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664Y1 -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 Google Patents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664Y1
KR200275664Y1 KR2020020006287U KR20020006287U KR200275664Y1 KR 200275664 Y1 KR200275664 Y1 KR 200275664Y1 KR 2020020006287 U KR2020020006287 U KR 2020020006287U KR 20020006287 U KR20020006287 U KR 20020006287U KR 200275664 Y1 KR200275664 Y1 KR 2002756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mixer
blade
grinding
contain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우
Original Assignee
박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우 filed Critical 박선우
Priority to KR2020020006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6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6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664Y1/ko

Links

Landscapes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핸드믹서용 요리셋트는 손잡이를 보유한 본체의 내부에는 회전축을 회전하는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를 감싸는 지지체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체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부가 상호 이격 고정되어 회전축의 선단부보다 더 돌출되며,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 둘레면에는 돌기가 고정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핸드믹서에 있어서, 핸드믹서의 회전축의 선단부에 착탈되어 회전축과 연동되어 용기 내의 액체에 거품을 발생하는 착탈거품날; 핸드믹서의 회전축의 선단부에 착탈되어 회전축과 연동되어 용기 내의 식용작물을 분쇄하는 착탈분쇄날; 핸드믹서의 회전축의 선단부와 클러칭되어 분쇄용기에 내장된 식용작물을 분쇄하는 분쇄기기; 핸드믹서의 회전축의 선단부와 클러칭되어 녹즙용기로 투입되는 식용작물로부터 즙을 분리하는 녹즙기기; 그리고 핸드믹서를 착탈하게 되는 믹서설치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녹즙기기를 착탈하게 되는 녹즙기설치부가 형성되어 핸드믹서와 녹즙기기를 거치하는 스탠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핸드믹서에 착탈거품날과 착탈분쇄날을 연결하여 다양한 용기 내에 있는 액체를 거품화할 수 있음과 더불어 식용작물과 요리를 분쇄하고, 핸드믹서를 분쇄기기에 간편하게 연결하여 식용작물을 용이하게 분쇄하며, 핸드믹서를 녹즙기기에 간편하게 연결하여 식용작물로부터 즙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핸드믹서용 요리셋트{THE SET OF COOKING UTENSILS FOR HAND MIXER}
본 고안은 핸드믹서용 요리셋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식용작물을 용이하게 분쇄함과 더불어 식용작물로부터 즙을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에 관한 것이다.
핸드믹서는 사용자가 본체를 잡고 회전축의 하단에 장착된 착탈분쇄날을 일반 용기에 넣어서 작동하게 되면 상기 용기에 담겨진 식용작물을 분쇄하게 되며, 회전축의 하단에 착탈거품날을 장착한 뒤에 이 착탈거품날을 일반 용기에 넣어서 작동하게 되면 상기 용기에 담겨진 액체의 거품을 발생하게 한다.
그리고 종래에는 상기 핸드믹서의 착탈분쇄날과 착탈거품날을 분리한 뒤, 용기 내에 설치된 피동축에 핸드믹서의 회전축을 연결 사용하게 되는 핸드믹서용 전용 용기가 개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핸드믹서용 전용 용기는 별도의 분쇄날과 연결된 피동축을 용기본체의 내측 저면에 연결 설치하여 뚜껑의 결합공에 핸드믹서를 결합 고정한 뒤에 핸드믹서를 작동하면 핸드믹서의 회전축과 용기의 피동축이 연동하여 용기내의 분쇄날에 의해 분쇄작업이 수행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액상의 분쇄물이 분쇄작업시 저면부에 위치한 피동축의 연결부위에 액즙이 침투하기 때문에 쉽게 즙이 발생되지 않는 분쇄물이나 건조한 분쇄물 만을 분쇄하게 되므로 분쇄물의 사용 범위가 제한되며, 분쇄작업시 미세한 분말이 피동축의 연결부위에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작동이 유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고속 회전에 지장을 발생할 수 있고 세척 작업이 매우 불편하여 비위생적인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녹즙기의 자체동력이나 만능 조리기를 이용하여 식용작물의 즙을 분리할 수 있었으며, 식용작물로부터 즙을 뽑아내는 녹즙기와 핸드믹서와 연결할 수 있는 것이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핸드믹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식용작물을 용이하게 분쇄함과 더불어 식용작물로부터 즙을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손잡이를 보유한 본체의 내부에는 회전축을 회전하는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를 감싸는 지지체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체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부가 상호 이격 고정되어 회전축의 선단부보다 더 돌출되며,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 둘레면에는 돌기가 고정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핸드믹서에 있어서, 핸드믹서의 회전축의 선단부에 착탈되어 회전축과 연동되어 용기 내의 액체에 거품을 발생하는 착탈거품날; 핸드믹서의 회전축의 선단부에 착탈되어 회전축과 연동되어 용기 내의 식용작물을 분쇄하는 착탈분쇄날; 핸드믹서의 회전축의 선단부와 클러칭되어 분쇄용기에 내장된 식용작물을 분쇄하는 분쇄기기; 핸드믹서의 회전축의 선단부와 클러칭되어 녹즙용기로 투입되는 식용작물로부터 즙을 분리하는 녹즙기기; 그리고 핸드믹서를 착탈하게 되는 믹서설치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녹즙기기를 착탈하게 되는 녹즙기설치부가 형성되어 핸드믹서와 녹즙기기를 거치하는 스탠드로 이루어지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믹서용 요리셋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핸드믹서용 요리셋트에 사용되는 착탈거품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믹서용 요리셋트에 사용되는 착탈분쇄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핸드믹서용 분쇄기기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를 아래에서 위로 본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핸드믹서용 녹즙기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핸드믹서용 스탠드와 녹즙기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8은 도 7의 B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드믹서 2 : 착탈거품날
3 : 착탈분쇄날 4 : 분쇄기기
5 : 녹즙기기 6 : 스탠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믹서용 요리셋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핸드믹서(1)의 회전축(1a)에 착탈거품날(2)과 착탈분쇄날(3)을 착탈할 수 있고, 상기 핸드믹서(1)의 회전축(1a)을 분쇄기기(4)와 녹즙기기(5)에 클러칭할 수 있으며, 상기 핸드믹서(1)와 녹즙기기(5)를 스탠드(6)에 설치하여 식용작물로부터 즙을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핸드믹서(1)는 도 1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지된 것과 마찬가지로, 손잡이(11a)를 보유한 본체(11)의 내부에는 회전축(12)을 회전하는 모터(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1)의 하단부에는 상기 회전축(12)의 선단부를 감싸는 지지체(13)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체(13)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회전축(12)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부(13a)가 상호 이격 고정되어 회전축(12)의 선단부보다 더 돌출되며, 상기 회전축(12)의 선단부 둘레면에는 돌기(12a)가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착탈거품날(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드믹서(1)의 회전축(12)의 선단부에 착탈되어 회전축(12)과 연동되어 통상적인 용기(미도시) 내의 액체에 거품을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착탈거품날(2)은 상기 핸드믹서(1)의 회전축(12)에 착탈되는 거품날축(21), 그리고 상기 거품날축(21)의 한쪽 단부에 고정되는 거품회전판(22)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착탈거품날(2)은 상기 거품날축(21)이 상기 거품회전판(22) 상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 상대적으로 거품날축(21)이 핸드믹서(1)의 회전축(12)과 연동하게 되면 거품회전판(22)이 회전하면서 거품날축(21)의 축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거품날축(21)에는 상기 핸드믹서(1)의 회전축(12)의 둘레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탄성편(21a)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회전축(12)에 형성된 돌기(12a)와 걸림되는 돌기설치홈(21b)이 형성된다.
더우기 상기 거품날축(21)은 상기 거품회전판(22) 상에서 5°- 15°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착탈분쇄날(3)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드믹서(1)의 회전축(12)의 선단부에 착탈되어 회전축(12)과 연동되어 통상의 용기(미도시) 내의 식용작물을 분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착탈분쇄날(3)은 상기 핸드믹서(1)의 회전축(12)에 착탈되는 분쇄날축(31), 그리고 상기 분쇄날축(31)의 한쪽 단부에 고정되는 분쇄날체(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쇄날축(31)에는 상기 핸드믹서(1)의 회전축(12)의 둘레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탄성편(31a)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회전축(12)에 형성된 돌기(12a)와 걸림되는 돌기설치홈(31b)이 형성된다.
상기 분쇄날체(32)는 상기 분쇄날축(31)과 고정되는 중심부(32a), 상기 중심부(32a)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날부(32b), 제2날부(32c), 제3날부(32d), 제4날부(32e)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날부(32b)와 제2날부(32c)는 상기 분쇄날축(31)과 연직하게 형성되면서 양방향으로 각각 진행하게 되고, 상기 제3날부(32d)는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4날부(32e)는 아래로 절곡되어 선단부를 상기 제3날부(32d) 쪽으로 향하게 함과 더불어 상기 제1날부(32b)와 제2날부(32c)와 평행하게 절곡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날부(32b)와 제2날부(32c)는 통상의 용기 내의 식용작물을 일반적으로 분쇄하는 것이고, 상기 제3날부(32d)는 분쇄날축(31)의 바깥 둘레에 위치한 식용작물을 분쇄하는 것이며, 상기 제4날부(32e)는 용기의 바닥에 근접한 식용작물을 분쇄하는 것이다.
상기 분쇄기기(4)는 도 1,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드믹서(1)의 회전축(12)의 선단부와 클러칭되어 분쇄용기(41)에 내장된 식용작물을 분쇄하게 된다.
상기 분쇄기기(4)는 합성수지 재질의 분쇄뚜껑(42)이 합성수지 재질의 분쇄용기(41)의 상부 개구부에 개폐되고, 식용작물을 투입하는 투입구멍(42a)이 상기 분쇄뚜껑(42)의 한쪽에 형성되어 마개(43)에 의해 닫히게 되고, 상기 핸드믹서(1)의 선단부에 형성된 지지체(13)와 지지부(13a)를 위치시키는 분쇄설치부(42b)가 상기 분쇄뚜껑(42)의 중앙부에 함몰 형성됨과 더불어 분쇄날(44)이 설치된 분쇄피동축(45)이 상기 분쇄설치부(42b)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핸드믹서(1)의 회전축(12)과 클러칭되며, 손잡이(41a)가 상기 분쇄용기(41)의 일측에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핸드믹서(1)의 선단부에 형성된 지지부(13a)를 걸리게 하는 다수의 회전방지돌기(42c)가 상기 분쇄뚜껑(42)의 분쇄설치부(42b) 내부면에 상호 이격 형성된다.
상기 마개(43)의 하부에 통공(43a)을 형성하여 상기 분쇄용기(41)의 내부 공기를 유통하게 한다.
상기 분쇄뚜껑(42)의 외측 가장자리의 한쪽에 삽입구멍(42d)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삽입구멍(42d)과 대향하는 위치에 걸림확장부(42e)를 형성하고, 상기 분쇄뚜껑(42)의 삽입구멍(42d)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1b)를 상기 분쇄용기(41)의 상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분쇄뚜껑(42)의 걸림확장부(42e)를 고정하는 고정부(41c)가 상기 분쇄용기(41)에 삽입돌기(41b)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분쇄뚜껑(42)을 분쇄용기(41)의 상측 개구부에 개폐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분쇄피동축(45)에 연결된 분쇄날(44)의 양단부가 V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거나, U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이에 따라 분쇄용기(41) 내의 식용작물을 분쇄하는 범위를 크게 하여 식용작물을 용이하게 분쇄하게 된다.
물론 상기 분쇄피동축(45)은 베어링(45a)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더불어 상기 베어링(45a)의 외측 둘레면에 밀봉부재(45b)가 설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핸드믹서(1)의 회전축(12)과 클러칭되는 것이다.
상기 분쇄피동축(45)의 중앙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밀봉체(46)를 설치하되, 상기 분쇄용기(41)의 내부를 향하는 상기 회전밀봉체(46)의 한쪽 면을 확장 형성하게 된다.
더우기 상기 회전밀봉체(46)의 확장된 부분의 면에 상기 분쇄용기(41) 내의 액체를 외부로 유도하는 다수의 가이드부(46a)가 돌출 형성된다.
고무 재질의 다수의 흡착판(47)이 상기 분쇄용기(41)의 하단면에 상호 이격설치되어 있어 핸드믹서(1)의 회전축(12)과 분쇄피동축(45)이 회전할 때에 발생되는 회전력이 분쇄용기(41)를 회전하려고 하더라도 상기 흡착판(47)이 분쇄용기(41)의 회전을 방해하게 된다.
물론 상기 분쇄용기(41)와 뚜껑(42)을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함은 자명하다.
상기 녹즙기기(5)는 상기 핸드믹서(1)의 회전축(12)의 선단부와 클러칭되어 내부로 투입되는 식용작물로부터 즙을 분리하게 된다.
상기 녹즙기기(5)는 손잡이(51a)를 구비한 제1녹즙용기(51)의 내부에 제2녹즙용기(52)를 배치함과 더불어 상기 제2녹즙용기(52)의 상측 개구부를 녹즙뚜껑(53)으로 덮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고리 형상의 공간이 상기 제1녹즙용기(51)와 제2녹즙용기(52)의 내부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2녹즙용기(52)가 상기 제1녹즙용기(51)의 내부 공간에위치된다.
지지축(54a)이 상기 제1녹즙용기(51)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둘레면에 다수의 홈(54b)을 형성하고 있는 제1회전체(54)가 상기 지지축(54a)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체(54)의 둘레면을 감싸는 샤프트커버(51b)가 상기 제1녹즙용기(51)의 내부 중앙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1회전체(54)에 클리칭되면서 외부 둘레면을 상기 샤프트커버(51b)의 외부에 향하게 되는 제2회전체(55)가 분쇄판(55a) 및 여과망(55b)과 일체로 형성되고, 다수의 분쇄돌기(55c)가 상기 분쇄판(55a)의 상부면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여과망(55b)이 상측으로 향하면서 직경을 크게 하고, 테두리재(55d)가 상기 여과망(55b)의 상부 가장자리에 일체로 설치되어 여과망(55b)을 통과하지 못한 식용작물을 상기 제2녹즙용기(52)의 내부 공간으로 안내하게 되며, 상기 핸드믹서(1)의 회전축(12)과 클러칭되는 녹즙피동축(56)이 상기 제2회전체(55)와 분쇄판(55a)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핸드믹서(1)의 선단부에 형성된 지지체(13)와 지지부(13a)를 위치시키는 녹즙설치부(53a)가 상기 녹즙뚜껑(53)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외부에서 투입되는 식용작물을 상기 분쇄판(55a)의 상부면으로 유도하는 가이드파이프(57)가 상기 녹즙뚜껑(53)에 형성된 구멍(53b)에 삽입됨과 더불어 식용작물을 눌러주는 방망이(57a)가 상기 가이드파이프(57)에 삽입된다.
상기 핸드믹서(1)의 선단부에 형성된 지지부(13a)를 걸리게 하는 다수의 회전방지돌기(53c)가 상기 녹즙뚜껑(53)의 녹즙설치부(53a) 내부면에 상호 이격 형성된다.
상기 스탠드(6)는 도 1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드믹서(1)를 착탈하게 되는 믹서설치부(61)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녹즙기기(5)를 착탈하게 되는 녹즙기설치부(62)가 형성되어 핸드믹서(1)와 녹즙기기(5)를 거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탠드(6)는 이의 하부면에 상호 이격 설치되는 고무 재질의 다수의 흡착판(63)을 포함하며, 핸드믹서(1)와 녹즙기기(5)를 설치한 뒤에 핸드믹서(1)를 작동하면 스탠드(6)에 회전력이 발생하게 되나, 이러한 회전력에 의한 스탠드(6)의 회전을 상기 흡착판(63)이 방지하게 된다.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녹즙기기(5)를 스탠드(6)에 착탈하기 위하여, 상기 녹즙기기(5)의 녹즙뚜껑(53) 상부면 양측에 유선형상의 돌기(53d)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스탠드(6)의 녹즙기설치부(62)의 양측면에 상기 유선형상의 돌기(53d)와 대응하는 돌기착탈부(62a)를 형성하고, 상기 녹즙기기(5)의 제1녹즙용기(51)의 바닥에 두 개의 가이드돌기(51b)를 형성함과 더불어 두 개의 가이드돌기(51b)를 안내하는 두 개의 가이드홈(62b)을 상기 스탠드(6)의 녹즙기설치부(62)의 바닥에 형성하게 된다.
물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녹즙용기(51)와 제2녹즙용기(52) 사이의 일측에는 틈이 형성되어 있어 이 틈 사이로 제1녹즙용기(51)에 내장된 식용작물의 즙을 통상의 컵 등에 쏟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핸드믹서용 요리셋트는 착탈거품날(2)을 핸드믹서(1)에 설치하여 통상의 용기에 내장된 액체를 거품화하게 되고, 착탈분쇄날(3)을 핸드믹서(1)에 설치하여 통상의 용기에 내장된 식용작물을 쉽게 분쇄하고, 핸드믹서(1)를 분쇄기기(4)에 연결하여 분쇄기기(4)의 분쇄용기(41) 내의 식용작물을 쉽게 분쇄하며, 핸드믹서(1)를 녹즙기기(5)에 연결하여 식용작물의 즙을 분리하게 된다.
우선 핸드믹서(1)의 회전축(12)을 착탈거품날(2)의 거품날축(21)에 삽입하면 거품날축(21)의 탄성편(21a)이 회전축(12)의 둘레면에 밀착됨과 더불어 회전축(12)의 돌기(12a)가 거품날축(21)의 돌기설치홈(21b)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착탈거품날(2)을 핸드믹서(1)의 회전축(12)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렇게 핸드믹서(1)의 회전축(12)에 착탈거품날(2)을 연결한 뒤, 통상의 용기에 커피를 거품화하거나 계란 흰자의 거품을 내기 위하여, 착탈거품날(2)을 용기에 삽입하여 핸드믹서(1)의 손잡이(11a)를 잡고 전원을 인가하면 핸드믹서(1) 내의 모터가 구동하면서 회전축(12)과 착탈거품날(2)이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착탈거품날(2)이 용기에 담겨진 액체 내에서 요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용기에 담겨진 액체가 거품화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착탈거품날(2)을 이용하여 용기 내의 액체에 거품을 발생하게 하는 것은 착탈분쇄날(3)을 이용하여 용기 내의 식용작물을 분쇄하는 것과 사용 방법이 유사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한편 분쇄기기(4)를 이용하여 식용작물을 분쇄하기 위하여, 핸드믹서(1)를 분쇄기기(4)에 연결하게 된다.
즉 핸드믹서(1)의 지지체(13)를 분쇄기기(4)의 분쇄뚜껑(42)의 분쇄설치부(42b)에 배치하면 분쇄설치부(42b)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42c)와 지지체(13)에 형성된 지지부(13a)가 걸림됨과 더불어 핸드믹서(1)의 회전축(12)과 분쇄기기(4)의 분쇄피동축(45)이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마개(43)을 개방하여 상기 분쇄뚜껑(42)의 투입구멍(42a)으로 식용작물을 투입한 뒤, 마개(43)로 투입구멍(42a)을 막고 핸드믹서(1)를 작동하면 핸드믹서(1)의 회전축(12)과 분쇄기기(4)의 분쇄피동축(45)이 회전하여 분쇄기기(4)의 분쇄날(44)이 회전되면서 분쇄용기(41) 내의 식용작물을 용이하게 분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핸드믹서(1)가 작동하는 동안에 핸드믹서(1)의 회전축(12)의 회전에 의하여 분쇄기기(4)에 회전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렇게 분쇄기기(4)에 회전력이 작용하더라도 흡착판(47)에 의하여 분쇄용기(41)가 용이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식용작물이 분쇄되는 동안에 분쇄용기(41) 내의 식용작물의 운동량에 의하여 분쇄용기(41) 내의 압력이 가변하게 되며, 이렇게 분쇄용기(41)의 내의 압력이 가변하더라도 마개(43)에 형성된 통공(43a)에 의하여 분쇄용기(41) 내의 압력변화에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쇄뚜껑(42)이 분쇄용기(41)의 삽입돌기(41b)와 고정부(41c)에 의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분쇄뚜껑(42)이 분쇄용기(41) 내의 압력 변화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더우기 분쇄용기(41) 내에서 회전되는 분쇄날(44)의 양단부가 V자 또는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쇄용기(41) 내의 식용작물을 보다 넓은 범위에서 분쇄하게 되며, 분쇄피동축(46)에 형성된 가이드부(46a)에 의하여 분쇄용기(41) 내의 액체가 분쇄피동축(46)의 둘레면을 따라 베어링(45a)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른 한편 녹즙기기(5)를 이용하여 식용작물을 분쇄하기 위하여, 핸드믹서(1)를 녹즙기기(5)에 연결하게 된다.
즉 핸드믹서(1)의 지지체(13)를 녹즙기기(5)의 녹즙뚜껑(53)의 녹즙설치부(53a)에 배치하면 녹즙설치부(53a)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53c)와 지지체(13)에 형성된 지지부(13a)가 걸림됨과 더불어 핸드믹서(1)의 회전축(12)과 녹즙기기(5)의 녹즙피동축(56)이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방망이(57a)를 가이드파이프(57)로부터 분리한 뒤, 즙을 짤 식용작물을 가이드파이프(57)로 투입한다.
그리고 핸드믹서(1)를 작동하여 회전축(12)과 녹즙피동축(56)이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지지축(54a), 제1회전체(54), 제2회전체(55), 분쇄판(55a), 여과망(55b) 테두리재(55d)가 회전하게 되며, 방망이(57a)로 식용작물을 눌러주면 식용작물이 분쇄판(55a)에 형성된 분쇄돌기(55c)에 의하여 분쇄되면서 여과망(55b)의 표면에 위치하게 되고, 여과망(55b)의 표면에 위치한 식용작물이 회전력에 의하여 여과망(55b)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식용작물의 즙이 여과망(55b)을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여과망(55b)을 통과한 즙은 제1녹즙용기(5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여과망(55b)을 통과하지 못하는 식용작물 찌꺼기는 테두리재(55d)를 넘어서 제2녹즙용기(52)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물론 식용작물을 가이드파이프(57)로 계속해서 투입하여 식용작물의 즙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스탠드(6)에 형성된 가이드홈(62b)에 녹즙기기(5)에 형성된 가이드돌기(51b)를 삽입하여 스탠드(6)의 녹즙기설치부(62)에 녹즙기기(5)를 배치하고, 상기 스탠드(6)의 믹서설치부(61)에 핸드믹서(1)를 거치하면서 핸드믹서(1)의 지지체(13)를 상술한 바와 같이 녹즙기기(5)의 녹즙뚜껑(53)의 녹즙설치부(53a)에 배치하여 핸드믹서(1)에 전원을 인가하면 핸드믹서(1)를 손으로 잡지않고 식용작물을 투입하는 작업만으로 식용작물로부터 즙을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핸드믹서(1)의 회전력에 의하여 스탠드(6)에 회전력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스탠드(6)의 하부면에 고정된 흡착판(63)에 의하여 스탠드(6)가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본 고안은 착탈거품날(2)을 핸드믹서(1)에 설치하여 통상의 용기에 내장된 액체를 거품화하게 되고, 착탈분쇄날(3)을 핸드믹서(1)에 설치하여 통상의 용기에 내장된 식용작물을 쉽게 분쇄하고, 핸드믹서(1)를 분쇄기기(4)에 연결하여 분쇄기기(4)의 분쇄용기(41) 내의 식용작물을 쉽게 분쇄하며, 핸드믹서(1)를 녹즙기기(5)에 연결하여 식용작물의 즙을 분리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핸드믹서용 요리셋트는 핸드믹서에 착탈거품날과 착탈분쇄날을 연결하여 다양한 용기 내에 있는 액체를 거품화할 수있음과 더불어 식용작물과 요리를 분쇄하고, 핸드믹서를 분쇄기기에 간편하게 연결하여 식용작물을 용이하게 분쇄하고, 핸드믹서를 녹즙기기에 간편하게 연결하여 식용작물로부터 즙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요리 작업을 간편하고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0)

  1. 손잡이를 보유한 본체의 내부에는 회전축을 회전하는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를 감싸는 지지체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체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부가 상호 이격 고정되어 회전축의 선단부보다 더 돌출되며,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 둘레면에는 돌기가 고정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핸드믹서에 있어서,
    핸드믹서의 회전축의 선단부에 착탈되어 회전축과 연동되어 용기 내의 액체에 거품을 발생하는 착탈거품날;
    핸드믹서의 회전축의 선단부에 착탈되어 회전축과 연동되어 용기 내의 식용작물을 분쇄하는 착탈분쇄날;
    핸드믹서의 회전축의 선단부와 클러칭되어 분쇄용기에 내장된 식용작물을 분쇄하는 분쇄기기;
    핸드믹서의 회전축의 선단부와 클러칭되어 내부로 투입되는 식용작물로부터 즙을 분리하는 녹즙기기;
    그리고 핸드믹서를 착탈하게 되는 믹서설치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녹즙기기를 착탈하게 되는 녹즙기설치부가 형성되어 핸드믹서와 녹즙기기를 거치하는 스탠드;
    로 이루어지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거품날은 상기 핸드믹서의 회전축에 착탈되는 거품날축, 그리고 상기 거품날축의 한쪽 단부에 고정되는 거품회전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거품날축이 상기 거품회전판 상에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을 하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날축에는 상기 핸드믹서의 회전축의 둘레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탄성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돌기와 걸림되는 돌기설치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4. 제2항과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거품날축이 상기 거품회전판 상에서 5°- 15°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분쇄날은 상기 핸드믹서의 회전축에 착탈되는 분쇄날축, 그리고 상기 분쇄날축의 한쪽 단부에 고정되는 분쇄날체으로 이루어지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날축에는 상기 핸드믹서의 회전축의 둘레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탄성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돌기와 걸림되는 돌기설치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날체는 분쇄날축과 고정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날부, 제2날부, 제3날부, 제4날부로 이루어지되, 제1날부와 제2날부가 상기 분쇄날축과 연직하게 형성되면서 양방향으로 각각 진행하게 되고, 제3날부가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4날부가 아래로 절곡되어 선단부를 상기 제3날부 쪽으로 향하게 함과 더불어 상기 제1날부와 제2날부와 평행하게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기는 합성수지 재질의 분쇄뚜껑이 합성수지 재질의 분쇄용기의 상부 개구부에 개폐되고, 식용작물을 투입하는 투입구멍이 상기 분쇄뚜껑의 한쪽에 형성되어 마개에 의해 닫히게 되고, 상기 핸드믹서의 선단부에 형성된 지지체와 지지부를 위치시키는 분쇄설치부가 상기 분쇄뚜껑의 중앙부에 함몰 형성됨과 더불어 분쇄날이 설치된 분쇄피동축이 상기 분쇄설치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핸드믹서의 회전축과 클러칭되며, 손잡이가 상기 분쇄용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믹서의 선단부에 형성된 지지부를 걸리게 하는 다수의 회전방지돌기가 상기 분쇄뚜껑의 분쇄설치부 내부면에 상호 이격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피동축에 연결된 분쇄날의 양단부가 V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피동축에 연결된 분쇄날의 양단부가 U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피동축의 중앙부에 회전밀봉체를 설치하되, 상기 분쇄용기의 내부를 향하는 상기 회전밀봉체의 한쪽 면을 확장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밀봉체의 확장된 부분의 면에 상기 분쇄용기 내의 액체를 외부로 유도하는 다수의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하부에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분쇄용기의 내부 공기를 유통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뚜껑의 외측 가장자리의 한쪽에 삽입구멍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삽입구멍과 대향하는 위치에 걸림확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분쇄뚜껑의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상기 분쇄용기의 상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분쇄뚜껑의 걸림확장부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상기 분쇄용기에 삽입돌기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용기의 하단면에 상호 이격 설치되는 고무 재질의 다수의 흡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즙기기는 손잡이를 구비한 제1녹즙용기의 내부에 제2녹즙용기를 배치함과 더불어 상기 제2녹즙용기의 상측 개구부를 녹즙뚜껑으로 덮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고리 형상의 공간이 상기 제1녹즙용기와 제2녹즙용기의 내부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2녹즙용기가 상기 제1녹즙용기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며,
    지지축이 상기 제1녹즙용기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둘레면에 다수의 홈을 형성하고 있는 제1회전체가 상기 지지축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회전체의 둘레면을 감싸는 샤프트커버가 상기 제1녹즙용기의 내부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체에 클리칭되면서 외부 둘레면을 상기 샤프트커버의 외부에 향하게 되는 제2회전체가 분쇄판 및 여과망과 일체로 형성되고, 다수의 분쇄돌기가 상기 분쇄판의 상부면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여과망이 상측으로 향하면서 직경을 크게 하고, 테두리재가 상기 여과망의 상부 가장자리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핸드믹서의 회전축과 클러칭되는 녹즙피동축이 상기 분쇄판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핸드믹서의 선단부에 형성된 지지체와 지지부를 위치시키는 녹즙설치부가 상기 녹즙뚜껑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외부에서 투입되는 식용작물을 상기 분쇄판의 상부면으로 유도하는 가이드파이프가 상기 녹즙뚜껑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됨과 더불어 식용작물을 눌러주는 방망이가 상기 가이드파이프에 삽입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믹서의 선단부에 형성된 지지부를 걸리게 하는 다수의 회전방지돌기가 상기 녹즙뚜껑의 녹즙설치부 내부면에 상호 이격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의 하부면에 상호 이격 설치되는 고무 재질의 다수의 흡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20. 제1항에 있어서,
    유선형상의 돌기가 상기 녹즙기기의 녹즙뚜껑 상부면 양측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유선형상의 돌기가 착탈되는 돌기착탈부가 상기 스탠드의 녹즙기설치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녹즙기기의 제1녹즙용기의 바닥에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돌기를 안내하는 두 개의 가이드홈이 상기 스탠드의 녹즙기설치부의 바닥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KR2020020006287U 2002-02-26 2002-02-26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KR2002756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287U KR200275664Y1 (ko) 2002-02-26 2002-02-26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287U KR200275664Y1 (ko) 2002-02-26 2002-02-26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579A Division KR100417535B1 (ko) 2002-01-08 2002-01-08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664Y1 true KR200275664Y1 (ko) 2002-05-11

Family

ID=7307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287U KR200275664Y1 (ko) 2002-02-26 2002-02-26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6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975B1 (ko) * 2013-09-12 2014-12-29 주식회사 부원생활가전 핸드믹서기의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975B1 (ko) * 2013-09-12 2014-12-29 주식회사 부원생활가전 핸드믹서기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43976C (en) Removable food processing tool support system for blenders, food processors, grinders and similar apparatus
US8425107B2 (en) Blender with stirring disk
CN109091033A (zh) 料理机用搅拌杯组件及包括该搅拌杯组件的料理机
EP3316750B1 (en) Food processing apparatus
KR101675340B1 (ko) 교체 가능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믹서기
KR100417535B1 (ko)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KR101628633B1 (ko) 얼음분쇄겸용 음식물 믹서기
KR200275664Y1 (ko) 핸드믹서용 요리셋트
KR20160004201U (ko) 진공 믹서기용 보조용기
CN209074298U (zh) 搅拌座组件、搅拌杯组件及料理机
CN210697342U (zh) 一种可拆刀组件及食品机
KR101688886B1 (ko) 믹서기
JP3191494U (ja) スティック付きアイス加工機
KR200474168Y1 (ko) 다각 믹서기
KR100789417B1 (ko) 다기능 분쇄기
US11744396B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agitating coffee grounds
KR200349209Y1 (ko) 가열장치가 구비된 믹서기
KR200245651Y1 (ko) 쌀겨분리기 겸용 푸드믹서기
KR20110038435A (ko) 탈 부착형 거름망을 구비하는 믹서기
KR20160023426A (ko) 전기믹서기의 구동축 및 분쇄커터의 체결 구조
KR101681946B1 (ko)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믹서기
CN110051241A (zh) 发热盘组件及包括该发热盘组件的料理机
CN211834064U (zh) 料理机用主机和料理机
CN211834062U (zh) 料理机用主机和料理机
CN211834081U (zh) 杯盖组件及料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