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7511B1 - 부하조정범위가넓은공기가스버너 - Google Patents

부하조정범위가넓은공기가스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7511B1
KR100367511B1 KR1019960702095A KR19960702095A KR100367511B1 KR 100367511 B1 KR100367511 B1 KR 100367511B1 KR 1019960702095 A KR1019960702095 A KR 1019960702095A KR 19960702095 A KR19960702095 A KR 19960702095A KR 100367511 B1 KR100367511 B1 KR 100367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s
burner
fuel
chamber
gas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6048A (ko
Inventor
롤린스 모간 제임스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filed Critical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ublication of KR960706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6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5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공기 가스 버너는 끓는점이나 그 바로 이하에 유지시켜 요리(simmer service)하기 위해 적은 수의 버너 포트를 분리함으로써 부하 조정 범위를 향상시킨다. 그 버너는 4개의 외향으로 연장하는 채널을 가진 컵 부분을 포함하는 내부 배플(baffle)을 구비한다. 각각의 채널은 각각의 포트와 정렬한다. 또한, 버너는 종래의 방식으로 모든 포트로 연료를 제공하도록 배치된 제 1 연료 노즐과, 끓는점이나 그 바로 이하에 유지시켜 요리하기 위한 단지 4개의 포트로 연료를 제공하는 제 2 연료 노즐을 포함한다 제 2 연료 노즐은 제 1 연료 노즐의 주입 오리피스보다 더 작은 단면적을 가진 주입 오리피스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오리피스는 제 1 오리피스가 최소 압력으로 제공하는 동일한 입력 속도를 최대 압력으로 제공하도록 크기 조정된다. 끓는점이나 그 바로 이하에 유지시켜 요리하기 위해 적은 수의 버너 포트를 사용함으로써, 이들 포트를 통과하는 가스 속도가 증가되고, 그 부하 조정 범위도 넓어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배플은 소수의 포트를 분리하는 대신에 각각의 포트를 위, 아랫 부분으로 분할한다. 각 포트의 윗 부분은 총 포트 영역의 약 1/6 ∼ 1/4 로 구성되고, 끓는점이나 그 바로 이하에 유지시켜 요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Description

부하 조정 범위가 넓은 대기 가스 버너{ATMOSPHERIC GAS BURNER HAVING EXTENDED TURNDOWN}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대기 가스 버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의 조리 기구용의 가스 버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가스 버너의 작동 범위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대기 가스 버너는 가정의 가스 조리 기구의 면 가열 유닛(surface units)으로서 통상 사용되고 있다. 이 가스 버너는 전통적으로 다수의 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버너 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혼합관이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을 버너 헤드 내로 도입한다. 이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은 포트를 통과하여 점화되고 연소된다. 적절한 작동 범위, 즉 적절한 부하 조정 범위(turndown)를 달성하는 것은 대기 가스 버너에 중요한 설계 변수이다. 가스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가스 버너는 종종 넓은 범위의 입력량에 대하여 작동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스 버너의 경우에 그러한 부하 조정 범위는 특히 중요하다.
현재 많은 가스 버너는 적절하게 심머 작동(simmer operation ; 내용물을 끓는점 이하에 유지시켜 조리하는 작동)을 행할 수는 없다. 이는 안정된 불꽃을 유지하는 버너 포트에서의 최소의 가스 속도에 의해 부하 조정 범위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심머 작동을 위해 연료 입력량이 감소되는 경우, 포트를 통과하는 가스의 속도는 느려진다. 결국에는, 전혀 불꽃이 없어지거나, 실내의 통풍 또는 오븐의 도어를 난폭하게 닫는 등과 같은 주위 환경의 교란에 의해 꺼지는 경향이 있는 최저한도의 불꽃을 생성하는 정도로 가스의 속도가 저감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이른바 밀봉형 가스 버너 장치, 즉 버너 기부 둘레의 쿡탑(cooktop) 표면에 개구가 없어 엎질러진 내용물이 쿡탑 아래 영역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기구의 세척을 쉽게 하는 버너 장치에서 명확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종래의 쿡탑 버너의 외관, 감촉 및 청결을 유지하면서 확장된 부하 조정 범위를 달성할 수 있는 대기 가스 버너가 요구되고 있다.
발명의 요약
전술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버너 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버너 본체를 구비한 가스 버너를 제공한다. 이 버너 본체 내에는 그 내부를 제1 챔버와 제2 챔버로 분할하는 배플(baffle)이 배치되어 있다. 배플은 컵 부분을 구비하며, 이 컵 부분으로부터 입구관이 축방향으로 연장하며, 또한 복수 개의 채널이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채널은 각기 개개의 포트와 정렬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포트는 적어도 24개가 있으며, 채널은 4개가 있다. 또한, 버너는 연료를 제1 챔버로 공급하기 위해 벤츄리관과 같은 혼합관과 정렬되는 제1 연료 노즐을 포함한다. 버너는 또한, 연료를 제2 챔버로 공급하기 위해 버너 본체 내에서 연장하며 배플의 입구관과 정렬되는 제2 연료 노즐을 포함한다.
정상 작동 중에는, 제1 노즐로부터의 연료가 모든 포트를 통하여 흐르지만,심머 작동 중에는 연료가 제2 노즐을 통해 주입되어, 채널과 정렬된 포트를 통해서만 흐른다. 이 채널과 정렬된 포트의 개수가 전체 포트의 개수보다 적기 때문에, 이들 포트를 통과하는 가스의 속도가 한층 빨라지게 되고, 부하 조정 범위의 확장 도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연료 노즐은 제1 연료 노즐의 분사 오리피스보다 단면적이 작은 분사 오리피스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버너 본체 내에 배치된 배플이 컵 부분을 구비하며, 이 컵 부분으로부터 입구관이 연장하고 있다. 이 컵 부분의 외측 연부가 포트와 정렬되어, 각 포트를 상부와 하부로 분할한다. 각 포트의 하부는 컵 부분의 아래의 제1 챔버와 연통하고, 각 포트의 상부는 컵 부분의 위의 제2 챔버와 연통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포트의 상부는 전체 포트 면적의 약 1/6 내지 1/4를 차지한다. 정상 작동 중에는 제1 노즐로부터의 연료가 포트의 상부와 하부의 양방을 통해 배출된다. 심머 작동 중에는 연료가 제2 노즐로부터 제2 챔버 내로 분사되고, 포트의 상부만을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 청구의 범위를 읽음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의 설명
본 발명의 주제는 명세서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특히 구체적으로 청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의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가스 버너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2-2를 따라 취한 가스 버너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 3-3을 따라 취한 가스 버너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가스 버너의 단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전체 도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대기 가스 버너(10)를 도시한 것이다. 가스 버너(10)는 레인지 또는 쿡탑(cooktop)과 같은 가스 조리 기구의 상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지지면(12)에 부착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버너(10)는 이른바 밀봉형 버너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지지면(12)과 버너(10)의 기부와의 사이에 어떤 개구도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지면 바로 아래의 영역은 엎질러진 내용물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밀봉되어, 조리면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밀봉형 버너 기구에서의 사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가스 조리 기구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가스 버너(10)는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지만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한 버너 본체(14)를 구비한다. 버너 본체(14)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측벽(16)과, 바닥부(18), 그리고 상면부(20)를 구비하여, 중공의 내부를 획정하고 있다. 한 종류의 버너에 대해서 기재되고 도시되어 있긴 하지만, 본 발명은 압형 알루미늄제 버너 및 분리 장착식 오리퍼스 버너와 같은 다른 종류의 버너에도 적용 가능하다.
복수 개의 포트(22)가 측벽(16)에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같은 용어 "포트(port)" 는 불꽃을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의 개구를 의미한다. 포트(22)는 상면부(20)에 또는 그 부근의 측벽(16)의 원주면 둘레를 따라 분포되고, 통상적으로 반드시 그런 필요는 없지만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포트(22)의 총 개수는 약 24 내지 30개이다. 이들 포트(22)의 대부분은 본질적으로 구조가 동일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중 몇 개는 연료 공급 방식이 상이하게 되어 있다.
예컨대, 벤츄리관과 같은 혼합관(24)(제2도에 도시)은 버너 본체(14)의 외부에 위치하는 입구를 구비하며, 버너 븐체(14)의 바닥부(18)에 설치된 개구와 접속되어, 버너 본체(14)의 내부에 대한 입구관을 구성하고 있다. 주연료 노즐 또는 제1 연료 노즐(26)이 혼합관(24)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혼합관(24)의 입구와 정렬되는 제1 분사 오리피스(28)를 구비하여, 제1 분사 오리피스(28)로부터 배출되는 연료가 혼합관(24) 내로 유동하도록 되어 있다. 연소를 유지하는 주 공기는 버너(10) 주위의 대기 공간으로부터 얻어지며, 종래의 방식의 연료 제트에 의해 혼합관(24)의 입구 주위의 개방 영역으로부터도 유입된다. 따라서, 혼합관(24)에 의해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버너 본체(14)의 내부로 유입된다. 제2 분사 오리피스(32)를 구비한 제2 연료 노즐(30), 즉 심머 연료 노즐은 버너 본체(14)의 바닥부(18)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며, 제2분사 오리퍼스(32)는 버너 본체(14)의 내부에 상방으로 배치된다. 제2 연료 노즐(30)은 바닥부(18)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제1 연료 노즐(26)은 중심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2 분사 오리피스(32)의 단면적은 제1 분사 오리피스(28)의 단면적보다 상당히 작다.
내부 배플(34)이 버너 본체(14)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배플(34)은 버너 본체 내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컵 부분(36)을 포함한다. 이 컵 부분(36)은 버너 본체(14)에 대하여 동심(同心)으로 위치 결정되어, 버너 본체(14)의 내부를 그 컵 부분(36)의 외측의 제1 챔버(38)와 그 컵 부분(36)의 내측의 제2 챔버(40)로 분할하고 있다, 입구관(42)은 컵 부분(36)의 바닥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입구관(42)이 제2 연료 노즐(30) 가까이 연장하며, 제2분사 오리피스(32)가 입구관(42)과 정렬된다. 따라서, 제2분사 오리피스(32)로부터 배출된 연료는 입구관(42) 내로 흐르고, 제1 챔버(38)로부터 공기가 유입된다(공기가 혼합관(24)을 통해 제1 챔버(38) 내로 유입된다). 입구관(42)에 의해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제2 챔버(40) 내로 유입된다.
배플(34)은 또한, 컵 부분(36)의 측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4개의 채널(44)을 포함한다. 이들 채널(44)은 컵 부분(36)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널(44)은 각기 대응하는 하나의 버너 포트(22)에 대하여 정렬되어 있다. 채널(44)과 정렬되어 있는 4개의 포트는, 이후 심머 버너 포트라 일컬어지며 제2 챔버(40)와 유체 연통하고, 나머지 포트는 이후에 "주 버너 포트"라 일컬어지며 제1 챔버(38)와 직접 유체 연통한다.
또한, 심머 버너 포트는 제1 챔버(38) 내의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의 일부가 입구관(42)을 통해 제2 챔버(40)로 들어가므로, 제1 챔버(38)와도 유체 연통한다. 그러나, 제2 분사 오리피스(32)로부터 제2 챔버(40) 내로 분사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은 작동 중에 제1 챔버(38) 내로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주 포트는 제2 챔버(40)로부터 격리되어 있다. 즉, 주 포트는 제1 챔버(38)와 유체 연통하지만, 제2 챔버(40)로부터는 격리되어 있다. 심머 포트는 제1 챔버(38)와 제2 챔버(40) 모두와 유체 연통한다.
4개의 채널(44)과 그에 따라 4개의 심머 포트가 도시 및 기술되어 있긴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구성 요소의 개수를 4개로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심머 포트의 수는 주 포트의 수보다 훨씬 적다.
제1 연료 노즐(26)과 제2 연료 노즐(30)은 모두 2단 밸브(48)(개략적으로 도시)를 통하여 가스 공급원(46)에 연결되어 있다. 2단 밸브(48)는 가스 공급원(46)으로부터 2개의 제1 연료 노즐(26)과 제2 연료 노즐(30)로의 가스의 흐름을 조정하도록 가스 조리 기구의 대응하는 제어 노브(control knob)에 의해 공지된 방법으로 제어된다. 2단 밸브(48)는 본 기술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형태로, 가변 유량의 연료를 제1 연료 노즐(26)에 공급하는 제1 단과, 가변 유량의 연료를 제2 연료 노즐(30)에 공급하는 제2 단을 구비한다.
밸브(48)의 작동 범위는 이하와 같다. 밸브가 크게 열린 경우에, 밸브(48)는 제1 단에 있으며 최대 압력으로 연료를 제1 연료 노즐(26)에 공급한다. 밸브(48)를 폐쇄시킴에 따라, 연료의 압력이 저감되어 제1 단의 최소 압력 지점에 도달한다. 이 지점으로부터 밸브를 다시 개방시키면, 밸브 (48)는 제2 단으로 변환되어, 연료가 초기에 제2 연료 노즐(30)에 최대 압력으로 공급된다. 제2 단에서의 밸브(48)의 폐쇄는 버너(10)가 꺼질 때까지 연료의 압력을 저감시킨다. 제1 분사 오리피스(28)는 최대 압력으로 원하는 최대 버너 입력 속도를 생성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제2 분사 오리피스(32)는 바람직하게는 제1분사 오리피스(28)가 제1 단의 최소 압력의 경우에 생성하는 것과 동일한 입력 속도를 최대 압력에서 발생시키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이를 위해, 제2 오리피스의 단면적에 대한 제1 오리피스의 단면적의 비율은 단 하나의 단에 대한 부하 조정 범위의 비율과 대략 동일하다.
작동 시에, 원하는 가스 버너(10)에 상응하는 가스 조리 기구 상의 제어 노브를 조작하여, 밸브(48)가 2개의 제1 연료 노즐(26)과 제2 연료 노즐(30) 중 하나에 연료를 공급한다. 정상 작동에서, 밸브(48)는 제1 단으로 조정되어, 연료가 제1 연료 노즐(26)로 안내된다. 이 연료는 제1 분사 오리피스(28)로부터 배출되고, 연소용의 공기와 함께 혼합관(24)으로 유입된다. 그 결과의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은 혼합관(24)으로부터 제1 챔버(38) 내로 흐르고, 그 혼합물은 대부분은 연소용으로 주 버너 포트를 통해 배출된다. 제1 챔버(38) 내의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의 나머지는 내부 배플(34)의 입구관(42)을 통해 제2 챔버(40) 내로 흘러, 심머 버너 포트를 통해 배출된다. 배플(34)을 통과하는 혼합물에 대해 유동 저항이 약간 증가되긴 하지만, 본 발명의 버너(10)의 정상 작동은 종래의 버너의 작동과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다.
심머 작동 또는 부하 조정 범위가 넓은 작동에서는, 밸브(48)가 제2 단으로 조정되어, 연료가 제2 연료 노즐(30)로 안내된다. 연료는 제2 분사 오리피스(32)로부터 배출된다. 연료 제트에 제1 챔버(38)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며, 이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은 제2 챔버(40)에 분배되도록 입구관(42)으로 안내된다. 제2 챔버로부터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채널(44)을 통과하여, 연소를 위해 심머 버너 포트를 통해 배출된다. 전체 24개 내지 30개의 포트 대신에 단지 4개의 심머 포트에서만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흐르기 때문에, 동일한 버너 입력 속도에서 버너 포트에서의 속도가 한층 빨라진다. 이와 같이 버너 포트에서의 속도가 한층 빨라짐으로써 더욱 안정된 불꽃이 생성되며, 따라서 전체 부하 조정 범위가 향상된다.
버너(10)의 작동의 구체적인 하나의 예를 들자면, 제1 분사 오리피스(28)는 4 인치의 수주(水柱)의 최대 압력에서 9,600 BTU/hr 의 버너 입력 속도를 그리고 0.0625 인치의 수주의 최소 압력에서 1,200 BTU/hr 의 입력 속도를 발생시키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또한, 제2 분사 오리피스(32)는 그 최대 압력에서 발생시키는 입력 속도가 제1 분사 오리피스(28)가 제1 단의 최소 압력에서 발생시키는 입력 속도와 동일해지도록 크기가 정해진다(즉, 제2 분사 오리피스는 제1 분사 오리피스(28)의 약 ⅛ 의 단면적을 가진다). 이 경우, 제2오리피스는 최대 압력에서 1,200 BTU/hr 의 입력 속도를 그리고 최소 압력에서 약 150 BTU/hr 의 입력 속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버너(10)의 전체 작동 범위는 대략 150 내지 9,600 BTU/hr 이 된다. 이러한 수치는 단지 버너(10)의 개선된 부하 조정 범위를 증명하기 위해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대기 가스 버너(110)를 도시한 것이다. 이 가스 버너(110)는 레인지 또는 쿡탑과 같은 가스 조리 기구의 가장 위쪽 부분을 형성하는 지지면(112)에 부착된다, 가스 버너(110)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버너 본체(114)를 구비하며, 이 버너 본체는 중공의 내부를 획정하고 있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측벽(116)과, 바닥부(118), 그리고 상면부(120)를 구비한다. 복수 개의 버너 포트(122)가 상면부(120) 또는 그 부근의 측벽(116)에 형성되고, 통상적으로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지만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벤츄리관과 같은 혼합관(124)은 버너 본체(114)의 외부에 배치된 입구를 구비하며, 바닥부(118)의 개구에 접속되어, 버너 본체(114)의 내부에 대하여 입구관을 구성하고 있다. 주 연료 노즐, 즉 제1 연료 노즐(126)은 혼합관(124)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혼합관(124)의 입구와 정렬되는 제1 분사 오리피스(128)를 구비하여, 이 제1분사 오리피스(128)로부터 배출된 연료가 혼합관(124) 내로 흐르도록 되어 있다. 제2분사 오리피스(132)를 구비한 심머 연료 노즐, 즉 제2 연료 노즐(130)은 버너 본체(114)의 바닥부(118)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하며, 제2 분사 오리피스(132)가 버너 본체(14)의 내부에 상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분사 오리피스(132)는 제1분사 오리피스(128)의 단면적보다 상당히 작은 단면적을 가진다.
내부 배플(134)은 버너 본체(114)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 배플(134)은 버너 본체 내부의 상부에 위치한 바람직하게는 그릇형의 컵 부분(136)을 포함한다. 컵 부분(136)은 그 외측 연부(137)가 버너 본체(114)의 내면에 접촉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위치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컵 부분(136)은 버너 본체(114)의 내부를 컵 부분(136)의 아래의 제1 챔버(138)와, 컵 부분(136)의 위의 제2 챔버(140)로 분할한다. 입구관(142)은 컵 부분(136)의 바닥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입구관(142)이 제2 연료 노즐(130) 가까이 연장하여, 제2 분사 오리피스(132)가 입구관(142)과 정렬되도록 되어 있다.
배플(134)은 컵 부분(136)의 외측 연부(137)가 버너 포트(122)와 정렬되도록 위치 결정되며, 이에 따라 각 포트(122)를 상부와 하부로 분할한다. 각 포트(122)의 상부는 포트 전체의 약 1/6 ∼ 1/4 을 이룬다. 포트(122)의 하부는 제1 챔버(138)와 직접 유체 연통하며, 상부는 제2 챔버(140)와 직접 유체 연통한다. 또한, 상부는 제1 챔버(138) 내의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의 일부가 입구관(142)을 경유하여 제2 챔버(140) 내로 들어가므로, 제1 챔버(138)와도 유체 연통한다. 그러나, 제2 분사 오리피스(132)로부터 제2 챔버(140) 내로 분사되는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은 작동 중에 제1 챔버(138) 내로 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하부는 제2 챔버(140)로부터 격리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부는 제1 챔버(138)와 유체 연통하지만 제2 챔버(140)로부터는 격리되어 있으며, 상부는 제1 챔버(138) 및 제2 챔버(140) 모두와 유체 연통한다.
제1 연료 노즐(126)과 제2 연료 노즐(130) 모두는 가스 공급원(146)으로부터 2개의 제1 연료 노즐(126)과 제2 연료 노즐(130)까지의 가스의 흐름을 조정하는 2단 밸브(148)를 통해 가스 공급원(146)에 연결된다. 밸브(148)는 제1 실시예에서 전술한 밸브와 동일하다. 정상 작동에서는, 밸브(148)는 제1 단으로 조정되어 연료가 제1 연료 노즐(126)로 안내된다. 연료는 제1 분사 오리피스(128)로부터 배출되고 연소용의 공기를 동반하여 혼합관(124)으로 들어간다.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은 제1 챔버(138) 내로 흐르고, 혼합물의 대부분은 연소를 위해 포트(122)의 하부를 통해 배출된다. 나머지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은 내부 배플(134)의 입구관(142)을통해 제2 챔버(140) 내로 흘러, 연소를 위해 포트(122)의 상부를 통과한다. 배플(134)을 통과하는 혼합물에 대해 유동 저항이 약간 증가되긴 하지만, 본 발명의 버너(110)의 정상 작동은 종래의 버너의 작동과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다.
심머 작동 또는 부하 조정 범위가 넓은 작동을 위해, 밸브(148)는 제2 단으로 조정되어, 연료가 제2 연료 노즐(130)로 안내된다. 그 후, 공기와 연료의 혼합물이 입구관(142)으로 안내되어, 제2 챔버(140)로 안내된다. 제2 챔버로부터의 연료와 공기의 혼할물은 연소를 위해 상부를 통해 배출된다. 포트 전체 대신에 각 포트의 상부에서만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흐르므로, 동일한 버너 입력 속도에 대하여 한충 빠른 포트 속도가 유지된다. 이 한층 빠른 포트 속도에 의해 한층 안정된 불꽃이 생성되어, 전체 부하 조정 범위가 개선된다.
이상, 부하 조정 범위를 개선하기 위한 전용 심머 버너 구조를 갖춘 가스 버너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각종 변형을 행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는 분명해질 것이다.

Claims (20)

  1. 내부가 제1 챔버와 제2 챔버로 분할되어 있는 버너 본체와:
    상기 제1 챔버와 유체 연통하며 상기 버너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포트 세트와:
    상기 제2 챔버와 유체 연통하며 상기 버너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포트 세트; 그리고
    제1 작동 모드 중에 상기 제1 챔버 및 제2 챔버 모두에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을 공급하여 상기 제1포트 세트 및 제2포트 세트 모두로부터 방출되도록 하며, 제2 작동 모드 중에 단지 제2 챔버로만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을 공급하여 상기 제2포트 세트로부터만 방출되도록 하는 공급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2. 제1항에 있어서, 배플이 상기 버너 본체에 마련되어 제1 포트 세트와 제2 포트 세트를 획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제2 챔버와 제2포트 세트의 개개의 포트 사이에 유체 연통하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포트 세트는 제1 포트 세트보다 개수가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 세트는 20개 이상의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포트 세트는 4개의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본체는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배플은 이들 개구를 각각 상부와 하부로 분할하도록 개구와 정렬되어 있는 외측 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는 제1 포트 세트를 획정하고 상기 상부는 제2 포트 세트를 획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수단은 상기 배플로부터 상기 제2 챔버와 유체연통하는 제1 챔버 내로 연장하는 입구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8. 제7항에 있어서, 연료를 상기 제1 챔버 내로 분사하도록 구성된 제1 오리피스를 구비한 제1 연료 노즐과, 연료를 입구관을 통해 상기 제2 챔버 내로 분사하도록 구성된 제2 오리피스를 구비한 제2 연료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오리피스의 단면적이 상기 제1 오리피스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9. 버너 본체와:
    이 버너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포트와;
    버너 본체 내에 배치되어 있는 배플로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입구관과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채널을 구비한 컵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은 각기 복수 개의 포트 중 1개의 포트와 정렬되어 있는 그러한 배플과;
    상기 버너 본체에 형성된 혼합관과;
    이 혼합관과 정렬되는 제1 연료 분사 오리피스: 그리고
    상기 입구관과 정렬되는 제2 연료 분사 오리피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본체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컵 부분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포트는 24개 이상의 포트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상기 채널은 4개의 채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관은 벤츄리관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료 분사 오리피스는 단면적이 상기 제1 연료 분사 오리피스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료 분사 오리피스는 상기 제1 연료 분사 오리피스가 최소 유효 압력에서 제공하는 입력 속도와 동일한 입력 속도를 최대 유효 압력에서 제공하도록 크기가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16. 버너 본체와;
    이 버너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포트와:
    버너 본체 내에 배치된 배플로서, 상기 각 포트를 상부와 하부로 분할하도록 포트와 정렬되는 외측 연부를 갖춘 컵 부분, 그리고 이 컵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입구관을 구비한 그러한 배플과;
    버너 본체에 형성되는 혼합관과:
    이 혼합관과 정렬되는 제1 연료 분사 오리피스; 그리고
    상기 입구관과 정렬되는 제2 연료 분사 오리피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 포트의 상부는 포트 전체 면적의 약 1/6 내지 1/4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관은 벤츄리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료 분사 오리피스의 단면적은 상기 제1 분사 오리피스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료 분사 오리피스는 상기 제1 연료 분사 오리피스가 최소 유효 압력에서 제공하는 입력 속도와 동일한 입력 속도를 최대 유효 압력에서 제공하도록 크기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KR1019960702095A 1994-09-30 1995-09-19 부하조정범위가넓은공기가스버너 KR1003675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315,803 US5488942A (en) 1994-09-30 1994-09-30 Atmospheric gas burner having extended turndown
US08/315,803 1994-09-30
US08/315803 1994-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6048A KR960706048A (ko) 1996-11-08
KR100367511B1 true KR100367511B1 (ko) 2003-02-26

Family

ID=2322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095A KR100367511B1 (ko) 1994-09-30 1995-09-19 부하조정범위가넓은공기가스버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488942A (ko)
EP (1) EP0731896B1 (ko)
JP (1) JP3789935B2 (ko)
KR (1) KR100367511B1 (ko)
BR (1) BR9506394A (ko)
DE (1) DE69515462T2 (ko)
MX (1) MX9602043A (ko)
WO (1) WO19960107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0159A (en) * 1996-12-26 1998-09-01 General Electric Company Atmospheric gas burner assembly for improved flame stability
US5899681A (en) * 1997-12-05 1999-05-04 General Electric Company Atmospheric gas burner assembly for improved flame retention and stability
US7426838B1 (en) 1999-10-08 2008-09-23 General Electric Company Icemaker assembly
US6371754B1 (en) 2000-01-04 2002-04-16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stabilizing channel for increased turn down of gas burners
US6439881B2 (en) 2000-03-28 2002-08-27 General Electric Company Spiral-shaped atmospheric gas burner
US6315552B1 (en) 2000-03-31 2001-11-13 General Electric Company Dual fuel circuit gas burner
IT1315325B1 (it) * 2000-04-28 2003-02-10 Paolo Moresco Bruciatore a gas per piano di cottura
US6322354B1 (en) 2000-07-17 2001-11-27 Wolf Appliance Company, Llc Stacked dual gas burner
DE10144472A1 (de) * 2001-09-10 2003-03-27 Gaswaerme Inst E V Atmosphärischer Brenner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WO2005100856A1 (en) * 2004-04-06 2005-10-27 Tiax Llc Burner apparatus
US7291009B2 (en) * 2004-09-08 2007-11-06 General Electric Company Dual stacked gas burner and a venturi for improving burner operation
US8302593B2 (en) * 2005-12-30 2012-11-06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burner assembly including inner and outer burner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same
US8171927B2 (en) * 2007-09-27 2012-05-0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Burner cap flame stabilization chamber
ITVE20070096A1 (it) * 2007-12-11 2009-06-12 Defendi Italy Srl Bruciatore a gas per apparecchi di cottura.-
US7841332B2 (en) 2008-02-14 2010-11-30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Burner with flame stability
US8286594B2 (en) 2008-10-16 2012-10-16 Lochinvar, Llc Gas fired modulating water heating appliance with dual combustion air premix blowers
US8517720B2 (en) * 2008-10-16 2013-08-27 Lochinvar, Llc Integrated dual chamber burner
US8899972B2 (en) * 2009-12-14 2014-12-0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Burner designed for wide range of input rates
US9097436B1 (en) * 2010-12-27 2015-08-04 Lochinvar, Llc Integrated dual chamber burner with remote communicating flame strip
EP2710249A1 (en) * 2011-05-18 2014-03-26 Emer S.p.a. Injection rail
ITMI20111738A1 (it) * 2011-09-27 2013-03-28 Smeg Spa Bruciatore per un piano di cottura a gas e piano di cottura a gas incorporante tale bruciatore
US20130255663A1 (en) * 2012-04-02 2013-10-03 Paul Bryan Cadima Hybrid gas surface burner
CN103375799A (zh) * 2012-04-13 2013-10-30 广州市红日燃具有限公司 一种红外线燃气燃烧器
US9464805B2 (en) 2013-01-16 2016-10-11 Lochinvar, Llc Modulating burner
CN103672903A (zh) * 2013-12-06 2014-03-26 李剑波 燃气灶预热式节能发火器
ES2648697B1 (es) * 2016-07-04 2018-10-22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Quemador de gas y aparato de cocción doméstico
US10753617B2 (en) * 2017-08-16 2020-08-2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ooktop appliance with a gas burner assembly
US10816195B2 (en) * 2018-05-14 2020-10-2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Gas burner with silent cycling featur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6780C (de) * 1920-06-15 1923-01-11 Franz Ungemach Gas-Doppelsparbrenner fuer Gaskocher
GB344648A (en) * 1929-12-04 1931-03-12 Hermann Guh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gas burners
GB651361A (en) * 1947-09-06 1951-03-14 Victor Lagneau Gas burners
US3161191A (en) * 1962-01-11 1964-12-15 Whirlpool Co Range top
US3592180A (en) * 1969-05-05 1971-07-13 Inst Gas Technology Gas burner device
DE3039982A1 (de) * 1980-10-23 1982-05-27 Ruhrgas Ag, 4300 Essen Kochstelle fuer gasherde
US4626196A (en) * 1985-09-23 1986-12-02 Harper-Wyman Company Spark ignited gas burner
FR2598486B1 (fr) * 1986-05-12 1988-08-12 Sourdillon Airindex Sa Bruleur a gaz de type plat, notamment pour appareil menager, agence pour etre premuni contre les effets de fluctuation de la pression de l'air primaire
DE3912124C1 (ko) * 1989-04-13 1990-07-12 Schott Glaswerke, 6500 Mainz, De
FR2659724B1 (fr) * 1990-03-15 1992-07-17 Sourdillon Sa Bruleur a gaz, notamment pour appareil menager, agence pour etre premuni contre les effets de fluctuations importantes de la pression de l'air primaire.
US5186158A (en) * 1990-08-23 1993-02-16 Lincoln Brass Works, Inc. Gas burner
US5133657A (en) * 1991-06-17 1992-07-28 Harmony Thermal Co. Inc. High turndown sheet metal atmospheric gas burner
DE4125308C2 (de) * 1991-07-31 2002-06-13 Isphording Germany Gmbh Gasbren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506394A (pt) 1997-09-16
JPH09505880A (ja) 1997-06-10
DE69515462T2 (de) 2000-11-02
EP0731896A1 (en) 1996-09-18
WO1996010717A1 (en) 1996-04-11
MX9602043A (es) 1998-01-31
JP3789935B2 (ja) 2006-06-28
US5488942A (en) 1996-02-06
DE69515462D1 (de) 2000-04-13
EP0731896B1 (en) 2000-03-08
KR960706048A (ko) 199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7511B1 (ko) 부하조정범위가넓은공기가스버너
US6315552B1 (en) Dual fuel circuit gas burner
MXPA96002043A (en) Atmospheric gas burner with minimomejor ignition
EP1838997B1 (en) Gas burner for cooking appliances
US5899681A (en) Atmospheric gas burner assembly for improved flame retention and stability
US6318993B1 (en) Plurality fingered burner
US7614877B2 (en) Device and method for a gas burner
US6325619B2 (en) Gas burner with multiple gas rings
EP1781989B1 (en) Gas burner with multiple flame rings
US70175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as ranges
US6035846A (en) Gas burner
RU2387923C2 (ru) Система газовой горелки для бытовых газовых плит и верхняя часть газовой плиты
AU681270B2 (en) Atmospheric gas burner having diffusion pilot for improved dynamic stability
EP1114966B1 (en) Gas burner with flame stabilizing channel for increased turn down
US20090165777A1 (en) Gas burner
US20200182474A1 (en) Gas burner
WO2003036168A1 (en) Gas burner with several flame sectors
WO1996006304A1 (en) A burner for gas cookers and hobs
US11774090B2 (en) Double-stacked gas burner
CN110848689A (zh) 一种上进风燃烧器
CN112747318B (zh) 一种用于燃气灶的燃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