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4763B1 - 유기전계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763B1
KR100364763B1 KR1020000038377A KR20000038377A KR100364763B1 KR 100364763 B1 KR100364763 B1 KR 100364763B1 KR 1020000038377 A KR1020000038377 A KR 1020000038377A KR 20000038377 A KR20000038377 A KR 20000038377A KR 100364763 B1 KR100364763 B1 KR 100364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protective film
passiva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4470A (ko
Inventor
오형윤
안정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8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4763B1/ko
Publication of KR20020004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 외부로부터의 수분침투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소자로부터 일정 공간을 가지며, 상기 소자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 1 보호막과, 상기 제 1 보호막으로부터 일정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 1 보호막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 2 보호막광, 상기 제 2 보호막 하부면에 형성되는 흡습제 및 상기 흡습제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흡습제를 지지하는 지지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특성을 안정화시키고, 외부로부터의 수분침투나 오염을 방지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수명을 늘리기 위한 보호막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의 대형화에 따라 공간 점유가 적은 표시소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표시소자중 하나가 전계발광소자이다.
상기 무기전계발광소자는 일반적으로 높은 전계를 인가함으로써 전자를 가속시켜 가속된 전자가 발광중심에 충돌하고, 그 발광중심이 여기됨으로써 발광하는 소자이다.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전자주입전극(cathode)과 정공주입전극(anode)으로부터 각각 전자와 정공을 발광부 내로 주입시켜 전자와 홀이 결합하여 생성된 엑시톤(exciton)이 여기상태(excited state)로부터 기저상태(ground state)로 떨어질 때 발광하는 소자이다.
이와 같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가 낮은 구동 전압, 적은 전력 소모, 경량성 및 색감에 있어 무기전계발광소자에 비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실용화에 큰 문제가 되어온 것은 수명이 짧다는 것이다.
소자의 수명을 결정짓는 주요 원인으로는 유기물 내부의 불순물, 유기물과 전극간의 계면, 유기물의 낮은 결정화 온도(Tg), 산소와 수분에 의한 소자의 산화를 들 수 있다.
유기물 내부의 불순물은 전자 및 정공 등을 트랩하거나 또는 전류가 새어나가게 할 수 있고, 유기물의 결정화가 증가되면 소자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과 유기물간의 경계면이 좋지 않을 경우에는 전하 및 정공의 주입이 어렵게 되고, 부분적으로는 많은 양의 전류가 흘러 유기물에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결정화 낮은 유기물은 소자 내부에서 결정화되어 여기된(excited) 분자가 빛으로 에너지를 방출하지 못하고 비발광(vibration, rotation)에너지 준위로 전이되어 발광효율을 감소시키고 수명도 단축시킨다.
도 1은 종래의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보호막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판에 금속 산화물, 알카리 금속산화물, 알카리 토금속 산화물, 황산염 또는 금속할로겐 화합물 등의 흡착제를 도입하고 지지막을 이용하여 흡습제가 소자로 떨어지는 것을 막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렇게 소자를 보호한다고 해도 외부에서 들어오는 수분의 일정 부분이 적층 구조로 침투하게 되며 이에 따라 소자의 발광 면적의 감소는 피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특성을 안정화시키고 수명을 늘리기 위해 외부로부터의 수분침투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보호막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보호막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판 2: 제 1 전극
3: 유기전계발광층 4: 제 2 전극
5: 완충막 6: 제 1 보호막
7: 지지막 8: 흡습제
9: 덮개판 10: 봉지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는 기판 상에 제 1, 제 2 전극이 형성되고, 그들 사이에 다수의 유기막을 갖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소자로부터 일정 공간을 가지며, 상기 소자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 1 보호막과, 상기 제 1 보호막으로부터 일정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 1 보호막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 2 보호막과, 상기 제 2 보호막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흡습제를 지지하는 지지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보호막은 금속 물질 또는 고분자 물질이다.
그리고, 상기 소자와 상기 제 1 보호막 사이에 상기 소자와 일정 높이를 갖도록 완충막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보호막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보호막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 위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 1 전극 (indium tin oxide:ITO)(2)위에 정공주입층 (CuPC; 15nm), 정공수송층(TPD; 30nm), 녹색 발광층(Alq3; 50nm), 전자주입층으로 적층된 유기전계발광층(3) 및 제 2 전극(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전극(4) 위에 제 1 보호막(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보호막(6)은 알루미늄, 철, 구리 등과 같은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등과 같은 고분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1 보호막(6)은 UV경화형 접착제, 열경화형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기판과 합착한다.
그리고, 물리적 충격에 의해 제 1 보호막(6)과 유기전계발광소자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 파괴될 수 있으므로 제 1 보호막(6)과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 사이에 유기전계발광소자와 일정 높이를 갖는 완충막(5)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막(5)으로는 테플론(teflon),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우레탄(urethane) 등과 같은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보호막(6) 상부에는 흡습제(8)가 형성되고, 상기 흡습제(8)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흡습제(8) 아래에 지지막(7)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흡습제(8)로는 CaO, BaO, P2O5등의 산화물 흡습제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지지막(7)으로는 테플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제 1 보호막 전면을 에워싸는 덮개판(9)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판(9)은 UV경화형 접착제, 열경화형 접착제 등을 이용함으로써 기판(1)과 합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UV경화형 접착제(10)를 사용할 경우에는 UV경화를 한 후에 열경화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막(7), 상기 지지막(7)에 의해 지지되는 흡습제(8), 그리고덮개판은 제 2 보호막을 구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외부로부터의 수분침투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소자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소자의 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1)

  1. 기판 상에 제 1, 제 2 전극이 형성되고, 그들 사이에 다수의 유기막을 갖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소자로부터 일정 공간을 가지며, 상기 소자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 1 보호막과,
    상기 제 1 보호막으로부터 일정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 1 보호막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 2 보호막과,
    상기 제 2 보호막 하부면에 형성되는 흡습제 및 상기 흡습제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흡습제를 지지하는 지지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호막은 금속 물질 또는 고분자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물질은 알루미늄, 철, 구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물질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와 상기 제 1 보호막 사이에 상기 소자와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고분자 완충막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막은 테플론(teflon),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우레탄(urethane)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호막의 흡습제는 산화물 흡습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호막의 지지막은 테플론(teflon),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호막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기판과 합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UV경화형 접착제, 열경화형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0000038377A 2000-07-05 2000-07-05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0364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377A KR100364763B1 (ko) 2000-07-05 2000-07-05 유기전계발광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377A KR100364763B1 (ko) 2000-07-05 2000-07-05 유기전계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470A KR20020004470A (ko) 2002-01-16
KR100364763B1 true KR100364763B1 (ko) 2002-12-16

Family

ID=19676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377A KR100364763B1 (ko) 2000-07-05 2000-07-05 유기전계발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47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156A (ko) * 2001-06-28 2003-01-06 주식회사 대한전광 다중 쉴드 커버 플레이트를 가진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20030030380A (ko) * 2001-10-10 2003-04-1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KR100588012B1 (ko) * 2002-03-08 2006-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75098B1 (ko) * 2002-11-29 2008-1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전계발광소자 조립용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한 전계발광소자조립장치
KR100965094B1 (ko) * 2003-12-30 2010-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47004B1 (ko) * 2005-11-29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826011B1 (ko) * 2006-10-24 2008-04-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소자
KR20120021436A (ko) * 2010-07-30 2012-03-09 제일모직주식회사 흡습입자, 이를 포함하는 유기 el 게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el 소자
KR101973023B1 (ko) * 2012-09-19 2019-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470A (ko) 200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864B1 (ko) 유기전기발광소자
KR100478525B1 (ko) 광 누출이 없고 개선된 광 추출 효율을 갖는 전기발광체를이용한 발광 소자 및 표시 장치
JP6751459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照明パネル、その製造方法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照明装置
US6809481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ic device using the same
KR20040018503A (ko) 유기층을 갖는 발광 소자
JP4511072B2 (ja) 衝撃緩衝機能付電界発光デバイス及び電界発光デバイス用の衝撃緩衝機能付封止部材
US20040046494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US20070221910A1 (en) Intermediate Layer in Electroluminescent Arrangements and Electroluminescent Arrrangement
KR100364763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JP2005158698A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949089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ving thin insulating layer
JP3775048B2 (ja) 有機発光素子
JP2003109750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0766947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060166036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and displays incorporating the same
KR100522689B1 (ko) 전계발광소자
JP2000100561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
JP2003217834A (ja) 自己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28493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22693B1 (ko)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US20180240999A1 (en) Oled encapsulation method and oled encapsulation structure
KR10179464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65094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83359B1 (ko) 유기전기발광소자
KR100531297B1 (ko) 유기 el 디스플레이 소자의 봉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