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8735B1 - 효소를 이용한 R-폼 또는 S-폼의 α-치환헤테로싸이클릭 카르복실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효소를 이용한 R-폼 또는 S-폼의 α-치환헤테로싸이클릭 카르복실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8735B1
KR100368735B1 KR10-2000-0030068A KR20000030068A KR100368735B1 KR 100368735 B1 KR100368735 B1 KR 100368735B1 KR 20000030068 A KR20000030068 A KR 20000030068A KR 100368735 B1 KR100368735 B1 KR 100368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cca
enzyme
ester
thfa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8977A (ko
Inventor
엄기남
임상철
임종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0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8735B1/ko
Priority to EP01934594A priority patent/EP1290208B1/en
Priority to PCT/KR2001/000884 priority patent/WO2001092553A1/en
Priority to CA002410438A priority patent/CA2410438A1/en
Priority to JP2002500745A priority patent/JP4843812B2/ja
Priority to DE60143262T priority patent/DE60143262D1/de
Priority to US09/871,360 priority patent/US6455302B1/en
Publication of KR20010108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7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41/00Processes us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41/003Processes us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by ester formation, lactone formation or the inverse re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16Hydrolases (3) acting on ester bonds (3.1)
    • C12N9/18Carboxylic ester hydrolases (3.1.1)
    • C12N9/20Triglyceride splitting, e.g. by means of lip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4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xyl group including Peroxy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소를 이용하여 R-폼(form) 또는 S-폼의 α-HCCA(α-substituted heterocyclic carboxyl acid)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라세믹 α-HCCA를 알코올과 반응시켜 α-HCCA 에스테르를 제조하고, 상기 α-HCCA 에스테르를 pH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수용액 상에서 입체특이성을 갖는 효소를 이용하여 R-폼 또는 S-폼의 α-HCCA와 S-폼 또는 R폼의 α-HCCA 에스테르로 광학분할(optical resolution)한 후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S-폼 또는 R폼의 α-HCCA 에스테르를 추출하고, 추출된 α-HCCA 에스테르를 유기용매에 녹이고 일정한 수소기체 압력과 온도가 유지되는 조건 하에서 팔라디움 촉매를 이용한 수소화 환원반응을 수행하여 S-폼 또는 R-폼의 α-HCCA를 얻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R-폼 또는 S-폼의 α-HCCA는 광학순도가 높고 수율이 높을 뿐 아니라 제조 공정에 드는 단가가 낮아 경제적이다.

Description

효소를 이용한 R-폼 또는 S-폼의 α-치환 헤테로싸이클릭 카르복실산의 제조 방법 {Method for preparing R- or S-form α-substituted heterocyclic carboxyl acid using enzyme}
본 발명은 효소를 이용하여 R-폼(form) 또는 S-폼의 α-HCCA(α-substituted heterocyclic carboxyl acid)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라세믹 α-HCCA를 알코올과 반응시켜 α-HCCA 에스테르를 제조하고, 상기 α-HCCA 에스테르를 pH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수용액 상에서 입체특이성을 갖는 효소를 이용하여 R-폼 또는 S-폼의 α-HCCA와 S-폼 또는 R폼의 α-HCCA 에스테르로 광학분할(optical resolution)한 후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S-폼 또는 R폼의 α-HCCA 에스테르를 추출하고, 추출된 α-HCCA 에스테르를 유기용매에 녹이고 일정한 수소기체 압력과 온도가 유지되는 조건 하에서 팔라디움 촉매를 이용한 수소화 환원반응을 수행하여 S-폼 또는 R-폼의 α-HCCA를 얻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α-HCCA의 일종인 테트라하이드로-2-퓨로익산(Tetrahydro-2-furoic acid, 이하 'THFA'라 약칭함)은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되는 중요한 키랄 빌딩브록(chiral building block)이다. THFA에는 광학 이성질체의 관계인 R-폼과 S-폼이 존재하는데 이중 R-(+)-THFA는 페넴(penem)계 항생제의 곁가지 중간체(side chain intermediate)로 사용되며, S-(-)-THFA는 유기합성의 키랄 중간체로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화합물이다. 이처럼 THAF의 R-폼과 S-폼은 각각 사용되는 용도가 다른데 화학 공정상 합성되는 THAF에는 상기 두 폼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분리를 위한 부가적인 공정이 요구된다.
라세믹(Racemic) THFA로 부터 R- 또는 S-폼의 THFA를 얻기 위해서는 혼합 라세미체(racemate)를 광학적으로 분할하는 광학분할법(optical resolution)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1983년 벨란거(Belanger)는 용해제(resolving agent)로 브루신(brucine)과 에페드린(ephedrine)을 사용하여 분할하는 법을 처음 실시하였으나(Can. J. Chem. 61. 1383(1983)) 상기 용해제는 가격이 높아 경제성으로 효율이 떨어질 뿐 아니라 광학순도(enantiomeric excess value) 또한 낮은 문제가 있었다.
일본 공개 특허 제89-216983호 에서는 브루신과 에페드린 대신 키랄 아민{1-(4-할로게노페닐)에틸아민} (chiral amine{1-(4-halogenophenyl)ethylamine})을 용해제로 사용하여 R,S-THFA로 디아스테레오머염(diastereomer salt)을 제조한 후 분할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키랄 아민 역시 가격이 높아 경제성이 떨어지며, 초기 반응액에 넣어주는 R,S-THFA양이 4 mmol 정도의 매우 낮은 농도로 한정되어 있어 수율이 낮을 뿐 아니라 제조되는 키랄 THFA의 광학순도 역시 높지 않았다.
일본 공개 특허 제97-71576호 에서는 분할법이 아닌 R- 또는 S-THFA 염에 할로겐화 수소를 처리해 R- 또는 S-THFA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전에도 라세믹 화합물을 광학분할 하기위해 에스테라아제(esterase), 리파아제(lipase), 프로테아제(protease) 등의 효소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거울상 이성질체를 가수분해시키는 방법들이 다수 알려져 왔다. 미국특허 제5,928,933에서는 프로테아제, 리파아제 및 에스테라아제 중에서 선택된 44가지 효소에 대해 반응특이성을 실험하였고 그 중 한 종류 만이 95%의 광학 순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의 분할에 매우 효과적일 수 있으나, 사용하는 효소의 종류 및 기질의 화학적 구조 등에 의해 거울상 이성질체(enantiomer)의 선택도 및 반응 산물의 광학 순도가 달라지므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기질에 적합한 조합을 찾아내는 것이 요구되고 있고, α-HCCA의 광학분할에 효소를 이용한 예는 없는 실정이다.
또한, α-HCCA 광학분할의 최종 산물인 R- 또는 S-α-HCCA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유기물이기 때문에 이를 수용액에서 추출하기 위해서는 pH를 약 2.0으로 조절하고 다량의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수차례 추출해야 회수가 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이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α-HCCA의 광학분할에 효소를 이용함으로써 높은 광학순도를 갖는 S-폼 또는 R-폼의 α-HCCA를 고수율로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광학 순도를 갖는 α-HCCA를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소 및 팔라디움 촉매를 이용한 R-폼 또는 S-폼의 α-HCCA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R-폼 또는 S-폼의 α-HCCA의 제조방법은 1) 라세믹 α-HCCA를 알코올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라세믹 α-HCCA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α-HCCA 에스테르를 pH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수용액 상에서 입체특이성을 갖는 효소 분말 또는 수용액을 이용하여 광학분할하여 R-폼 또는 S-폼의 α-HCCA, 및 S-폼 또는 R-폼의 α-HCCA 에스테르를 동시에 생성한 후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S-폼 또는 R-폼의 α-HCCA 에스테르를 추출하는 단계; 및 3) 추출된 상기 S-폼 또는 R-폼의 α-HCCA 에스테르를 유기용매에 녹이고 일정한 수소기체 압력과 온도가 유지되는 조건 하에서 팔라디움 촉매(Pd/C)를 이용한 수소화 환원반응을 통해서 S-폼 또는 R-폼의 α-HCCA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R1은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 벤질기, 탄소수 3 내지 6의 싸이클로알킬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 알킬기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아릴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X는 O, S 또는 N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먼저 α-HCCA를 알코올과 당량비로 반응시켜 에스테르 형태로 제조한 후 pH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수용액 내에서 입체 특이성을 갖는 효소와 반응시켜 한가지 폼의 에스테르 만을 특이적으로 가수분해 시킴으로써 라세믹 α-HCCA를 광학분할하여 R-폼 또는 S-폼의 α-HCCA, 및 S-폼 또는 R-폼의 α-HCCA 에스테르를 제조한다. 반응 종료후 유기용매를 첨가하면 R-폼 또는 S-폼의 α-HCCA는 수용액에 남아있고 S-폼 또는 R-폼의 α-HCCA 에스테르는 모두 유기용매층에 포함된다. 상기 유기용매 층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면 광학적으로 순수한 S-폼 또는 R-폼의 α-HCCA 에스테르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수용액 상에 남아있던 R-폼 또는 S-폼의 α-HCCA는 다소 광학순도가 떨어지므로 컬럼 등을 이용한 정제 과정을 통하여 순도를 높여 원하는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조 공정에 출발물질로 재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회수한 S-폼 또는 R-폼의 α-HCCA 에스테르를 유기용매에 녹이고 일정한 수소기체 압력과 온도가 유지되는 조건 하에서 팔라디움 촉매(Pd/C)를 이용한 수소화 환원반응을 실시하면 광학순도가 매우 높은(>99%) S-폼 또는 R-폼의 α-HCCA를 쉽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α-HCCA의 일종인 THFA를 광학분할하여 광학순도가 높은 S-폼 또는 R-폼의 THFA를 얻을 수 있으며, 이밖에도 α-HCCA의 범주에 포함되는 모든 물질, 예를 들어 프롤린(Proline), 테트라 하이드로치오펜-2-카르복실산(Tetrahydrothiopen-2-carboxylic acid) 등은 본 발명에 의해 광학분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S-폼 또는 R-폼의 THFA 에스테르 중에서 THFA 벤질 에스테르를 수용액을 사용하지 않는 수소기체의 조건하에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수소화 환원반응을 실시하여 THFA 및 톨루엔(toluene)으로 변화시킨 후 감압증류만을 통한 단순한 방법으로 톨루엔을 쉽게 제거함으로써 광학순도가 높은 S-폼 또는 R-폼의 THFA를 얻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6의 선형 또는 브랜치된 알코올, 방향족 알코올, 탄소수 3 내지 6의 싸이클로알킬알코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 알킬알코올,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아릴알킬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반응 시간이 짧고, 광학 순도를 보다 높일 수 있는 측면에서 탄소수 4이상의 선형 알코올 또는 방향족 알코올이다.
본 발명에서 효소는 미생물 또는 동물 유래의 리파아제(lipase), 프로테아제(protease) 또는 에스테라아제(esterase) 중에 선택된 것이 바람직한데 사용한 효소의 종류에 따라 R-폼 또는 S-폼이 선택되며 사용 형태는 분말 또는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효소 분말 또는 수용액의 사용량은 α-HCCA 에스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1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효소 사용량이 α-HCCA 에스테르에 대하여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반응 시간이 너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10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는 다량의 효소 사용으로 인한 비용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효소 반응시 수용액의 온도는 0 ∼ 60℃, pH는 4 ∼ 12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최적의 효과를 위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또는 톨루엔으로 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팔라디움 촉매는 0.1∼3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30중량%를 초과하였을 경우에는 재료가격이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고, 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수소화 환원 반응이 잘 일어나지 않게 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중량%를 사용한다. 상기 수소화 환원반응에서 사용되는 수소기체의 압력은 1∼10 바(bar)가 바람직한데, 10 바를 초과하면 부산물이 증가하고, 1바 미만일 경우에는 반응효율이 현저히 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바이다. 상기 수소화 환원반응은 충분한 반응을 위해서 1∼20의 반응시간 및 0∼70℃의 반응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 8시간 및 20 ∼ 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이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THFA 에틸 에스테르(ethyl ester)에 대해 특이성을 갖는 효소의 선별(screening)
0.1 몰의 THFA와 0.3 몰의 에틸 알코올을 0.15 몰의 염화티오닐(thionyl chloride)과 잘 혼합한 후 70℃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켜 THFA 에틸 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
50 mM 인산용액(pH 7.0) 500 ㎕에 1%의 THFA 에틸 에스테르 및 0.1%의 효소들을 각각 첨가하여 반응 용액을 만든 후 30℃에서 30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 50 ㎕를 취해 50 ㎕ 1 N HCl과 잘 혼합한 뒤에 200 ㎕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한 후 잘 혼합하여 기질을 추출하였고 그 결과를 GC 및 키랄 GC로 분석하였다. GC의 경우 컬럼은 HP-5를 사용하였으며 초기온도는 80℃, 최종 온도는 200℃ 이었고, 키랄 GC의 경우 컬럼은 β-덱스트린(dextrin) GC 컬럼을 사용하여 초기 온도 110℃, 촤종온도 200℃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효소 종류에 따라서 R-폼 또는 S-폼이 잔존됨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효소의 종류에 따라 다른 폼의 THFA 에틸 에스테르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효소 광학순도(ee%) 키랄폼(THFA 에틸 에스테르) 비고
종류 유래원 THFA-C2 THFA
프로테아제 Papain 미반응
Bacillus subtilis 27.7% 51.2% S
Aspergillus oryzae 30.1% 22.3% S
아스파질러스 사이토이 Aspergillus saitoi 미반응
Rhizopus.sp 미반응
Bacillus licheniformis 26% 13.2% S
Bacillus amyloliquefaciens 0% 미반응
리파아제 Candida cylindracea 88% 12.3%
Aspergillus oryzae 15.4% 5.6% R
Fongipase 12.2% 9.3% R
Pseudomonas sp.(고정화) 35.3% 5.7% S
Pseudomonas sp. 3.1% 0.2% R
Candida sp. 21.5% 2.5% R
Porcine pancreatic 93.1% 19.8% S
Candida antarctica, fraction B
Novo IM lipase 6.2% 2.5% R
Candida rugosa 0%
Rhizomucor miehei 13.5% 1.1% R
K80 lipase 7.6% 8.2% S
L1 lipase 미반응
L62 lipase 16.9% 10.5% S
에스테라아제 Porcineliver 0%
실시예 2
- THFA 부틸 에스테르(butyl ester)에 대해 특이성을 갖는 효소의 선별
0.1 몰의 THFA와 0.1 몰의 부틸 알코올을 1×10-4몰의 p-톨루엔술폰산(p-toluenesulfonic acid) 촉매와 0.15 몰의 톨루엔 하에서 120℃로 4시간 반응시켜 THFA 부틸 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
50 mM 인산용액(pH 7.0) 500 ㎕에 1%의 THFA 부틸 에스테르 및 0.1%의 효소들을 각각 첨가하여 반응 용액을 만든 후 30℃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질을 추출하고 분석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효소 종류에 따라서 R-폼 또는 S-폼이 잔존됨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효소의 종류에 따라 다른 폼의 THFA 부틸 에스테르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효소 광학순도(ee%) 키랄폼(THFA 부틸에스테르) 비고
종류 유래원 THFA-C4 THFA
프로테아제 Papain 미반응
Bacillus subtilis 16.8% 37.8% S
Aspergillus oryzae 100% 24.6% S
Aspergillus saitoi 5.6% 27.8% R 반응미약
Rhizopus.sp 미반응
Bacillus licheniformis 100% 29.8% S
Bacillus amyloliquefaciens 미반응
리파아제 Candida cylindracea 88% 12.3% R
Aspergillus oryzae 79.3% 0.6% R
Fongipase 76.15% 2.7% R
Pseudomonas sp.(고정화) 35.3% 5.7% S
Pseudomonas sp. 19.1% 3.7% S
Candida sp. 65.8% 14.1% R
Porcine pancreatic 35.7% 20.3% S
Candida antarctica, fraction B 16.1% 11.3% R
Novo IM lipase 100% 2.96% R
Candida rugosa 81% 6% R
Rhizomucor miehei 미반응
K80 lipase 51.4% 11% S
L1 lipase 47.1% 16.3% R
L62 lipase 81.5% 8.4% S
에스테라아제 Porcineliver 42.2% 25.3% R
실시예 3
- THFA 벤질 에스테르(benzylester)에 대해 특이성을 갖는 효소의 선별(screening)
벤질 알코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THFA 벤질 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
50 mM 인산용액(pH 7.0) 500 ㎕에 1%의 THFA 벤질 에스테르 및 0.1%의 효소들을 각각 첨가하여 반응 용액을 만든 후 30℃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질을 추출하고 분석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효소 종류에 따라서 R-폼 또는 S-폼이 잔존됨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효소의 종류에 따라 다른 폼의 THFA 벤질 에스테르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효소 광학순도(ee%) 키랄폼(THFA-벤질에스테르) 비고
종류 유래원 THFA-Bz THFA
프로테아제 Papain 미반응
Bacillus subtilis 94.7% 31.8% S
Aspergillus oryzae 98.3% 26.5% S
Aspergillus saitoi 22.2% 19.9% S
Rhizopus.sp 38.4% 44.1% S
Bacillus licheniformis 91.5% 29.1% S
Bacillus amyloliquefaciens 83.6% 36% S
리파아제 Candida cylindracea 0.7% 5.8% -
Aspergillus oryzae 18.1% 22% R
Fongipase 0%
Pseudomonas sp.(고정화) 13.1% 21.9% S
Pseudomonas sp. 1.8% 9.5% S
Candida sp. 0%
Porcine pancreatic 0%
Candida antarctica, fraction B 35% 10.7% S
Novo IM lipase 78.3% 3.9% R
Candida rugosa 0%
Rhizomucor miehei 0%
K80 lipase 92.1% 20.4% S
L1 lipase 40% 6% R
L62 lipase 0%
에스테라아제 Porcineliver 0%
실시예 4
- 유기용매를 이용한 THFA 에스테르(ester)와 THFA의 분리
라세믹 THFA 에스테르를 효소 반응시킨 후 반응액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R-폼 또는 S-폼 THFA 에스테르와 S-폼 또는 R-폼 THFA로 분리하는 과정은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50 mM 인산용액(pH 7.0) 1 ℓ에 2% R,S-THFA 부틸 에스테르, 1%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프로테아제를 넣고 pH를 7.0으로 유지시키면서 3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질을 추출하고 분석하였다.
나머지 반응액에 500 ㎖의 에틸아세테이트를 넣고 잘 섞어준 후 층분리하여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회수하였다(1차 추출액). 수용액층을 500 ㎖ 에틸아세테이트로 1회 더 추출하여 1차 추출액과 합친 후 황산나트륨 분말 5 g을 넣어 물을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액에 존재하는 에틸아세테이트를 감압 증류로 제거하여 9.6 g의 S-THFA 부틸 에스테르를 회수하였으며 광학순도는 99.4 ee%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수용액 상에 남아있는 R-THFA의 광학순도는 70 ee%이었다.
실시예 5∼13
- 효소:기질 비율, 반응 온도 및 반응 pH의 변화에 따른 광학순도의 변화.
R,S-THFA 부틸 에스테르의 농도를 8 중량%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효소:기질 중량비, 반응온도 및 pH를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효소:기질 반응시간(hr) 반응온도(℃) 광학순도(ee%) pH
5 1:2 5 50 100 일정하지 않음
6 1:2 2 50 98.6 7
7 1:4 3.5 50 98.4 7
8 1:8 7.5 50 98.9 7
9 1:4 4 50 98.6 9
10 1:8 4 50 98.5 9
11 1:8 4 30 98.7 9
12 1:12 8.5 30 98.8 9
13 1:16 11 30 97.4 9
실시예 14
-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프로테아제를 이용한 부틸 에스테르의 광학 분할
50 mM 인산용액(pH 9.0) 400 ㎖에 12 중량% R,S-THFA 부틸 에스테르, 1 중량%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프로테아제를 넣고 pH를 9.0으로 유지시키면서 30℃에서 10.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질을 추출하고 분석하였다.
200 ㎖의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21 g의 S-THFA 부틸 에스테르를 얻었으며 광학순도는 99.3 ee%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수용액 상에 남아있는 R-THFA의 광학순도는 60 ee%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5
-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프로테아제를 이용한 부틸 에스테르의 광학분할
50 mM 인산용액(pH 9.0) 200 ㎖를 사용하여 20℃에서 반응시킨 것과 기질 추출시 100 ㎖의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12 g의 S-THFA 부틸 에스테르를 얻었으며 광학순도는 99.3 ee%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6
-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프로테아제를 이용한 부틸 에스테르의 광학 분할
10℃에서 19시간 동안 반응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21 g의 S-THFA 부틸 에스테르를 얻었으며 광학순도는 99.1 ee%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7
-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프로테아제를 이용한 부틸 에스테르의 광학 분할
50 mM 인산용액(pH 9.0) 200 ㎖와 15 중량% R,S-THFA 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20℃에서 26시간동안 반응시킨 것과 기질 추출시 100 ㎖의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25.7 g의 S-THFA 부틸 에스테르를 얻었으며 광학순도는 99.8 ee%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8∼22
-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프로테아제를 이용한 부틸 에스테르의 광학 분할
실시예 17과 동일한 반응 조건하에서 R,S-THFA 부틸 에스테르의 농도 및 효소:기질의 비율을 변경하면서 실험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실시예 기질농도 효소:기질 반응시간(hr) 수율(%) ee%
18 15% 1:12 21 25.5 100
19 30% 1:12 24 30 99
20 30% 1:15 26 33.7 99.2
21 40% 1:15 28 46.4 99.1
22 50% 1:12 30 50 98.9
실시예 23
- THFA의 광학분할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벤질 에스테르를 제조한 후 50 mM 인산용액(pH 9.0) 200 ㎖에 12% R,S-THFA 벤질 에스테르, 1%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프로테아제를 넣고 pH를 9.0으로 유지시키면서 20℃에서 4.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남은 반응액에 100 ㎖의 에틸아세테이트를 넣고 잘 섞어준 후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16g의 S-THFA 벤질 에스테르를 얻었으며, 광학순도는 99.1 ee%였다.
제조한 S-THFA 벤질 에스테르 중 5.5 g을 에틸아세테이트 20 ㎖에 녹이고10%의 팔라듐 촉매(Pd/C) 55mg(1중량%)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수소기체를 조금씩 넣어주면서 1.5 바에서 10시간 동안 다시 교반한 후 팔라듐 촉매를 여과를 통해 제거하고 에틸아세테이트 및 생성된 톨루엔을 감압증류하여 제거한 결과 2.5 g의 S-THFA를 얻었다. 키랄 GC 분석결과 99.1 ee%의 광학순도를 그대로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R-폼 또는 S-폼의 α-HCCA는 광학순도가 높고 수율이 높을 뿐 아니라 제조 공정에 드는 단가가 낮아 경제적이다.

Claims (8)

1) 라세믹 α-HCCA(α-substituted heterocyclic carboxyl acid)를 알코올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라세믹 α-HCCA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α-HCCA 에스테르를 pH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수용액 상에서 입체특이성을 갖는 효소 분말 또는 수용액을 이용하여 광학분할하여 R-폼 또는 S-폼의 α-HCCA, 및 S-폼 또는 R-폼의 α-HCCA 에스테르를 동시에 생성한 후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S-폼 또는 R-폼의 α-HCCA 에스테르를 추출하는 단계; 및
3) 추출된 상기 S-폼 또는 R-폼의 α-HCCA 에스테르를 유기용매에 녹이고 일정한 수소기체 압력과 온도가 유지되는 조건 하에서 팔라디움 촉매(Pd/C)를 이용한 수소화 환원반응을 통해서 S-폼 또는 R-폼의 α-HCCA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효소를 이용한 R-폼 또는 S-폼의 α-HCCA의 제조방법:
화학식 1
상기 R1은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 벤질기, 탄소수 3 내지 6의 싸이클로알킬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 알킬기,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아릴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X는 O, S 또는 N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6인 선형 또는 브랜치된 알코올, 방향족 알코올, 탄소수 3 내지 6의 싸이클로알킬알코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 알킬알코올,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아릴알킬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를 이용한 R-폼 또는 S-폼의 α-HCCA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미생물 또는 동물 유래의 리파아제(lipase), 프로테아제(protease) 또는 에스테라아제(estera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를 이용한 R-폼 또는 S-폼의 α-HCCA의 제조방법.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 분말 또는 수용액의 사용량은 α-HCCA 에스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1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를 이용한 R-폼 또는 S-폼의 α-HCCA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의 온도는 0 ∼ 90℃이고, pH는 4 ∼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를 이용한 R-폼 또는 S-폼의 α-HCCA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또는 톨루엔로 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 임을 특징으로 하는효소를 이용한 R-폼 또는 S-폼의 α-HCCA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라디움 촉매는 0.1 ∼ 30 중량%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를 이용한 R-폼 또는 S-폼의 α-HCCA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기체의 압력은 1 ∼ 10 바(bar)이고, 상기 수소화 환원반응의 온도는 0 ∼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를 이용한 R-폼 또는 S-폼의 α-HCCA의 제조방법.
KR10-2000-0030068A 2000-06-01 2000-06-01 효소를 이용한 R-폼 또는 S-폼의 α-치환헤테로싸이클릭 카르복실산의 제조 방법 KR100368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068A KR100368735B1 (ko) 2000-06-01 2000-06-01 효소를 이용한 R-폼 또는 S-폼의 α-치환헤테로싸이클릭 카르복실산의 제조 방법
EP01934594A EP1290208B1 (en) 2000-06-01 2001-05-25 Method for optically resolving a racemic alpha-substituted heterocyclic carboxylic acid using enzyme
PCT/KR2001/000884 WO2001092553A1 (en) 2000-06-01 2001-05-25 Method for optically resolving a racemic alpha-substituted heterocyclic carboxylic acid using enzyme
CA002410438A CA2410438A1 (en) 2000-06-01 2001-05-25 Method for optically resolving a racemic alpha-substituted heterocyclic carboxylic acid using enzyme
JP2002500745A JP4843812B2 (ja) 2000-06-01 2001-05-25 酵素を使用するラセミα−置換ヘテロ環式カルボン酸の光学分割方法
DE60143262T DE60143262D1 (de) 2000-06-01 2001-05-25 Verfahren zur optischen auflösung einer razemischen alpha-substituierten, heterozyklischen karbonsäure unter enzymverwendung
US09/871,360 US6455302B1 (en) 2000-06-01 2001-05-31 Method for optically resolving a racemic α-substituted heterocyclic carboxylic acid using enzy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068A KR100368735B1 (ko) 2000-06-01 2000-06-01 효소를 이용한 R-폼 또는 S-폼의 α-치환헤테로싸이클릭 카르복실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977A KR20010108977A (ko) 2001-12-08
KR100368735B1 true KR100368735B1 (ko) 2003-01-24

Family

ID=45855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068A KR100368735B1 (ko) 2000-06-01 2000-06-01 효소를 이용한 R-폼 또는 S-폼의 α-치환헤테로싸이클릭 카르복실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87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989B1 (ko) * 2000-08-07 2006-05-29 에스케이 주식회사 R-폼 또는 s-폼 2-테트라히드로 퓨로익산에스테르의 라세미화 방법
KR100710551B1 (ko) 2003-04-29 2007-04-24 에스케이 주식회사 광학활성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2-카르복실산의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741B1 (ko) * 2000-06-01 2003-04-07 에스케이 주식회사 효소를 이용하여 R-폼 또는 S-폼의 α-치환 헤테로싸이클릭 카르복실산 및 이와 상반되는 광학특성을 갖는 α-치환 헤테로싸이클릭 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989B1 (ko) * 2000-08-07 2006-05-29 에스케이 주식회사 R-폼 또는 s-폼 2-테트라히드로 퓨로익산에스테르의 라세미화 방법
KR100710551B1 (ko) 2003-04-29 2007-04-24 에스케이 주식회사 광학활성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2-카르복실산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977A (ko) 200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8876A (en) Resolution of the racemates of primary and secondary amines by enzyme-catalyzed acylation
JP3789938B2 (ja) 酵素触媒作用アシル化による1級及び2級のヘテロ原子置換アミンのラセミ体分割
KR100654587B1 (ko) 효소를 이용한 (r)- 또는(s)-n-(2,6-디메틸페닐)알라닌과 그것의 대응 에스테르화합물의 입체이성질체의 제조방법
KR100378741B1 (ko) 효소를 이용하여 R-폼 또는 S-폼의 α-치환 헤테로싸이클릭 카르복실산 및 이와 상반되는 광학특성을 갖는 α-치환 헤테로싸이클릭 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368735B1 (ko) 효소를 이용한 R-폼 또는 S-폼의 α-치환헤테로싸이클릭 카르복실산의 제조 방법
KR100395310B1 (ko) 효소를 이용하여 라세믹 α-치환 헤테로싸이클릭 카르복실산을 광학분할하는 방법
US6455302B1 (en) Method for optically resolving a racemic α-substituted heterocyclic carboxylic acid using enzyme
US6063615A (en) Enzymatic acylation of amino acid esters using a carboxylic acid ester substituted with oxygen on the alpha carbon
US5534436A (en) Enzymatic resolution of asymmetric alcohols by means of vinyl esters of polybasic carboxylic acids
JP3819082B2 (ja) 光学活性3−n置換アミノイソ酪酸類およびその塩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US7405070B2 (en) Method for preparing (s)-indoline-2-carboxylic acid and (s)-indoline-2-carboxylic acid methyl ester using hydrolytic enzyme
KR100650797B1 (ko) 광학활성 사이클로프로판 카복사미드의 제조방법
US6153414A (en) Method for racemic biochemical resolution of CIS-and trans-pyprolopiperidine
KR20030012964A (ko) 광학활성 α-치환 헤테로시클릭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제조방법
KR100650798B1 (ko) 광학활성 카복실산의 제조방법
KR20220111209A (ko) (2s)-2-[(4r)-2-옥소-4-프로필-피롤리딘-1-일]부틸산 및 이를 브리바라세탐으로 변환하기 위한 효소적 방법
KR100617952B1 (ko) 광학활성 피리도 벤즈옥사진 유도체의 제조방법
JP4476963B2 (ja) 光学活性3−n置換アミノイソ酪酸類およびその塩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3970898B2 (ja) 光学活性α−メチルアルカンジカルボン酸−ω−モノエステル及びその対掌体ジエステルを製造する方法
KR20040042666A (ko)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r)-2-아미노-1-부탄올의제조방법
JPH10248592A (ja) 光学活性2−ベンジルコハク酸およびその誘導体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