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850B1 - 직물로부터스크린을분리시키는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직물로부터스크린을분리시키는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850B1
KR100365850B1 KR1019950036132A KR19950036132A KR100365850B1 KR 100365850 B1 KR100365850 B1 KR 100365850B1 KR 1019950036132 A KR1019950036132 A KR 1019950036132A KR 19950036132 A KR19950036132 A KR 19950036132A KR 100365850 B1 KR100365850 B1 KR 100365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queegee
fabric
screen frame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6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305A (ko
Inventor
이찌노세시로우
Original Assignee
토신 고교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신 고교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토신 고교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60037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8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0831Machines for printing webs
    • B41F15/0845Machines for printing webs with flat screens
    • B41F15/085Machines for printing webs with flat screens with a stationary screen and a moving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평스크린 직물 날염기에 의해 직물을 날염시에 스퀴지에 의해 물감 반죽을 스퀴지할 때, 스퀴징의 개시와 동시에 또는 개시보다 약간 후에 스퀴징의 개시쪽에서 스크린 프레임을 상승시킴으로서 스크린이 직물로 부터 분리되어 스퀴징이 실행된다.

Description

직물로부터 스크린을 분리시키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평스크린 직물 날염기상의 직물로부터 스크린을 분리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스크린 직물 날염기에 의해 직물을 날염할 때, 물감 반죽은 날염할 직물의 표면상으로 스퀴지(squeege)로 스크린을 통해 밀어진다. 이를 위해서, 스퀴지는 스퀴지의 전단부를 약간 구부러지도록 스크린에 힘을 가해야 한다.
스퀴징 후에, 스크린은 물감 반죽의 점성 때문에 직물의 표면상에 끈적끈적한 상태로 잔류한다. 결과적으로, 다음 스퀴징 전에 직물로부터 스크린을 벗겨내야 한다.
일반적으로, 스크린은 하기의 방법에 의해 직물로부터 분리되어 왔다.
스퀴징 후에, 스크린은 경사진 위치에서 그 상승에 의해 직물로부터 분리되는데, 특히 a) 스크린의 전단부 및 후단부를 시간 간격을 두고 조금씩 선택적으로 상승시키고, b) 스크린의 일 단부만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c) 스퀴징이 완료된 측의 스퀴지를 들어올린 후 스퀴징이 완료된 측의 스크린의 일 단부를 상승시키고, 시간 간격을 두고 다른 단부를 상승시킴으로서 분리된다.
경사진 위치로 스크린을 가져가 스크린을 상승시키는 이유는 스크린의 분리시에 물감 반죽의 점성에 의해 스크린이 튀겨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만일 스크린이 튀겨 올라가면, 스크린 메시(mesh)상의 나머지 물감 반죽은 직물의표면상에서 흩어질 것이다. 흩어진 물감 반죽으로 더럽혀진 날염된 직물은 결함이 있는 제품으로 취급된다.
종래의 방법에 따라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경사진 위치로 스크린을 서서히 상승시켜야 한다. 이 경우에, 날염 사이클의 작동 속도는 불가피하게 매우 낮아진다. 그러나, 현재의 스크린 분리는 결함 제품의 생산에도 불구하고 효율보다는 특정 속도에 주안점을 두고 실행해 왔다.
종래에, 스크린 프레임상에 인장된 상태로 펼쳐진 스크린 조립체, 스크린 프레임용 지지체, 스퀴지(들), 스퀴지 캐리어, 스퀴지 이동용 모터, 모터로부터의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전동 기구, 스퀴지의 이동용 안내 레일 등을 포함한 날염 유닛에 의해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날염 유닛은 상승 및 하강하기에 적합하다. 종래 기술의 날염 유닛은 비교적 무거우며, 구조가 복잡하다. 더우기, 날염 유닛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해 복잡한 구조의 큰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날염 사이클의 작동 속도를 저하시킴이 없이 소망의 결과를 얻기 위해 평스크린 직물 날염기의 작동시에 직물로부터 스크린을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린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작고 간단한 수단에 의해 스크린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것이다.
이들 및 다른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평스크린과, 스크린이 인장된 상태로 설치된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가능한 스크린 프레임과, 날염할 직물을 이송하기 위해 스크린 아래로 연장한 엔드리스 벨트와, 엔드리스 벨트의 개시 단부 또는 머리 부분이 그 둘레에 꿰어진 롤러와, 엔드리스 벨트의 후미 단부 또는 꼬리 부분이 그 둘레에 꿰어진 롤러를 구비하며; 롤러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는, 평스크린 직물 날염기상에서 직물로부터 스크린을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퀴지로 물감 반죽을 스퀴징하는 동안에, 스크린 프레임은 스퀴징의 개시와 동시에 또는 개시보다 약간 후에 스퀴징의 개시쪽에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을 직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들 및 다른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평스크린과, 스크린이 인장된 상태로 설치된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가능한 스크린 프레임과, 날염할 직물을 이송하기 위해 스크린 아래로 연장한 엔드리스 벨트와, 엔드리스 벨트의 개시 단부 또는 머리 부분이 그 위에 꿰어진 롤러와, 엔드리스 벨트의 후미 단부 또는 꼬리 부분이 그 위에 꿰어진 롤러를 구비하며; 롤러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는, 평스크린 직물 날염기상에서 직물로부터 스크린을 분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스크린 프레임은 스퀴지의 이동 방향에서 스크린 프레임의 전후 단부에서 수단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며, 스크린 프레임의 전후 단부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수단에 연결되어, 스크린 프레임의 단부는 스퀴지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분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 평스크린 직물 날염기이다.
평스크린 직물 날염기(1)는 이후에 설명하는 스크린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위한 수단을 제외하고 종래의 평스크린 직물 날염기와 구조가 동일하다. 스크린 직물 날염기(1)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전체적이고 개략적으로 도시했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염할 직물(7)을 이송하기 위한 엔드리스 벨트(4)를 구동시키는 롤러(2), 종동식 롤러(3), 엔드리스 벨트(4)를 간헐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5) 및 날염 테이블(6)이 도시되어 있다.
스크린 직물 날염기(1)는 스크린 직물 날염기 프레임(10)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된 날염 유닛(11)을 갖고 있다. 날염 유닛(11)은 제 3 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평면도).
날염 유닛(11)내의 스크린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수단(9)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상기 수단(9)의 구조는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되어 있다.
스크린(118b)이 스크린 프레임(118a)상에 인장된 상태로 설치된 조립체(118)는 스크린 프레임(118a)을 경유하여 벨트(4)의 폭방향으로 연장한 한쌍의 지지 바아(117)에 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지지 바아(117)는 벨트(4)와 평행한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4개의 브래킷(115)은 지지 바아(117)와 평행하게 연장한 스퀴지 안내 레일 (109)의 양 단부에 부착된다. 지지 바아(117)는 조인트로서 작용하는 수단(9)을 경유하여 브래킷(115)에 의해 그 양 단부에 지지된다.
상기 수단(9)은 상방 및 하방 가동 샤프트(901)와, 커넥터(902)에 의해 샤프트(901)에 연결된 공기 실린더와 같은 작동기(903)와, 작동기(903)의 플런저(904)에 링크연결된 수직 가동 부재(905)를 포함한다.
상기 수단(9)의 샤프트(901)는 브래킷(115)상의 수동으로 회전시켜 조정할 수 있는 나사(116)에 나사 결합된다. 샤프트(901)는 조정 나사(116)의 회전에 의해 상승되거나 하강되며, 이에 의해 조립체(118)는 지지 바아(117)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한다. 벨트(4)의 캐리어 부분과 이 캐리어 부분에 대향된 스크린(118b) 사이의 갭(s)은 조립체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샤프트(901)는 이를 관통한 수직 가동 부재(905)에 끼워 맞춰진다. 특히, 샤프트(901)는 소위 헐거운 끼워맞춤에 의해 부재(905)내에 형성된 구멍내에 끼워 맞춰진다. 상기 부재(905)는 작동기(903)의 플런저(904)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어, 조립체(118), 즉 스크린(118b)은 직물(7)에 대해 벨트(4)상에서 상승 및 하강된다. 지지 바아(117)의 단부로부터 브래킷(115)쪽으로 연장한 틈형 아암(crevice-like arms)(117a)은 스퀴지(114)의 스퀴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한 핀(906)에 의해 부재(905)에 고정된다. 상기 핀(906)은 아암(117a)에 형성된 구멍내에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삽입된다.
수직 가동 부재(905)는 지지 바아(117)의 단부로부터 연장한 아암(117a)에 핀(906)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스크린 프레임(118a)은 스퀴징하는 방향 또는 스퀴지 이동 방향(제 3 도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에서 한쪽 및 다른쪽에서의 스퀴지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스퀴징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한쌍의 스퀴지(114)는 제 3 도에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함께 이동된다. 이전의 스퀴지가 스크린(118b)으로부터 상승된 또는높여진 위치, 즉 비스퀴징 상태에 있을 때, 다음 스퀴지는 압력에 의해 스퀴징을 완성하도록 스크린(118b)과 접촉하게 된다. 스퀴지(114)는 스퀴징을 위해 작동되거나, 또는 종래의 방법으로 비스퀴징을 위해 비작동되도록 제조된다. 따라서, 스퀴지의 작동 또는 비작동은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스퀴지가 스크린과 접촉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스크린(118b)은 의도한 목적을 성취하도록 스퀴징의 개시와 동시에 또는 개시보다 약간 후에 스퀴징의 개시쪽에서 상승한다.
스크린은 상술한 방법으로 직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기의 결과는 본 발명에 따라 스크린을 분리하는 방법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스크린은 하기의 방법으로 스크린을 분리하기 위해 직물에 대해 상승한다. 스크린의 분리는 스퀴지 이동의 개시쪽에서 스크린 프레임(118a)의 일 단부와 매우 근접하게 위치된 스퀴지에 의해 개시된다. 스퀴지가 스퀴지 이동이 개시되는 쪽에서 스크린 프레임(118a)의 일 단부와 매우 근접하게 위치되기 때문에, 스크린의 초기 분리는 종래의 방법보다 개시점으로부터 짧은 거리에서 이뤄지며, 그에 따라 스크린은 더 경사지며 따라서 덜 또는 팽팽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스크린의 플립은 종래의 방법과 달리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직물로부터 분리하는 순간에 제거된다. 플립이 발생함이 없이 분리를 개시한 후에,스퀴징이 실행되는 동안에 스크린은 상술한 방법으로 그 상방 이동에 의해 직물로부터 부드럽게 분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날염 사이클의 작동 속도를 저하시킴이 없이 만족스러운 날염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스퀴지가 종료 위치에 도달했을 때, 스크린은 완전히 분리된다. 스퀴지의 상승 후에, 스크린 프레임(118a)은 스크린(118b)이 직물위의 스크린 프레임(118a)과 함께 전체적으로 공기중에 뜨게될 때까지 스퀴징의 개시쪽보다 다른쪽으로부터 그 단부에서 상승된다.
제 6A 도 및 제 6B 도는 각각 스퀴징의 초기 단계와, 스퀴징 및 스크린 분리의 중간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제 7A 도 및 제 7B 도는 각각 스퀴징의 최종 단계와, 직물로부터 스크린을 완전 분리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물감 반죽은 제 6A 도, 제 6B 도, 제 7A 도 및 제 7B 도에서 도면 부호 30으로 표시했다.
제 6A 도, 제 6B 도, 제 7A 도 및 제 7B 도에 도시한 스퀴징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뤄진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스퀴징의 처리는 도면을 실제로 뒤집음으로써 상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린 프레임 및 지지 부재의 조립체는 날염 유닛의 다른 부품과 구조적으로 무관하게 상승 및 하강된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스크린은 스크린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수단에서 소형 작동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즉 간단하고 용이한 방법으로 쉽게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날염 사이클의 작동 속도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본 발명에 따라 만족스러운 날염 결과가 얻어질 수 있으며, 스크린은 이 스크린을 상승 및하강시키기 위한 소형이며 간단한 수단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평스크린 직물 날염기 전체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직물 날염기의 개략적인 정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날염기의 날염 유닛의 확대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날염기 구조를, 스크린 프레임상에 인장된 상태로 설치된 스크린 조립체가 직물 날염기 프레임상에 장착된 것을 예로서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선(V-V)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6A 도는 초기 단계에서 스퀴징하는(squeegeeing) 것을 도시하는 정면도.
제 6B 도는 중간 단계에서 스퀴징 및 스크린의 분리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 7A 도는 스퀴징의 완성 단계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 7B 도는 스크린 및 스크린 프레임의 조립체를 직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도시하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3 : 롤러 4 : 엔드리스 벨트
7 : 직물 114 : 스퀴지
118a : 스크린 프레임 118b : 스크린

Claims (2)

  1. 평스크린 직물 날염기상의 직물(7)로부터 스크린(118b)을 분리하기 위해 장치를 이용하여 직물로부터 스크린을 분리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날염기가, 적어도 하나의 평스크린(118b)과, 상기 스크린(118b)이 인장된 상태로 설치된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가능한 스크린 프레임(118a)과, 상기 스크린 프레임(118a)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퀴지(squeege)와, 날염할 직물(7)을 이송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118b) 아래로 연장한 엔드리스 벨트(4)와, 상기 엔드리스 벨트(4)의 개시 단부 또는 머리 부분이 그 둘레에 꿰어진 롤러(3)와, 상기 엔드리스 벨트(4)의 후미 단부 또는 꼬리 부분이 그 둘레에 꿰어진 롤러(2)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2, 3)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는, 직물로부터 스크린을 분리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로 물감 반죽을 스퀴징하는 동안에, 상기 스퀴지의 이동과 동시에 또는 약간 후에 상기 스크린 프레임의 스퀴징 개시 단부를 상승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퀴지가 상기 스크린 프레임의 다른 단부에 도달한 경우, 상기 스크린 프레임의 스퀴징 개시 단부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 프레임의 다른 단부를 상승시키며, 이에 의해 상기 직물로부터 상기 스크린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로부터 스크린을 분리시키는 방법.
  2. 평스크린 직물 날염기상의 직물(7)로부터 스크린(118b)을 분리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날염기가, 적어도 하나의 평스크린(118b)과, 상기 스크린(118b)이 인장된 상태로 설치된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가능한 스크린 프레임(118a)과, 상기 스크린 프레임(118a)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퀴지와, 날염할 직물(7)을 이송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118b) 아래로 연장한 엔드리스 벨트(4)와, 상기 엔드리스 벨트(4)의 개시 단부 또는 머리 부분이 그 둘레에 꿰어진 롤러(3)와, 상기 엔드리스 벨트(4)의 후미 단부 또는 꼬리 부분이 그 둘레에 꿰어진 롤러(2)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2, 3)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는, 직물로부러 스크린을 분리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프레임(118a)이 상기 스퀴지 이동 방향에 대해서 상기 스크린 프레임(118a)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 제공된 수단(9)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린 프레임(118a)의 전방 및 후방 단부는, 상기 스크린 프레임 (118a)의 단부가 상기 스퀴지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수단(9)에 연결되며,
    상기 스퀴지로 물감 반죽을 스퀴징하는 동안에, 상기 수단(9)은 상기 스퀴지의 이동과 동시에 또는 약간 후에 스퀴징 개시 단부에 위치된 스크린 프레임을 상승시키고, 스퀴징이 종료된 경우 스크린 프레임의 다른 단부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로부터 스크린을 분리시키는 장치.
KR1019950036132A 1995-04-07 1995-10-19 직물로부터스크린을분리시키는방법및장치 KR100365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82225 1995-04-07
JP7082225A JPH08276563A (ja) 1995-04-07 1995-04-07 テキスタイルのフラットスクリーン捺染機におけるスクリーンの剥離方法及び剥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305A KR960037305A (ko) 1996-11-19
KR100365850B1 true KR100365850B1 (ko) 2003-03-06

Family

ID=13768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6132A KR100365850B1 (ko) 1995-04-07 1995-10-19 직물로부터스크린을분리시키는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736378B1 (ko)
JP (1) JPH08276563A (ko)
KR (1) KR100365850B1 (ko)
CN (1) CN1072108C (ko)
BR (1) BR9504482A (ko)
DE (1) DE69514210T2 (ko)
SG (1) SG63530A1 (ko)
TW (1) TW29060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466B1 (ko) * 2020-02-10 2021-03-09 (주)카스아이엔씨 자동 날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01560B (zh) 2009-11-24 2013-07-11 Htc Corp 電子裝置
CN102409566A (zh) * 2011-09-06 2012-04-11 珠海建轩服装有限公司 一种平网印花方法
CN102896882B (zh) * 2012-10-25 2014-09-24 张家港市华源染织有限公司 一种纺织品印染装置
CN102896883A (zh) * 2012-10-25 2013-01-30 张家港市华源染织有限公司 纺织品印染用版框升降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7890A (en) * 1975-09-18 1977-03-24 Akira Ijiri Flat screen prin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4242A (en) * 1976-06-14 1978-06-13 Shiro Ichinose Lifting devices for flat screen printer
SE398076B (sv) * 1976-09-28 1977-12-05 Svecia Silkscreen Maskiner Ab Stenciltryckmaskin
SE416910B (sv) * 1978-01-30 1981-02-16 Svecia Silkscreen Maskiner Ab Stenciltryckmaskin med stort tryckbord
JPS57142366A (en) * 1981-02-27 1982-09-03 Toshin Kogyo Kk Screen frame up-down device for automatic screen printing press
US4858527A (en) * 1987-07-22 1989-08-22 Masanao Ozeki Screen printer with screen length and snap-off angle control
CA1302156C (en) * 1988-01-18 1992-06-02 Masanao Oozeki Screen printing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7890A (en) * 1975-09-18 1977-03-24 Akira Ijiri Flat screen print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466B1 (ko) * 2020-02-10 2021-03-09 (주)카스아이엔씨 자동 날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36378A1 (en) 1996-10-09
JPH08276563A (ja) 1996-10-22
CN1128210A (zh) 1996-08-07
CN1072108C (zh) 2001-10-03
KR960037305A (ko) 1996-11-19
BR9504482A (pt) 1997-09-02
SG63530A1 (en) 1999-03-30
DE69514210T2 (de) 2000-05-11
DE69514210D1 (de) 2000-02-03
TW290601B (ko) 1996-11-11
EP0736378B1 (en) 1999-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6952B1 (en) Cleaning apparatus and cleaning method
US3731623A (en) Glider press
US5491871A (en) Solder paste and conductive ink printing stencil cleaner
US4599248A (en) Method for applying emulsion onto screen printing plate
EP3546214A1 (en) Screen printing machine
KR100365850B1 (ko) 직물로부터스크린을분리시키는방법및장치
CN102152605A (zh) 刮板装置及网板印刷机
US5713277A (en) Combination print head and pivotable print screen holder and method for improved operator safety during screen maintenance
US61290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creen printing of paste
US4063503A (en) Automatic screen printing machine
JPH1148442A (ja) ガラス印刷用自動スクリーン印刷装置
CN109881512B (zh) 一种数码喷墨式布料印花工艺
KR20180009314A (ko) 스크린 인쇄 장치 및 방법
JP2017226181A (ja) スクリーン印刷機
CN214606531U (zh) 一种用于特宽幅丝绸的整平印花装置
JP2936466B2 (ja) フラットスクリーン捺染機におけるスクリーン剥離装置
CN112937101B (zh) 一种轻工业小型织物印花机器
JPH10119240A (ja) 印刷装置
US5651309A (en) Peel control means for off-contact screen printing press
JPH10193565A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のスキージに付着した半田ペーストの除去方法
KR101761141B1 (ko) 인쇄회로기판의 스크린 인쇄장치
CN219430313U (zh) 一种全涤染色布高效整平装置
JPH03121849A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のクリーニング装置
KR0153521B1 (ko) 프린트배선용 기판에 스크린인쇄를 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CN217228153U (zh) 一种印刷品包装用自动化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