 축(66)의 중심부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으며 흡입구(87)의 출구와 토출구(88)의 입구도 축(66)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어서 회전자(65)의 매 회전의 특정한 부분동안 아치형 구멍(95)은 토출구(88)와 소통되고, 아치형 구멍(96)은 흡입구(87)와 소통된다.
엘보우 맞춤부재(101)는 전방 하우징 부분(63)에 고정되고 흡입구(87)를 압축공기 공급소에 연결하며, 엘보우 맞춤부재(101)가 후방 하우징 부분(62)에 고정되었을 때는 토출구(88)를 램(25)의 내부에 연결되는 유연한 호스(59)에 연결한다.
밸브(55)는 흡입구(87)와 토출구(88)가 소통될 때 열렸다고 할 수 있다. 회전자(65)의 240도의 회전 동안 흡입구(87)는 흡입구(87)의 출구와 아치형 구멍(96)이 정렬에서 벗어남으로 인해 회전자 디스크(92)에 의해 닫혀진다. 이와 유사하게, 회전자(65)의 240도 회전 동안 토출구(88)는 토출구(88)의 입구와 위상 디스크(91)의 아치형 구멍이 정렬에서 벗어남으로 인해 닫혀진다. 도 8에서 아치형 구멍(91)이 흡입구(87)의 출구 말단에 정렬됨에 의해 그리고 아치형 구멍(95)이 토출구(88)의 입구 말단에 정렬됨에 의해 제어 밸브(55)가 열려지는 것을 도시하며, 동시에 아치형 구멍(95, 96)사이의 부분적인 겹침이 존재한다.
제어 밸브(55)가 열려있는 회전자(65)의 매 회전 중의 간격은 회전자 디스크(91, 92) 사이의 상대적인 각위치에 의존한다. 이 조건은 위상 디스크(91)의 말단을 따라 각을 표시하는 표시에 대하여 색인 디스크(92)의 말단에 있는 색인 표시(103)의 위치에 의해 표시된다. 도 6, 도 7, 도 10 및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65)의 외부는 하우징(6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것은 회전자(91, 92) 사이의 상대적 각위치를 조절하기 용이하게 한다. 색인 표시(103)를 하우징(61, 도 9)의 외측에 위치시킴에 의해, 색인 표시(103)에 대한 위상 디스크(91)의 표시가 관찰 가능하다.
본체제조기(15)가 동작하는 동안, 회전자(65)의 각각의 회전 중에 제어 밸브(55)가 처음으로 열렸을 때의 램(25)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램(25)이 작업행정의 말단(도 3)에 도달할 만큼만 이동되고, 귀환행정을 하기 위해 후방으로 이동하려는 지점에 있다. 제어 밸브(55)가 열리면, 제어밸브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가 램(25)의 중공 내부를 통해 인가되고, 새로 제조된 캔 본체(18)가 램(25)과 함께 후방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방 출구(52)에서 나타난다. 그 대신에 캔 본체(18)는 방출구(19)로 떨어진다. 제어 밸브 회전자(65)와 램(25) 사이의 위상은 밸브축(66)에 있는 풀리(69)의 각위치에 비교되는 회전자(65)의 각위치를 조정함에 의해 조절된다. 이것은 풀리(69)를 축(66)에 키로 고정시키는 결합 링(112)이 느슨해지도록 축(66)의 후방에 있는 너트(113)를 동작시킴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결합 링(112)과 함께 느슨해진 측(66)과 회전자 요소(91, 92)는 풀리(69)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특정한 실시예만 설명하였으나, 많은 다른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의 특정한 개시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제한됨이 바람직하다.

Claims (16)

  1. 금속 컵(16)을 긴 캔 본체(18)로 변형시키는 본체제조기(15)로서, 상기 본체제조기는,
    수평 종방향 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된 긴 램(25)과,
    작업행정에서는 상기 램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귀환행정에서는 상기 램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20)와,
    상기 작업행정 중에 상기 램에 의해 링 다이 어셈블리(22)를 통해 상기 컵(16)이 구동될 때 상기 컵을 상기 캔 본체로 변형시키기 위한 링 다이 어셈블리(22)와,
    상기 램이 상기 귀환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램으로부터 상기 캔 본체를 분리시키기 위해서 상기 램을 통하여 상기 캔 본체로 압축공기를 인가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공기 인가 장치는 압축공기를 상기 램을 통해 상기 캔 본체로 인가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로터리 밸브(55)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리 밸브(55)는 축(66)과 상기 축(66)상에 장착되어 상기 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자(65)를 포함하고;
    상기 측(66)은, 회전할 때마다 일정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회전하며, 또한 상기 구동기구와 연결되어 상기 램의 운동과의 조화 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컵을 긴 캔 본체로 변형시키는 본체제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가 회전할 때마다, 상기 램은 상기 작업행정과 귀환행정으로 구성되는 한 사이클을 통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컵을 긴 캔 본체로 변형시키는 본체제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55)는 또한 흡입구(87)와 토출구(88)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65)는, 상기 흡입구에 인가된 압축공기가 상기 토출구에 나타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자의 매 회전시의 소정의 부분 동안 상기 출입구를 상기 토출구에 연결할 수 있도록 배치된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65)는 위상 디스크(91)와 색인 디스크(92) 사이의 상대적인 조절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축에 장착되어 상기 소정 부분의 시간을 조절하는 위상 디스크 (91)와 색인 디스크(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컵을 긴 캔 본체로 변형시키는 본체제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디스크(91)와 색인 디스크(92)는 각각 평판 모양이고,
    상기 디스크들은 서로에 인접하고 상기 축에 대해 직각인 평행한 평면에 놓이고,
    상기 통로는 각각의 상기 위상 디스크(91)와 색인 디스크(92)를 통해 연장된 환형 구멍(93, 94)과 아치형 구멍(95, 96)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컵을 긴 캔 본체로 변형시키는 본체제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환형 구멍(93, 94)과 아치형 구멍(95, 96)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축의 둘레에 형성된 호(弧)형 구획부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구멍들은 서로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지게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컵을 긴 캔 본체로 변형시키는 본체제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상기 위상 디스크(91)와 색인 디스크(92)의 각각의 중심부를 통하여 연장된 회전축을 한정하고,
    상기 호형 구획부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컵을 긴 캔 본체로 변형시키는 본체제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밸브(55)는 또한 상기 흡입구(87)와 토출구(88)를 지닌 하우징(61)을 포함하고,
    상기 측(66)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회전자의 말단 부분과 함께 상기 회전자(65)의 대부분을 덮고 있으며, 상기 위상 디스크(91)와 색인 디스크(92)가 상기 회전자의 매 회전의 상기 소정 부분의 상기 시간을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크들 사이의 상대적 조절 운동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컵을 긴 캔 본체로 변형시키는 본체제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65)는 압축공기가 최초로 인가되는 상기 램(25)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구동기구(20)에 대해 조절 가능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컵을 긴 캔 본체로 변형시키는 본체제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제조기는 상기 램(25)이 상기 수평 종방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고정 프레임(80)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로터리 밸브(55)는 상기 축(66)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우징(61)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프레임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컵을 긴 캔 본체로 변형시키는 본체제조기.
  10. 기계부분의 주기와 시간적으로 동일하며 회전자의 회전이 완료되는 것과 시간적으로 동일한 밸브 주기에 걸쳐 일정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상기 밸브의 회전자(65)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기구(20)에 의해 주기적으로 동작되는 상기 기계부분에 인가되는 압축공기를 제어하기 위한 로터리 밸브(55)로서, 상기 로터리 밸브(55)는,
    상기 구동기구(20)에 의해 회전되는 축(66)과, 회전을 위해 상기 축에 장착되는 회전자(65)와,
    흡입구(87) 및 토출구(88)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회전자(65)는 상기 흡입구에 인가된 압축공기가 상기 토출구에 나타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자의 매 회전시의 소정의 부분 동안 상기 흡입구를 상기 토출구에 연결할 수 있도록 배치된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65)는 위상 디스크(91)와 색인 디스크(92) 사이의 상대적인 조절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축(66)에 장착되어 상기 소정의 부분의 시간을 조절하는 위상 디스크(91)와 색인 디스크(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밸브.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위상 디스크(91)와 색인 디스크(92)는 평판 모양이고,
    상기 디스크들은 서로에 인접하고 상기 축(66)에 대해 직각인 평행한 평면에 놓이고,
    상기 통로는 각각의 상기 위상 디스크(91)와 색인 디스크(92)를 통해 연장된환형 구멍(93, 94)과 아치형 구멍(95, 96)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밸브.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환형 구멍(93, 94)과 아치형 구멍(95, 96)은 상기 축(66)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축의 둘레에 형성된 호형 구획부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구멍들은 서로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지게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밸브.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축(66)은 상기 위상 디스크(91)와 색인 디스크(92)의 각각의 중심부를 통하여 연장된 회전축을 한정하고,
    상기 호형 구획부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밸브.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밸브는 또한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를 지닌 하우징(61)을 포함하고,
    상기 축(66)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61)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회전자(65)의 말단부분과 함께 상기 회전자의 대부분을 덮고 있으며, 상기 위상 디스크(91)와 색인 디스크(92)가 상기 회전자의 매 회전시의 상기 소정의 부분의 상기 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들 사이의 상대적 조절 운동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61)의 외측으로부터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밸브.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65)는 압축공기가 최초로 인가되는 상기 기계부분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구동기구(20)에 대해 조절 가능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밸브.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가 동일한 직경을 지니고 있고, 상기 호형 구획부가 크기와 모양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밸브.
KR1019960706170A 1994-05-02 1995-03-16 캔본체제조용램으로부터캔을분리시키기위한로터리밸브제어장치 KR100369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236,466 US5492000A (en) 1994-05-02 1994-05-02 Rotary valve controlled apparatus for stripping cans from bodymaking ram
US08/236,466 1994-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2766A KR970702766A (ko) 1997-06-10
KR100369846B1 true KR100369846B1 (ko) 2003-07-22

Family

ID=2288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170A KR100369846B1 (ko) 1994-05-02 1995-03-16 캔본체제조용램으로부터캔을분리시키기위한로터리밸브제어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5492000A (ko)
EP (1) EP0784521B1 (ko)
JP (1) JPH10508252A (ko)
KR (1) KR100369846B1 (ko)
CN (1) CN1081964C (ko)
AT (1) ATE194522T1 (ko)
AU (1) AU688022B2 (ko)
BR (1) BR9507591A (ko)
CA (1) CA2189541C (ko)
DE (1) DE69517992T2 (ko)
ES (1) ES2149355T3 (ko)
GR (1) GR3034489T3 (ko)
MX (1) MX9605295A (ko)
NZ (1) NZ283081A (ko)
PL (1) PL175678B1 (ko)
RU (1) RU2127647C1 (ko)
WO (1) WO19950297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6512B2 (en) * 2012-09-04 2016-10-25 Stolle Machinery Company, Llc Rotary valve system
WO2015031585A1 (en) * 2013-08-28 2015-03-05 Stolle Machinery Company, Llc Mechanism and design for addressing ram droop
DE112017002657T5 (de) * 2016-05-24 2019-03-07 Universal Can Corporation Spindelrotationseinheit und Bearbeitungstischstruktur einer Dosenherstell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09163A (en) * 1921-01-20 1924-09-23 Minge Einar Spark plug
US2593733A (en) * 1944-10-16 1952-04-22 Parker Appliance Co Valve assembly
US2578160A (en) * 1949-04-01 1951-12-11 Gen Metals Corp Rotary fluid valve
US2964061A (en) * 1956-11-28 1960-12-13 English Electric Co Ltd Multi-way fluid selector valves
US2996083A (en) * 1958-07-10 1961-08-15 Huska Paul Continuous flow rotary selector valve
US3040777A (en) * 1959-04-10 1962-06-26 Universal Oil Prod Co Rotary valve
US2994344A (en) * 1960-04-14 1961-08-01 Robert V Kerley Multiple orifice flow control device
US3198004A (en) * 1962-10-12 1965-08-03 Borden Co Can testing valve
US3131605A (en) * 1963-01-14 1964-05-05 Oilgear Co Flat valve for hydraulic machine
US3635069A (en) * 1969-11-05 1972-01-18 Dayton Reliable Tool & Mfg Co Drive mechanism for multiple plungers
US3713462A (en) * 1970-12-30 1973-01-30 J Bushee Apparatus for controlling flow of pressurized fluids
US4007620A (en) * 1975-06-11 1977-02-15 Crown Cork & Seal Company, Inc. Metal container forming apparatus
DE2752036C2 (de) * 1977-11-22 1985-06-27 Danfoss A/S, 6430 Nordborg Rotationskolbenmaschine für Flüssigkeiten
US4509555A (en) * 1983-02-07 1985-04-09 Adolph Coors Company Disk transfer system
US5183145A (en) * 1991-10-11 1993-02-02 Sequ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ositioning valve means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pressurized air to mandrels on a rotating carrier
DE69309825T2 (de) * 1992-08-25 1997-11-27 Mitsubishi Materials Corp Dosenformvorrichtung
US5257601A (en) * 1993-02-01 1993-11-02 Coffin David F Adjustable rotary valve assembly for a combustion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2766A (ko) 1997-06-10
AU2103095A (en) 1995-11-29
CN1081964C (zh) 2002-04-03
EP0784521A4 (en) 1997-04-15
CA2189541A1 (en) 1995-11-09
ATE194522T1 (de) 2000-07-15
DE69517992D1 (de) 2000-08-17
RU2127647C1 (ru) 1999-03-20
ES2149355T3 (es) 2000-11-01
JPH10508252A (ja) 1998-08-18
US5492000A (en) 1996-02-20
BR9507591A (pt) 1997-09-23
GR3034489T3 (en) 2000-12-29
MX9605295A (es) 1997-12-31
PL318463A1 (en) 1997-06-09
EP0784521A1 (en) 1997-07-23
EP0784521B1 (en) 2000-07-12
CA2189541C (en) 2000-11-21
CN1152887A (zh) 1997-06-25
WO1995029776A1 (en) 1995-11-09
AU688022B2 (en) 1998-03-05
NZ283081A (en) 1998-02-26
DE69517992T2 (de) 2001-02-22
PL175678B1 (pl) 199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05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aring a tool against a workpiece
HU210488B (en) Apparatus for grain-cleaning and polishing with wind-flush
US5603599A (en) Vacuum system
GB2198711A (en) Carton delivery apparatus
KR100369846B1 (ko) 캔본체제조용램으로부터캔을분리시키기위한로터리밸브제어장치
US20060048377A1 (en) Stacked core assembly method and its apparatus
JPH0646583Y2 (ja) ノックアウトタイミング調整機構
CN100523503C (zh) 隔膜泵
CN219352426U (zh) 一种新型可无级变速铡揉一体机
CN216682556U (zh) 一种模切机的卸风机构
CN108296725B (zh) 分体式差速器壳体内涨加工方法
JPH08141417A (ja) 研米機
CN111735258B (zh) 一种谷物冷却机
CN111990659B (zh) 一种鲜莲籽剥壳通芯一体装置
KR100428306B1 (ko) 로터리 캠 프레스 장치
CN115647463B (zh) 一种管材切割设备
KR100455483B1 (ko) 자동가스절단기
CN217042917U (zh) 一种全自动研磨缩分机
CN114684641B (zh) 一种利用标签废纸制备胶带的设备
CN217619864U (zh) 一种锌筒抛光装置
CN113465245B (zh) 冰箱门体及冰箱
JP2521911Y2 (ja) 多段式圧造成形機におけるチャック開閉装置
CN117601422A (zh) 挤出机和3d打印装置
JPH0519721U (ja) 可変径プーリー
CN116406697A (zh) 一种小型化的鳝鳅宰杀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