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7122B1 - 자체안정화바닥을갖는병류와같은용기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체안정화바닥을갖는병류와같은용기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7122B1
KR100367122B1 KR1019970705477A KR19970705477A KR100367122B1 KR 100367122 B1 KR100367122 B1 KR 100367122B1 KR 1019970705477 A KR1019970705477 A KR 1019970705477A KR 19970705477 A KR19970705477 A KR 19970705477A KR 100367122 B1 KR100367122 B1 KR 100367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ness
container
preform
temperature
side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2082A (ko
Inventor
드주떼 뤽
푀이롤리 기이
우뜨르망 쟝-트리스땅
라 바르 뽈
Original Assignee
시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델 filed Critical 시델
Publication of KR19980702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65D1/0276Bottom construction having a continuous contact surface, e.g. Champagne-typ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18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several blow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09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 B29C49/6418Heating of preforms
    • B29C49/642Heating of preforms and shrinking of the pre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72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in several s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9/786Temperature
    • B29C2049/7864Temperature of the mould
    • B29C2049/78645Temperature of the mould characterised by temperature values or r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2Thermal shrin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Paper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Abstract

쌍 방향의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실질적인 형상 변형 없이 비교적가혹한 사용 환경을 견딜 수 있는 병 또는 그런 종류의 다른 것과 같은 용기로서, 상기 용기는, 샴페인병 바닥에서처럼 내향으로 돌출한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는 내향 곡형 베이스(2)가 형성되어 있고, 용기의 측벽(3)보다 실질적으로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2)는 외향 비볼록 중앙부(4)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자체 안정화 바닥을 갖는 병류와 같은 용기류 제조 방법
상기한 종류의 용기는 참증 FR-A-2,595,294에 기술되어 있다.
먼저, 반구 형상 또는 복합 형상중 어느 하나의 형상의, 외향 곡형 바닥을 구비하는 상기 종류의 용기류를 제조하는 방법은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바닥의 같은 형상은 용기를 지지 대상에 안정되게 얹혀 있을 수 있도록 컵을 추가로 필요로 하는 결점을 갖고 있다. 이 같은 추가 조작은 용기의 바닥을 기준으로 하여 컵을밀착하여 놓고 그 중심을 맞추어야 하는 추가 과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더욱이, 서로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두 개의 요소 때문에, 폐기 용기류를 구성하고 있는 재료들을 재활용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추가 컵이 제공되는 이 같은 용기류의 또 다른 결점은 재활용 용기류에 행해지는 세척 과정을 견딜 수 없다는 것이다. 베이스(base)와 용기의 바닥 사이의 접합(접착제에 의한)은 세제(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와의 접촉으로 악화된다. 그리고, 또한, 이 같은 접합은 투과성이 없기 때문에, 세척과 헹굼 액체가 베이스 내로 흘러들어 쉽게 제거될 수 없다.
이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예와 반대 방식으로 둥글게 휜, 내향으로 볼록한("샴페인텅 바닥"이라 불리는), 바닥을 제조하려고 했었다. 그러나, 물리적인 보강에 의하여 반대측(외향의) 볼록함으로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를 갖고, 사용할 때 용기가 견디어야 하는 응력들에 따라서 몸체의 측벽의 두께보다 실질적으로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샴페인병 바닥 제품은, 바닥의 안정성 손실을 방지하지 못했고, 세척시 사용되는 화학 세제의 작용에 의해 금이 가고, 특히, 온도의 영향에 의해 그 형상(내측으로 오므라드는)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쌍 축방향의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되고, 실질적인 변형이 없이 비교적 가혹한 사용환경을 견딜 수 있고, 그 측벽의 두께보다도 실질적으로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내향으로 볼록한 곡형 바닥("샴페인병 바닥")을 구비하는, 병, 플라스크 등과 같은 용기류의 개선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러한 용기류를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용기류는, 사용할 때, 예를 들면, 뜨거운 액체로 채우기 및/또는 용기 내에 담긴 액체의 저온 살균, 압축 액체로 채우기(예를 들면, 탄산 음료), 재활용 용기류의 경우 액체류 및/또는 세제에 의한 세척과 같은 비교적 가혹한 사용 환경에서 실질적인 변형이 없이 직면하여 견딜 수 있는 용기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 하부의 서로 다른 4개의 실시예들을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 제작의 바람직한 공정의 실행 과정동안에 마주치는 중간 용기들과 최종 용기의 예비 형성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를 제작하는 또 다른 공정의 실행과정 중의 예비 형성품 및 최종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본질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이고, 자체 안정화 바닥을 갖는 용기류의 제조에 대한 신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사용할 때 직면하게 되는 취급 방법들에 관계없이 안정된 형상의 용기를 제공하는 데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은 온도에서 세척될 수 있는 재활용 용기류에, 비록 절대적이지는 않지만, 특히 유리하게 적용된다.
결국, 서문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고,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a) 적어도 예비 형성품의 무정형체(無定形體)(amorphous body)를 열가소성 재료의 연화 온도와 적어도 동일한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b) 몰드의 대응 형상(corresponding shaping) 벽들이 약 10-180℃ 사이의 온도에서 유지되는 동안, 최종 용기 높이보다 15% 내지 30% 더 높은 높이를 갖고,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용기 몸체의 가로 치수보다 약 0-30% 큰 몸체의 가로 치수를 갖게 되며,
내측으로 둥글게 휘고 외향 볼록함이 없는 중앙부를 갖는 바닥을 갖게 되고, 상기 바닥은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용기의 바닥 형상을 실질적으로 가지고 있고,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용기의 바닥 직경보다 같거나 약간 큰 직경을 가지고, 또한 몰드의 대응 성형 벽들이 중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벽들보다 실질적으로 낮은 온도로 냉각되어, 그 온도가 약 2-20℃ 사이에 있고, 중앙부를 형성하도록 예정된 예비 몰드의 영역에서 열가소성 재료의 신장도가 1.8보다 적거나 기껏해야 동일하고 실질적인 드로잉(drawing)이 없거나 드로잉이 제한된 재료의 성장(development)에 대응하며,
예비 형성품의 가열 몸체를 중간 용기의 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성형하는 단계,
c) 다음으로, 몸체의 측벽은 약 160-230℃ 사이의 온도로 가열되고, 바닥은 약 60-120℃의 온도로 가열되어, 이 후, 목이 형성된 몸체를 구비하는 예비 형성품을 얻고, 최종 용기 바닥 형상 및 크기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바닥을 얻을 수 있도록,
적어도 중간 용기의 몸체를 가열하는 단계,
d) 다음, 마지막으로, 목이 형성된 예비 형성품의 몸체를, 바닥의 실질적인 드로잉 없이, 몸체의 측벽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다시 한 번 성형하는 단계.
외향 볼록함이 없는 중앙부의 존재는 샴페인병 바닥의 중앙에 쇄기돌(keystone)과 같은 것을 구성하고, 샴페인병 바닥의 초기 특성들을 잃지 않게 방지하여, 특히 향상된 안정성을 부여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닥이 공기 주입점을 포함하고 있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예비 형성품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중앙부는 외향 볼록부가 없는 기술적 사상이 공기 주입점을 제외하고 전체 중앙부에 적용될 수 있도록 외향으로 약간 둥글게 휜 공기 주입점을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최종 공기 주입 성형에 의한 바닥의 형상 및 크기는 목이 형성된 예비 형성품의 바닥의 형상 및 크기에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변형 예에서, 압력 보정은 최종 용기를 얻을 수 있도록 공기 주입 압력을 보상하기 위해서 예비 형성품의 바닥 아래에서 몰드에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앙부는 축방향의 안쪽으로 방향이 바뀌어진 접시모양과 근접한 형상을 가지거나, 내향으로 볼록한 돔의 형태로서 둥글게 휘어 있다.
유리하게, 상기 중앙부는, 바닥의 주변 영역으로부터 용기의 내측으로 적어도 1mm 정도 돌출되어 있고, 또한 유리하게, 바닥의 다른 부위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중앙부는 대략 둥글고, 중앙부의 가로 치수가 바닥의 가로 치수의 약 10-40%, 바람직하게는 30%로 나타내도록 만들어질 수 있으며, 바닥의 증가된 두께는 바람직하게 얇은 측벽 두께의 약 3배 내지 8배와 동일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체 바닥은 각을 이룬 선 및 반대 곡형이 없이(상술된 선택적 공기 주입점을 제외하고) 연속 곡형을 나타내고 연속 아치를 형성한다.
이 같은 방식으로 설계된 중앙부는 샴페인병 바닥의 중앙부를 유지하고, 중앙부가 온도 및/또는 압력의 영향에 기인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샴페인병 바닥의 하부 및 환형 링을 최적으로 고착함으로써 용기가 지지부상에 놓이기 때문에, 바닥에 근접하는 측벽의 하부가 측벽의 다른 부위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고, 샴페인 바닥 높이를 초과하지 않는 상기 더 두꺼운 하부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유리하게 준비할 수 있고, 이 같은 측벽의 더 두꺼운 하부는 바닥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베이스로부터 측벽의 공칭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는 상부로 연속적으로 일정하게 감소하는 변이 두께를 바람직하게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는 예들에 의해 주어진 어떤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상세한 설명을 읽어봄으로써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세한 설명 내에 있는 도면번호는 첨부된 도면에 기재되어 있다.
이하,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자.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대해 언급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병, 플라스크 또는 그런 종류의 다른 것과 같은 용기는 일반적으로 쌍 축방향의 열가소성 재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또는 PET-PEN 코폴리에스테르(Copolyesters), 합금 또는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는 상대적으로 가혹한 사용 환경에서, 예를 들면 열적 견지에서(예를 들어, 뜨거운 액체를 용기에 채우기, 채운 후 그 내용물을 저온 살균 처리, 고온 세척) 또는 화학적 견지에서(예를 들어, 접촉에 의한 제품의 잡식성, 특히 수산화나트륨을 기초로 한 용액을 사용하여 재활용 용기류를 세척하는 경우) 또는 기계적인 견지에서, 실질적인 변형 없이 견딜 수 있도록 제조된다. 특히,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내향으로 볼록한 곡형 바닥(2)("샴페인병 바닥"이라 불리는)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1)이고, 상기 바닥은 용기의 몸체(이후 용기의 중간부로서 불리게 될)를 한정하고 있는 측벽(3)의 두께보다 실질적으로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진다.
바닥(2)은 외향 볼록부가 없고, 공기 주입점이 있을 경우(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그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중앙부(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부는 축방향의 안쪽으로 방향이 바뀌어진 접시모양(4a)(도 1)과 근접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내향으로 볼록한 돔(4b)(도 2)의 형태로서 선택적으로 둥글게 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앙부(4)는 바닥의 주변 영역으로부터 용기의 내측으로 적어도 1mm 정도 돌출되어 있다(돌출부는 도 1 및 도 2에서 h로 표기되어 있다). 전형적인 예에서, 돌출부는 약 5mm정도이다. 중앙부(4)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바닥의 다른 부위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바닥의 두께(E)는 용기의 얇은 측벽 두께의 약 3-8배 가량 된다.
그 밖에, 중앙부(4)는 어떤 바람직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언급될 제조 공정의 실시와 관련하여, 거의 둥근 형상은 가장 단순한 제조 공정일것이다. 중앙부의 가로 치수(d)(둥근 형상의 경우에 있어서 그 지름)는 바닥 가로치수(D)의 약 10-40%이고, 바람직하게는 35%를 나타낸다.
더욱 단순한 형상의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바닥은 연속 곡형을 나타내고 있고, 각 선 및 반대 곡형이 없이(상술된 선택적 공기 주입점을 제외하고) 중앙부(4)를 일체화시키는 연속적인 돔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술된 샴페인병 바닥의 구조는 재활용 용기를 재 사용하는 경우를 포함하여용기가 접할 수 있는 가혹한 사용 환경 및 사용시간의 경과 시에도 바닥에, 특히 바닥의 중앙부에, 양호한 안정성 부여한다. 특히, 평면 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지지 형상부(5)를 얻기 위해서 그리고 지지부상에 놓이는 용기의 양호한 안정성을 얻기 위해서 측벽과 결합하는 주변 영역 내에서는 바닥의 안정성을 더 증가시킬 수 있도록 바닥에 인접하는 측벽(3)의 하부(6)가 측벽의 다른 부위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베이스(바닥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등한)로부터 측벽의 공칭 두께 치수로 여겨지는 상단부 쪽으로 두께 치수가 점차 줄어드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 같은 더 두꺼운 부분(6)의 높이는 돌출 중앙부(4)가 형성되어 있는 샴페인병 바닥 높이의 약 2배를 초과하지 않는다. 이러한 형태는 도 4에서의 예에서뿐만 아니라 돔(4b) 형태의 중앙부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 상기 용기를 제작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하자.
먼저, 적어도 예비 형성품(9)(도 5A 및 5B)의 무정형체(7)는 열가소성 재료의 연화 온도와 적어도 동일한 온도로 가열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 형성품(9)은 제조 공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용기의 더 두꺼운 바닥을 형성하도록 예정된 하부(10)(바닥과 주변부를 포함하는)의 두께보다 적어도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변형 예로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벽 두께를 갖고, 바닥 영역에서 가열 단계 및 적절한 형태로 성형하는 다음 단계를 실행함으로써 얻게되는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 용기를 포함하는 예비 형성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비 형성품의 몸체(7)를 가열하는 단계 이후에, 예비 형성품의 가열 몸체(7)는,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최종 용기와 비교하여 더 큰 사이즈를 갖는 중간 용기(12)(도 5C)의 몸체(11)를 형성하기 위해서, 특히 공기 주입 성형 또는 인장 공기 주입 성형(stretch-blow molding)에 의해 성형된다.
중간 용기(12)에 있어서, 몰드의 형성 벽이 10-180℃ 사이, 바람직하게는 약 60℃에서 유지되는 동안, 몸체(11)는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용기의 높이보다 약 15-30% 더 큰 높이를 가지게 되고, 최종 용기의 몸체의 가로 치수보다 약 0-30% 더 큰 가로 치수를 갖게 된다.
이 같은 제 1 성형 공정 동안, 바닥은 샴페인병 바닥의 형태로서 내측으로 둥글게 휘고, 선택적 공기 주입점을 제외하고는, 외향 볼록부가 없는 중앙부(14)가(즉,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아치형태로서 또는 돔의 형태로서, 또는 쟁반 모양의 형태로서) 형성된다. 중앙부(14)를 구비하고 있는 바닥(13)은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용기의 바닥 형상을 가지고,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용기의 바닥의 직경보다 약간 크거나(예를 들면, 약 0-4%) 동일한 직경을 갖는 반면에, 이 같은 바닥부를 형성하는 대응 성형 벽들은 앞에서 언급된 몸체(11)의 중간부를 형성하는 벽들의 온도보다 실질적으로 낮은 온도로 냉각된다. 여기에서, 그 온도는 약 2-20℃ 내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0℃이다. 바닥 전체를 형성하고자 하는 예비 형성품의 영역 내에서의 열가소성 재료의 전체 신장도는 1.8보다 작거나 기껏해야 동일하고, 드로잉이 제한되거나 실질적인 드로잉이 없는 재료의 성장에 대응한다. 목부분과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예정된 부분 사이에 높여 있는 예비 형성품의 중간부에 있어서, 종방향의 드로우 비율(draw ratio)은 3.2 이상 또는 3.2 이하이다.
제 1 성형 공정 후, 적어도 중간 용기의 몸체는 차별화된 가열에 의해 가열된다(선택적으로, 목부분은 또한 이 단계동안 열처리를 받는다). 몸체의 중간부는, 바람직하게 30-130초 사이를 지속하는 기간 동안, 약 160-230℃ 사이의 온도로 가열되는 반면에, 바닥은 중간부의 가열 시간과는 다른 10-130초 사이를 바람직하게 지속하는 기간 동안, 약 60-120℃의 온도, 바람직하게 75℃의 온도로 가열된다.
목이 형성되어 있고 변형된 몸체(16)를 갖는 예비 형성품(15)은, 바닥(17)이 이후에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용기의 모양 및 치수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단면상에서 약간 감소(예를 들면, 약 1% 정도에서 4%를 초과하지 않는)할 수 있는 바닥(17)을 얻게 된다(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직경 상의 가능 변이 크기의 차수는 0-1%이고, 깊이의 가능 변이 크기 치수는 0-2%이다).
이 같은 공정 동안에 얻게 되는 예비 형성품(15)은, 참증 FR-93/15920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용기의 길이보다 실질적으로 더 긴 길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후, 예비 형성품(15) 몸체의 중간부와 관련되어 있는 제 2 공기 주입 또는 압출 공기 주입 성형 공정은, 바닥(17)의 실질적인 드로잉 없이, 최종 용기(1)(도 5E)를 형성하기 위해 실행된다. 성형 공정 동안, 압력 보정은 바닥을 구성하는 재료이 너무 큰 힘을 받고 드로잉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공기 주입 압력을 보정하기 위해서 예비 형성품(15)의 바닥(17)의 아래에서 행해진다. 특히, 이 같은압력 보정은 공기 주입 압력이 예비 형성품 내로 가해질 때 상기 바닥에 즉시 그리고 매우 근접하여 있는 동안 예비 형성품(15)의 바닥 상에 축방향의 힘이 실질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형성된 바닥을 구비하고 있는 몰드을 제공함으로 써, 참증 FR-93/15920에서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달성될 수 있다.
성형 공정 동안, 몰드의 형성 벽의 온도는 몸체의 중간부(16)를 위하여 110-160℃ 사이이고, 바닥(17)을 위하여 20-130℃ 사이이다.
비록, 도 5A-5E를 참조하여 방금 기술했던 공정이 얻을 수 있는 용기의 유익한 장점들 때문에 바람직하게 보이지만, 하나의 공정으로서의 일반적인 공기 주입성형 또는 인장 공기 주입 성형 제조 공정을 사용함으로써 위에서 언급했던 샴페인 병 바닥을 구비하는 용기류를 얻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적어도 예비 형성품(9)의 무정형체(7)는 열가소성 재료의 연화 온도와 적어도 동일한 온도로 가열되고, 전술된 공정으로서, 예비 형성품(9)은 하부(10)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도 6A) 또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도 6B)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비 형성품의 몸체(7)를 가열하는 공정 후, 예비 형성품의 가열 몸체(7)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형성된 바닥을 구비하는 최종적인 용기(1)(도 6C)를 형성하기 위해서, 공기 주입 성형 또는 더 나은 인장 공기 주입 성형에 의해 성형된다.
그 자체의 알려진 의미로서, 가열 벽 성형 또는 냉각 벽 성형이 이용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그러한 공정에 대한 실시 조건들은(특히, 예비 형성품의 온도, 공기 주입 압력 및 성형 벽 온도)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Claims (20)

  1. 실질적인 변형이 없이 비교적 가혹한 사용 환경에서 견딜 수 있고, 용기의 벽(3)의 두께보다 실질적으로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 내향으로 볼록한 곡형 바닥(샴페인병 바닥)(2)을 구비하는, 쌍 축방향성을 나타내는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진 예비 성형품으로부터 병, 플라스크 등과 같은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적어도 예비 형성품(9)의 무정형체(7)를 열가소성 재료의 연화 온도에 적어도 동일한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와,
    b) 몰드의 대응 성형 벽들이 약 10-180℃ 사이의 온도에서 유지되는 동안, 최종 용기 높이보다 15-30% 더 큰 높이를 갖고,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용기 몸체의 가로 치수보다 약0-30% 큰 몸체의 가로 치수를 갖게 되며,
    내측으로 둥글게 휘고 외향 볼록함이 없는 중앙부(14)를 갖는 바닥(13)을 갖게 되고, 상기 바닥(13)은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용기의 바닥 형상을 실질적으로 가지고 있고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용기의 바닥 직경보다 같거나 약간 큰 직경을 가지고, 또한 몰드의 대응 성형 벽들이 중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벽들보다 실질적으로 낮은 온도로 냉각되어 그 온도가 약 2-20℃ 사이에 있고, 상기 중앙부를 형성하도록 예정된 예비 형성품의 영역에서 열가소성 재료의 신장도가 1.8보다 작거나 동일하고 실질적으로 드로잉이 없거나 드로잉이 제한된 재료의 성장에 대응하며,
    예비 형성품의 가열 몸체를 중간 용기(12)의 몸체(11)로 형성하기 위해서 성형하는 단계와,
    c) 다음으로, 중간 용기의 몸체의 측벽은 약 160-230℃ 사이의 온도로 가열되고 그 바닥은 약 60-120℃의 온도로 가열되어, 이 후에 목이 형성된 몸체(16)를 구비하는 예비 형성품(15)을 얻고,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용기 바닥 형상 및 크기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바닥(17)을 얻을 수 있도록,
    적어도 중간 용기의 몸체(11)를 가열하는 단계와,
    d) 그 다음, 마지막으로, 목이 형성된 예비 성형품(15)의 몸체를, 바닥의 드로잉이 없이, 몸체의 측벽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다시 한 번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의 목이 형성된 몸체의 예비 형성품(15)은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용기보다 실질적으로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형성된 중간 용기의 바닥 직경은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용기 직경의 0-15%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용기 몸체의 측벽은 상기 단계 c)에서 약 30-130초 사이를 지속하는 기간 동안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 용기의 바닥은 상기 단계 c)에서 약 10-130초 사이를 지속하는 기간 동안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 동안의 몰드의 온도는 몸체의 중간부를 위하여 약 110-160℃ 사이에 있고 바닥을 위하여 약 20-13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예비 형성품의 바닥 아래에서의 압력 보정은, 공기 주입 압력이 예비 형성품 내로 가해질 때 상기 예비 형성품의 바닥에 즉시 그리고 매우 근접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 몰드에, 목이 형성된 예비 형성품의 바닥에 실질적으로 축방향의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몰드 바닥을 제공함으로써 단계 d)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예비 형성품의 바닥 아래에서의 압력 보정은, 공기 주입 압력이 예비 형성품 내로 가해질 때 상기 예비 형성품의 바닥에 즉시 그리고 매우 근접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 몰드에, 목이 형성된 예비 형성품의 바닥에 실질적으로 축방향의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몰드 바닥을 제공함으로써 단계 d)에서 이루어지고, 몰드의 바닥은 이동 가능한 바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a) 동안에 사용되는 예비 형성품(9)은, 처리 후, 중간 용기의 더 두꺼운 바닥을 형성하도록 예정된 적어도 그 하부 부분(10)에서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a) 동안에 사용되는 예비 형성품(9)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고, 중간 용기 바닥의 더 두꺼운 두께는 성형 단계 b) 동안에 얻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바닥에 근접하는 측벽의 하부 부분은 측벽의 다른 부위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더 두꺼운 하부 부분의 높이는 샴페인병 바닥의 높이의 최대 2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부는 축방향의 안쪽으로 방향이 바뀌어진 접시모양(4a)과 근접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부는 내향 곡형 돔(4b)의 형태로서 둥글게 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부(4)는 바닥(2)의 주변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1mm 정도 돌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부는 바닥(2)의 다른 부위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부(4)의 가로 치수는 바닥(2)의 가로 치수의 약 10-40%, 바람직하게는 약35%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바닥은 연속적인 곡형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바닥(2)에 근접하는 측벽(3)의 하부는 측벽의 다른 부위의 두께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지고 있고, 상기 더 두꺼운 하부(6)의 높이는 샴페인병 바닥 높이의 2배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하부의 증가된 두께는, 바닥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베이스로부터 측벽의 공칭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는 상부로 연속적으로 그리고 일정하게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20. 제 1 항에 있어서,
    바닥(2)의 증가된 두께는 얇은 측벽(3) 두께의 약 3배 내지 8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970705477A 1995-02-09 1996-02-06 자체안정화바닥을갖는병류와같은용기류제조방법 KR1003671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5/01507 1995-02-09
FR9501507A FR2730471B1 (fr) 1995-02-09 1995-02-09 Recipient, tel que bouteille, a fond autostable et procedes pour sa fabr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082A KR19980702082A (ko) 1998-07-15
KR100367122B1 true KR100367122B1 (ko) 2003-07-23

Family

ID=9475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477A KR100367122B1 (ko) 1995-02-09 1996-02-06 자체안정화바닥을갖는병류와같은용기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153145A (ko)
EP (1) EP0808278B1 (ko)
JP (1) JP4043047B2 (ko)
KR (1) KR100367122B1 (ko)
CN (1) CN1058675C (ko)
AT (1) ATE171433T1 (ko)
AU (1) AU690011B2 (ko)
BR (1) BR9607513A (ko)
CA (1) CA2212926C (ko)
DE (1) DE69600693T2 (ko)
DK (1) DK0808278T3 (ko)
ES (1) ES2124084T3 (ko)
FR (1) FR2730471B1 (ko)
WO (1) WO19960245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0045B2 (ja) * 1997-02-17 2006-03-29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耐熱容器の成形方法
JP2000128140A (ja) 1998-10-20 2000-05-09 Aoki Technical Laboratory Inc ポリエステル樹脂による耐熱性包装用容器
ES2180437B1 (es) * 2001-06-06 2004-04-16 Jose Luis Gomez Cao Procedimiento de moldeado de una botella de plastico con fondo conformado y botella asi obtenida.
CN2570208Y (zh) * 2001-09-03 2003-09-03 珠海中富聚酯啤酒瓶有限公司 聚酯啤酒瓶
US6634517B2 (en) 2001-09-17 2003-10-21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Base for plastic container
US20030061014A1 (en) * 2001-09-17 2003-03-27 Cheng J. John Method of designing a champagne-type base for a plastic container
US20080251487A1 (en) * 2002-10-30 2008-10-16 Semersky Frank E Overmolded container having a foam layer
US20060060554A1 (en) * 2004-09-20 2006-03-23 Garman Thomas B Blow molded plastic aerosol container
EP1862393A1 (fr) * 2006-06-01 2007-12-05 Aisapack Holding SA Fond pour emballage en matière plastique
FR2910438B1 (fr) * 2006-12-21 2010-12-10 Evian Saeme Sa Bouteille en plastique a fond champagn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EP2065164A1 (fr) * 2007-11-27 2009-06-03 Aisapack Holding SA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emballage pour remplissage à chaud ainsi qu'un tel emballage
EP2586588B1 (en) * 2010-06-28 2016-09-14 Nissei Asb Machine Co., Ltd. Method for production of a heat resistant container
US20140302268A1 (en) * 2011-12-13 2014-10-09 Yoshida Industries Co., Ltd. Parison and container blow molding method using same
DE102013101332A1 (de) 2013-02-11 2014-08-14 Krones Ag Kunststoffbehältnis
FR3003793B1 (fr) 2013-03-27 2015-07-10 Sidel Participations Recipient a socle renforc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recipient
CN103332351A (zh) * 2013-06-14 2013-10-02 苏州汇涵医用科技发展有限公司 医用护创液瓶
MX2016000985A (es) * 2013-09-19 2016-05-16 Sidel Participations Maquina y metodo para procesar recipientes llenos que tienen un diafragma invertible.
JP6457191B2 (ja) * 2014-03-31 2019-01-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ボトルの製造方法
FR3020980B1 (fr) * 2014-05-19 2016-07-01 Mohammed Seiffeddine Bou-Mezrag Moule pour bouteille clipsable
JP6459609B2 (ja) * 2015-02-20 2019-01-30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真空二重容器
DE102015003514A1 (de) * 2015-03-20 2016-09-22 Khs Corpoplast Gmbh Behälter und Blasform
CN109648828B (zh) * 2018-12-28 2021-05-04 利宾来塑胶工业(昆山)有限公司 一种吹塑产品加强局部壁厚机构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28760A (ko) * 1962-02-24 1900-01-01
US3757718A (en) * 1966-12-13 1973-09-11 Shell Oil Co Method for forming hollow articles of work-stengthenable plastic materials
FR2429157A1 (fr) * 1978-06-21 1980-01-18 Carnaud Total Interplastic Nouveau fond de corps creux en matiere plastique et corps creux comportant un tel fond
US4465199A (en) * 1981-06-22 1984-08-14 Katashi Aoki Pressure resisting plastic bottle
FR2595294B1 (fr) * 1986-03-04 1988-07-08 Sidel Sa Procede et installation pour fabriquer des recipients, tels que des bouteilles, en polyethyleneterephtalate, resistant a des conditions thermiques relativement severes au cours de leur utilisation
US4892205A (en) * 1988-07-15 1990-01-09 Hoover Universal, Inc. Concentric ribbed preform and bottle made from same
GB8827898D0 (en) * 1988-11-30 1989-01-05 Hoechst Celanese Plastics Ltd Aerosol container base of plastics
US5352402A (en) * 1989-10-23 1994-10-04 Nissei Asb Machine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iaxially oriented, thermally stable, blown containers
DE69025451T2 (de) * 1989-10-23 1996-07-04 Nissei Asb Machine Co Lt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biaxial orientierten Behälter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derselben
US5047271A (en) * 1990-06-21 1991-09-10 Fmt Holdings, Inc. Apparatus and process relating to a preform and a container with geodesic reinforcement
JPH0813498B2 (ja) * 1992-02-29 1996-02-14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耐熱性容器の成形方法
US5281387A (en) * 1992-07-07 1994-01-25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Method of forming a container having a low crystallin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24084T3 (es) 1999-01-16
US6153145A (en) 2000-11-28
EP0808278A1 (fr) 1997-11-26
MX9705981A (es) 1997-11-29
DE69600693D1 (de) 1998-10-29
JP4043047B2 (ja) 2008-02-06
DE69600693T2 (de) 1999-05-06
AU4722596A (en) 1996-08-27
CA2212926A1 (fr) 1996-08-15
FR2730471B1 (fr) 1997-04-25
FR2730471A1 (fr) 1996-08-14
ATE171433T1 (de) 1998-10-15
CA2212926C (fr) 2005-04-26
CN1058675C (zh) 2000-11-22
BR9607513A (pt) 1997-12-30
KR19980702082A (ko) 1998-07-15
CN1177950A (zh) 1998-04-01
AU690011B2 (en) 1998-04-09
EP0808278B1 (fr) 1998-09-23
JPH10513411A (ja) 1998-12-22
DK0808278T3 (da) 1999-06-14
WO1996024525A1 (fr) 1996-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7122B1 (ko) 자체안정화바닥을갖는병류와같은용기류제조방법
JP2619688B2 (ja) ブロー成形用予備成形体及びそれを使用するブロー成形方法
JP4926249B2 (ja) 熱可塑性材料プリフォームの吹き込み成型または引き抜き吹き込み成型とその底からなる中空体
KR0166578B1 (ko) 모노베이스 용기용 프리폼
US6248413B1 (en) Thermoplastic-resin parisons and related manufacturing process
US4465199A (en) Pressure resisting plastic bottle
US5906285A (en) Plastic blow molded container
US5133468A (en) Footed hot-fill container
EP1232095B1 (en) Plastic container with horizontal annular ribs
JP2010500241A (ja) 熱可塑性材料によるプリフォームの吹き込み成型または吹き込み引き抜き成型により得られる中空体底ならびにこれからなる中空体
RU2295479C2 (ru) Выполненный в стенке пластмассового контейнера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а также пластмассовый контейнер и выдувная форма
SK283064B6 (sk) Plastová nádoba
IE904718A1 (en) Refillable polyester container and preform for forming the same
HU225712B1 (en) Pressurized refill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EP0244128A2 (en) Blow moulded containers
JPH0688315B2 (ja) 耐熱性中空容器のための一次ブロー成形品
JP3522370B2 (ja) 耐熱容器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金型
JP2010500242A (ja) プリフォームの吹き込み成型または引き抜き吹き込み成型により得られる中空体底
JPH085117B2 (ja) 耐圧性薄肉合成樹脂容器及びその成形方法
JP3727834B2 (ja) 耐熱性首曲がり容器の製造方法
JP4087181B2 (ja) 底部に内リブを備える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容器
MXPA97005981A (en) Procedure for the manufacture of containers, like bottles with self-based fund
KR200323510Y1 (ko) 내열 페트 용기의 프리폼
JPH09124025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H07112730A (ja) 耐熱性プラスチック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