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148B1 -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 - Google Patents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148B1
KR100365148B1 KR1020000022283A KR20000022283A KR100365148B1 KR 100365148 B1 KR100365148 B1 KR 100365148B1 KR 1020000022283 A KR1020000022283 A KR 1020000022283A KR 20000022283 A KR20000022283 A KR 20000022283A KR 100365148 B1 KR100365148 B1 KR 100365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driving means
injection molding
product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9735A (ko
Inventor
임성근
김윤하
Original Assignee
김윤하
임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하, 임성근 filed Critical 김윤하
Priority to KR1020000022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148B1/ko
Publication of KR20000049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1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40Bags with partitions or club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10Stands for golf clubs, e.g. for use on the course ; Golf club holders, racks or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404Covers or hoods for golf ba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사출성형기의 적소에 고정 설치되어 지지대 역활을 하는 밑판(1); 상기 밑판의 적소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하 작동되는 제1구동수단(10); 제1구동수단의 선택적인 구동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는 하부금형(20);제품을 성형하는 일측의 하부수지금형(21)과 타측의 하부고무금형(22); 클램프를 축을 중심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회전 작동시키는 제2구동수단(30); 하단은 상기 밑판에 고정되고, 상단은 하부금형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금형이 하강함에 따라 상부로 돌출되어 제품을 낙하시키는 밀판(23); 제품이송부재에 의해 일차로 성형된 제품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3구동수단(40); 사출성형기에 구비된 구동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하로 작동되는 상부금형(60); 하부수지금형 및 하부고무금형과 상호 맞닿은 상태에서 제품을 성형하는 일측의 상부수지금형(61)과 타측의 상부고무금형(62); 상기 상부금형과 상호 연통되게 제1, 제2의 수지공급로가 형성되는 동시에 제2수지공급로에는 에어공급부가 구비되고 상부금형의 상단 중앙에는 합성수지공급부가 구비된 케이스(70);고무공급로의 입구에는 고무공급부(76)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은 상하로 동작되는 금형에 의해 한번의 싸이클로 다중 색상과 다중 재료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작업공정의 개선으로 제품의 생산성 향상과 완성된 제품이 후가공이 필요 없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A METALLIC MOLD OF MULTI INJECTION MOLDING}
본 발명은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로 동작되는 금형에 의해 한번의 싸이클로 다중 색상과 다중 재료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작업공정의 개선으로 제품의 생산성 향상과 완성된 제품이 후가공이 필요 없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금형(金型)은 주형(鑄型)이나 플라스틱 성형에 사용하는 금속제 형틀로, 금속을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주형에 주입하여 일정한 형태의 제품을 만들거나 또는 플라스틱 성형법의 일종으로 수지(樹脂)를 형틀에 주입하여 굳히는 것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금형을 이용하여 종래에는 금형의 모양에 따라 여러 모양의 사출물을 제조하였던 것이나, 이는 사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한싸이클내에서 다중색상과 다중 재료를 성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즉, 종래에는 다중 색상과 다중 재료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일차로 하나의 색상과 하나의 재료로만으로 사출물을 제조한 후 다시 다른 색상과 다른 재료를 2차로 성형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음은 물론 2차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금형의 초정밀성을 요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로터리식 성형용 금형이 있었으나, 완성된 제품의 끝마무리가 매끈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품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마무리 가공 작업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 등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하로 동작되는 금형에 의해 한번의 싸이클로 다중 색상과 다중 재료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제2목적은 작업공정의 개선으로 작업성과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이로 인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완성된 제품이 후가공이 필요 없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지를 형틀에 주입하여 굳히는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사출성형기의 적소에 고정 설치되어 지지대 역활을 하는 밑판; 상기 밑판의 적소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하 작동되는 제1구동수단; 상기 제1구동수단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제1구동수단의 선택적인 구동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내부에 다수개 설치되며, 제품을성형하는 일측의 하부수지금형과 타측의 하부고무금형; 상기 밑판의 적소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하 작동되며, 클램프를 축을 중심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회전 작동시키는 제2구동수단; 하단은 상기 밑판에 고정되고, 상단은 하부금형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금형이 하강함에 따라 상부로 돌출되어 제품을 낙하시키는 밀판; 상기 하부금형의 일측 적소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제품이송부재에 의해 일차로 성형된 제품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3구동수단; 상기 하부금형의 상단에 구비되며, 사출성형기에 구비된 구동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하로 작동되는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의 내부에 다수개 설치되며, 하부수지금형 및 하부고무금형과 상호 맞닿은 상태에서 제품을 성형하는 일측의 상부수지금형과 타측의 상부고무금형; 상기 상부금형과 상호 연통되게 제1, 제2의 수지공급로가 형성되는 동시에 제2수지공급로에는 에어공급부가 구비되고 상부금형의 상단 중앙에는 합성수지공급부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상부금형과 상호 연통되게 내부 적소에는 고무공급로가 형성되며, 고무공급로의 입구에는 고무공급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를 칫솔 성형용 금형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를 칫솔 성형용 금형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 은 상기 도 2 의 A-A선 부분 정단면도.
도 4 의 (a)∼(k)는 본 발명에 적용된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를 이용하여 칫솔의 머리부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구조에 관한 일실시예로,
(a)는 분해사시도이고,
(b)는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6 은 상기 도 2 의 B-B선 부분 단면도.
도 7 은 상기 도 2 의 C-C선 부분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에 의해 제조된 칫솔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를 칫솔 성형용 금형에적용한 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밑판 10 : 제1구동수단
20 : 하부금형 30 : 제2구동수단
40 : 제3구동수단 50 : 제품이송부재
60 : 상부금형 70 : 케이스
80 : 요홈성형금형
본 발명에 적용된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는 도 1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으로서, 여기서 부호 1은 사출성형기(도면상 미 도시됨)의 적소에 고정 설치되어 지지대 역활을 하는 밑판이다.
상기 밑판(1)의 적소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하 작동되는 제1구동수단(10)이 구비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구동수단(10)이 유압실린더(11)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그 이외의 다른 구동수단으로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구동수단(10)의 상단에는 이 제1구동수단(10)의 선택적인 구동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는 하부금형(20)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 하부금형(20)의 내부에는 제품을 성형할 수 있도록 일측에 하부수지금형(21)과 타측에 하부고무금형(22)이 구비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밑판(1)의 적소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하 작동되며, 클램프(33)를 축(32)을 중심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회전 작동시키는 제2구동수단(30)이 구비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 제2구동수단(30)의 구동수단을 유압실린더(31)로 구성하였으나 다른 구동수단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31)의 상단에는 랙크(35)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 랙크(35)는 축(34)의 외주면에 축설된 피니언(34)과 상호 맞물리게 설치된다.
한편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클램프(33)를 랙크(35)와 피니언(34)에 의한 작동 이외에 축(32)의 일단에 모터(도면상 미 도시함)를 설치하여 이 모터의 정역 구동에 의해 상기 클램프(33)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2구동수단(30)인 유압실린더(31)의 상단에 캠이나 링크를 설치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하단은 상기 밑판(1)에 고정되고 상단은 하부금형(20)의내부에 삽입되어 하부금형(20)이 하강함에 따라 상부로 돌출되어 제품을 낙하시키는 밀판(23)이 구비된다.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하부금형(20)의 일측 적소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제품이송부재(50)에 의해 일차로 성형된 제품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3구동수단(40)이 구비되는 것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제3구동수단(40)을 공압실린더(41)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나 그 이외의 다른 구동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품이송부재(50)에는 제품을 지지하면서 일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지지구(51)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하부금형(20)의 상단에 사출성형기에 구비된 구동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하로 작동되는 상부금형(60)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 상부금형(60)의 내부에는 하부수지금형(21) 및 하부고무금형(22)과 상호 맞닿은 상태에서 제품을 성형하는 일측의 상부수지금형(61)과 타측의 상부고무금형(62)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상부금형(60)과 상호 연통되게 제1, 제2의 수지공급로(71)(72)가 형성되는 동시에 제2수지공급로(72)에는 에어공급부(73)가 구비되고, 상부금형(60)의 상단 중앙에는 합성수지공급부(74)가 구비된 케이스(70)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상부금형(60)과 상호 연통되게 내부 적소에는 고무공급로(75)가 형성되고 이 고무공급로(75)의 입구에는 고무공급부(76)가 구비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본원 발명은 상기 하부수지금형(21)과 하부금형(20)의 적소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선택적인 작동에 의해 제품에 소정 형상의 요홈을 형성하는 요홈성형금형(80)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 요홈성형금형(80)은 고정구(81)와이동구(85)로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구(81)는 상단 적소에 일정 간격으로 상부로 돌출되게 다수의 핀(83)과 스프링(84)이 구비되는 동시에 내부 양측면에 어느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돌기(82)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구(85)는 양측에 상기 일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돌기(82)에 끼워져 슬라이드 작동되게 가이드홈(86)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 8 은 본원 발명에 의해 제조된 칫솔로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칫솔을 본원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은 다양한 사출물을 제작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본원 발명은 도 4 의 (a) 내지 (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하는 것이다.
즉, 도 4 의 (a)는 본원 발명의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가 워밍업을 하기 위해 작동하는 것으로, 1차로 상부금형(60)이 열리게 되는 것이며 이는 도면상 미 도시된 사출기에 구비된 구동수단에 의해 작동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4 의 (b)에서는 2차로 제2구동수단(30)의 유압실린더(31)가 하강하는 것으로, 상기 유압실린더(31)의 하강에 의해서는 상단에 구비된 랙크(35)가 하강하고 이 랙크(35)의 하강에 의해서는 랙크(35)와 상호 맞물린 피니언(34)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34)의 회전에 의해서는 하부금형(20)에 구비된 축(32)이 회전하고 이 축(32)의 회전에 의해서는 축(32)의 양단에 구비된 클램프(33)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클램프(33)의 작동이 이루어진 후에는 제2구동수단(30)에 의해 밀판(23)이 상승 작동하여 1사이클 이후의 제품을 낙하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후에는 도 4 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수단(10)에 의해 유압실린더(11)가 작동하여 하부금형(20)을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4 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구동수단(40)에 의해 공압실린더(41)가 전진 작동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품이송부재(50)의 지지구(51)가 성형제품을 파지한 후 타측으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품이송부재(50)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면 다시 유압실린더(11)가 작동하여 하부금형(20)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도 4 의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31)와 랙크(35) 그리고 피니언(34)의 작동에 의해 클램프(33)를 다시 처음상태로 복귀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성형제품을 클램프(33)에 의해 이탈됨이 없도록 한 것이다.
이후 타측으로 이송된 제품이송부재(50)는 다시 공압실린더(41)의 구동에 의해 일측으로 원상 복귀되고, 도 4 의 (k)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상부금형(60)이 하강하여 작동관계가 완료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도 4 의 (a)에서 (k)까지의 작동이 완료되면 다시 처음부터 작동이 반복되어 성형제품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작동은 도 2,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70)의 상단 중앙에 위치한 합성수지공급부(74)에서 합성수지원료가 제1수지공급로(71)로를 따라 배출되면 에어공급부(73)에서 공급된 에어에 의해 합성수지원료는 제2수지공급로(72)를 통해 하강하여 상하부수지금형(61)(21)의 내부로 내장되어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품이 성형되는 과정에서 제품의 형상 모양에 따라 홈을 만들 경우가 있는 것으로, 이 때에는 본원 발명에 구비된 요홈성형금형(80)이 제품에 홈을 형성시키는 것이며, 본원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칫솔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하부수지금형(21)과 하부금형(20)의 적소에 설치된 고정구(81)는 이동구(85)의 좌우 작동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6,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81)에는 가이드돌기(82)가 이동구(85)에는 가이드홈(86)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동구(85)의 가이드홈(86)이 고정구(81)의 가이드돌기(82)를 따라 좌우로 작동함에 따라 고정구(81)는 경사진 가이드돌기(82)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구(81)가 상부로 작동하면 고정구(81)의 상단에 위치한 핀(83)이 성형제품의 내부로 소정간격 삽입된 상태에서 제품에 홈을 성형하는 것이고, 이후 이동구(85)가 다시 일측으로 빠지게 되면 고정구(81)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고정구(81)의 상단에 구비된 스프링(84)에 의해서는 성형제품 내부에 끼워진 핀(83)이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일측에서 제품을 합성수지로 성형한 후 이 성형제품을 타측으로 이송시켜 다른 제질이나 색상을 성형하도록 한 것이다.
즉, 도 4 의 (d)∼(f) 에서와 같이 제품이송부재(50)가 1차로 성형된 성형제품을 파지한 상태에서 공압실린더(41)의 작동에 의해 타측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무공급부(76)에서 공급된 고무는 고무공급로(75)를 따라 이송되어 상하부고무금형(62)의 내부로 투입되어 성형제품과 함께 성형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후에는 다시 공압실린더(41)가 최초 상태로 복귀하면서 다음 작업을 하기 위한 준비상태로 대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작동이 반복됨으로 연이어서 다중 성형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원 발명에서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가지 재질이나 색상을 성형할 수 있도록 상하부수지, 고무금형을 3개로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필요에 따라 3가지 이상의 성형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3개 이상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축(32)의 일단에 모터를 설치하여 모터의 정역 구동에 의한 축(32)의 정역 회전에 의해 클램프(33)를 회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2구동수단(30)인 유압실린더(31)의 상단에 캠이나 링크를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하로 동작되는 금형에 의해 한번의 싸이클로 다중 색상과 다중 재료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작업공정의 개선으로 작업성과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이로 인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며, 완성된 제품이 후가공이 필요 없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1)

  1. 수지를 형틀에 주입하여 굳히는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사출성형기에 고정 설치되어 지지대 역활을 하는 밑판;
    상기 밑판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하 작동되는 제1구동수단;
    상기 제1구동수단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제1구동수단의 선택적인 구동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내부에 다수개 설치되며, 제품을 성형하는 일측의 하부수지금형과 타측의 하부고무금형;
    상기 밑판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하 작동되며, 클램프를 축을 중심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회전 작동시키는 제2구동수단;
    하단은 상기 밑판에 고정되고, 상단은 하부금형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금형이 하강함에 따라 상부로 돌출되어 제품을 낙하시키는 밀판;
    상기 하부금형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품이송부재에 의해 일차로 성형된 제품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3구동수단;
    상기 하부금형의 상단에 구비되며, 사출성형기에 구비된 구동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하로 작동되는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의 내부에 다수개 설치되며, 하부수지금형 및 하부고무금형과 상호 맞닿은 상태에서 제품을 성형하는 일측의 상부수지금형과 타측의 상부고무금형;
    상기 상부금형과 상호 연통되게 제1, 제2의 수지공급로가 형성되는 동시에 제2수지공급로에는 에어공급부가 구비되고 상부금형의 상단 중앙에는 합성수지공급부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상부금형과 상호 연통되게 내부에는 고무공급로가 형성되며, 고무공급로의 입구에는 고무공급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수단은 유압실린더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수단은 유압실린더로 구비되며, 이 유압실린더의 상단에는 유압실린더의 선택적인 구동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는 랙크;
    상기 축에 끼워져 설치되는 동시에 외주면은 래크기어와 상호 맞물리고 래크기어의 선택적인 상하 작동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의 선택적인 정역 회전에 의해 클램프가 일측에서 타측 또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3구동수단이 공압실린더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품이송부재에는 지지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지를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되, 하부수지금형과 하부고무금형의 사이 또는 상기 하부고무금형의 일측에 다른 재질을 성형하는 금형이 추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수단의 상단에 구비되며, 축을 캠을 이용하여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
  8.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축의 일측에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축을 정역 회전시키면 이 축의 회전에 의해 클램프가 일측에서 타측 또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회전되게 모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
  9.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지금형과 하부금형에 구비되며, 선택적인 작동에 의해 제품에 소정 형상의 요홈을 형성하는 요홈성형금형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
  10.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요홈성형금형은 고정구와 이동구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구는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상부로 돌출되게 다수의 핀이 구비되는 동시에 내부 양측면에 어느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돌기;
    상기 이동구는 양측에 상기 일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돌기에 끼워져 슬라이드 작동되게 가이드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
  11.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상단 핀과 핀의 사이에는 각각 스프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
KR1020000022283A 2000-04-26 2000-04-26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 KR100365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283A KR100365148B1 (ko) 2000-04-26 2000-04-26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283A KR100365148B1 (ko) 2000-04-26 2000-04-26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735A KR20000049735A (ko) 2000-08-05
KR100365148B1 true KR100365148B1 (ko) 2002-12-16

Family

ID=1966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283A KR100365148B1 (ko) 2000-04-26 2000-04-26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1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010B1 (ko) * 2010-10-01 2013-04-12 양순영 이중사출성형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078B1 (ko) * 2001-02-05 2004-01-24 임성근 P.p치솔 제조용 가변형 모핀조합 금형구조
KR20020064859A (ko) * 2001-02-05 2002-08-10 임성근 회전방식에 의한 다중사출 금형장치
KR100719407B1 (ko) 2005-10-14 2007-05-18 김윤하 다중사출 성형 금형장치
KR100849533B1 (ko) * 2006-07-26 2008-07-31 (주) 우성정공 멀티 사출금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010B1 (ko) * 2010-10-01 2013-04-12 양순영 이중사출성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735A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78368B1 (en) A molding machine for injection molding of tooth brushes
CN100546806C (zh) 合模装置
JP2007521158A (ja) 多色射出成形方法及びその成形装置
KR100365148B1 (ko) 다중 사출 성형용 금형구조
CN112060508A (zh) 一种旋转脱模的多色车灯注塑模具
CN112497608A (zh) 一种可定点注胶的软胶滴塑公仔自动化生产装置
CN108145910B (zh) 一种实现动模镶件平行切换的双色注塑模具及操作方法
US20040119205A1 (en) Rotating turret molding machine and associated process
CN213198615U (zh) 一种多色车灯注塑模具
KR20160094796A (ko) 멀티 사출금형
KR200280820Y1 (ko) 전기모터를 이용한 회전식 다중사출 금형장치
KR200233734Y1 (ko) 회전방식에 의한 다중사출 금형장치
KR200233735Y1 (ko) P.p치솔 제조용 가변형 모핀조합 금형구조
CN211221823U (zh) 一种具有跷跷板结构的双色模具
CN212372552U (zh) 一种通过滑块进行动模型腔切换的双色模具
KR100416078B1 (ko) P.p치솔 제조용 가변형 모핀조합 금형구조
CN114347378B (zh) 汽车密封条的双色注塑成型模具
CN220864594U (zh) 高效双色模具
KR200400518Y1 (ko) 다중사출금형장치
KR20030080171A (ko) 전기모터를 이용한 회전식 다중사출 금형장치
KR20020064859A (ko) 회전방식에 의한 다중사출 금형장치
KR100556521B1 (ko) 회전식 다중사출금형의 회전작동장치
KR200317955Y1 (ko) 회전식 다중사출금형의 회전작동구조
JP2604973B2 (ja) 樹脂成形装置
CN111716639A (zh) 一种通过滑块进行动模型腔切换的双色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