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669B1 - 전기 믹서 - Google Patents

전기 믹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669B1
KR100365669B1 KR1020000022507A KR20000022507A KR100365669B1 KR 100365669 B1 KR100365669 B1 KR 100365669B1 KR 1020000022507 A KR1020000022507 A KR 1020000022507A KR 20000022507 A KR20000022507 A KR 20000022507A KR 100365669 B1 KR100365669 B1 KR 100365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juicer
lid
juice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9753A (ko
Inventor
고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이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이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이스전자
Priority to KR1020000022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669B1/ko
Publication of KR20000049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6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4Hand implements for separating solids from liquids or liquids from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 채소 등의 재료를 믹싱,분쇄시키는 믹서기에 관한 것으로, 과일, 채소 등의 재료를 믹싱,분쇄시켜 주스를 만드는 전기 믹서에 있어서, 구동모터(62), 구동모터(62)에 직결된 구동축(64) 및 구동축(64)에 연결되어 상부로 노출된 하부커플링(66)을 포함한 믹서기 본체(50)와; 상기 믹서기 본체(50)의 상부에 삽착되어 상기 하부커플링(66)에 결합되는 상부커플링(114)과, 이 상부커플링(114)이 연결된 피동축(110)상에 조립된 분쇄커터(112)를 포함한 분쇄커터 어댑터(100)와; 상기 어댑터(110)와 나사결합으로 조립되고 상기 믹서기 본체(50)와 착탈 결합되는 주서컵(200)과; 상기 주서컵(2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주서컵 뚜껑(220) 및; 상기 주서컵 뚜껑(220)의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재료투입뚜껑(24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믹서{AN ELECTRIC MIXER}
본 발명은 과일, 채소 등의 재료를 믹싱,분쇄시키는 믹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찌꺼기와 순수한 주스액의 분리 취출을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봉지차를 우려낼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고, 회전동력부의 누수방지 구조를 개선시킨 믹서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 믹서는 과일, 채소 등의 재료를 믹싱,분쇄시켜 주스를 만들어내는 기기이다.
여기서 생성된 주스는 주스액(엽록소와 미네랄을 포함)과 주스찌꺼기(섬유질 찌꺼기)의 혼합물로 존재하는데 통상 주스액과 주스찌꺼기를 함께 섭취한다.
이렇게 될 경우 주스에 포함된 주스찌꺼기의 섬유질로 인해 먹기가 부담스러운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별도의 걸름망 제품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롭고 추가 비용적인 문제가 따른다.
따라서 1개의 주스컵으로 한 번의 가공 후에 주스로부터 주스액과 주스찌꺼기를 분리, 수거할 수 있다면 주스액은 먹기가 편리해질 것이고, 주스찌꺼기는 잼 등으로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전기 믹서는 분쇄커터가 고속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분쇄커터의 회전축부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한 바, 이러한 기능을 위한 종래의 실은 회전축부와의 접촉부분에서 마모가 발생되어 내구성이 떨어지고 누수방지에 취약하였다.
이럴 경우 회전축부측에 부식이 일어나고 제품의 질을 떨어뜨리는 문제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찌꺼기와 순수한 주스액의 분리 취출을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봉지차를 우려낼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고, 회전동력부의 누수방지 구조를 개선시킨 전기 믹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서컵의 전체 조립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반구형 받이대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분쇄커터부 확대도.
도 4는 도 1의 X-X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Y-Y선 단면도.
도 6은 도 1의 Z-Z선 단면도.
도 7은 도 7은 도 1의 평면도.
도 8은 도 4의 A방향에서 본 요부도.
도 9는 도 4의 B방향에서 본 요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컵리더 오일실의 단면도.
도 11은 주서컵의 다른 양태를 적용한 전기 주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믹서기 본체 52 : 반구형 받이대
62 : 구동모터 64 : 구동축
66 : 하부커플링 100 : 분쇄커터 어댑터
108 : 컵리더 오일실 110 : 피동축
112 : 분쇄커터 114 : 상부커플링
200 : 주서컵 210 : 걸름망체
220 : 주서컵 뚜껑 230 : 티박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믹서의 조립도이다.
도면부호 50은 믹서기 본체이다.
믹서기 본체(50)는 반구형의 받침대(52)와, 컵형의 케이싱(60)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52)는 그 저부에 받침대 커버(54)가 장착되어 있고, 받침대 커버(54)의 전면 4개소에 각기 믹서기 본체(50)의 사용중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무핀(53)이 압입되어 있고, 받침대(52)의 상부 중앙에는 함몰된 받이홈(52a)이 형성되고, 이 받이홈(52a)에 케이싱(60)의 하단부가 삽착되어 체결볼트(56)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60)은 내부에 구동모터(62)가 배치되어 있고, 이 구동모터(62)에 직결된 회전축(64)의 상단에는 하부커플링(66)이 연결되어 있고, 케이싱(60)의 상부에는 모터브래킷(68)이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하부커플링(66)은 모터브래킷(68)의 상방에 노출되어 위치된다.
상기 케이싱(60)의 내벽에는 후술할 주서컵(200)에 의해 연동하는 스위치핀 (72)이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핀(72)은 모터브래킷(68)과 스프링(74)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주서컵(200)이 케이싱(60)에 결합될 때 스위치핀(72)이 하강하여 전기회로가 온되고, 반대로 주서컵(200)이 케이싱(60)으로부터 탈거될 때 스위치핀 (72)이 원위치로 상승하여 전기회로가 오프되게 되어 있고, 상기 주서컵(60)의 상연에는 케이싱 링(76)이 장착되어 있다.
도면 부호 100은 분쇄커터 어댑터이다.
분쇄커터 어댑터(100)는, 도 1,3에서와 같이 컵리더(102), 컵리더 인서트 (104), 컵리더 오일리스베어링(106), 컵리더 오일실(108), 피동축(110), 분쇄커터 (112) 및 상부커플링(11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컵리더(102)는 상부 내주면에 후술할 주스컵(200)과 연결되기 위한 암나사부(102a)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컵리더 패킹(116)이 장착되어 있다.
컵리더 인서트(104)는 상기 컵리더(102)의 중앙에 인서트되어 있고, 컵리더 인서트(104)의 내부에는 일축상으로 컵리더 오일실(108)과 오일리스베어링(106)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피동축(110)은 컵리더 오일실(108)과 오일리스베어링(106)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피동축(110)의 상단에는 분쇄커터(112)가 연결되어 있고, 피동축(110)의 하단에는 상부커플링(114)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컵리더 오일실(108)은 실리콘 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부(108a)와, 외통부에서 내측으로 상향 경사진 원추형 내통부(108b)를 갖고, 원추형 내통부(108b)에는 중앙에 관통된 피동축 삽입공(108c)이 형성되어 있고, 피동축 삽입공(108c)의 직경은 상기 피동축(110)의 직경과 동일하고, 외통부(108a)에는 인서트(109)가 내설되어 있다.
컵리더 오일실(108)의 원추형 내통부(108b)는 외측 표면에서 주스액의 분쇄시 누수압을 받을 경우 내측으로 수축하려는 힘을 받아 피동축(110)에 밀착하여 누수를 방지한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분쇄커터 어댑터(100)가 케이싱(60)에 조립되면 상,하부 커플링(114,66)이 서로 물림 결합되고, 분쇄커터(112)측 피동축(110)이 구동축(64)에 연결된다.
도면 부호 200은 주서컵이다.
상기 주서컵(200)에는 걸름망체(210)가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있고, 걸름망체(210)는 분쇄커터(112)에 의해 믹싱 분쇄된 분쇄물로부터 순수한 주스액과 찌꺼기를 분리해내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걸름망체(210)는, 상·하방으로 개방되어 있고 하단에 주서컵(200)의 하부 내주면에 삽착되기 위한 하부경사원통부(212)와, 하부경사원통부(212)의 상방에 일체화된 걸름망(214)과, 걸름망(214)의 상부로 상연이 벌어져 주스컵 뚜껑 (220)에 결합되기 위한 상부원통부(2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부경사원통부(212)에는 다수개의 걸림홈(212a)이 형성되어 주서컵 (200)의 내벽에 형성된 돌출리브(202)에 결합되게 되어 있다.(도 6 참조)
따라서 내용물의 분쇄시 걸름망체(210)는 걸림홈(212a)과 돌출리브(202)의 결합에 의해 안정적으로 장착됨과 동시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200a는 손잡이, 200b는 주스액배출구이다.
상기 주서컵(200)의 상부에는 걸름망체(20)와 결합된 주서컵 뚜껑(22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주서컵 뚜껑(220)은 중앙에 관통된 재료투입구멍(222a)을 갖는 내측원통부(222)와, 외벽에 수스액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주스액 배출구멍(224a, 224b)을 갖는 외측원통부(224)를 포함한다.(도 4,8,9참조)
내측원통부(222)의 내주면에는 티박스 걸림턱(222b)이 형성되어 있고, 이 티박스 컬림턱(222b)에는 주서컵 뚜껑(220)의 재료투입구멍(222a)에 삽입된 티박스 (230)가 도 1과 같이 지지되게 되어있다.
상기 주서컵 뚜껑(220)과 주서컵(200)의 결합, 해제는 도 7과 같이 주서컵 (200)의 상부걸림턱(200c)에 주서컵뚜껑(220)의 하부걸림턱(220a)이 서로 대응하게삽입시켜 결합/해제되는 끼워맞춤방식에 의해 가능하게 되어있다.
상기 티박스(230)는 봉지차(10) 또는 일반적인 차를 우려내기 위한 것으로서 저면과 둘레에 다수의 구멍(231)이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따라서 티박스(230)내에 차를 담가두고 주서컵(200)내로 차가 잠길 정도로 더운물을 부어 놓고 분쇄커터(112)를 회전시키면 와류 물살에 의해 차를 신속히 다려낼 수 있다.
상기 주서컵 뚜껑(220)에는 재료투입뚜껑(240)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재료투입뚜껑(240)은 걸름망체(210)를 사용할 경우에 걸름망체(210)안으로, 걸름망체(2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주서컵(220)내로 분쇄하고자 하는 재료를 투입한 후 재료를 밀폐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걸름망체(210)를 사용할 경우에는 걸름망체(230)의 상면에서 주서컵 뚜껑(220)의 이탈을 방지한다.
도 11은 주서컵(300)이 변형된 실시예로서 용량에 따라 그 크기가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과 같은 주서컵(200)을 사용할 경우이다.
먼저, 분쇄커터 어댑터(100)와 주서컵(200)을 나사결합으로 조립한 후 걸름망체(210) 및 주서컵 뚜껑(220)을 주서컵(200)에 결합한다.
이때 주서컵(200)과 분쇄커터 어댑터(100)의 누수방지는 주서컵(200)의 하단면이 컵리더 패킹(116)에 밀착되므로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분쇄커터 어댑터(100)를 케이싱(60)의 상부 안쪽으로 집어넣고주서컵(200)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턱(200f)을 케이싱링(76)의 걸림홈(76a)에 대응시킨다
이렇게 되면 스위치핀(72)이 구동모터(62)의 구동을 위한 전기회로를 연결시키기 위한 준비단계가 완료된다. 이때 상,하부 커플링(114,66)은 서로 결합된다.
이후 재료투입뚜껑(210)을 열고 분쇄재료를 투입한 후 다시 재료투입뚜껑 (210)을 닫고, 주서컵뚜겅(220)을 눌러 케이싱(600)을 접촉하는 스위치핀(72)을 온시키면 구동모터(62)에 전원을 인가되어 분쇄커터(112)가 회전하고 재료가 분쇄된다.
물론 여기서 주서컵뚜겅(220)을 눌러 케이싱(600)을 약간 회전시켜 걸림홈 (76a)에 삽입 걸어맞춤시킨 후 전원공급 시키면 계속해서 분쇄커터(112)가 작동한다.
이때 분쇄 믹싱된 주스액은 순수한 주스와 찌꺼기가 존재하게 된다.
주스는 물과 같은 액체로서 회전부 즉, 피동축(110)에 침투할 수 있으나 컵리더 오일실(108)이 피동축(110)에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되어 있어 누수는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구동모터(62)의 내구성 향상으로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투입된 재료의 주스액이 다 만들어지면 주서컵(200)을 케이싱(60)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전원은 차단되어 분쇄커터(112)는 정지한다.
분리된 주서컵(200)을 손잡이(200a)로 들고 재료투입뚜껑(220)을 조절하여 기울이면 걸름망체(210)내의 분쇄물중 순수한 주스액은 걸름망체(210)의 걸름망(214)을 빠져나와 주서컵(200)의 주스액 배출구(200b)로 배출된다. 따라서 걸름망체(210)내에는 분쇄물의 찌꺼지만 남게 된다.
이 찌꺼지는 재료투입뚜껑(210)을 열고 주서컵(200)을 뒤집어서 재료투입구멍(222a)으로 빼내거나, 주서컵뚜껑(220)과 걸름망체(210)를 주서컵(200)으로부터 분리한 후 주서컵(200)을 기울여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주스액만을 취출해낼 수 있어 사용자의 섭취 입맛에 맞는 깔끔한 주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분리된 찌꺼지는 잼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1과 같이 티박스(230)내에 봉지차 등을 넣고 쉽게 우려낼 수 있다.
이때 재료투입뚜껑(21)을 열고 더운물을 붓고 다시 재료투입뚜껑(21)을 닫는다.
다음 분쇄커터(112)를 회전시켜 물살을 유발하고 이에 의해 신속히 차를 우려낼 수 있고, 따라서 한 번에 여러 사람에게 차의 공급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2와 같은 주서컵(300)을 이용하여 필요한 주스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주서컵 내에 걸름망체를 조립할 수 있도록하여 주스액과 찌꺼지의 분리수거가 가능하고, 또 경우에 따라 티박스를 추가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차를 신속히 우려낼 수 있다.
또한 컵리더 오일실의 누수방지구조에 의해 회전동력부의 누수방지가 보강되어 제품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5)

  1. 구동모터(62), 구동모터(62)에 직결된 구동축(64) 및 구동축(64)에 연결되어 상부로 노출된 하부커플링(66)을 포함한 믹서기 본체(50)와;
    상기 믹서기 본체(50)의 상부에 삽착되어 상기 하부커플링(66)에 결합되는 상부커플링(114)과, 이 상부커플링(114)이 연결된 피동축(110)상에 조립된 분쇄커터(112)를 포함한 분쇄커터 어댑터(100)와;
    상기 어댑터(110)와 나사결합으로 조립되고 상기 믹서기 본체(50)와 착탈 결합되는 주서컵(200)과;
    상기 주서컵(2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주서컵 뚜껑(220) 및;
    상기 주서컵 뚜껑(220)의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재료투입뚜껑(240)을 포함한 전기 믹서에 있어서,
    상기 피동축(110)상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컵리더 오일실(108)이 상기 분쇄커터 어댑터(100)에 포함되고;
    상기 컵리더 오일실(108)은 실리콘 고무재로서,
    외통부(108a)와;
    상기 외통부(108a)에서 내측으로 상향 연장된 원추형 내통부(108b)와;
    상기 원추형 내통부(108b)에는 중앙에 관통되어 피동축(110)에 밀착되는 피동축 삽입공(108c)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믹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서컵 뚜껑(220)에 착탈가능하게 지지되어 주서컵(200)내에서 차를 우려낼 수 있는 티박스(23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믹서.
  4. 삭제
  5. 삭제
KR1020000022507A 2000-04-27 2000-04-27 전기 믹서 KR100365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507A KR100365669B1 (ko) 2000-04-27 2000-04-27 전기 믹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507A KR100365669B1 (ko) 2000-04-27 2000-04-27 전기 믹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753A KR20000049753A (ko) 2000-08-05
KR100365669B1 true KR100365669B1 (ko) 2002-12-26

Family

ID=19667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507A KR100365669B1 (ko) 2000-04-27 2000-04-27 전기 믹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6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889B1 (ko) 2013-12-02 2014-07-28 조종연 믹서겸용 주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466B1 (ko) * 2009-01-22 2011-09-27 (주)카리온 분쇄커터유닛 및 이를 구비한 믹서기
CN109567625B (zh) * 2017-09-28 2022-03-18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料理机
CN108542246A (zh) * 2018-04-04 2018-09-18 李必定 一种果汁料理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5261A (ko) * 1984-01-17 1985-08-24 이노우에 가오루 주우서(Juicer)
KR890006244Y1 (ko) * 1986-09-06 1989-09-20 임은택 폐류 채취기
JPH05207938A (ja) * 1992-01-31 1993-08-20 Tokyo Electric Co Ltd 電動調理器
US5360176A (en) * 1990-01-10 1994-11-01 U.S. Philips Corporation Blender
JP2000060745A (ja) * 1998-08-17 2000-02-29 Breville Pty Ltd 食材投入管
US6050180A (en) * 1998-11-05 2000-04-18 Omega Products, Inc. Fruit and vegetable juic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5261A (ko) * 1984-01-17 1985-08-24 이노우에 가오루 주우서(Juicer)
KR890006244Y1 (ko) * 1986-09-06 1989-09-20 임은택 폐류 채취기
US5360176A (en) * 1990-01-10 1994-11-01 U.S. Philips Corporation Blender
JPH05207938A (ja) * 1992-01-31 1993-08-20 Tokyo Electric Co Ltd 電動調理器
JP2000060745A (ja) * 1998-08-17 2000-02-29 Breville Pty Ltd 食材投入管
US6050180A (en) * 1998-11-05 2000-04-18 Omega Products, Inc. Fruit and vegetable juic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889B1 (ko) 2013-12-02 2014-07-28 조종연 믹서겸용 주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753A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7424B2 (en) Removable food processing tool support system for blenders, food processors, grinders and similar apparatus
KR100793852B1 (ko) 착즙주스기
CN113811229A (zh) 用于制作汁液或植物奶的离心式饮料制备机
KR100365669B1 (ko) 전기 믹서
US20150296860A1 (en) Personal Juice Extractor System
KR101423889B1 (ko) 믹서겸용 주서기
CN213757715U (zh) 榨汁机
KR100310154B1 (ko) 걸름망을 갖는 주서컵
KR200413917Y1 (ko) 두유제조장치
RU2782668C1 (ru) Центроб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для получения сока или растительного молока
KR200155078Y1 (ko) 탈수방식 쥬서기의 커버 구조
KR20160023426A (ko) 전기믹서기의 구동축 및 분쇄커터의 체결 구조
KR20020046882A (ko) 쥬스기.
KR930001612Y1 (ko) 진공 과즙기
KR200189236Y1 (ko) 분쇄기
KR200377611Y1 (ko) 추출구 잠금마개를 장착한 쥬서기
JPH05199944A (ja) 調理器
KR100417535B1 (ko)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KR200212716Y1 (ko) 믹서기 겸용 분쇄기
KR200217974Y1 (ko) 주우스 제조기용 컵
KR102491086B1 (ko) 이격된 이중 스크류를 구비한 주서기
KR100228200B1 (ko)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
KR200275664Y1 (ko)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KR19990016780U (ko)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
KR200315014Y1 (ko) 바디 캡이 장착된 두유제조용 콩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