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4999B1 - 개방셀 폴리우레탄폼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개방셀 폴리우레탄폼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999B1
KR100364999B1 KR1020000044358A KR20000044358A KR100364999B1 KR 100364999 B1 KR100364999 B1 KR 100364999B1 KR 1020000044358 A KR1020000044358 A KR 1020000044358A KR 20000044358 A KR20000044358 A KR 20000044358A KR 100364999 B1 KR100364999 B1 KR 100364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foam
core
cell
mol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0988A (ko
Inventor
홍상의
김주현
정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00044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4999B1/ko
Publication of KR20020010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8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 B29C44/381Spreading the foamable material in the mould by pressing the mould halves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29C44/586Moulds with a cavity increasing in size during 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62Regulating the feed w.r.t. the foam layer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6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14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29K2105/04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with open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2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29K2995/0015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2Household appliances
    • B29L2031/7622Refrigerators

Landscapes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최종두께로 몰드를 조정하여 폴리우레탄폼 제조용 원액을 주입하고, 일정속도로 상부몰드를 상승시키고, 다시 하강시켜 셀을 터트려 개방셀 폴리우레탄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불균일부분의 절단없이 제조된 코어의 단열성능, 밀도, 압축강도, 개방셀의 함량이 판넬전체로 균일하게 함으로써 진공단열재를 냉장고에 적용할 경우에 냉장고 소비전력양의 절감효과를 크게함과 동시에, 간단하고 빠르며 효율적인 코어생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개방셀 폴리우레탄폼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PROCESS FOR POLYURETHAN FOAM CORE HAVING OPEN CELL}
본발명은 몰드압착방식에 의해 개방셀 폴리우레탄폼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방셀 폴리우레탄 폼은 폴리올과 발포제, 실리콘 계면활성제, 촉매 및 기타의 첨가제들로 이루어진 원액(R액)과 이소시아네이트 원액(P액)을 혼합반응시켜 제조하는 데, 그 제조방식에 따라 크게 가열된 상하의 콘베어에 발포원액을 유출시켜 상하의 콘베어의 간격에 의해 일정한 두께로 성형하여 만드는 콘베어방식과, 발포원액을 몰드내에 주입시킨후, 폴리우레탄 섬유가 형성되는 시점인 겔타임(gel time)시점 또는 겔타임시점에서 부터 원액의 반응이 거의 종료되어 점착력이 없어지는 시점인 택프리타임(tack free time)시점의 어느 한 시점에서 상부몰드를 일정한 속도로 하강시켜 물리적인 압력에 의해 폴리우레탄의 셀을 터트려 개방셀을 형성한 다음, 몰드속에서 일정시간동안 경화시킨 후 탈형하여 네면의 모서리부와 표면층을 제거하여 코어를 만드는 몰드압착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발명과 대비한 종래의 몰드압착방식에 의한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몰드 압착방식에 있어서는 몰드속도 및 압착시점이 중요하다. 종래의 몰드압착방법에 의한 오픈셀 폴리우레탄폼의 제조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일정한 온도와 초기두께가 설정된 몰드내에서 발포원액을 주입하는 제 1공정, 목표로하는 최종두께로 압착하여 몰드내에서 경화 안정시간을 거친 후 탈형하는 제 2공정, 물성이 불균일한 표면층과 모서리부를 잘라내는 제 3공정으로 이루어진다.이러한 종래방식의 요점은 제 1공정에서 미리 일정한 초기두께로 설정된 몰드내에 원액을 주입하는 것과, 최종두께로 압착하는 제2공정에서의 압착시점을 주입된 발포원액이 반응을 시작하여 폴리우레탄 섬유가 형성되는 시점인 겔타임시점 또는 겔타임에서부터 원액의 반응이 거의 종료되어 점착력이 없어지는 시점인 택프리타임의 어느 한시점에서 실시하는 것과, 제 3공정에서 물성이 불균일한 표면층과 모서리부를 잘라내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몰드압착에 의한 진공단열재의 코어제조방법은 제 1공정에서 미리 일정한 초기두께로 설정된 몰드내에 원액을 주입한 후 상부몰드를 하강시켜 목표로 하는 코어의 최종두께로 압착시키기 때문에 압착시점과 압착속도에 따라 제조되는 개방셀 코어의 성능편차가 크고, 대량생산에 있어 균일한 품질의 달성을 위한 설비조건의 설정이 어렵다. 또한 성형된 판넬의 전체 두께가 균일한 성능을 갖지 못하여 네면의 모서리부와 표면층을 잘라내야하는 공정이 추가되므로 시간적인 손실 및 재료비 손실이 있어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발명은 최종두께로 몰드를 조정하여 원액을 따르고, 일정속도로 상부몰드를 상승시키고, 다시 하강시켜 셀을 터트려 개방셀 폴리우레탄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별도의 불균일부분의 절단없이 제조된 코어의 단열성능이 판넬전체로 균일하게 함으로써 진공단열재를 냉장고에 적용할 경우에 냉장고 소비전력양의 절감효과를 크게함과 동시에, 대량생산시에 불균일부를 절단하는 공정이 없어 시간 및 비용면에서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도 1은 진공단열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몰드압착방식에 의한 진공단열재코어 제조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발명의 진공단열재 개방셀 제조공정의 구체적예이다.
본발명은 폴리우레탄폼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폼코어의 최종목표두께로 상하부몰드간격을 설정하여 발포원액을 주입하는 공정, 일정시점에서 상부몰드프레스를 위로 이동시키는 공정, 및 최종목표두께로 상부몰드를 일정속도로 하강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개방셀 폴리우레탄폼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은 종래의 상하프레스 몰드에 의한 압착방식에서 보다 코어의 물성, 즉 밀도, 압축강도, 개방셀의 함량이 균일하여 진공단열재 전체의 단열성능이 종래대비 약 30%가 향상된다. 또한, 몰드에 주입된 원액이 성형되어 전체가 균일한 성능을 유지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성형된 코어의 테두리부분을 스크랩으로 30-50%정도 잘라내야 했지만, 본발명은 스크랩으로 테두리부분을 잘라낼 필요가 없으므로생산시간을 단축하고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조공정에 있어 초기두께를 설정한 후 발포원액을 주입하고 목표로 하는 최종두께로 압착하는 종래와는 달리, 본발명에서는 먼저 상하몰드를 최종두께로 설정하여 발포원액을 주입한 후 상부몰드를 서서히 폴리우레탄폼이 형성되어 올라오는 속도에 맞춰 상승시켜줌으로써 폴리우레탄폼이 상부몰드의 적절한 누름작용에 의해 하부몰드에 균일하게 충진됨으로써 종래보다 적은양의 발포원액을 주입하더라도 코어의 단열성능, 밀도, 압축강도, 개방셀의 함량이 판넬전체로 균일등 충진성이 우수하여 재료비의 절감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발명은 상하부 몰드 프레스에서 폴리우레탄폼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폴리우레탄폼코어의 최종 목표두께로 상하부 몰드 간격을 설정한 후에 폴리우레탄 발포원액을 주입하는 제 1공정,
b) 발포원액의 크림타임(cream time)시점에서 시작해서 원액의 겔타임(gel time)시점에 종료하는 속도로 상부몰드를 상승시키는 제 2공정,
c) 상부몰드를 코어두께인 상기 최종목표두께로 압착하는 제 3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불균일 부분을 절단하는 공정이 없는 개방셀 폴리우레탄폼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 일례에서, 본발명은 상기 제 3공정의 압축개시시점이 i) 겔타임, ii)헬스버블타임 또는 iii) 헬스버블타임부터 택프리타임까지중 어느 한시점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한시점에서 압착하는, 개방셀 폴리우레탄폼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축개시시점 및 몰드의 하강속도는 폴리우레탄폼중에 형성된 셀의 균일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폴리우레탄폼 코어 제조용 원액이 경화되면셀의 개방이나 압착에 지나친 에너지가 소모되며 형성된 셀의 크기가 균일하지 않아 얻어진 진공단열재의 단열성이 불균일하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일례에서 본발명은 제 3공정의 최종목표두께로 압착하는 상부몰드하강 압착속도가 0.5-1.5 mm/초인 코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강속도가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몰드내의 윗부분의 셀이 압력이 많이 받아 형성된 셀크기가 불균일할 수 있으며 지나치게 낮을 때에는 원액이 경화하여 균일한 크기의 셀이 형성될 수 없다.
본발명에 사용되는 코어재료로는 진공단열재의 폴리우레탄 코어 제조용 조성물로 일반적으로 개방셀 폴리우레탄폼 제조용 조성물도 사용가능하다. 특히 본발명은 몰드압착방법에 의해서 셀을 깨트려 개방셀을 제조하는 것이므로 종래의 CFC 등의 셀개방제가 포함되지 않은 조성물에 특히 적합하다. 본발명에 바람직한 폴리우레탐폼 제조용 조성물은 다음과 같다.
1) 경질폴리우레탄폼 제조용 폴리올 100 중량부, 2) 셀연결제(cell interconnecting agent) 3.0-6.0 중량부, 경질 폴리우레탄폼 제조용 정포제 1.0-4.0 중량부, 물 3.0-6.0 중량부, 촉매 및 3) 경질 폴리우레탄폼 제조용 이소시아네이트 150-17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물이외의 발포제와 셀개방제를 포함하지 않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폼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폴리올은 방향족 아민을 개시제로 하여 유기산화물과 중합된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인 전체 폴리올 100중량에 대해 30-50중량부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은 관능기 8가인 수크로스를 개시제로 유기산화물과 중합한폴리올, 3가 관능기 갖는 트리에탄올 아민을 개시제로 유기산화물과 중합된 폴리올(TEOA), 4가 관능기를 갖는 에틸렌디아민을 개시제로 유기산화물과 중합된 폴리올, 4가 관능기를 갖는 톨루엔 디아민을 개시제로 유기산화물과 중합된 폴리올, 2가 관응기를 갖는 에티렌글리콜을 개시제로 유기산화물과 중합한 폴리올, 6가 관능기의 솔비톨을 개시제로 유기산화물과 중합한 폴리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세가지 이상의 폴리올과 방향족 아민을 개시제로 하여,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알킬렌 옥사이드와 중합한 폴리올 30-50부로 이루어진 폴리올인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의 인덱스(NCO/OH)가 0.9 - 1.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조성물에서는 종래의 셀발포제나 셀개방제를 포함하지 않는 대신에 셀연결제를 사용하며 이는 칼슘 스테아레이트, 칼슘 히마스트, 및 스테아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여기서, 촉매는 발포 촉매(blowing catalyst)와 겔화 촉매(gelling catalyst)로 이루어며, 발포 촉매제는 TMHDA(N, N-테트라메틸 헥산 디아민)이고, 겔화촉매는 디플로필렌 글리콜과 트리에틸렌 디아민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 촉매의 함량은 0.01 - 0.1중량부이고, 겔화촉매의 함량은 0.1-1.0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종래의 휘발성 발포제인 CFC 및 HCFC 화합물등을 사용하지 않기에 환경에 무해하고 저렴하며, 셀개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고가의 특정 등급의 폴리올에 사용이 한정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조성물을 몰드프레스내에서 발포시키면서 몰드의 압착에 의해 셀을 물리적으로 개방시켜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폼을 제조함으로써 본발명의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폼은 압축강도, 굴곡강도 및 밀도가 높기 때문에 본발명의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폼으로 제조된 진공단열판넬은 종래의 진공단열재가 가지는 장기 수축이나 변형이 없고,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적어 단열성능을 장기적으로 오래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 종래의 상하몰드압착방식에 의한 진공단열재 코어제조방법과 비교하여 본원발명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발명은 신규의 몰드압착방식에 의한 코어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제조공정은 크게 몰드온도설정에서 발포원액주입까지의 공정(1), 발포원액을 주입후 상부몰드를 목표로 하는 최종두께까지 상승시키는 공정(2), 압착공정(3) 및 탈형에 의한 최종코어의 제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 1공정에서와 같이 최종목표로 하는 코어두께가 되도록 상하부 몰드의 간격을 유지시킨 후 하부몰드내에 발포원액을 주입시키고, 제 2공정에서 주입된 발포원액이 반응을 개시하여 흰색에서 크림상태로 변화는 시간인 크림타임(cream time)을 기점으로 하여 상부몰드를 상승시켜 폴리우레탄 섬유가 형성되는 시점이 겔타임이 될때 상승이 종료되도록 상승속도를 맞추어 상부몰드를 상승시킨다. 여기서, 초기두께란 최종두께에 대비하여 압착비율을 경정하는 두께를 말하며, 몰드압착방식의 경우 통상 최종두께가 15mm의 코어를 제조할 경우에 초기두께는 30-90mm이다. 제 3공정인 압착공정에서는 초기두께로 된 상부몰드롤 다시 목표로 하는 최종두께로 압착시키는 공정으로서, 이로 인해 최종 코어가 형성되며, 압착성형된 코어는 최종공정에서처럼 몰드내에서 압착된 상태로 일정한 경화 안정화시간을 거친 후 몰드로부터 탈형시켜 최종의 완성된 코어를 제조한다.
이상의 공정에서 본발명의 요지는 상부몰드의 상승공정과 압착공정으로서, 첫째, 상부몰드의 상승공정에 있어서 상부몰드의 상승속도는 반드시 크림타임부터 시작에서 겔타임이 될때 초기두께까지 상부몰드의 상승이 끝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승속도가 너무 커서 겔타임 훨씬전에 이미 상부몰드가 초기두께까지 상승하면 원액의 반응시간에 비해 상부몰드의 상승속도가 너무 빠르게 올라감으로써 형성되는 폴리우레탄폼이 상부몰드의 적절한 누름작용이 미치지 못하여 하부몰드에 폴리우레탄폼이 고르게 퍼지지 못하게된다. 반대로,상승속도가 너무 느리면 즉, 겔타임이후의 어느시점이 될때까지 상부몰들르 느린속도로 상승시킨다면 하부몰드에서의 폴리우레탄폼의 충진은 고리게 되지만 오버패킹(over packing)이 되어 형성된 폴리우레탄폼은 지나치게 딱딱한 상태가 되고 개방셀 형성에 장애를 받게 된다.
둘째, 압착공정에 있어 최종목표로 하는 코어두께까지의 압착은 앞선 제 2공정에서의 상부몰드를 상승시키는 즉시, 또는 폴리우레탄폼이 형성되면서 내부에 개방셀을 형성하는 시점으로 가스의 기포를 발생하는 시점이 헬스버블타임(health bubble time) 또는 겔타임시점이후에서 부터 폴리우레탄 반응이 종료되어 점착력이 없어지는 시점인 택프리타임시점의 어느 한 시점에서 압착하며, 이는 택프리타임으로 갈수록 점차 폴리우레탄폼이 경화되어 압착이 어려워지며 압착후의 코어성능에 악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또한 압착시의 상부몰드의 하강속도는 폴리우레탄 원액의조성에 따라 다르지만 0.5mm/초 내지 2.0mm/초 범위가 되어야하며, 바람직하게는 0.8 mm/초 내지 1.2 mm/초이다.
다음의 표 1은 본발명의 구첵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부몰드의상승공정과 압착공정에 있어 본발명에 따라 제조된 진공단열재 코어의 물성, 즉 밀도, 압축강도, 개발셀의 함량이 균일하며, 진공단열재 판넬의 단열성능이 종래 대비 20-30% 향상됨을 알 수 있으며, 종래의 코어제조방법과 달리, 불균일한 모서리부나 표면층을 30-50%를 잘라낼 필요성이 없으므로 전체 제조공정수가 줄고 원재료손실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냉장고에 적용할 경우에 종래의 방식으로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에 비해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소비전력감소에도 기여하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의 단열벽을 줄일 수 있어 상대적으로 냉장고의 내부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발명에서 셀개방제를 포함하는 않는 상기 폴리우레탄폼 제조용 조성물을 본발명의 몰드압착방식으로 제조한 것과, 종래방식으로 제조된 코어의 물성을 다음의 표 1에서 나타냈으며, 각각의 스크랩손실은 본발명의 코어는 0-5%이나 종래의 방식으로 제조된 코어는 30-50%이다.
코어물성 본발명의 코어 종래방식으로 제조된 코어
밀도(㎏/㎡) 100-200 90-140
압축강도(수평㎏/㎠) 2.3-3.1 1.5-2.5
개방셀함량(%) 93-100 85-95
진공단열재 단열성능(5 X 10-3 torr에서 Kcal/mㆍhrㆍ℃) 0.0040-0.0050 0.0060-0.0070
본발명은 최종두께로 몰드를 조정하여 원액을 따르고, 일정속도로 상부몰드를 상승시키고, 다시 하강시켜 셀을 터트려 개방셀 폴리우레탄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제조된 코어의 단열성능이 판넬전체로 균일하게 함으로써 진공단열재를 냉장고에 적용할 경우에 냉장고 소비전력양의 절감효과를 크게함과 동시에 내부용적을 크게 할 수 있으며, 대량생산시에 불균일부를 절단하는 공정이 없어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Claims (6)

  1. 몰드 프레스방법에 의한 폴리우레탄폼의 제조에 있어서,
    a) 폴리우레탄폼코어의 최종 목표두께로 상하부 몰드 간격을 설정한 후에 폴리우레탄폼 제조용 조성물을 주입하는 제 1공정,
    b) 발포원액의 크림타임(cream time)시점에서 시작해서 원액의 겔타임(gel time)시점에 종료하는 속도로 상부몰드를 상승시키는 제 2공정,
    c) 상부몰드를 코어두께인 상기 최종목표두께로 압착하는 제 3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불균일 부분을 절단하는 공정이 없는 개방셀 폴리우레탄폼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공정의 압축개시시점이 i) 겔타임, ii)헬스버블타임 또는 iii) 헬스버블타임부터 택프리타임까지중 어느 한시점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한시점에서 압착하는, 개방셀 폴리우레탄폼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3공정의 최종목표두께로 압착하는 상부몰드하강압착속도가 0.5-2.0 mm/초인, 개방셀 폴리우레탄폼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
  4. 제 1항, 2항, 및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폼 제조용 조성물이 1) 경질폴리우레탄폼 제조용 폴리올 100 중량부, 2) 셀연결제(cellinterconnecting agent) 3.0-6.0 중량부, 경질 폴리우레탄폼 제조용 정포제 1.0-4.0 중량부, 물 3.0-6.0 중량부, 촉매 및 3) 인덱스가 0.9-1.1인 이소시아네이트 가 150-17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물이외의 발포제와 셀개방제를 포함하지 않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폼 제조용 조성물인, 개방셀 폴리우레탄폼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셀연결제는 칼슘 스테아레이트, 칼슘 히마스트, 및 스테아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개방셀 폴리우레탄폼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제는 TMHDA(N, N-테트라메틸 헥산 디아민)와 디플로필렌 글리콜과 트리에틸렌 디아민의 혼합물인, 개방셀 폴리우레탄폼의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00044358A 2000-07-31 2000-07-31 개방셀 폴리우레탄폼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364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358A KR100364999B1 (ko) 2000-07-31 2000-07-31 개방셀 폴리우레탄폼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358A KR100364999B1 (ko) 2000-07-31 2000-07-31 개방셀 폴리우레탄폼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988A KR20020010988A (ko) 2002-02-07
KR100364999B1 true KR100364999B1 (ko) 2002-12-16

Family

ID=19681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358A KR100364999B1 (ko) 2000-07-31 2000-07-31 개방셀 폴리우레탄폼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49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3318B (zh) * 2013-01-29 2019-08-09 康廷南拓结构塑料有限公司 热固性片状制品的真空成形方法
KR101588630B1 (ko) * 2014-10-17 2016-01-27 (주)대한솔루션 열 차단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467A (ko) * 1998-06-26 2000-01-25 모치즈키 아키히로 연속기포경질폴리우레탄발포체및이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467A (ko) * 1998-06-26 2000-01-25 모치즈키 아키히로 연속기포경질폴리우레탄발포체및이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988A (ko) 200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7099B1 (ko) 연속기 포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1398244B1 (ko) 향상된 열 전도성을 갖는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성형방법
US3787278A (en) Molded multiple density polyurethane foam
EP2463329A1 (en) "Method of molding rigid polyurethane foams"
CN104151523A (zh) 硬质聚氨酯泡沫组合物、制备该泡沫的方法及保温组件
CN111647123B (zh) 一种聚氨酯硬泡泡沫及其制备方法
KR100314431B1 (ko) 진공단열재 코어의 제조방법
CN1133676C (zh) 电冰箱
CN113307930B (zh) 一种耐寒性的高静刚度聚氨酯微孔弹性垫板
CN103881356B (zh) 多元醇组合物、用途及由其制备的硬质聚氨酯泡沫
KR100364999B1 (ko) 개방셀 폴리우레탄폼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574493B1 (ko) 액상 화장료 담지용 발포폼의 제조방법 및 그 발포폼
KR100935517B1 (ko) 접착력과 탈형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를 위한원액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제조방법
KR100771910B1 (ko) 탈형성이 우수한 경질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JPH033687B2 (ko)
KR100278363B1 (ko) 초저온 보냉용 폴리우레탄 폼 및 그것을 이용한 단열재
JPH0247125A (ja) 硬質ウレタンフォームを芯材とする断熱材の製造方法
KR100345489B1 (ko) 개방셀 폴리우레탄폼 제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개방셀폴리우레탄폼 및 이의 제조방법
US4338072A (en) Apparatus for crusing partially cured freely risen foam
FI106035B (fi) Menetelmä muotokappaleiden ja täytteiden valmistamiseksi kovista ja pehmeistä polyuretaanisolumuoveista
KR100324520B1 (ko) 진공단열재 코어의 제조방법
KR910008320B1 (ko) 경질 폴리우레탄 포움의 제조방법
JPS6340651B2 (ko)
US4344902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flexible densified polymethane foam
CN86105767A (zh) 聚烯烃泡沫材料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