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6782U -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782U
KR19990016782U KR2019970030256U KR19970030256U KR19990016782U KR 19990016782 U KR19990016782 U KR 19990016782U KR 2019970030256 U KR2019970030256 U KR 2019970030256U KR 19970030256 U KR19970030256 U KR 19970030256U KR 19990016782 U KR19990016782 U KR 199900167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r
juice
centrifugation tank
cov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관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0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6782U/ko
Publication of KR199900167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782U/ko

Links

Landscapes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커버와 쥬서 가이드로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에서 원심분리탱크의 회전에 의해 즙을 추출하는 쥬서기에서, 상기 원심분리탱크(53)의 외측을 둘러싸면서 그 높이가 원심분리탱크(53)의 상단보다 높은 상태로 원심분리탱크(53)와 커버(55)를 격리하도록 상기 쥬서 가이드(58)에 차단벽(1)이 더 설치되어 구성된 누수 방지구조를 제공하여, 원심분리탱크(53)로부터 빠져나오는 즙이 커버(55)와 쥬서 가이드(58)의 결합부분에 이르기 전에 상기 차단벽(1)에 의해서 차단되어 쥬서 가이드(58)로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커버(55)와 쥬서 가이드(58) 사이에서 발생하던 누수 현상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즙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쥬서기 외관의 청결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
본 고안은 과일이나 야채와 같은 음식물의 즙을 내는 쥬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심분리식 탈수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쥬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갈아서 사용하도록 하는 장치에는 쥬서기와 믹서기 및 분쇄기 등이 있는 바, 상기 쥬서기는 음식물을 갈아 고체성분을 가진 입자와 액체성분을 가진 즙으로 분리하여 즙만을 추출해내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믹서기는 한 종류 혹은 다종의 음식물을 동일 용기 내에서 갈아 혼합하며 상기 쥬서기와는 달리 액체성분을 따로 분리해내지 않는 경우에 사용된다.
또한, 상기한 분쇄기는 액체성분이 거의 없는 음식물의 분말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하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쥬서기나 믹서기 또는 분쇄기는 최근 식생활 문화의 고급화추세에 따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으로 제조되고 있는 바, 그 일 예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쥬서기와 믹서기 및 분쇄기의 기능이 하나로 겸비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다기능을 겸비한 제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상기한 쥬서기나 믹서기 및 분쇄기가 기본적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회전력 제공수단을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며, 상기한 회전력 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얻어 음식물을 미세하게 조각낼 수 있는 회전칼날 및 이와 유사한 회전부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에 따라서 각각 쥬서기나 믹서기 또는 분쇄기로 구분되기 때문이다.
즉, 기본적으로 쥬서기나 믹서기 및 분쇄기는 음식물을 보다 작은 입자상태로 조각내는 것을 기본적인 기능으로 가지고 있고, 여기에 즙을 짜내는 기능이나 보다 미세한 입자로 조각낼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또는 보다 견고한 물체를 조각내기에 적합한 구조 등을 첨가하여 각각의 특성을 가진 제품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기본적인 동력원인 회전력 제공수단을 공통으로 하여 각각의 다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부품을 대체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기능을 겸비한 하나의 제품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목적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회전력 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각내고, 여기에서 액체성분인 즙만을 추출해내는 쥬서기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상기한 회전력 제공수단으로 가정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전기모터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도시된 바, 전기의 힘으로 회전 작동하는 전기모터(51)를 외측에서 지지함과 아울러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52)와, 상기 몸체(52)의 전기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원심분리탱크(53)와, 상기 원심분리탱크(53)로 음식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재료 투입구(54)를 구비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상기 회전되는 원심분리탱크(53)를 격리하여 안전사고 및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55)와, 상기 커버(55)의 재료 투입구(54)를 통하여 투입된 음식물을 압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 압입봉(56)과, 상기와 같이 압입봉(56)의 도움을 받아 원심분리탱크(53)의 내측에 삽입되어 갈려지는 음식물의 찌꺼기를 걸러내기 위한 필터(57)와, 상기 필터(57)와 원심분리탱크(53)에 의해 찌꺼기와 분리되어 추출되는 즙이 한 곳으로 모이도록 하는 쥬서 가이드(58)와, 상기 쥬서 가이드(58)에 모여지는 즙을 받는 쥬스 용기(5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원심분리탱크(53)와 몸체(52)에 고정된 전기모터(51)와의 동력 연결은 상호간 회전방향의 운동은 제한되고 마주하는 직선방향 운동은 자유로운 결합구조를 가지는 커플링을 사용하여 상기 몸체(52)와 원심분리탱크(53)와의 분해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한 원심분리탱크(53)의 내측에는 실제로 음식물을 조각내기 위한 회전칼날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쥬서기는 상기 몸체(52)에 마련된 전원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함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는 바, 전원스위치가 온(on)상태로 되면 전기모터(51)가 회전되어 상기한 원심분리탱크(53)를 회전시키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회전되는 원심분리탱크(53)에 상기한 압입봉(56)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투입하면 상기 원심분리탱크(53)의 회전칼날이 투입되는 음식물을 조각내며, 상기와 같이 작은 입자로 부서지는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즙은 상기 원심분리탱크(53)의 회전에 따라 원심력을 받아 상기 원심분리탱크(53)의 외측으로 추출된다.
즉, 잘게 부서진 음식물은 고체성분과 액체성분이 섞인 상태로 되어 상기 회전되는 원심분리탱크(53)에 의해 원심력을 받아 원심분리탱크(53)의 내측벽쪽으로 이동되며, 상기 원심분리탱크(53)의 내측벽에 위치하는 필터(57)에 의해 상기 고체성분은 걸러지고 나머지 액체성분만이 즙으로 상기 필터(57) 및 원심분리탱크(53)의 구멍을 통해 원심분리탱크(53)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추출된 즙은 상기한 쥬서 가이드(58)에 의해 일정한 위치로 모여서 상기 쥬스용기(59)의 내부로 유도되어 사용자가 상기한 쥬스용기(59)에 모여진 즙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쥬서기는 상기 원심분리탱크(53) 및 필터(57)의 고속회전에 의해 즙이 추출되므로, 상기와 같이 추출되는 즙은 강한 원심력의 영향으로 상기 원심분리탱크(53)의 내벽면에 부딪힌 후 일부는 원심분리탱크(53)의 상부로 빠져나오기도하고 대부분은 원심분리탱크(53)의 하측에 마련된 구멍으로 빠져나와 쥬서 가이드(58)로 가이드되는 과정에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커버(55)의 내측벽면에 강한 압력으로 부딪히게 된다.
그런데, 현재의 쥬서기 구조에서는 커버(55)와 쥬서 가이드(58)의 결합구조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5)와 쥬서 가이드(58)에 각각 형성된 단순한 결합단(55a,58a)이 서로 엇갈리게 끼워진 단순 결합구조이므로, 상기와 같이 커버(55)의 내측벽면에 강한 압력으로 작용하는 즙은 상기 커버(55)와 쥬서 가이드(58)가 결합되는 부위의 틈새 및 커버(55)와 몸체(52)가 이루는 틈새를 통해 쉽게 쥬서기의 외부로 누출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쥬서기의 작동중 원심분리탱크에서 분리된 즙이 쥬서기의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도록 하여 만들어진 즙의 손실을 저감하고 쥬서기의 청결한 외관을 확보하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탈수방식 쥬서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과 같은 탈수방식 쥬서기의 커버와 쥬서가이드 결합구조 및 누수상태를 개략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쥬서기 누수 방지구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단벽 53: 원심분리탱크
55: 커버 58: 쥬서 가이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는 커버와 쥬서 가이드로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에서 원심분리탱크의 회전에 의해 즙을 추출하는 쥬서기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탱크의 외측을 둘러쌀 수 있으며 그 높이가 원심분리탱크의 상단보다 높은 상태로 원심분리탱크와 커버를 격리하도록 상기 쥬서 가이드에 설치된 차단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종래 기술과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에 비하여 원심분리탱크(53)의 외측을 둘러싸면서 그 높이가 원심분리탱크(53)의 상단보다 높은 상태로 원심분리탱크(53)와 커버(55)를 격리하도록 상기 쥬서 가이드(58)에 차단벽(1)이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단벽(1)은 각각의 쥬서기 모델에 따라 그 크기 및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상기 원심분리탱크(53)에서 원심력을 받아 원주방향 외측으로 이동되는 즙을 1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특히, 상기 차단벽(1)의 높이를 원심분리탱크(53)의 상단 높이보다 높게 한 것은 원심분리탱크(53)의 상단으로부터 빠나오는 즙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심분리탱크(53)의 회전에 의해 필터(57) 내부의 음식물로부터 추출되는 즙이 상기 원심분리탱크(53)의 내벽에 부딪힌 후 쥬서 가이드(58)로 가이드되는 도중 원심력에 의해서 즙의 일부가 원주방향으로 유출되면 즙은 커버(55)와 쥬서 가이드(58)의 결합부분에 이르기 전에 상기 차단벽(1)의 내측벽면에 부딪혀서 원주방향 외측으로의 진행이 차단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즙이 차단벽(1)에 부딪히면 원심분리탱크(53)에서 받은 강한 원심력이 크게 감소되어 더 이상 원주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즙은 부딪혔던 차단벽(1)을 타고 하측으로 이동되어 쥬서 가이드(58)로 가이드 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서는 원심분리탱크(53)로부터 빠져나오는 즙이 커버(55)와 쥬서 가이드(58)의 결합부분에 이르기 전에 차단벽(1)에 의해서 차단되어 쥬서 가이드(58)로 유도되므로 종래의 커버(55)와 쥬서 가이드(58) 사이에서 발생하던 누수 현상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즙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쥬서기 외관의 청결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커버와 쥬서 가이드로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에서 원심분리탱크의 회전에 의해 즙을 추출하는 쥬서기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탱크의 외측을 둘러쌀 수 있으며 그 높이가 원심분리탱크의 상단보다 높은 상태로 원심분리탱크와 커버를 격리하도록 상기 쥬서 가이드에 설치된 차단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
KR2019970030256U 1997-10-30 1997-10-30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 KR1999001678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256U KR19990016782U (ko) 1997-10-30 1997-10-30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256U KR19990016782U (ko) 1997-10-30 1997-10-30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782U true KR19990016782U (ko) 1999-05-25

Family

ID=69680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256U KR19990016782U (ko) 1997-10-30 1997-10-30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678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3995B2 (en) Juicer with soymilk grinding function
US5405096A (en) Multipurpose pulverizer
KR101470323B1 (ko) 음식물 처리기
KR101708705B1 (ko) 주방 기기
WO2014048097A1 (zh) 榨汁机
CN113811229A (zh) 用于制作汁液或植物奶的离心式饮料制备机
KR200155078Y1 (ko) 탈수방식 쥬서기의 커버 구조
KR200155079Y1 (ko) 쥬서/믹서기의 소음 저감구조
JP2008048881A (ja) ジュースミキサー
KR200160085Y1 (ko)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
KR19990016782U (ko)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
KR100228200B1 (ko)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
KR20140147917A (ko) 분리회전형 주서기
KR19990016780U (ko)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
KR19990003371U (ko) 탈수방식 쥬서기의 필터 구조
KR200377611Y1 (ko) 추출구 잠금마개를 장착한 쥬서기
KR19990007090U (ko) 쥬서/믹서기의 전기모터 지지구조
KR19990016781U (ko) 쥬서기의 누수 방지구조
KR19990003370U (ko) 탈수방식 쥬서기의 쥬서 가이드 설치구조
KR200413917Y1 (ko) 두유제조장치
KR19990003369U (ko) 탈수방식 쥬서기의 원심분리탱크 구조
RU2782668C1 (ru) Центроб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для получения сока или растительного молока
KR20020046882A (ko) 쥬스기.
KR20000036367A (ko) 걸름망을 갖는 주서컵
KR102162080B1 (ko) 순환식 믹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