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078Y1 - 탈수방식 쥬서기의 커버 구조 - Google Patents

탈수방식 쥬서기의 커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078Y1
KR200155078Y1 KR2019970020602U KR19970020602U KR200155078Y1 KR 200155078 Y1 KR200155078 Y1 KR 200155078Y1 KR 2019970020602 U KR2019970020602 U KR 2019970020602U KR 19970020602 U KR19970020602 U KR 19970020602U KR 200155078 Y1 KR200155078 Y1 KR 2001550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juicer
outer cover
inner cov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087U (ko
Inventor
이원익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20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078Y1/ko
Publication of KR199900070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0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0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0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7Centrifugal ex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탈수방식 쥬서기의 커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 커버(1)와, 상기 외측 커버(1)의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공간(2)을 형성하며 설치되는 내측 커버(3)와, 상기 외측 커버(1)와 내측 커버(3)가 일체로 결합되는 상태와 서로 분리되는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분리수단으로 구성된 쥬서기의 커버 구조를 제공하여, 쥬서기를 사용할 때에는 쥬서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2중으로 차단하여 소음차단효과가 상승되도록 하며, 쥬서기의 사용 후에는 외측 커버(1)와 내측 커버(3)를 분리하여 세척이 용이한 간단한 구조의 내측 커버(3)만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세척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탈수방식 쥬서기의 커버 구조
본 고안은 과일이나 야채의 즙을 내는 쥬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심분리식 탈수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쥬서기의 구성품 중 쥬서기의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갈아서 사용하도록 하는 장치에는 쥬서기와 믹서기 및 분쇄기 등이 있는 바, 상기 쥬서기는 음식물을 갈아 고체성분을 가진 입자와 액체성분을 가진 즙으로 분리하여 즙만을 추출해내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믹서기는 한 종류 혹은 다종의 음식물을 동일 용기 내에서 갈아 혼합하며 상기 쥬서기와는 달리 액체성분을 따로 분리해내지 않는 경우에 사용된다.
또한, 상기한 분쇄기는 액체성분이 거의 없는 음식물의 분말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하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쥬서기나 믹서기 또는 분쇄기는 최근 식생활 문화의 고급화추세에 따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으로 제조되고 있는 바, 그 일 예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쥬서기와 믹서기 및 분쇄기의 기능이 하나로 겸비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다기능을 겸비한 제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상기한 쥬서기나 믹서기 및 분쇄기가 기본적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회전력 제공수단을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며, 상기한 회전력 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얻어 음식물을 미세하게 조각낼 수 있는 회전칼날 및 이와 유사한 회전부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에 따라서 각각 쥬서기나 믹서기 또는 분쇄기로 구분되기 때문이다.
즉, 기본적으로 쥬서기나 믹서기 및 분쇄기는 음식물을 보다 작은 입자상태로 조각내는 것을 기본적인 기능으로 가지고 있고, 여기에 즙을 짜내는 기능이나 보다 미세한 입자로 조각낼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또는 보다 견고한 물체를 조각내기에 적합한 구조 등을 첨가하여 각각의 특성을 가진 제품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기본적인 동력원인 회전력 제공수단을 공통으로 하여 각각의 다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부품을 대체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기능을 겸비한 하나의 제품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목적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회전력 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각내고, 여기에서 액체성분인 즙만을 추출해내는 쥬서기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상기한 회전력 제공수단으로 가정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전기모터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도시된 바, 전기의 힘으로 회전 작동하는 전기모터(51)를 외측에서 지지함과 아울러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52)와, 상기 몸체(52)의 전기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원심분리탱크(53)와, 상기 원심분리탱크(53)로 음식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재료 투입구(54)를 구비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상기 회전되는 원심분리탱크(53)를 격리하여 안전사고 및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55)와, 상기 커버(55)의 재료 투입구(54)를 통하여 투입된 음식물을 압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 압입봉(56)과, 상기와 같이 압입봉(56)의 도움을 받아 원심분리탱크(53)의 내측에 삽입되어 갈려지는 음식물의 찌꺼기를 걸러내기 위한 필터(57)와, 상기 필터(57)와 원심분리탱크(53)에 의해 찌꺼기와 분리되어 추출되는 즙이 한 곳으로 모이도록 하는 쥬서 가이드(58)와, 상기 쥬서 가이드(58)에 모여지는 즙을 받는 쥬스 용기(5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원심분리탱크(53)와 몸체(52)에 고정된 전기모터(51)와의 동력 연결은 상호간 회전방향의 운동은 제한되고 마주하는 직선방향 운동은 자유로운 결합구조로 하여 상기 몸체(52)와 원심분리탱크(53)와의 분해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한 원심분리탱크(53)의 내측에는 실제로 음식물을 조각내기 위한 회전칼날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쥬서기는 상기 몸체(52)에 마련된 전원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함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는 바, 전원스위치가 온(on)상태로 되면 전기모터(51)가 회전되어 상기한 원심분리탱크(53)를 회전시키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회전되는 원심분리탱크(53)에 상기한 압입봉(56)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투입하면 상기 원심분리탱크(53)의 회전칼날이 투입되는 음식물을 조각내며, 상기와 같이 작은 입자로 부서지는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즙은 상기 원심분리탱크(53)의 회전에 따라 원심력을 받아 상기 원심분리탱크(53)의 외측으로 추출된다.
즉, 잘게 부서진 음식물은 고체성분과 액체성분이 섞인 상태로 되어 상기 회전되는 원심분리탱크(53)에 의해 원심력을 받아 원심분리탱크(53)의 내측벽쪽으로 이동되며, 상기 원심분리탱크(53)의 내측벽에 위치하는 필터(57)에 의해 상기 고체성분은 걸러지고 나머지 액체성분만이 즙으로 상기 필터(57) 및 원심분리탱크(53)의 구멍을 통해 원심분리탱크(53)의 외부로 유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추출된 즙은 상기한 쥬서 가이드(58)에 의해 일정한 위치로 모여서 상기 쥬스용기(59)의 내부로 유도되어 사용자가 상기한 쥬스용기(59)에 모여진 즙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쥬서기에서 상기 커버(55)의 역할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커버(55)는 상기 원심분리탱크(53)의 내부에서 투입된 음식물을 잘게 부수고 필터(57)를 사용하여 원심력에 의해 고체성분과 액체성분을 분리하는 작동이 이루어질 때, 외부로부터 상기 원심분리탱크(53)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재료 투입구(54)를 통한 음식물의 투입만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고속으로 회전하는 원심분리탱크(53)로부터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원심분리탱크(53)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직접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하는 다양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커버(55)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원심분리탱크(53)에서 갈려지면서 튀어나가는 음식물 조각은 그대로 커버(55)의 내측면에 붙게 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쥬서기를 사용한 후에는 반드시 상기 커버(55)도 세척을 해야하는 바, 상기 커버(55)는 상기한 바와 같은 소음 방지 및 이물질 유입방지의 기능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제품의 미려한 외관을 고려하여 그 형상이 결정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한 것이 일반적이어서, 세척시 세척작업이 비교적 용이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는 전기모터(51) 및 원심분리탱크(53)에서 발생되는 작동소음이 직접 한 겹의 커버(55)에 의해서만 차단되는 상태이므로 많은 양의 소음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피할 수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원심분리탱크 및 전기모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쥬서기의 사용후 세척작업이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탈수방식 쥬서기의 커버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탈수방식 쥬서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탈수방식 쥬서기의 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탈수방식 쥬서기의 커버가 도시된 단면 구조도,
도 4는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의 결합분리수단의 일 예가 도시된 도면,
도 5a는 내측 커버의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외측 커버 3: 내측 커버
4: 관측창 5: 회전 걸림 돌기
6: 회전 걸림 홈 7: 회전 돌출단
51: 전기모터 53: 원심분리탱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탈수방식 쥬서기의 커버 구조는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 커버와, 상기 외측 커버의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며 설치되는 내측 커버와, 상기 외측 커버와 내측 커버가 일체로 결합되는 상태와 서로 분리되는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분리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종래 기술과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탈수방식 쥬서기의 필터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 커버(1)와, 상기 외측 커버(1)의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공간(2)을 형성하며 설치되는 내측 커버(3)와, 상기 외측 커버(1)와 내측 커버(3)가 일체로 결합되는 상태와 서로 분리되는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분리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측 커버(1)에는 내부의 원심분리탱크(53) 작동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의 관측창(4)을 형성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기 내측 커버(3)는 상기 관측창(4)을 통한 원심분리탱크(53)의 작동상태 관측이 가능하도록 투명체로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결합분리수단은 커버의 재료투입구(54)를 형성하는 수직관로 부분에서 상기 외측 커버(1)와 내측 커버(3)의 상대회전에 의해 결합상태와 분리상태가 전환될 수 있도록 구성한 바, 도 4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외측 커버(1)와 내측 커버(3)를 서로 수직방향으로 끼워넣으면 일정한 깊이만큼 서로 삽입되고, 상기와 같이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내측 커버(3)와 외측 커버(1) 상호간에 형성된 회전 걸림 돌기(5) 및 회전 걸림 홈(6)이 서로 결합되어 상기와 같이 상호 결합된 상태가 용이하게 해체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구조이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결합분리수단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이외에 나사식의 체결방법 등과 같이 외측 커버(1)와 내측 커버(3)의 결합상태와 분리상태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분리수단은 상기 내측 커버(3)의 하측 가장자리에 도 5a 및 도 5b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회전 돌출단(7)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 돌출단(7)이 외측 커버(1)에 대해 회전되면서 결합된 상태와 분리된 상태가 전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외측 커버(1)와 내측 커버(3)의 결합상태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심분리탱크(53)가 전기모터(51)로부터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되면서 내장된 회전칼날에 의해 투입되는 재료가 잘게 부서져 고체성분과 액체성분이 혼합된 상태로 되면 상기와 같이 갈려진 재료는 상기 원심분리탱크(53)로부터 전달받는 회전력에 의해 원심분리탱크(53)의 외측으로 벗어나려는 원심력을 받게 되는 바, 고체성분은 상기 원심분리탱크(53)에 설치된 필터(5)에 의해 걸러지고 액체성분만이 상기 필터(5) 및 원심분리탱크(53)를 통과하여 쥬서 가이드(58)로 모이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쥬서 가이드를 통해 나오는 즙을 쥬스용기(59)에 받아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원심분리탱크(53)내에서 작은 입자로 갈려지면서 원심력을 받는 음식물의 조각 중에는 상기 원심분리탱크(53)의 상측방향으로 튀어 나가는 것도 있는 바, 상기한 바와 같이 원심분리탱크(53)의 상측방향으로 튀어나가는 조각은 상기한 내측 커버(3)에 부딪혀 상기 외측 커버(1)에는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쥬서기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커버(1)에는 재료의 조각이 붙지 않게 되고, 쥬서기의 작동중 발생되는 내측의 음식물 조각을 상기 내측 커버(3)가 차단하게 되므로, 쥬서기의 사용이 끝난 뒤에는 상기 외측 커버(1)와 내측 커버(3)를 서로 분리하여 상기 내측 커버(3)만을 세척함으로써 세척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내측 커버(3)는 외측 커버(1)와 같이 제품의 외관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간단한 구조로 형성하여 세척의 용이성을 극대화한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서는 전기모터(51)와 원심분리탱크(53)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상기 외측 커버(1)로 직접 전달되지 않고, 상기 내측 커버(3)에 의해서 1차적으로 차단된 후, 상기 내측 커버(3)를 통과하는 소음에 대해서는 상기 외측 커버(1)에서 2차적인 차단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전기모터(51)와 원심분리탱크(53)의 작동시에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탈수방식 쥬서기의 커버 구조는 쥬서기를 사용할 때에는 쥬서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2중으로 차단하여 소음차단효과가 상승되도록 하며, 쥬서기의 사용후에는 외측 커버(1)와 내측 커버(3)를 분리하여 세척이 용이한 간단한 구조의 내측 커버(3)만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세척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 커버(1)와, 상기 외측 커버(1)의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며 설치되는 내측 커버(3)와, 상기 외측 커버(1)와 내측 커버(3)가 일체로 결합되는 상태와 서로 분리되는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분리수단(5)(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방식 쥬서기의 커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1)에는 내부의 원심분리탱크(53) 작동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의 관측창(4)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커버(3)는 상기 관측창(4)을 통한 원심분리탱크(53)의 작동상태 관측이 가능하도록 투명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방식 쥬서기의 커버 구조.
KR2019970020602U 1997-07-31 1997-07-31 탈수방식 쥬서기의 커버 구조 KR2001550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602U KR200155078Y1 (ko) 1997-07-31 1997-07-31 탈수방식 쥬서기의 커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602U KR200155078Y1 (ko) 1997-07-31 1997-07-31 탈수방식 쥬서기의 커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087U KR19990007087U (ko) 1999-02-25
KR200155078Y1 true KR200155078Y1 (ko) 1999-08-16

Family

ID=1950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602U KR200155078Y1 (ko) 1997-07-31 1997-07-31 탈수방식 쥬서기의 커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07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889B1 (ko) 2013-10-17 2014-06-17 진기용 믹서기용 액체순환커버
KR101399590B1 (ko) 2013-10-17 2014-06-27 진기용 믹서기용 액체순환커버
KR101399589B1 (ko) 2013-10-17 2014-08-06 주식회사 해피콜 믹서기용 액체순환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0115A (zh) * 2022-08-17 2022-09-30 佛山市小熊厨房电器有限公司 一种消音盖组件、料理机及消音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889B1 (ko) 2013-10-17 2014-06-17 진기용 믹서기용 액체순환커버
KR101399590B1 (ko) 2013-10-17 2014-06-27 진기용 믹서기용 액체순환커버
KR101399589B1 (ko) 2013-10-17 2014-08-06 주식회사 해피콜 믹서기용 액체순환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087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6631C (en) A soymilk machine/juicer with grinding function
CN113811229A (zh) 用于制作汁液或植物奶的离心式饮料制备机
KR200155078Y1 (ko) 탈수방식 쥬서기의 커버 구조
JP2008048881A (ja) ジュースミキサー
KR200155079Y1 (ko) 쥬서/믹서기의 소음 저감구조
KR19990003371U (ko) 탈수방식 쥬서기의 필터 구조
KR200160085Y1 (ko)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
KR100228200B1 (ko)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
KR19990003370U (ko) 탈수방식 쥬서기의 쥬서 가이드 설치구조
KR19990016782U (ko)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
KR200377611Y1 (ko) 추출구 잠금마개를 장착한 쥬서기
KR19990007090U (ko) 쥬서/믹서기의 전기모터 지지구조
KR19990016781U (ko)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
KR19990016780U (ko)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
KR19990003369U (ko) 탈수방식 쥬서기의 원심분리탱크 구조
KR200329310Y1 (ko) 믹서기
RU2782668C1 (ru) Центроб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для получения сока или растительного молока
KR20020046882A (ko) 쥬스기.
KR200289845Y1 (ko) 미니믹서
CN208865495U (zh) 一种家庭用多功能搅拌机
KR100883369B1 (ko) 소채류 분쇄장치
KR200368488Y1 (ko) 주스제조기용 절단부재의 구조
KR19990016778U (ko) 주서/믹서의 모터 진동 감쇠구조
KR19990016788U (ko) 주서의 착즙구조
KR100228201B1 (ko) 주서/믹서의 회전식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