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7363B1 -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7363B1
KR100367363B1 KR10-2000-0036542A KR20000036542A KR100367363B1 KR 100367363 B1 KR100367363 B1 KR 100367363B1 KR 20000036542 A KR20000036542 A KR 20000036542A KR 100367363 B1 KR100367363 B1 KR 100367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extract
antioxidants
antioxidant
suma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6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2096A (ko
Inventor
정형진
박재호
임종국
유정민
심영은
서경수
김충현
류문석
이건주
정규영
권기석
Original Assignee
정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형진 filed Critical 정형진
Priority to KR10-2000-0036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7363B1/ko
Publication of KR20020002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2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양의 촉진(promotion)의 자유산소(free oxygen)에 관여하는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 및 제조방법, 이들 항산화추출물의 숙취제거작용에 따른 용도에 관한 것으로, 옻나무(Rhus vernicifluaStokes)에서 항산화물질을 추출하고 정제하는 과정중 알러지 증상을 나타내는 알레르겐을 제거한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제조된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추출물의 숙취해소작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품은 제재학적으로 매우 안정하여 알러지를 발현시키지 않으면서 활성산소종들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키거나 생성을 억제시키면서 숙취제거효과가 뚜렷한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건강보조식품이다.

Description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Extracts containing antioxidants of Rhus verniciflua Stokes and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알레르겐이 제거된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 및 제조방법과 이의 숙취해소작용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옻나무과 (Anacardiaceae)에 속하는 옻나무(Rhus vernicifluaStokes)의 생체를 동결건조후 분쇄한 분말을 항산화물질 추출과정중 알러지를 일으키는 독성물질(우루시올 등)을 제거하여 조 항산화물질을 제조하고, 제조된 조 항산화물질에 활석, 석고, 백출, 감초, 대황, 당귀, 작약, 방풍, 황금등을 수침 엑스한 것과 유당과 옥수수전분을 혼합하여 특이적 체질의 알러지 발현물질을 제거하여 정제된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제거효과를 구명한 것이다.
일정수준의 라디칼(radical) 생성은 생체내 불가피한 대사산물로 존재하지만, 비정상적인 대사과정이나 물리, 화학적인 외부적 스트레스 자극에서 필연적으로 과산화수소와 같은 해로운 활성산소종들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활성산소종들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키거나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항산화물질(Antioxidants)이라 하는데, 이러한 활성산소종에 의한 세포괴사 및 관련 질병방지를 위한 항산화제(Nonenzymatic Antioxidant)들의 임상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기대했던 만큼의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내인성(Endogenous) 비효소적 항산화제들은 세포외(extracellular)와 세포내 (intracellular) 활성 산소종에 대한 주요 방어를 하고, 특히 글루타치온 (glutathione)은 자유기(free radical)의 스캐빈저(scavenger), 항산화효소인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glutathione peoxidase; GPX)의 기질로서 산화적 DNA의 직접적 리페어(repair)로서 항산화방어 기작으로 작용한다. 알파토코페롤(α-tocopherol), 베타-카로틴(β-carotene),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같은 외인성(exogenous) 항산화물질들은 지질의 과산화(peroxidation)에 의한 자유기 사슬(free radical chain) 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Lee, SK 1997, Evaluation of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y mediated by antioxidants and modulators of yumor promotion. Thesis; Yu BP 1994, Cellular defense against damage form reactive oxgen species. Biol. Rve. 74 : 139-162).
한편, 옻나무는 뿌리, 뿌리껍질 및 줄기껍질, 심재(心材), 수지(樹脂), 칠엽(漆葉), 종자 등도 약용으로 쓰고 있으며, 절상 치료, 소적(消積), 구충(驅蟲), 어혈제, 신경통, 관절염, 피부병, 결핵균억제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옻나무의 주성분으로는 건칠이란 생칠속의 우루시올(Urushiol)이 락케이즈(laccase)의 작용으로 공기중에서 산화되어 생성된 검은색의 수지(resin)이란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최근에는 옻나무에서 MU2 및 머틸 칼레이르라는 항암물질이 국내에서 추출되었는데, 이는 인체노화방지에 뛰어난 효과가 있고, 기존의 항암치료제보다 암세포 증식억제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지고 있다.
특히, 옻나무 수피에 상처를 내고 흘러나오는 수액을 채취한 칠액은 우루시올 (Urushiol), 고무질, 라케이즈(Laccase), 산화효소, 함질소물질 및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보도된 바 있다(松井悅造, 日刊工報新聞社(1963)). 우루시올은 칠액 중 약 70 %정도를 차지하는 주성분으로서, C15-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을 가지고 있는 3-치환된 카테콜(substituted catechol)들의 복합체이며, 주성분은 이중결합수가 3 개인 3-(8'Z, 11'E, 13'Z-펜타데카트리에닐(pentadecatrienyl)) 카테콜이다. 지금까지 C15측쇄(side-chain)에 이중결합수가 0,1,2 및 3개를 가지는 3-치환된 알킬카테콜(3-substituted alkylcatechol) 유도체로 13개 성분이 밝혀져 있고, 우루시올은 이들 단량체와 라케이즈(산화효소)에 의해 단량체 간에 자연중합된 형태인 폴리머(polymer)들로서 혼합되어 있다(Yamauchi, Y, Toshio Murakami and Ju Kumanotani, Separation of urushiol by HPLC on an 8 % octadecysilane chemically bonded silica gel colum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J. of chromatography 243:343-348(1981); Yamauchi, Y., R. Oshima and J. kumanotani, Configuration of the olefinc bounds in the heteroolefinic side lacquer urushiol. J. of chromatography 24:71-84(1982); Yumin Du, Ryuidhi Oshima and Hidehumi Iwatsuki, High resolution gas-liquid chromatography. J. of chromatography 295:179-186(1984)).
에탄올은 술의 주성분으로서 신체적, 정신적으로 인체에 미치는 효과가 매우 다양하며 광범위하여 그 대사과정과 독성발현특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섭취된 에탄올은 소화관을 통해 흡수되어 섭취 후 20 내지 120 분 사이에 최고 혈중 농도에 도달한다. 흡수된 에탄올은 간을 비롯한 모든 장기들에서 대사되는데 일부(약 10 %)는 호흡을 통하여 또는 소변 및 땀으로 배설된다. 간에서는 산화 반응을 통한 아세트알데하이드(acetealdehyde)로의 전환이 주된 대사가 된다. 이는 알코올탈수소효소(ADH), 마이크로좀 에탄올 산화계(microsomal ethanol-oxidizing system, MEOS) 및 카타레이즈(catalase) 등 3 가지의 반응효소계에 의해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 Ebihara 1311(1988)). 에탄올의 독성학적연구도 다양하게 이루어졌는데 그 독성은 신경학적 측면에서 관찰될 뿐만아니라 유전적으로도 영향을 끼친다는 보고가 있다(J. Caballeria, et al., 1021-1027(1986)).
현재, 에탄올의 독성을 경감시키거나 독성의 발현을 저해할 수 있는 많은 물질에 대한 연구와 실험이 있으며 최근에는 천연식품이나 한약재료로부터 추출한 성분을 함유한 많은 건강보조식품이 이와 관련되어 개발되고 있다(김정한 등, 갈화추출물이 Rat 혈중에탄올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농화학학회지, 549∼553(1995)).
종래에 옻나무를 이용한 추출방법에 의하여 항암물질 발견 또는 식품제조등에 관한 것은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옻나무의 알러지 발현 물질이 제거된 항산화물질 및 숙취해소물질 제조방법과 알러지 발현물질의 완전한 방지를 위한 추출방법은 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에서의 제품은, 상기 옻나무 이용시의 문제점인 알러지 발현성분인 페놀성수지(Phenolic resin)가 제거된 항산화 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을 주재료로하여 기타 액제 제재형의 제조를 위한 허용가능한 부형제, 보존제등의 담체를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산소종들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키거나 생성을 억제시키면서 건강증진작용을 그대로 가지고 알러지 발현성분이 없는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동시에 항산화 효과와 이를 이용하여 숙취해소를 행할 수 있는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옻나무추출물의 추출공정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알레르겐이 제거된 항산화물질의 분획별 항산화능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알레르겐이 제거된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의 GC 크로마토그램
도 4a, 4b, 4c는 본 발명의 알레르겐이 제거된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의 GC/MS 질량분석스펙트럼
도 5는 동정된 항산화물질의 구조식
도 6은 본 발명의 알레르겐이 제거된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
도 7은 알레르겐 감소 HPLC 크로마토그램
도 8은 본 발명의 알레르겐 감소에 따른 감소물질의 HPLC 분취분의 GC 크로마토그램
도 9a, 9b는 본 발명의 알레르겐 감소에 따른 감소물질의 HPLC분취분의GC/MS질량분석스펙트럼
본 발명은 옻나무(Rhus)추출물로부터 알러지 성분이 제거된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알러지성분이 제거된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숙취에 관한 용도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기술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경상북도 영양지방등에서 자생하는 옻나무((Rhus vernicifluaStokes)의 어린 가지와 줄기로부터 참기름 및 각종 식물약제를 첨가하여 추출, 분리하여 알레르겐 물질을 제거하고 각종 용매를 사용하여 그 추출물을 분리하여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추출물을 얻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알레르겐이 제거된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옻나무의 어린 가지와 줄기를 분쇄 후 동결건조하여 이를 에탄올로 추출여과하여 농축한 후, 증류수를 가하고 석유에테르로 분획하여 유기층과 수층을 분리한다음, 수층에 식물성기름(참기름)을 가하여 수층에 녹아있는 우루시올 (urushiol)등 페놀성 수지성분을 제거한후,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 (Ethylacetate)로 분획하고 유기층을 농축하여 조 항산화물질이 함유된 옻나무추출물을 얻는다. 필요시 이를 실리카겔(Silica gel)컬럼을 통과하여 활성이 높은 분획층을 농축후 LH 20 컬럼에 통과하고 이를 동결건조하여 알레르겐이 제거된 더욱 정제된 항산화 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먼저 옻나무(Rhus vernicifluaStokes)의 어린가지, 줄기등을 세절, 분쇄후 동결건조한 것을 분말화하여 70 % 에탄올에 25-30 ℃에서 12-24 시간 침출 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여액의 50 %정도 농축한다. 여기에 증류수를 가하고 석유 에테르로 분획을 실시하여 유기층과 수층을 분리한후, 수층에 녹아있는 우루시올등 페놀성수지(phenolic resin)을 제거코자 100 %식물성 참기름으로 3 회이상 추출한다. 수지성분이 제거된 수층에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다시 분획을 실시하여 항산화물질이 녹아있는 유기층을 얻어 농축한 후, 동결건조시킨다. 추가하여 동결건조된 항산화물질층을 에탄올에 녹인 후 정제코자 LH20이 충진된 컬럼 (column)에 넣어서 10 가지 분획층을 받아서 그중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은 3 번층을 항산화물질로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정제된 항산화물질속의 알레르겐을 제거하기 위하여, 위에서 얻은 옻나무(Rhus vernicifluaStokes)의 어린가지, 줄기등에서 얻은 수지성분이 제거된 옻나무추출물을 동결건조한 분말과 활석, 석고, 백출, 감초, 대황, 당귀, 작약, 방풍, 황금등을 수침엑스한 것을 1:80의 비율로 혼합하고 증류수를 첨가하여 3 시간 정도 끊이면 알레르겐이 게거되는데, 보다 상세히는 추출분리하여 동결건조된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의 동결건조분말 10 mg에 활석 1500 mg, 석고 1,000 mg, 백출 600 mg, 감초 600 mg, 대황 500 mg, 당귀 400 mg, 작약 400 mg, 방풍 500 mg, 황금 600 mg등을 수침 엑스한 800 mg을 혼합하여 1-3 시간 증류시키고 여과하여 여액을 감압농축시켜 알레르겐이 제거된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을 제조한다(도 1 참조).
이렇게하여 얻어진 페놀성수지 및 알레르겐이 제거된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의숙취제거작용을 확인하고자 마우스(mouse)에 투여하여 1 시간 뒤 알콜분해정도를 조사하였는바, 혈중알콜농도가 투여전보다 30-70 % 감소된 효과를 나타내었다(표 7 참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옻나무추출물은 부형제, 보존제등을 담체로 하여 액제, 정제, 캅셀제등 여러가지 제형으로 제제화가 가능하며, 숙취해소를 위한 건강보조식품으로 상품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옻나무(Rhus verniciflura Stokes) 대신에 근연식물인 개옻나무(R.trichocarpa), 검양옻나무(R.succedanea), 산양검나무(R.sylvertris) 또는 붉나무(R.javanica Linne)등을 출발생약으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은 알러지를 발현시키지 않으면서 항산화능이 매우 높아 지금까지 항산화물질로서 호흡과정에서 필연적으로 과산화수소와 같은 해로운 활성산소종들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활성산소종들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키거나 생성을 억제시켜활성 산소종에 의한 세포괴사 및 관련 질병을 방지하면서 알러지를 일으키지 않는 항산화제로서 항산화능이 매우 높은 효과를 보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옻나무로부터 알레르겐 제거방법
성숙기에 접어든 3 년생 이상의 옻나무류인 옻나무(Rhus vernicifluaStokes)의 잎, 줄기 또는 어린가지를 각각 별도로 동결건조한 것을 분말화하여, 70 %의 에탄올에 25-30 ℃에서 24 시간 침출 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농축한후, 여액 450 ml내에 50 ml의 증류수를 가하고 에탄올(EtOH):물의 비율을 9:1로 조정하여 석유에테르로 분획을 실시하여 수층과 유기층을 분리한다음, 수층을 참기름으로 3 회 분획하여 참기름층을 버리고 수층을 모아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다시 분획을 하여 항산화물질이 녹아 있는 유기층을 얻어 농축 후 동결건조시킨다.
(사용량 및 수율)
옻나무(g) 에탄올(ℓ) 석유에테르(ℓ) 에틸아세테이트(ℓ) 추출물(g)
500 3 1 1 6.14*
* : 3회 평균수율임.
(실시예 2)
항산화능 검색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측정코자,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잎, 줄기 또는 어린가지를 각각 별도처리된 동결건조시킨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층의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추출물을, 큐베트 (Cuvette)내에 농도별로 시료(test sample)와 300 μM DPPH용액을 넣고 37 ℃에서 30 분간 반응시킨후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UV 측정시 반응액의 흡광도가 1.0이 되도록 DPPH 용액을 희석하여 보정하였다. 시료처리에 의한 억제율은 DMSO가 처리된 대조구와 비교하여 계산하였고, IC50값은 50 % DPPH free radicals를 제어시키는 시료농도로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옻나무는 어린 가지에서 얻은 동결건조물이 7 ㎍/㎖로 잎과 줄기에 비해 항산화능이 높게 나타났다.
(표 1)
옻나무종류 및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능에 대한 자가시험성적서
종류 및 부위별 IC50 a (㎍/㎖)
옻나무(Rhus vernicifluaStokes) 39
줄기 21
어린가지 7
aIC50: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한편, 옻나무의 전부위의 식물체를 실시예 1에 따라 에탄올추출액에서 석유에테르로 추출 분획 후 수용층을 식물성 기름인 100 % 참기름으로 3 회 추출하여 석유에테르로 추출시 남겨져 있는 알레르겐 물질을 제거하여 실시예 2에 따라 항산화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 결과는 표 2와 같으며, 100 % 참기름으로 추출시의 항산화능은 참기름 무처리시에 비하여 상대적 감소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2).
(표 2)
식물성 기름처리에 따른 알러지성분의 제거에 따른 항산화능의 자가시험성적서
참기름처리유무 IC50 a (㎍/㎖)
옻나무 (Whole plant)(Rhus vernicifluaStokes) 제거전 12.36
제거후 13.55
aIC50: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뿐만아니라, 옻나무속의 항산화성분을 조사하기 위하여 종간 DPPH free radical 분해활성에 큰 차이를 나타내는 줄기 부위의 추출물의 동결건조물을 Sephadex LH-20 column chromotography(100 % MeOH)으로 분획하여 각 분획 (fraction)별로 DPPH free radical 소거법을 이용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옻나무가 1.5로 매우 정제되어 활성이 높았다(도 2).
(실시예 3)
알레르겐이 제거된 항산화물질의 GC/MS에 의한 조사
옻나무추출물중의 알레르겐이 제거된 항산화 활성물질을 분석하기 위해 전처리된 시료를 Ultra 2(Crosslinked 5 % PH ME Siloxane) Capillary colum(Hewett Packard 0.33 ㎛ × 0.20 ㎜ × 25 m)이 장착된 GC(Hewlett Packard 6890) /MS (Hewlett Packard 5973)를 사용하였으며, 오븐(oven) 조건은 80 ℃에서 분당 5 ℃로 250 ℃까지 높이고, 250 ℃에서 5 분간 머무름시간을 준다.
옻나무, 붉나무, 개옻나무의 항산화능이 가장 높게 나타난 fraction을 GC/MS로 분석하여 10 가지 성분을 분리, 동정한 결과(표 3, 도 3), 특히 항산화물질( antioxidant)로 알려진 2-propenoic acid 유도체(Caffeic acid, 카페산), Benzoic acid 유도체(Gallic acid, 몰식자산), 7-hydroxy-6-methoxy-2H-1-Benzopyran-2-one (Scopoletin, 스코폴레틴) 등과 같은 phenol계 물질들이 동정되었다(도 4a, 4b, 4c 및 도 5).
(표 3)
옻나무종류별 항산화물질 비교에 대한 자가시험성적서
(Compound peak area/I.S.T.D peak area)
성 분 옻나무 개옻나무 붉나무
2,3-dihydro-benzofuran 49.16 6.08 12.80
4-vinyl-2-methoxy-phenol 963.12 59.84 166.72
Pyridine-4-carboxaldeyde, Phenol 8.00 2.06 52.8
1,2,3-Trihydroxybenzene 597.01 350.79 472.64
Phenol 82.26 55.68 16.00
Benzaldehyde 36.97 5.79 11.20
Methyl 3,5-dihydroxy-4-methoxybenzoate 91.02 15.18 37.76
2-propenoic acid 유도체 8.28 t* 6.40
Benzoic acid 유도체 68.68 48.27 64.40
Scopoletin t* t* 79.04
*t : trace
(실시예 4)
알레르겐이 제거된 항산화물질의 HPLC에 의한 조사
옻나무추출물중의 알레르겐이 제거된 항산화 활성물질 및 알레르겐제거 유무를 분석하기 위해 전처리된 시료를 Sep-pak(Waters, C18Cartridges)로 전처리하고,주사여과기(Syring filter, 0.45 ㎛)로 여과하였다. 여액을 가드칼럼(Nova Pak C18)과 분석용 칼럼(μBondapak C18, 3.9×300 ㎜)이 장착된 HPLC(Waters)으로 분리하였다. 분석조건은 이동상이 32 % 메탄올이고, 주입량은 10 ㎕이며, UV 254 nm에서 분석하였다.
본 발명의 알레르겐이 제거된 옻나무의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의 동결건조물을 고압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한 결과, 5 가지물질의 혼합물임을 확인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알레르겐이 제거된 옻나무 항산화물의 고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항산화물 제조시 참기름 처리시 물질 4는 LC/MS 및 GC/MS에 의하여 분자식이 담황색의 액상으로 분자량이 313-314인 펜타데카트리에닐카테콜(pentadecatrienyl catechol)화합물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물질의 함량이 매우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7, 8, 9a, 9b).
(실시예 5)
추출물로부터 항산화물질 제조 후 알레르겐 제거
먼저 항산화물질 제조를 위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옻나무(Rhus vernicifluaStokes)의 어린가지, 줄기등을 동결건조한 것을 분말화하여 에탄올에 25-30 ℃에서 24 시간 침출 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여액의 50 %정도 농축한다. 증류수를 가하고 석유에테르로 분획을 실시하여 수층과 유기층중 수층에 녹아있는 페놀성수지(phenolic resin)을 제거코자 100 %식물성 참기름으로 3 회이상 추출한다. 페놀성수지가 제거된 수층에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다시 분획을 하여 항산화물질이 녹아있는 유기층을 얻어 농축후 동결건조시킨다. 동결 조된 항산화물질층을 에탄올에 녹인후 정제코자 LH 20이 충진된 column에 넣어서 10 가지 분획층을 받아서 그중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은 3 번층을 항산화물질로 이용한다. 이렇게 얻은 항산화물질속의 알레르겐을 제거키 위하여, 추출분리하여 동결건조된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의 동결건조분말 10 mg에 활석 1500 mg, 석고 1,000 mg, 백출 600 mg, 감초 600 mg, 대황 500 mg, 당귀400 mg, 작약 400 mg, 방풍 500 mg, 황금 600 mg등을 수침엑스한 800 mg을 혼용하여 3 시간 증류시켜 여과농축, 건조하여 정제된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을 제조한다.
추출물로부터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의 건조물을 제조한 후, 상기약제첨가로 인한 알레르겐 제거 후 항산화능은 무처리시에 비하여 상대적 감소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
(표 4)
식물약제의 항산화물 처리시 알러지성분의 제거에 따른 항산화능의 자가시험성적서
종류 및 부위별 IC50 a (㎍/㎖)
옻나무 (Whole plant)(Rhus vernicifluaStokes)의 조 항산화물 제거전 12.36
제거후 12.54
aIC50: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HPLC에 의한 물질의 분리시 알레르겐 물질이 매우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옻나무 추출시의 알레르겐 제거
옻나무(Rhus vernicifluaStokes)의 어린가지, 줄기등을 동결건조한 것을 분말화하여 50 g을 활석, 석고 백출, 감초, 대황, 당귀, 작약, 방풍, 황금 등을 수침엑스한 800 mg과 혼합하여 혼합하여 3 시간 끊이면 알레르겐이 제거된다. 얻어진 옻나무추출물의 항산화 능을 조사하여 본 바, 무처리에 비하여 차이 없이 항산화능이 매우 높았다(표 5).
(표 5)
식물약제처리시 알러지성분의 제거에 따른 항산화능의 자가시험성적서
종류 및 부위별 IC50 a (㎍/㎖)
옻나무 (Whole plant)(Rhus vernicifluaStokes) 처리전 12.36
처리후 17.56.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HPLC에 의한 물질의 분리시 알레르겐 물질이 매우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항산화 물질과 mouse 체내의 알레르겐물질 변화
Sprague-Dawley 랫드(rat)각 처리구당 7 마리씩 음용수만 제공하고 24 시간 절식시킨 후, 처리별로 마리당 1 회에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정제된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을 포함한 비교시료물들 0.4 mg을 스테인레스 존대를 사용하여 강제로 위에 투여하였다. 8 일째에 심장으로부터 채혈된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하여 RADIM의 방법에 따라 의료법인 ○○의료재단에 분석을 의뢰한 결과, 표 6과 같았다.
(표 6)
항산화물질과 mouse 체내의 알러지 발현변화에 대한 자가시험성적서
처리별 Total I.G.E(IU/ml)
증류수처리 0.24
항산화물질 0.54
항산화물질+참기름처리 0.30
항산화물질+ 식물약제처리 0.34
항산화물질+참기름처리+식물약제처리 0.26
옻나무추출액+ 식물약제처리 0.27
옻나무추출액 0.84
무처리구에 비하여 항산화 기존물질 추출군은 약 2 배 이상 높은 IGE 값을 나타내었으나 분획과정중 참기름 처리시 및 항산화물질 추출후 식물 약제처방시는 무처리와 같은 값을 나타내어 알레르겐 성분을 제거할 수 있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옻나무추출원액에 약제처방시는 무처리와 비슷한 알레르겐 감소효과가 뚜렷하였다(표 6).
따라서, 항산화물질의 정제시는 1 차로 참기름으로 분획과정중에 처리하면 알레르겐 성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며 옻나무추출시에는 2 차 식물약제를 사용하면 알레르겐 성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 8)
알레르겐이 제거된 조항산화물의 숙취제거작용
Sprague-Dawley 랫드(rat) 각 처리구당 7 마리씩 음용수만 제공하고 24 시간 절식시킨 후, 마우스무게를 측정하여 30 g당 항산화제를 함유한 옻나무추출물 0.4mg을 강제로 위에 투여후 1시간 이후 25 % 알콜을 마우스당 강제로 240 ㎕ 강제로 위에 투여하였다. 또한 25 % 에탄올을 처리별로 마리당 30 g을 기준으로 240 ㎕에 조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 0.4 mg을 녹여서 스테인레스 존대를 사용하여 강제로 위에 투여하였다. 처리후 1 시간째에 심장으로부터 채혈된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하여 의료법인 ○○의료재단에 분석을 의뢰하여 RADIM의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옻나무로부터 알레르겐을 제거하여 알레르겐이 제거된 조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을 마우스(mouse)에 투여하여 1 시간 뒤 알콜을 투여하면 46.9-61.7 % 분해를 나타내었고, 조항산화물질과 알콜을 동시 투여시는 혈중알콜 농도가 약 38.0-73.5 % 혈중알콜농도가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는바, 숙취제거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표 7 참조).
또한 옻나무와 동일속인 붉나무와 개옻나무추출액을 마우스에 동일하게 처리시도 혈중알콜농도감소 효과가 38.6, 61.4 %로 각각 높아서 이들 역시 숙취제거효과가 탁월함을 알 수 있었다.
(표 7)
알레르겐 제거 조항산화물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 및 비교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mouse) 체내의 알콜분해의 자가시험성적서
처리별 처리별
항산화제 처리 1 시간후25 % 알콜투여 항산화제와 25 % 알콜동시투여
혈중알콜농도(%) 저해율(%) 혈중알콜농도(%) 저해율(%)
알콜만 처리 0.127 0 0.127 0
기존 항산화물질 0.044 64.9 0.045 63.9
항산화물질+참기름처리 0.067 46.9 0.078 38.0
항산화물질(기존)+ 식물약제처리 0.048 61.7 0.033 73.5
항산화물질+참기름처리+식물약제처리 0.060 52.2 0.048 61.6
옻나무추출액+식물약제처리 0.085 31.3 0.087 30.8
옻나무추출액 0.088 30.6 0.062 50.9
붉나무추출액 0.104 18.1 0.078 38.6
개옻나무추출액 0.091 28.4 0.049 61.4
본 발명에 따른 알레르겐이 제거된 옻나무의 항산화물은 알러지의 발현없이 항산화물질을 함유하는 옻나무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었고, 이를 함유한 숙취해소를 위한 치료 및 예방제로서 건강보조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특장점이 있다.

Claims (6)

  1. 우루시올(Urshiol)계 알레르겐 화합물은 제거되고, 항산화물질로 카페산(Caffeic acid), 몰식자산(Gallic acid) 및 스코폴레틴(Scopoletin)을 함유하는 옻나무추출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옻나무는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 개옻나무(R. trichocarpa), 검양옻나무(R. succedanea), 산검양옻나무(R. sylvertris) 또는 붉나무(R. javanica Linne) 중에서 선택된 옻나무의 어린가지, 잎 또는 줄기에서 추출된 옻나무추출물.
  4. 제3항에 있어서, 옻나무의 어린가지에서 추출된 옻나무 추출물.
  5. 옻나무의 어린가지, 잎 또는 줄기를 세절, 분쇄후 동결건조한 분말을 에탄올에 25∼30 ℃에서 12-24 시간 침출한후,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농축시키고, 여기에 증류수를 가하고 석유 에테르로 분획을 실시하여 유기층과 수층을 분리한후, 수층을 참기름으로 추출한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유기층을 얻고, 이를 농축하여 동결건조분말을 제조한 다음, 이 분말을 활석, 석고, 백출, 감초, 대황, 당귀, 작약, 방풍, 황금의 수침엑스에 1:80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다음 1-3 시간 증류시켜 여과한후, 여액을 감압, 농축함을 특징으로하는, 우루시올(Urshiol)계 알레르겐 화합물은 제거되고, 항산화물질로 카페산(Caffeic acid), 몰식자산(Gallic acid) 및 스코폴레틴(Scopoletin)을 함유하는 옻나무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6. 제1항의 우루시올(Urshiol)계 알레르겐 화합물은 제거되고, 항산화물질로 카페산(Caffeic acid), 몰식자산(Gallic acid) 및 스코폴레틴(Scopoletin)을 함유하는 옻나무추출물과 부형제, 보존제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작용을 갖는 건강보조식품.
KR10-2000-0036542A 2000-06-29 2000-06-29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67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6542A KR100367363B1 (ko) 2000-06-29 2000-06-29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6542A KR100367363B1 (ko) 2000-06-29 2000-06-29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096A KR20020002096A (ko) 2002-01-09
KR100367363B1 true KR100367363B1 (ko) 2003-01-10

Family

ID=19674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542A KR100367363B1 (ko) 2000-06-29 2000-06-29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73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289A (ko) * 2002-04-03 2003-10-10 최동식 숙취해소용 탄산음료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729747B1 (ko) * 2005-07-07 2007-06-20 이현순 독성이 제거된 옻액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옻액을 이용한옻닭엑기스
KR20140066904A (ko) * 2012-11-23 2014-06-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 소독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069B1 (ko) 2004-09-02 2006-04-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dma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송파 및 도플러 주파수오차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JP5114199B2 (ja) * 2004-09-09 2013-01-09 エージアィ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漆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有する薬剤組成物
FR2883003B1 (fr) * 2005-03-14 2008-04-11 Aldivia Sa Nouveaux antioxydants a base d'especes d'anacardiacees, plus particulierement de sclerocarya birrea, leurs procedes d'obtention et leurs applications
KR101009714B1 (ko) * 2008-08-08 2011-01-2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검양옻나무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538055B1 (ko) * 2015-01-13 2015-07-22 김용수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옻 추출물의 약침으로서의 용도
CN106075795B (zh) * 2016-06-28 2019-04-19 中国林业科学研究院林产化学工业研究所 一种生物法除去漆树漆酚过敏性的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289A (ko) * 2002-04-03 2003-10-10 최동식 숙취해소용 탄산음료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729747B1 (ko) * 2005-07-07 2007-06-20 이현순 독성이 제거된 옻액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옻액을 이용한옻닭엑기스
KR20140066904A (ko) * 2012-11-23 2014-06-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 소독용 조성물
KR101633264B1 (ko) 2012-11-23 2016-06-2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 소독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096A (ko) 200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92540A1 (en) Extracts and Methods Comprising Cinnamon Species
US6858235B2 (en) Antioxidant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US4986985A (en) Method of treating skin virus infections
CA2235565C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rhus verniciflua extract and anti-cancer composition containing same
EP2240193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s of lindera obtusiloba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KR100367363B1 (ko)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60133B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로부터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카테킨의 생산방법
Ikumawoyi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the hydro-ethanolic root extract of Zanthoxylum zanthoxyloides on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oxidative stress in cyclophosphamide treated rats
KR100556187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찔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Jagadeesan et al.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common wild greens from Tiruvallur District of Tamil Nadu, India
Ujowundu et al. Antioxidative Effect of Phenolic Extract of Vitex doniana Leaves on Alloxan-Induced Diabetic Stress and Histological Changes in the Pancreas of Wistar Rat: doi. org/10.26538/tjnpr/v6i2. 16
Kanmaz et al. Volatiles, phenolic compounds and bioactive properties of essential oil and aqueous extract of purple basil (Ocimum basilicum L.) and antidiabetic activit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Wistar rats
KR100585486B1 (ko) 복분자 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화합물을포함하는 항산화성 조성물
Elshibani et al. In-vitro and in-vivo anti-hyperglycemic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 of Arbutus pavarii Pampan and Sarcopoterium spinosum L. growing in Libya
Honcharenko et al. Oxidative stress biomarkers in the equine erythrocyte suspension after in vitro incubation with leaf extract obtained from Thymus serpyllum L. emend. Mill.(Lamiaceae)
Dare et al. Biochemical studies on the effects of polyphenols from fermented and unfermented acetone extracts of cocoa (Theobroma cacao L.) seeds on antioxidant enzymes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BR112021003857A2 (pt) extrato botânico para cuidados com a pele
Akhtar et al. Hypoglycemic Potential of Combined Methanolic Extract of Seeds of Nigella sativa (Black Cumin) and Cicer Arietinum (Chickpea)
Muhaisen et al. The effect of grape seed extract on lipid profile in diabetic mice
Mahran et al. Potential Effects of Curry (Murraya koenigii) and Walnut Leaves (Juglans regia) on Diabetic Rats Induced by Alloxan.
Atawodi et al. In vivo antioxidant effect of methanolic extract of Afzelia africana seed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acute and chronic oxidative injury in rats
KR100857691B1 (ko) 향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합병증의 억제용 조성물
KR100829596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오이 초본 추출물
Shrivastava et al. Research Article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Metabolite Profiling of Selected Medicinal Plants of Nepal
Ujowundu et al. Tropical Journal of Natural Product Resea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