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8022B1 - 도막분해용액조성물과이를이용한도막제거방법 - Google Patents

도막분해용액조성물과이를이용한도막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8022B1
KR100368022B1 KR1019970003684A KR19970003684A KR100368022B1 KR 100368022 B1 KR100368022 B1 KR 100368022B1 KR 1019970003684 A KR1019970003684 A KR 1019970003684A KR 19970003684 A KR19970003684 A KR 19970003684A KR 100368022 B1 KR100368022 B1 KR 100368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film
bumper
coating
solution composi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575A (ko
Inventor
홍존희
박종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북수지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북수지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03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8022B1/ko
Publication of KR19980067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9/00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 C09D9/04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with surface-active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막분해용액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도막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기로는 염화메틸렌, 인산, 계면활성제, 크산토겐산염, 메틸알콜, 탄산소다가 일정 함량비료 함유되어 있는 수용성성분을 자동차 외장용 폐범퍼 도막 제거에 사용하여 환경오염물질의 배출을 억제하면서도 도막 제거된 범퍼는 재활용이 가능하도록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종합물성을 가지도록 하는 도막분해용액 조성물과 이러한 용액 조성물을 이용하는 도막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막분해용액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도막제거방법
본 발명은 도막분해용액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도막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기로는 염화메틸렌, 인산, 계면활성제, 크산토겐산염, 메틸알콜, 탄산소다가 일정 함량비로 함유되어 있는 수용성성분을 자동차 외장용 폐범퍼 도막 제거에 사용하여 환경오염물질의 배출을 억제하면서도 도막 제거된 범퍼는 재활용이 가능하도록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종합물성을 가지도록 하는 도막분해용액 조성물과 이러한 용액 조성물을 이용하는 도막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부분의 자동차용 범퍼들은 그 경량화 추세에 따라 주로 플라스틱으로 성형되고 있으며, 내충격성, 내화학성, 내후성, 열 저항성 및 제품의 표면광택성 등의 향상을 위하여 폴리프로필렌수지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그 외부표면을 도장하고 있다.
범퍼의 도장공정 혹은 운송 및 자동차 조립공정 간에 발생하는 도장 불량품들은 산업상 막대한 손실의 원인이 되어 왔다. 지금까지 그 대부분의 불량품들은자동차로부터 회수되어 분쇄한 후 땅에 묻거나 소각하는 방법에 의해 폐기처리하고 있어 이에 따른 환경오염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재활용 후 종합물성이 뛰어난 폐범퍼 도막제거기술이 절실히 요구 되어 왔다. 자동차 폐범퍼의 도장을 벗겨내지 않고 재활용하거나, 부분적으로 벗겨서 범퍼를 재생했을 때에는 매우 현저한 물성저하와 도장성 불량의 결과를 초래하므로, 범퍼의 효과적인 완전 박피기술은 필수 불가결하다.
일반적인 자동차 범퍼 도막 제거기술로서는 기계적 방법, 물리적 방법 및 화학적 방법 등이 널리 사용되어 지고 있고, 이들 방법을 혼용 또는 단독적으로 이용하여 도막의 완전한 분리를 이루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도막 제거를 위한 물리적인 방법으로서, 진동압착법 및 멜트 스크린에 의한 도막 제거기술이 공지되어 있다[일본특허07256641, 유럽특허 618254 A1 및 유럽특허 553787 A]. 이러한 물리적 방법에서는 맹독성 화공약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에 있어 우수하지만, 도막의 제거를 위해서는 매우 오랜 처리시간이 소요되고, 도막의 분리능과 수지물성이 불량한 문제가 지적되어왔다.
기계적 방법을 이용한 도막 제거기술[일본특허 05237410, 독일특허 04316954 및 독일특허 4217005 A1]은 환경친화적이라 할 수 있으나, 처리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고, 재생 수지의 물성이 최초 기층수지 물성의 약 80%에도 미치지 못하므로 효과적이지 못하다.
그리고, 화학적 방법에 의한 도막 제거기술[일본특허 07290456, 일본특허 05115811 및 유럽특허 582300]에서는 용매 및 첨가제 등을 기층수지와 도막 사이에유입시켜 계면간의 부풀림 현상을 유발시킴으로써 도막을 제거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유기염을 함유한 에탄올 수용액이 도장수지의 가교점 부근을 공격하여 도막을 분해시키게 된다. 물성재현면에서 화학적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맹독성의 환경 오염물질을 유발하는 또 다른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폐범퍼 도막의 불완전한 박피, 재활용 수지를 이용한 범퍼제품 재생시 물성저하와 도장성 불량 초래 및 재생 공정중의 오염 물질 파생 등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새로운 도막 제거기술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는 염화메틸렌, 인산, 계면활성제, 크산토겐산염, 메틸알콜, 탄산소다가 일정 함량비로 함유된 도막분해용액조성물을 개발하였고, 이러한 용액 조성물을 이용한 화학적인 도막제거방법은 폐범퍼 도막의 완전 박피가 가능하고 또한 도막 제거된 범퍼 기층수지의 물성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도막분해용액 조성물을 연속적으로 재활용하므로 환경 친화적이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폐범퍼 도막제거에 유용한 도막분해용액 조성물과, 이러한 도막분해용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기계적 물성을 비롯하여 외관 및 도장성 불량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화학적인 도막제거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폐범퍼수지의 도막제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물과 염화메틸렌으로 이루어진 도막분해용액 조성물에 있어서, 물 200 ℓ 를 기준으로 염화메틸렌 1600 ∼ 1660 ℓ 와 다음과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진 수용성성분 140 ∼205 ℓ 가 함유된 도막분해용액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수용성성분 : 인산 65.8 ∼ 75.5 ℓ , 계면활성제 21 ∼ 25 ℓ , 크산토겐산염 11.5 ∼ 28.5 ℓ , 메틸알콜 26.6 ∼ 36.4 ℓ 및 탄산소다 15.1 ∼ 39.6 ℓ.
또한, 본 발명은 화학적 처리방법에 의해 폐범퍼의 도막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막분해용액 조성물을 사용하는 도막제거방법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동차 외장용 폐범퍼의 도막을 화학적인 방법으로 제거하는데 유용한 용액 조성물과, 이러한 용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폐범퍼 도막을 제거하는 방법, 그리고 도막제거된 폐범퍼의 재활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범퍼의 도막 제거용 용액 조성물은 물, 염화메틸렌 및 수용성성분으로 이루어진다.
물은 극성 고분자를 분해시키고, 또한 염화메틸렌의 증발을 방지하여 용액 손실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염화메틸렌층의 상부에 물이 코팅층을 형성하므로써 약 40℃의 비교적 낮은 비점을 가지는 염화메틸렌의 증발을 억제하게 된다.
염화메틸렌은 비극성 고분자에 대하여 강력한 분해능을 가지고 있어 폐범퍼의 도막 제거능이 우수하며, 그 밖에도 본 발명의 용액 조성물 중에 함유되어 용액의 비중차에 의한 용액층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특성을 발휘하게된다. 염화메틸렌은 물 200 ℓ 에 대하여 1600 ∼ 1660 ℓ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약 염화메틸렌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도막 제거능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도막 분해공정에서의 증발량이 많아 경제적손실이 크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산 등이 함유된 수용성성분을 도막분해용액 조성물에 함유시켜 염화메틸렌의 도막 제거능을 보다 상승시킨다. 수용성성분은 인산 65.8 ∼ 75.5 ℓ , 계면활성제 21 ∼ 25 ℓ , 크산토겐산염 11.5 ∼ 28.5 ℓ , 메틸알콜 26.6 ∼ 36.4 ℓ 및 탄산소다 15.1 ∼ 39.6 ℓ 를 함유한다.
인산은 도막분해용액 중에 함유되어 염화메틸렌이 비극성 고분자에 대해서 강력한 분해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수지도막의 무작위 배열에 관계없이 극성 및 비극성 고분자에 대한 강력한 분해능을 가지도록 상승작용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인산은 기재수지의 열경화성 수지 도장막에 일차적인 공격을 가하여 가교점을 분해하므로써 염화메틸렌의 극성 고분자에 대한 분해능을 상승시킨다. 이러한 인산은 수용성성분 중에 65.8 ∼ 75.5 ℓ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그 함량이 65.8 ℓ 미만 함유되면 염화메틸렌의 도막제거능에서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75.5 ℓ 를 초과하여 과량을 함유되면 폴리프로필렌수지에서 가장 약한 치환그룹을 공격하여 기재수지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게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수용성성분 중에 계면활성제를 함유시켜 비교적 낮은 온도의 시스템에서도 염화메틸렌, 물 및 수용성성분들이 잘 혼합되도록 하고 특히, 분해된 도막의 분산성 및 수지의 세정작용에 있어서도 뛰어난 첨가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계면활성제가 수용성성분 중에 21 ∼ 25 ℓ 함유되었을 때 상기에서 기대하는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계면활성제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코플리머(EP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칸술포네이트(SA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ℓ + m + n 은 10 ∼ 40의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2에서, R1과 R2는 각각 탄소원자수 1 ∼ 17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칸술포네이트는 용해도가 뛰어나고 탄소사슬에술폰산기가 직접 붙어 있음으로 해서 높은 pH조건에서도 가수분해가 일어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특히,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칸술포네이트와 비이온계계면활성제 성분으로 함유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EPC)를 함께 사용하여 본 발명의 도막 분해용액 조성물의 점도를 적당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크산토겐산염은 도막 분해상승제로 사용된 인산의 보조제로서 수용성성분 중에 함유되며, 이러한 크산토겐산염은 상기 수용성성분 중에 11.5 ∼ 28.5 ℓ 함유 되는 것이 그 효과발휘면에서 바람직하다.
메틸알콜은 물과의 친화성이 우수한 유기용매로서 본 발명의 용액 조성물 중에 함유되어 농도 조절제와 침투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메틸알콜은 수용성성분 중에 26.6 ∼ 36.4 ℓ 함유되며, 그 함량이 26.6 ℓ 미만이면 이의 첨가효과를 얻을 수 없고, 36,4 ℓ 를 초과하면 오히려 분해용액의 분해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탄산소다는 본 발명의 도막제거용액 조성물에 의해 분해된 도막이 범퍼에 재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며, 이는 수용성성분 중에 15.1 ∼ 39.6 ℓ 함유되는 것이 그 효과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막분해용액 조성물은 물과 염화메틸렌 이외에도 도막 분해능 향상을 위해 인산 등의 성분으로 구성된 수용성성분을 함유시켰으며, 그 결과 도막분해용액 조성물에 의한 범퍼도막층의 분해 효율은 짧은 처리시간내에서도 거의 100%에 이른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막분해용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폐범퍼의 도막을 제거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 1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폐범퍼들을 수거, 운송한 후 약 20 ∼ 30mm 크기의 칩으로 절단하는데, 이는 도막분해용액과 도막층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서이다. 이때 폐범퍼의 도막 두께가 10 ∼ 100㎛,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30 ∼ 40㎛일 때 본 발명의 도막분해용액 조성물의 분리효율은 극대화된다.
약 20 ∼ 30mm 칩의 형태로 고르게 절단된 범퍼조각들을 본 발명의 도막분해용액 조성물로 채워진 도막분해탱크에 넣는다. 이때, 범퍼조각들은 도막분해용액 조성물에 충분히 잠기도록 해야 하며, 약 40 ∼ 80℃의 온도로 10 ∼ 15분 정도 가열한다. 가열시 범퍼조각과 도막분해용액 조성물의 접촉면적 향상을 위해 약 60 ∼ 90 rpm으로 교반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때, 도막분해용액 조성물의 가열온도가 40℃ 미만이면 효율적인 도막분해가 어렵고, 80℃를 초과하는 과열하에서는 염화메틸렌의 증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그 손실량이 과다하고 또한 염화메틸렌이 염소기체를 비롯한 맹독성 기체로 분해될 위험이 있다. 그러나 40 ∼ 80℃ 온도범위를 유지시킨 경우, 염화메틸렌의 끓는점보다 다소 높은 온도가 유지되더라도 물층으로 코팅되어 있어 염화메틸렌의 증발이 용이하지 않은 특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막분해용액 조성물의 가열과정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증발물은 도장분리탱크 상부에 연결된 관을 통하게끔하고 이는 냉각수에 의해 응축시켜 재사용(recycle)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도막분해공정을 약 10 ∼ 15분 정도 수행하면 폐범퍼는 기층수지와 도막 침전물로 분리된다. 분해된 도막침전물은 스크린메쉬로 거른 후 폐기하고, 도막분해용액 조성물은 도막분해탱크 아래로 연결된 강관호스를 통해 다른 용기로 이송하여 재응집시킨 후 연속적으로 도막분해탱크로 이송하여 재활용한다.
또한, 완전박피된 기층수지는 폴리프렌필렌수지(PP)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이는 물을 이용하여 깨끗이 세척하고 탈수한 후, 40 ∼ 60℃ 정도의 환풍이 잘되는 곳에서 하루정도 건조한 다음 재활용한다.
기층수지를 재활용함에 있어서, 수분이나 계면활성제 등이 남아 있는 수지를 사용하여 범퍼를 재생할 경우 수분이 수지의 배향성 및 결합력 등에 영향을 미치게되어 제품의 수지물성이 떨어지거나, 가공시 기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완전 건조된 기층수지는 압출기에서 직경 2 ∼ 3mm 정도의 펠렛상태로 성형 시킨다. 이때 가공온도는 약 220 ∼ 250℃가 적당하다. 범퍼수지를 재활용 함에 있어서, 상기 도막 제거공정을 거쳐 회수된 재생 PP수지 펠렛만을 이용하여 범퍼제품을 만들수도 있겠으나,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재생 PP수지 펠렛과 버진 PP 수지 펠렛을 2 : 8 ∼ 6 : 4 중량비로 함께사용하여 범퍼제품을 만들수도 있다. 고속믹서기를 이용하여 잘 섞여진 펠렛들은 사출성형기를 통해 자동차 범퍼 형태로 성형하고, 페인트 코팅하여 최종 범퍼제품을 만든다.
상기와 같은 도막제거 공정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폐범퍼 도막분해용액 조성물을 사용하므로써 40 ∼ 80℃ 온도에서 완전도막제거가 가능하고 용액 증발량도 소량이어서 공업적으로 대량 생성되는 폐범퍼 처리에 매우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도막 두께가 30 ∼ 40㎛이고 폴리프로필렌수지를 주재료로 하는 폐범퍼를 20 ∼ 30mm 크기로 절단하고, 이를 다음 표 1의 조성비로 이루어진 도막분해용액 조성물에 충분히 잠기도록 침지시켰다. 40 ∼ 80℃의 온도에서 60 ∼ 90 rpm으로 교반하면서 10 ∼ 15분동안 가열하였다. 또한, 분리공정중에 증발되는 용액은 냉각기에 의해 응축시켜 재사용하였다.
상기 도막분해공정을 거친 공정액중의 분해된 도막 침전물은 200 ∼ 300 메쉬의 스크린메쉬로 거른 후 폐기하였고, 도막분해용액 조성물은 도막분해탱크 아래로 연결된 강관호스를 통해 다른 용기로 이송하여 재응집시킨 후 도막분해탱크로 이송하여 재활용하였다.
또한, 상기 도막분해공정에서 분리 수거된 기층수지(폴리프로필렌수지)는 순수한 물을 이용하여 깨끗이 세척하고 탈수한 다음, 40 ∼ 60℃의 환풍이 잘 되는 곳에서 하룻동안 건조하였다. 완전 건조된 기층수치는 220 ∼ 250℃ 온도에서 직경 2 ∼ 3mm 의 펠렛상태로 성형하였다. 재생 폴리프로필렌수지 펠렛 50 중량%와 버진 폴리프로필렌수지 펠렛 50 중량%는 고속믹서기를 이용하여 혼합하고, 사출성형기를 통해 자동차 범퍼 형태로 성형하였다.
Figure pat00003
비교예 2
불량 폐범퍼의 도막을 전혀 제거하지 않고 분쇄하여 재생한 것으로 재생수지만을 100% 사용하였다.
비교예 3
마모제를 사용하는 기계적 방법으로서 페인트 도장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범퍼 재생공정 중 수지의 배합비를 재생PP수지/버진PP수지 = 30/70 중량비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4
물리적 방법인 진동압착법과 멜트스크린을 혼용하여 도막을 완전제거하였다. 범퍼재생을 위한 수지의 배합비를 재생PP수지/버진PP수지 = 30/70 중량비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의 도막분해용액 조성물중 인산 65.8ℓ 대신에 개미산 58.8ℓ 를 함유시키고, 크산토겐산염 11.5ℓ 대신에 18.5ℓ 를 함유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범퍼재생을 위한 수지의 배합비를 재생PP수지/버진PP 수지 = 30/70 중량비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6
도막분해용액 조성물로서는 수산화나트륨 5.0 중량%,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3.0 중량%, 유기용매로서2-프로필알콜 10 중량%, 트리에틸아민 8.0 중량%, 그리고 물 74 중량%를 함유한 것을 사용하여 폴리프로필렌수지의 융점이하인 150℃ 미만에서 15분 동안 화학적처리하였다. 범퍼 재생공정 중 수지의 배합비를 재생PP수지/버진PP수지 =70/30중량비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FP수지 범퍼 각각에 대한 물성 측정치는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상기 실험예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2 및 3은 도막제거후 신율/충격강도(IZOD)에 있어서 그 물성이 버진PP수지 100%로 만든 참고예 1의 물성과 거의 유사하게 100% 회복되었고, 인장강도와 열변형온도(HDT)에 있어서도 그 물성이 95%이상 회복되었다. 또한 도장외관과 광택도에 대한 시험에 있어서도 양호하게 나타났다.
도막분해용액조성물이 인산 등의 보조성분이 함유되지 않고 염화메틸렌과 물만으로 구성된 비교예 1의 경우는 도장성 및 외관면에서 비교적 양호하지만 물리적 스트레스에 따른 기재수지의 물성변화를 초래한다.
도막층을 전혀 제거하지 않은 비교예 2의 경우에 열경화성인 도막이 수지 물성을 급격히 저하시킴을 알 수 있다. 특히, 신율/굴곡탄성율이 매우 나빴으며, 도장성 실험에 있어서도 도막터짐 현상이 나타났다.
기계적 방법과 물리적 방법에 의해 도막층을 완전히 제거한 비교예 3, 4의 경우에는 일반물성이 참고예 1에 비하여 90%이상 회복되었으나, 도장성에서는 표면불량/도막부풀음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화학적 방법 중 실시예 l과 조성을 약간 달리하여(인산→ 개미산)필름코팅층을 완전히 제거한 후 제조한 비교예 5의 범퍼는 그 물성/도장성이 참고예 1의 99%에 이르는 우수한 면모를 보여주었으나 환경규제상 사용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그 사용이 적합치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시예 1, 2 및 3에서 소요된 시간은 비교예 3, 4의 방법에 비해 1/2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경제성에 있어서도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막분해용액 조성물은 자동차 폐범퍼의 처리에 매우 효율적이고도 환경친화적임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물과 염화메틸렌으로 이루어진 도막분해용액 조성물에 있어서,
    물 200 ℓ 를 기준으로 염화메틸렌 1600 ∼ 1660 ℓ 와 다음과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진 수용성성분 140 ∼ 205 ℓ 가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분해용액 조성물.
    수용성성분 : 인산 65.8 ∼ 75.5 ℓ , 계면활성제 21 ∼ 25 ℓ , 크산토겐산염 11.5 ∼ 28.5 ℓ , 메틸알콜 26.6 ∼ 36.4 ℓ 및 탄산소다 15.1 ∼ 39.6 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성분에 함유된 계면활성제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 되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EPC), 다음 화학식 2로 표시 되는 알칸술포네이트(SAS), 또는 이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하는 도막분해용액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1 에서 ℓ + m + n 은 10 ~ 40의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2 에서, R1과 R2는 각각 탄소원자수 1 ~ 17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3. 화학적 처리방법에 의해 폐범퍼의 도막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항의 도막분해용액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범퍼의 도막제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분해 공정은 20 ~ 30 mm 크기로 분쇄한 폐범퍼를 40 ~ 70 ℃의 도막분해용액조성물내에서 60 ~ 90 rpm으로 교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범퍼의 도막제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분해공정에서 증발되는 증기는 응축시켜 재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범퍼의 도막제거방법.
KR1019970003684A 1997-02-06 1997-02-06 도막분해용액조성물과이를이용한도막제거방법 KR100368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684A KR100368022B1 (ko) 1997-02-06 1997-02-06 도막분해용액조성물과이를이용한도막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684A KR100368022B1 (ko) 1997-02-06 1997-02-06 도막분해용액조성물과이를이용한도막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575A KR19980067575A (ko) 1998-10-15
KR100368022B1 true KR100368022B1 (ko) 2003-04-08

Family

ID=37491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684A KR100368022B1 (ko) 1997-02-06 1997-02-06 도막분해용액조성물과이를이용한도막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80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54335B (zh) * 2022-09-14 2024-02-23 中亿丰罗普斯金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废铝脱漆工艺及其设备
KR102546752B1 (ko) * 2022-12-15 2023-06-23 정하상 수용층을 포함하는 열경화성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5811A (ja) * 1991-10-30 1993-05-14 Tonen Chem Corp 塗装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製バンパーの再生方法
JPH05185045A (ja) * 1992-01-16 1993-07-27 Nissan Motor Co Ltd 塗料配管内沈着物の除去用組成物およびその方法
JPH06299107A (ja) * 1993-04-14 1994-10-25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塗膜剥離剤組成液及び塗膜剥離方法
JPH07157697A (ja) * 1993-12-03 1995-06-20 Tonen Corp 塗装剥離液
JPH07323258A (ja) * 1994-05-30 1995-12-12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塗装膜除去剤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塗装膜除去方法
KR960014756A (ko) * 1994-10-07 1996-05-22 이겸수 슬러지성폐유 소각용 스프레이 노즐장치
JPH08309750A (ja) * 1995-05-24 1996-11-26 Suzuki Motor Corp 樹脂製品の再利用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5811A (ja) * 1991-10-30 1993-05-14 Tonen Chem Corp 塗装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製バンパーの再生方法
JPH05185045A (ja) * 1992-01-16 1993-07-27 Nissan Motor Co Ltd 塗料配管内沈着物の除去用組成物およびその方法
JPH06299107A (ja) * 1993-04-14 1994-10-25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塗膜剥離剤組成液及び塗膜剥離方法
JPH07157697A (ja) * 1993-12-03 1995-06-20 Tonen Corp 塗装剥離液
JPH07323258A (ja) * 1994-05-30 1995-12-12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塗装膜除去剤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塗装膜除去方法
KR960014756A (ko) * 1994-10-07 1996-05-22 이겸수 슬러지성폐유 소각용 스프레이 노즐장치
JPH08309750A (ja) * 1995-05-24 1996-11-26 Suzuki Motor Corp 樹脂製品の再利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575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78977C (zh) 基于乙烯基聚合物的制品的回收方法
EP1325066B1 (en) Polystyrene reclamation process
EP0547249B1 (en) Method of regenerating coated plastic wastes
US20070243384A1 (en) Method of removing coatings from plastic articles
KR100193334B1 (ko) 도료 필름으로 도장된 수지의 재생처리 방법
US6262133B1 (en) Process for removing deleterious surface material from polymeric regrind particles
KR100368022B1 (ko) 도막분해용액조성물과이를이용한도막제거방법
JP4979753B2 (ja) 熱硬化性樹脂の分解および分解生成物の回収方法
JP2003055475A (ja) 再生繊維で強化された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
CN111363195B (zh) Pc再生料回收工艺、再生无卤阻燃pc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587019B (zh) 一种油漆废渣改性的塑料母粒、制备方法及由其制成的塑料制品
KR100401724B1 (ko)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이용한 열경화성 도막의 박리방법
KR20210154432A (ko) 에어백 기포지 재활용
EP0618254A1 (en) Method for recycling painted plastic materials
US5476624A (en) Process for reclaiming waste plastics having a paint film
CN107880308A (zh) 用路易斯碱从纤维增强聚合物回收纤维
US5494603A (en) Composition for delacquering aluminum cans during recycling
JP3244090B2 (ja) 塗膜剥離方法
KR101428545B1 (ko) 도장된 폐 플라스틱 성형품의 리사이클 방법
KR100241267B1 (ko) 플라스틱에 도장된 열경화성 고분자 도막의 박리방법
CN1053686C (zh) 塑料表面涂料水性去漆方法及其去漆组合物
JPH07157697A (ja) 塗装剥離液
CN116333477A (zh) 一种高价值回收带涂层车灯pc制备pcr材料的方法及制品
JP2010144131A (ja) プラスチックの分解方法
JPH07205152A (ja) 塗装プラスチック成形体の処理方法及び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