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3176B1 - 디지털 텔레비전의 agc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텔레비전의 agc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3176B1
KR100363176B1 KR1020010012627A KR20010012627A KR100363176B1 KR 100363176 B1 KR100363176 B1 KR 100363176B1 KR 1020010012627 A KR1020010012627 A KR 1020010012627A KR 20010012627 A KR20010012627 A KR 20010012627A KR 100363176 B1 KR100363176 B1 KR 100363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roadcast signal
digital television
agc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2672A (ko
Inventor
최용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2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3176B1/ko
Publication of KR20020072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 신호 유무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전의 AGC를 다르게 제어하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AGC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텔레비전의 AGC 제어 장치는 피드백된 비교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방송신호의 튜닝 이득을 조정하는 튜닝수단; 상기 튜닝수단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소정의 대역으로 감쇄하는 필터링수단; 및 상기 필터링수단에서 출력되는 감쇄된 방송신호 및 상기 튜닝수단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상기 튜닝수단으로 피드백 하는 비교수단을 포함한다. 인접 신호의 유무에 따라 튜너 AGC 이득을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인접 신호가 있을 때는 인접 성능에 좀 더 강건하게 하고 인접 신호가 없을 때에는 AWGN 성능에 좀더 강건하게 시스템을 구성하는 도움이 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텔레비전의 AGC 제어 장치{A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 gain control of digital television}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 신호 유무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전의 AGC를 다르게 제어하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AGC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AGC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써, 제1 가변증폭기(10-1)를 구비한 튜너(10), 제1 및 제2 SAW(Surface Acoustic Wave) 필터(11, 13), 제1 및 제2 증폭기(Amp)(12, 14), 제2 가변 증폭기(15), 복조기(Demodulator)(16), DC 검출부(17), LPF(18)로 구성된다.
튜너(10)로 입력된 디지털 방송 신호는 제1 및 제2 SAW 필터(11, 13), 제1 및 제2 증폭기(12, 14)를 통해 중간 주파 자동 이득 제어기인 제2 가변 증폭기(15)로 입력되고, 복조기(16)에서 복조되어 출력된다. 제1 가변 증폭기(10)는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증폭하고, DC 검출부(17)는 증폭된 방송신호로부터 DC 신호를 검출한다. 검출된 DC 신호가 제1 가변 증폭기(10-1)의 증폭도를 가변시킴으로써 튜너 자동 이득 제어(AGC) 동작이 수행된다. 제2 가변 증폭기(15)는 제2 증폭기(14)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 즉 중간 주파수를 가변 증폭하여 복조기(16)로 전송한다. 복조된 방송신호는 저역통과 필터(18)를 통과한 신호를 통과하고, 저역 통과 필터(18)를 통과한 신호로 제2 가변 증폭기(15)의 증폭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중간주파 자동 이득 제어(IF AGC) 동작이 수행된다.
종래 기술에서 튜너(10) 자동 이득 제어의 경우에 적합하지 않은 신호(Undesired Signal-인접신호 또는 랜던 노이즈 등이 혼합된 방송신호)와 적합한 신호(Desired signal) 유무를 검출할 수가 없고 오직 그 합 전계 강도만을 기준으로 동작을 하고 중간주파 자동이득(IF AGC)은 적합한 전계 강도를 기준으로 동작을 한다. 종래 기술은 인접 신호 유무를 판단하지 못하고 오직 적합한 신호와 부적합한 신호와의 합이 커질 때 튜너의 이득을 다소 작게 하였다. 만약 인접한 신호가 없고 적한합 신호만이 있을 때, 그리고 적합한 신호의 전계 강도가 크다면 튜너의 AGC 이득을 작게 하여 AWGN(Addictive White Gaussian Noise) 성능을 열화시키는 부작용을 가져온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상세하게는 인접 신호 유무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전의 AGC를 다르게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텔레비전의 AGC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AGC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의 AGC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텔레비전의 AGC 제어 장치는 피드백된 비교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방송신호의 튜닝 이득을 조정하는 튜닝수단; 상기 튜닝수단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소정의 대역으로 감쇄하는 필터링수단; 및 상기 필터링수단에서 출력되는 감쇄된 방송신호 및 상기 튜닝수단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상기 튜닝수단으로 피드백 하는 비교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튜닝수단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로부터 DC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비교수단으로 출력하는 제1 DC 검출부; 및 상기 필터링 수단에서 출력되는 감쇄된 방송신호로부터 DC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비교수단으로 출력하는 제2 DC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수단은 상기 제1 DC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제2 DC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비교하는 제1 비교수단; 및 상기 제1 비교수단의 결과와 상기 제2 DC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상기 튜닝 수단으로 출력하는 제2 비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의 AGC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써, 제1 가변증폭기(20-1)를 구비한 튜너(20), 제1 및 제2 SAW(Surface Acoustic Wave) 필터(21, 23), 제1 및 제2 증폭기(Amp)(22, 24), 제2 가변증폭기(25), 복조기(Demodulator)(26), LPF(27), 제1 DC 검출부(28), 제2 DC 검출부(29), 비교부(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비교수단(30)은 제1 OP AMP(30-1) 및 제2 OP AMP(30-2)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순수한 방송신호를 Desired 신호로, 인접신호 또는 랜덤 노이즈와 같은 방송신호를 Undesired 신호로 표기한다.
종래에는 Undesired 신호와 Desired 신호가 함께 있을 때, 또는 오직 Desired 신호가 존재할 때의 유무를 판단하지 못했다. 통상적으로 튜너(20)의 AGC 이득이 최대가 되고 중간주파 증폭부 이득이 최소가 될 때 AWGN(Addictive White Gaussian Noise) 특성이 가장 좋고 튜너(20)의 AGC 이득이 최소가 되고 중간 주파 증폭기(제2 가변 증폭기(25))의 이득이 최대가 될 때 인접 성능이 가장 좋다.
이러한 두 가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튜너(20)의 AGC 이득과 중간 주파 증폭기(제2 가변 증폭기(25)) 이득의 타협(Trade off)이 필요하게 된다. 기존의 방식을 채택할 경우에는 이 두 가지 이득의 타협으로 인해 어느 한 조건도 모두 최대로 만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인접 신호 유무를 감지하고 인접신호가 없다면 튜너(20)의 AGC 이득을 최대로 하고 중간주파 증폭기(제2 가변 증폭기(25))의 이득을 최소로 하여 AWGN 특성에 가장 우수하게 하고, 인접 신호가 있고 그 크기가 매우 클 경우는 인접 간섭 성능에 좀 더 강건한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튜너(20)의 AGC 이득은 다소 낮추고 중간 주파 증폭기(제2 가변 증폭기(25))의 이득을 다소 올려 지능적으로 디지털 텔레비전의 AGC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튜너(20)의 제1 가변 증폭기(20-1)는 비교부(30)에서 출력되는 비교 신호에따라 증폭도를 다르게 가변한다. 튜너(20)에 의해 튜닝되는 신호는 순수한 방송신호인 Desired 신호 또는 Desired 신호와 Undesired 신호가 함께 섞인 신호일 수 있다.
제1 DC 검출부(28)는 제1 가변 증폭기(20-1)에서 출력되는 증폭된 방송신호에서 DC를 검출하여 비교부(30)로 출력한다.
제1 SAW 필터(21)는 제1 가변 증폭기(20-1)에서 출력되는 증폭된 방송신호를 일정 대역으로 감쇄하는 필터링 동작을 수행한다. 제1 증폭기(22)는 제1 SAW 필터(21)에서 출력되는 감쇄된 방송신호를 증폭한다. 제2 SAW 필터(23)는 제2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일정 대역으로 감쇄하는 필터링 동작을 수행한다. 제2 증폭기(24)는 제2 SAW 필터(23)에서 출력되는 감쇄된 방송신호를 증폭한다.
제2 DC 검출부(29)는 제2 증폭기(24)에서 증폭된 방송신호로부터 DC를 검출하여 비교부(30)로 출력한다.
제2 가변 증폭기(25) 즉 중간 주파 증폭기는 저역통과 필터된 복조 신호를 이득으로 하여 제2 증폭기(24)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증폭한다. 복조부(26)는 제2 가변 증폭기(25)에서 출력되는 가변 증폭되는 방송신호를 복조한다. 복조부(26)는 입력된 방송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한 후 기준(Threshold)값과 비교하여 가변 증폭기의 증폭도를 조절한다. 복조부(26)에서 조절된 증폭도는 LPF(27)에서 저역필터링 되어 제2 가변 증폭기(25)의 증폭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입력된다.
비교부(30)는 제1 OP AMP(30-1) 및 제2 OP AMP(30-2)로 구성된다. 제1 OP AMP(30-1)는 제1 DC 검출부(28)에서 출력되는 최초 튜닝된 방송신호와 제2 DC 검출부(29)에서 출력된 감쇄 및 증폭된 방송신호를 비교하여 그 차 값을 제2 OP AMP(30-2)로 출력한다. 제2 OP AMP(30-2)는 제1 OP AMP(30-1)의 출력과 제2 DC 검출(29)에서 출력되는 감쇄 및 증폭된 방송신호를 비교하여 그 차 값으로 제1 가변 증폭기(20-1)의 증폭도를 가변시킨다.
비교부(30)는 인접신호 없이 Desired 신호만 존재하는 경우에 그리고, Desired 신호와 Undesired 신호가 함께 존재하는 경우에 튜너(20)의 AGC를 제어하는 2가지 방법을 수행한다.
1) Desired 신호만 존재하는 경우
제1 DC 검출부(28)는 튜너(20)의 제1 가변 증폭기(20-1)로부터 DC를 검출하고 제2 DC 검출부(29)는 감쇄 및 증폭된 신호로부터 DC를 검출한다. 인접 신호가 없기 때문에 제1 DC 검출부(28) 및 제2 DC 검출부(29)는 각각 같은 DC 성분을 검출하게 되고 제1 OP AMP(30-1)의 출력은 0이 된다. 따라서 제2 OP AMP(30-2)는 제2 DC 검출부(29)에서 출력되는 Desired 신호를 기준으로 튜너(20)의 AGC가 정상 동작한다. 이 경우 제2 OP AMP(30-2)는 인버팅 모드로 동작하여 신호의 크기가 크면 AGC 이득이 작아지고 신호의 크기가 작으면 AGC 이득은 커지게 된다.
2) Desired 신호와 Undesired 신호(인접신호 또는 랜덤 노이즈)가 함께 존재하는 경우
제1 DC 검출부(28)는 튜너(20)의 제1 가변 증폭기(20-1)로부터 DC를 검출하고 제2 DC 검출부(29)는 감쇄 및 증폭된 신호로부터 DC를 검출한다. 여기서 제2 증폭기(24)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1 및 제2 SAW 필터(21, 23)에서 감쇄되기 때문에 제2 DC 검출부(29)에서 검출된 DC 성분이 제1 DC 검출부(28)에서 검출된 DC 성분보다 작다. 따라서 제1 OP AMP(30-1)가 인버팅 모드이므로 그 비교 출력 값이 작아지게 되고, 이 출력은 제2 OP AMP(30-2)의 비반전 입력 단자로 입력되어 인접 신호의 크기에 비례하여 제2 OP AMP(30-2)의 출력은 Desired 신호만 존재하는 경우보다 다소 낮아지게 된다. 인접 신호가 존재할 경우 그 인접 신호의 크기에 비례하여 튜너(20)의 AGC 이득이 낮아지고 자동적으로 중간주파 AGC 이득은 커지게 되어 인접 성능에 훨씬 더 강건한 시스템이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접 신호의 유무에 따라 튜너 AGC 이득을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인접 신호가 있을 때는 인접 성능에 좀 더 강건하게 하고 인접 신호가 없을 때에는 AWGN 성능에 좀더 강건하게 시스템을 구성하는 도움이 될 수 있다.

Claims (3)

  1. 피드백된 비교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방송신호의 튜닝 이득을 조정하는 튜닝수단;
    상기 튜닝수단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소정의 대역으로 감쇄하는 필터링수단; 및
    상기 필터링수단에서 출력되는 감쇄된 방송신호 및 상기 튜닝수단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상기 튜닝수단으로 피드백 하는 비교수단을 포함하는 AGC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수단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로부터 DC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비교수단으로 출력하는 제1 DC 검출부; 및
    상기 필터링 수단에서 출력되는 감쇄된 방송신호로부터 DC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비교수단으로 출력하는 제2 DC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GC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수단은
    상기 제1 DC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제2 DC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비교하는 제1 비교수단; 및
    상기 제1 비교수단의 결과와 상기 제2 DC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상기 튜닝 수단으로 출력하는 제2 비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GC 제어장치.
KR1020010012627A 2001-03-12 2001-03-12 디지털 텔레비전의 agc 제어 장치 KR100363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627A KR100363176B1 (ko) 2001-03-12 2001-03-12 디지털 텔레비전의 agc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627A KR100363176B1 (ko) 2001-03-12 2001-03-12 디지털 텔레비전의 agc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672A KR20020072672A (ko) 2002-09-18
KR100363176B1 true KR100363176B1 (ko) 2002-12-05

Family

ID=27697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627A KR100363176B1 (ko) 2001-03-12 2001-03-12 디지털 텔레비전의 agc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31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619B1 (ko) * 2005-09-30 2007-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방송 수신기 및 자동이득 제어 방법
KR100728293B1 (ko) * 2005-10-05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쇠 기능을 갖는 튜너 및 그 제어방법
KR102113047B1 (ko) * 2013-09-30 2020-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대역 분할 자동 게인 조절을 이용하는 fm 튜너 수신 성능 개선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498A (ko) * 1988-11-17 1990-06-04 시기 모리야 신호처리 회로
JPH0697847A (ja) * 1992-09-11 1994-04-08 Dx Antenna Co Ltd Fmプロセッサ
KR940006587Y1 (ko) * 1992-06-03 1994-09-26 조일상 네온 변압기의 접속구
KR19980013843A (ko) * 1996-08-03 1998-05-15 김광호 적응적 수신감도 향상을 위한 방송수신장치
KR20020035947A (ko) * 2000-11-07 2002-05-16 송문섭 자동이득제어기의 다이나믹 레인지의 제한을 개선한전자회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498A (ko) * 1988-11-17 1990-06-04 시기 모리야 신호처리 회로
KR940006587Y1 (ko) * 1992-06-03 1994-09-26 조일상 네온 변압기의 접속구
JPH0697847A (ja) * 1992-09-11 1994-04-08 Dx Antenna Co Ltd Fmプロセッサ
KR19980013843A (ko) * 1996-08-03 1998-05-15 김광호 적응적 수신감도 향상을 위한 방송수신장치
KR20020035947A (ko) * 2000-11-07 2002-05-16 송문섭 자동이득제어기의 다이나믹 레인지의 제한을 개선한전자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672A (ko) 200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3180A (en) Space diversity reception system
US6456833B1 (en) Method for noise reduction in the reception of RF FM signals
KR100363176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agc 제어 장치
EP2171842B1 (en) Amplifier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for QAM modulated and continuous wave signals
KR100446078B1 (ko) 영상신호 자동이득 제어장치
JPH1169333A (ja) Catv用受信増幅器
JPH05327540A (ja) Agc回路
CA2058482C (en) Baseband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a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EP1401238B1 (en) Sound reproducing system
JPH04348000A (ja) 音声処理装置
JP2821374B2 (ja) 受信装置
JP3005472B2 (ja) 受信機
JP2556634B2 (ja) 音声処理装置
KR100382653B1 (ko) 원하는 신호를 기준으로 동작하는 agc 시스템
JPH0337771B2 (ko)
JPH0746988Y2 (ja) Fm受信機のagc制御回路
KR960011727B1 (ko) 티브이(tv)의 이득 자동제어장치
JPH09312585A (ja) Ifフィルタ
JPH0832895A (ja) 受信機
JPH0323719Y2 (ko)
KR19980048008A (ko) 파일럿신호 검출 회로
JPH03214931A (ja) 受信装置
JP2000165166A (ja) 自動信号レベル制御装置
JPH08297915A (ja) 音声記録装置
JPH04364617A (ja) 光受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