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441B1 - 가스레인지용 버너부 구조 - Google Patents

가스레인지용 버너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441B1
KR100366441B1 KR1019990025502A KR19990025502A KR100366441B1 KR 100366441 B1 KR100366441 B1 KR 100366441B1 KR 1019990025502 A KR1019990025502 A KR 1019990025502A KR 19990025502 A KR19990025502 A KR 19990025502A KR 100366441 B1 KR100366441 B1 KR 100366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cleaning ring
gas range
burner head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4783A (ko
Inventor
예진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19990025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441B1/ko
Publication of KR20010004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4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4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레인지용 버너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구조는, 가스레인지의 상판(11)을 통하여 설치되는 버너헤드(10), 외측단부가 상기 상판에 올려진 상태로 내측단부가 상기 버너헤드의 상면까지 연장되고, 외주면 상부에 염공형성치형(22)이 성형된 청결링(20)과, 상기 청결링의 상부에 올려져서, 상기 청결링의 염공형성치형에 의하여 화염이 형성되는 염공(23)을 형성하는 버너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청결링(20)에는 점화플러그가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기 위한 플러그장착공(26)이 성형되고, 상기 플러그장착공의 직상부에는 점화안내돌기(28)가 청결링에 일체로 설치된다.

Description

가스레인지용 버너부 구조{Structure of burner portion for gas range}
본 발명은 가스레인지의 버너부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레인지의 상면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버너캡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버너부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먼저 일반적인 가스레인지의 버너 부분의 구조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레인지의 버너는 버너헤드(2)와 버너캡(4)으로 구성된다. 상기 버너캡(4)의 외주연 하면에는 염공을 형성하기 위한 치형(4a)이 성형되어 있고, 이러한 버너캡(4)을 버너헤드(2)의 상부에 올려놓는 것에 의하여, 화염이 형성되는 염공(7)(도 2 참조)이 완성된다.
그리고 버너헤드(2)의 일측면에는 점화를 위한 점화플러그(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점화플러그(6)가 설치되는 부분의 버너캡(4)의 하측에는 점화안내돌기(4b)가 정확하게 위치하여야 한다. 즉, 버너캡(4)이 상기 버너헤드(2)에 조립될 때 상기 점화안내돌기(4b)가, 점화플러그(6)가 위치하는 부분에 정확하게 조립되지 않으면 안정되고 확실한 점화를 수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조립시에는 이러한 상호 위치를 정확하게 조립하여야 한다.
그리고 실사용에 있어서, 상기 버너캡(4)은, 사용자가 들어올리는 것만으로도 버너헤드(2)에서 쉽게 분리되는데, 이렇게 분리한 이후 상기 버너캡(4)을 상술한 바와 같이 정확하게 조립하지 않으면 점화불량을 야기시키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지적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버너헤드(2)와 버너캡(4)으로 구성되는 버너는 가스레인지의 상면(1)의 상부로 약간 돌출한 상태로 설치된다. 즉, 버너헤드(2)는 상면(1)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 버너헤드(2)와 상면(1)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이러한 버너헤드(2)와 상면(1) 상면 사이의 갭을 통하여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청결링(6')을 상면(1)에 올려진 상태로 조립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청결링(6')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1)과 버너헤드(2) 사이의 틈새는 상당히 줄어들게 되어, 버너의 상부에서 가열되는 음식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상면(1)과 버너헤드(2) 사이에 침투하는 것을 많이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청결링(6')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상면(1)과 버너헤드(2) 사이의 틈새를 줄이고 있기는 하지만, 궁극적으로 틈새의 발생을 해소하지는 못하는 단점이 지적된다. 즉, 비록 청결링(6')을 사용하고는 있지만, 실질적으로 청결링(6')과 버너헤드(2)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새는 존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청결링(6')과 버너헤드(2)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조리시 끓어 넘치는 국물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틈새를 통하여 이물질이 침투하게 되면, 사용자는 반드시 청결링(6')을 제거하고 청소해 주지 않으면 안되는 단점이 제기된다. 따라서 가스레인지의 사용에 있어서, 가장 눈에 띄기 쉬운 상면이 청결을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음과 동시에 틈새를 통하여 침투한 이물질을 청소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이렇게 침투하는 이물질을 청소해 주지 않으면,버너와 관련된 주변 부분의 부식을 일으키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부식의 우려와 동시에, 상기와 같이 청결링(6')과 버너헤드(2) 사이의 틈새를 통한 가스의 누설도 우려되는 단점이 제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판과 버너헤드와의 사이에 틈새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없애는 것에 의하여, 청소 및 관리가 용이한 버너부분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너헤드 및 점화플러그에 대하여, 버너캡이 위치관계를 가지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버너캡의 조립이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는 버너부분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버너부분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버너부분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버너 부분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청결링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버너헤드 11 ..... 상판
12 ..... 버너캡 20 ..... 청결링
22 ..... 염공형성치형 23 ..... 염공
26 ..... 플러그장착공 28 ..... 점화안내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스레인지용 버너부 구조는, 가스레인지의 상판을 통하여 설치되는 버너헤드와; 상기 버너헤드의 가장자리 상면을 둘러 안착되는 것으로 외주연부가 상기 상판의 상부까지 연장되고 내주연 상면에 염공형성치형이 성형된 청결링과; 상기 청결링의 상부에 올려져서, 상기 청결링의 염공형성치형과 협력하여 화염이 형성되는 염공을 형성하는 버너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청결링에 의하여, 상판과 버너헤드 사이에 틈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물질이 가스레인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판의 청결성 유지를 위한 관리의 편리함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청결링에는 점화플러그가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기 위한 플러그장착공이 성형되고, 상기 플러그장착공의 직상부에는 점화안내돌기가 청결링에 설치된다. 따라서 점화안내돌기가 버너캡에 성형되던 종래의 것과는 달리, 청결링에 성형되기 때문에 점화안내돌기와 점화플러그의 상대 위치는 고정되어 있어서, 버너캡을 방향성 없이 조립하여도, 버너의 점화를 전혀 문제 없이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점화안내돌기는 청결링과 일체로 성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점화안내돌기와 청결링을 일체화하는 것에 의한 부품수의 감소는 물론 조립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버너부분의 구조를, 그리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청결링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버너헤드(10)와 버너캡(12) 사이에는 중심부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된 청결링(20)의 내측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청결링(20)은, 도 4를 같이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주연 상면에 염공을 형성하기 위한 염공형성치형(22)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청결링(20)의 염공형성치형(22)은, 실질적으로 상기 버너헤드(10)와 버너캡(12) 사이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청결링(20)은, 그 내주연 부분인 염공형성치형(22)이 버너캡(12)과 버너헤드(10) 사이에 삽입되는 것과 같이, 외주연부분(24)은, 가스레인지의 상판(11)에 올려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가스레인지의 상판(11)과 버너헤드(10) 사이에는 틈새의 발생이 전혀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캡(12)의 외주연 하측면에는 치형이 성형되어 있지 않고, 단순하게 외측을 향하여 상부로 경사진 경사면(12a)으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청결링(20)의 염공형성치형(22)이 성형된 내주연부분이 상기 버너헤드(10)의 상부에 올려지게 되고, 상기 청결링(20)의 상부에는 버너캡(12)이 설치된다. 이렇게 구성되면, 상기 청결링(20)의 염공형성치형(22)과, 버너캡(12)의 경사면(12a)이 서로 접촉하면서, 실질적으로 염공(23)을 형성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청결링(20)의 내주연부를 연장하여, 상기 버너헤드(10)과 버너캡(1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면서, 버너에서 염공(23)을 상기 버너캡(12)과 청결링(20)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청결링(20)의 외주연부(24)의 일측에는, 점화플러그(14)가 관통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는 플러그장착공(26)이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염공(23)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플러그(14)는, 상기 플러그장착공(26)을 통과한 상태로 설치된다. 물론 상기 플러그(14)는, 버너헤드(10)의 일측면에 연결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장착공(26)이 성형되어 있는 청결링(20)의 상부에는 점화안내돌기(28)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점화안내돌기(28)는,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점화플러그(14)가 상기 플러그장착공(26)에 장착된 상태에서, 점화플러그(14)의 직상부에 성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장착공(26)을 통하여 설치된 점화플러그(14)가 점화를 위하여 방전되면, 상기 점화안내돌기(28)에 의하여 방전불꽃이 비산하여, 상기 염공(23)을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를 점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점화안내돌기(28)는 반드시 청결링(20)과 일체로 성형될 필요는 없다. 별도로 만들어져서, 상기 청결링(20)에 조립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부품수를 고려하여 상기 점화안내돌기(28)는 청결링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사실이다.
여기서 상기 점화안내돌기(28)의 구성을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본다. 종래에는 점화안내돌기가 버너캡의 하측면에 설치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점화안내돌기(28)는 청결링(20)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버너캡의 조립위치가 바뀌게 되면 점화플러그와 점화안내돌기의 위치관계가 어긋나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청결링(20)의 외주연 일측에 플러그장착공(26)이 성형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장착공(26)의 직상부에 청결링(20)과 일체로 구성되는 점화안내돌기(28)를 성형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점화플러그(14)와 점화안내돌기(28)의 위치는 항상 결정되어 있어서 서로 어긋나게 설치될 우려가 전혀 없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버너캡(12)을 들었다가 다시 놓을 경우에도, 점화플러그(14) 및 점화안내돌기(28)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버너캡(12)의 위치선정을 잘못하여 점화불량을 야기시킬 우려가 전혀 없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청결링(20)의 내주연부를 연장하여, 버너캡(12)과 버너헤드(10) 사이에 삽입하도록 하고, 상기 청결링(20)과 버너캡(12) 사이에서 염공(23)이 성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사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하여 상기 청결링(20)에 플러그장착공(26)을 성형하고, 또한 상기 플러그장착공(26)의 직상부에 점화안내돌기(28)를 청결링(20)과 일체로 구현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청결링(20)은 내주연부가 버너헤드(10)와 버너캡(12)의 내부까지 연장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가스레인지의 상판(11)과 버너헤드(10) 사이에는 틈새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틈새를 통하여 이물질이 가스레인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스레인지의 상면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관리의 편리함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청결링에는 플러그장착공(26) 및 점화안내돌기(28)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점화플러그(14)와 점화안내돌기(28)는 항상 일정하게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은 종래의 버너캡에 점화안내돌기를 성형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버너캡(12)을 방향성 없이 조립할 수 있는 잇점이 생기게 된다. 즉, 종래에는 버너캡을 조립할 때 버너캡에 성형된 점화안내돌기의 위치와 점화플러그의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면서 조립하지 않으면 안되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점화안내돌기가 청결링에 성형되기 때문에, 버너캡과 점화플러그의 위치관계가 없어져서, 자유로운 조립이 가능하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잇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가스레인지의 상판을 통하여 설치되는 버너헤드와;
    상기 버너헤드의 가장자리 상면을 둘러 안착되는 것으로 외주연부가 상기 상판의 상부까지 연장되고 내주연 상면에 염공형성치형이 성형된 청결링과;
    상기 청결링의 상부에 올려져서, 상기 청결링의 염공형성치형과 협력하여 화염이 형성되는 염공을 형성하는 버너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용 버너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결링에는 점화플러그가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기 위한 플러그장착공이 성형되고, 상기 플러그장착공의 직상부에는 점화안내돌기가 청결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용 버너부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안내돌기는 청결링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용 버너부 구조.
KR1019990025502A 1999-06-29 1999-06-29 가스레인지용 버너부 구조 KR100366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502A KR100366441B1 (ko) 1999-06-29 1999-06-29 가스레인지용 버너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502A KR100366441B1 (ko) 1999-06-29 1999-06-29 가스레인지용 버너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783A KR20010004783A (ko) 2001-01-15
KR100366441B1 true KR100366441B1 (ko) 2002-12-31

Family

ID=1959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502A KR100366441B1 (ko) 1999-06-29 1999-06-29 가스레인지용 버너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4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71Y1 (ko) 2009-02-04 2011-02-15 지용택 조리용 가스버너의 착화 유도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059A (ko) * 2001-09-11 2003-03-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가스레인지용 버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71Y1 (ko) 2009-02-04 2011-02-15 지용택 조리용 가스버너의 착화 유도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783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505B1 (ko) 220v용 콘센트의 결합구조
KR100366441B1 (ko) 가스레인지용 버너부 구조
US4527539A (en) Gas hotplate
JP2008202874A (ja) コンロ用バーナ
JP5276080B2 (ja) ガスコンロ
KR20010001548U (ko) 가스레인지의 상면과 버너의 결합구조
KR200428072Y1 (ko) 휴대용 가스버너의 열차단장치
JP2011241995A (ja) コンロ用バーナ
JPS625529Y2 (ko)
KR100366440B1 (ko) 가스레인지의 청결링 장착구조
JP4601688B2 (ja) 五徳の位置決め構造
JPS6146326Y2 (ko)
JP3825238B2 (ja) 防水コネクタ
JPS6026335Y2 (ja) 調理器
EP1286118B1 (fr) Appareil de cuisson à gaz avec détrompage de positionnement de la tête de brûleur
JP2014163636A (ja) コンロ用バーナ
KR200257718Y1 (ko) 가스기기용 버너바디
KR0137500Y1 (ko) 가스 오븐렌지의 버너 및 노즐바디 결착 구조
KR20040076703A (ko) 가스레인지의 버너헤드캡 결합구조
KR100333602B1 (ko) 가스레인지의 이중버너
JP3914304B2 (ja) ガスコンロ用バーナ
KR100257612B1 (ko) 가스기구의 버너구조
JPH11264544A (ja) ガスコンロ用バーナへの付属部品の取り付け構造
JPH05661Y2 (ko)
RU2024100500A (ru) Упорная гильза с функцией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вращ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