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992B1 -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차트 기록내용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차트 기록내용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992B1
KR100362992B1 KR1019990038306A KR19990038306A KR100362992B1 KR 100362992 B1 KR100362992 B1 KR 100362992B1 KR 1019990038306 A KR1019990038306 A KR 1019990038306A KR 19990038306 A KR19990038306 A KR 19990038306A KR 100362992 B1 KR100362992 B1 KR 100362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en
trajectory
electronic
chart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8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6830A (ko
Inventor
김재생
김우생
Original Assignee
김우생
김재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생, 김재생 filed Critical 김우생
Priority to KR1019990038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992B1/ko
Publication of KR20010026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차트 기록내용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 차트상에서 움직이는 전자펜의 궤적이 미리 정해진 특정 글자를 구성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전자펜의 궤적이 미리 정해진 특정 글자를 구성한 경우, 이후 그려지는 전자펜의 궤적이 "처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자펜의 궤적을 미리 학습된 "각 획수별 인식 가능 문자 정보"에 따라, 문자화하고, 해당 문자를 정보처리장치의 기억장소에 저장하는 단계와, 전자펜의 궤적이 미리 정해진 특정 글자를 구성하지 않은 경우, 이후 그려지는 전자펜의 궤적이 "증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전자펜의 궤적에 따른 전자 차트상의 좌표값들을 정보처리장치의 기억장소에 연속된 스트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전자펜을 입력도구로 하여, "진료 차트의 글자는 필기체 인식이 어려워 전자펜을 이용한 의료 전산화는 불가능하다"라는 기존의 통념을 깨고, 필기체 인식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불편함이 없이 종전의 차트를 쓰는 것과 동일하게 차트를 작성할 수 있으며, 의료 기관에서는 차트 기록 내용의 전산화까지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차트 기록내용 처리방법{Method for processing a substance of a electronic chart using electronic pen}
본 발명은 전자펜을 이용한 진료용 전자 차트 기록내용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전자펜을 이용하여 기록한 내용 중 문자 인식이 필요하지 않는 부분과 문자 인식이 필요한 부분을 구분하고, 문자 인식이 필요한 부분에서는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록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진료를 위한 전자 차트 시스템은 키보드를 이용하여 진찰과 처방 등의 기록을 입력하고, 특히 약, 처치, 검사 등에 대한 내용에 대하여는 이에 대응되는 숫자 코드를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하여야만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자 차트 시스템은 키보드를 두들겨야 하므로 펜을 사용하는데 익숙한 의사들에게 불편한 점이 있고, 약 이름 등이 변동되는 경우대응되는 숫자 코드를 다시 외워서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키보드를 사용하므로 그림을 쉽게 그려 넣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자 차트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보드를 대신하여 전자펜을 이용할 수 있는 진료를 위한 전자 차트 기록내용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기술적 과제는 의사들이 기록하는 필기체를 인식하는 것인데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차트의 기록부위를 인식이 필요한 부분과 필요치 않은 부분으로 분류함으로써 필기체 인식을 가능하도록 만든다.
완벽한 의료 전산화를 위해서는 차트의 전산화가 그 중심에 있다. 그런데 차트의 전산화를 하기 위한 기존의 키보드 시스템은 사용자가 불편하여 사용을 할 수 가 없다. 결국 기존의 종이 차트로 기록하는 방식과 유사한 전자 펜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차트 시스템을 만들어야 사용자가 불편없이 사용할 수 있다. 결국 발명의 목적은 완전한 의료 전산화를 구축하는데 있으며 이때 현재까지 걸림돌로 작용되었던 차트의 전산화를 사용자가 불편 없이 사용 가능하도록 만들어서 궁극적으로는 의료 전반에 걸친 전산화를 가능하게 만드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차트 기록내용 처리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펜 궤적 처리모듈에 학습된 각 획수별 인식 가능 문자 정보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 궤적 처리모듈에 의한 전자펜 궤적의 그래픽 처리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에 의한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차트 기록내용 처리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기반환경을 이루는 전자 차트 기록내용 처리 시스템은 전자 차트와, 이 전자 차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정보처리장치에 설치된 전자펜 궤적 처리모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전자펜 궤적 처리모듈은 본 발명 고유의 "전자 차트 기록내용 처리 프로세스"를 주도적으로 진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이때, 전자 차트 사용자인 의사는 펜 입력 도구(즉, 전자펜)를 이용하여, 전자 차트 상에 환자의 증상이나, 처방 및 병명 등을 기록하게 된다. 이러한 기록 동작은 일반 펜을 사용하는 종이 차트와 크게 다를 것이 없으므로 사용자는 불편함이 없다.
통상, 사용자인 의사가 전자펜을 이용하여 전자 차트에 입력하는 내용은 크게 환자의 증상에 관한 "Progressive Note"(이하에서 "증상")와 증상에 따른 약 처방, 치료 등에 관한 "Prescription"(이하에서 "처방")으로 대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펜 궤적 처리모듈은, 이와 같은 "증상"와 "처방"을 구분하여 처리한다. 또한 "병명" 부분도 의료 기록의 한 부분에 속하지만 이 부분은 독립적으로 기록이 가능하며 항상 기록하는 것이 아니므로 구현시 어려움이 별로 없어 이하에서는 "증상"과 "처방"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는 전자 차트상에 자신이 원하는 내용을 전자펜을 이용하여 기록한다(11).이 상황에서, 정보처리장치에 설치된 전자펜 궤적 처리모듈은 예컨대, 전자 차트상에서 움직이는 전자펜의 궤적이 미리 정해진 특정 글자를 구성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전자 차트상에 기록한 내용을 증상과 처방으로 분리하여 처리한다(12).통상, 사용자(의사)는 전자 차트에 "처방"을 기록하기 시작할 때에, 예컨대, "Prescription"을 의미하는 "Rx"라는 글자를 쓰는 경우가 대부분인 바, 본 발명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만약, 전자펜의 궤적이 "Rx"라는 특정 글자를 구성한 경우, 이후 그려지는 전자펜의 궤적이 "처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 그에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전자펜의 궤적이 해당 글자를 구성하지 아니한 경우, 이후 그려지는 전자펜의 궤적이 "증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 그에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이다.이때, 전자 차트상에서 움직이는 전자펜의 궤적이 미리 정해진 특정 글자, 예컨대, "Rx"를 구성한 경우, 전자펜 궤적 처리모듈은 이후 그려지는 전자펜의 궤적을 미리 학습된 "각 획수별 인식 가능 문자 정보"에 따라, 문자화하고, 해당 문자를 정보처리장치의 기억장소에 저장하는 일련의 문자 인식 처리 프로세스를 진행한다(14).예를 들어, 이후 그려지는 전자펜의 궤적이 "A,B,C"의 형태를 취하는 경우, 전자펜 궤적 처리모듈은 먼저, "A,B,C"를 "↗","↘","→", "↓","∃", "C"의 6개 획으로 분할한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리 학습된 "각 획수별 인식 가능 문자 정보"에 따라 해당 전자펜의 궤적을 문자화한다.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획에 해당하는 인식 가능 문자에는 "↗"에 매칭되는 문자가 없고, 2획에 해당하는 인식 가능 문자에는 "↗","↘"에 매칭되는 문자가 없는 반면, 3획에 해당하는 인식 가능 문자에는 "↗","↘","→"에 매칭되는 "A"라는 문자가 있기 때문에, 전자펜 궤적 처리모듈은 "A" 형태를 취한 전자펜의 궤적을 "A"라는 문자로 인식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정보처리장치의 기억장소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이와 유사한 요령으로, 전자펜 궤적 처리모듈은 "B","C"의 형태를 취한 전자펜의 궤적을 "B","C"라는 문자로 인식할 수 있게 되며, 이 또한 정보처리장치의 기억장소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통상, "처방" 부분에는 어떤 약을 주고, 어떤 처치를 하고, 어떤 검사를 하라는 등의 내용이 기록되는 바, 사용자(의사)는 이 내용이 타인, 예컨대, 간호사, 약사 등에게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처방" 부분은 비교적 정자로 기록하게 된다.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감안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자펜의 궤적이 "처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우, 전자펜의 궤적을 미리 학습된 "각 획수별 인식 가능 문자 정보"에 따라, 세밀하게 문자화하고, 해당 문자를 정보처리장치의 기억장소에 저장하는 일련의 문자 인식 처리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앞서 언급한 과정(12)에서, 전자 차트상에서 움직이는 전자펜의 궤적이 미리 정해진 특정 글자를 구성하지 아니하여, 전자펜의 궤적이 "증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우, 전자펜 궤적 처리모듈은 전자펜의 궤적에 따른 전자 차트상의 좌표값들을 정보처리장치의 기억장소에 예컨대, "(3,17),(4,12),(6,15)‥‥" 등과 같은 연속된 스트링으로 저장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한다(13).추후, 사용자가 이 좌표값들의 추출을 요구하는 경우, 전자펜 궤적 처리모듈은 정보처리장치의 기억장소에 저장되어 있던 좌표값들을 연속적으로 뽑아내면서, 각 좌표값들 사이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으로 이어줌으로써, 사용자가 처음에 입력한 글자, 그림 등이 그래픽 형태로 다시 복원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통상, "증상" 부분에는 타인이 이해할 필요성이 없는 사용자(의사)만의 자의적인 관찰내용이 기록되는 바, 따라서, 사용자(의사)는 이 내용을 일반적인 규칙 없이 흘림자로 빠르게 기록하게 된다.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감안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자펜의 궤적이 "증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우, 전자펜의 궤적을 문자화하여, 저장하지 않고, 단지, 그 좌표값들만을 연속된 스트링 형태로 저장하였다가, 추후, 이를 그래픽 형태로 동일하게 복원·출력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전자펜 궤적 처리모듈은 "사용자가 전자 차트상에 기록한 내용이 "증상"인가, "처방"인가의 유무를 앞서 언급한 "전자펜의 궤적이 미리 정해진 특정 글자를 구성하였는가의 여부"가 아닌 다른 방법, 예컨대, "전자 차트로부터 특정 메뉴 키 정보가 입력되었는가의 여부"에 따라, 판단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전자 차트에는 일련의 메뉴 키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이 상황에서, 정보처리장치에 설치된 전자펜 궤적 처리모듈은 전자 차트로부터 "처방"을 의미하는 특정 메뉴 키 정보가 입력된 경우, 전자 차트상에서 움직이는 전자펜의 궤적이 "처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 들여 해당 전자펜의 궤적을 미리 학습된 "각 획수별 인식 가능 문자 정보"에 따라, 문자화 하고, 해당 문자를 정보처리장치의 기억장소에 저장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한다.이와 달리, 전자 차트로부터 별도의 메뉴 키 정보가 입력되지 아니한 경우, 전자펜 궤적 처리모듈은 전자펜의 궤적이 "증상"의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 들여, 해당 전자펜의 궤적에 따른 전자 차트상의 좌표값들을 정보처리장치의 기억장소에 연속된 스트링으로 저장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한다.이러한 각 프로세스들은 앞서 언급한 각 스텝들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자펜 입력 도구를 이용하므로 사용자가 불편함이 없이 종전의 차트를 쓰는 것과 동일하게 차트를 작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기록된 차트 내용 중 "증상" 부분은 문자 인식을 하지 않고 그래픽 처리하며, "처방"은 데이터베이스와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록 내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기존의 종이 차트와 사용법이 동일하면서 마치 의료인이 기록하는 모든 내용을 모두 알아서 인식한다는 느낌을 주도록 하여 사용자는 불편 없이 기록을 하도록 만들며 한편으로는 처방전이나 병명 등과 같이 글자의 인식이 필요한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인식하여 처리함으로써 의료 기관에서 차트 기록 내용의 전산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진료 차트의 내용 중 환자의 증상을 적는 부위는 의사들이 빠르고 인식하기 어렵게 기록을 하지만 다른 사람들이 보는 내용(처방, 병명 등등)은 비교적 알아볼 수 있게 정자로 기록한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증상 부위는 기록을 해도 인식을 하지 않으며 단지 처방이나 병명과 같이 의사들이 정자체로 기록하는 부위만 인식함으로써 사용자는 마치 전체 기록을 인식하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전자 차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임의의 정보처리장치에 설치된 전자펜 궤적 처리모듈의 주도로 진행되며,
    상기 전자 차트상에서 움직이는 전자펜의 궤적이 미리 정해진 특정 글자를 구성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펜의 궤적이 미리 정해진 특정 글자를 구성한 경우, 이후 그려지는 상기 전자펜의 궤적이 "처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자펜의 궤적을 미리 학습된 "각 획수별 인식 가능 문자 정보"에 따라, 문자화하고, 해당 문자를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기억장소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펜의 궤적이 미리 정해진 특정 글자를 구성하지 않은 경우, 이후 그려지는 전자펜의 궤적이 "증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자펜의 궤적에 따른 전자 차트상의 좌표값들을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기억장소에 연속된 스트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차트 기록내용 처리방법.
  2. 삭제
  3. 삭제
  4. 일련의 메뉴 키를 구비한 전자 차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임의의 정보처리장치에 설치된 전자펜 궤적 처리모듈의 주도로 진행되며,
    상기 전자 차트로부터 특정 메뉴 키 정보가 입력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차트로부터 특정 메뉴 키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전자 차트상에서 움직이는 전자펜의 궤적이 "처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자펜의 궤적을 미리 학습된 "각 획수별 인식 가능 문자 정보"에 따라, 문자화하고, 해당 문자를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기억장소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차트로부터 특정 메뉴 키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전자펜의 궤적이 "증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자펜의 궤적에 따른 전자 차트상의 좌표값들을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기억장소에 연속된 스트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차트 기록내용 처리방법.
KR1019990038306A 1999-09-09 1999-09-09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차트 기록내용 처리방법 KR100362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306A KR100362992B1 (ko) 1999-09-09 1999-09-09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차트 기록내용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306A KR100362992B1 (ko) 1999-09-09 1999-09-09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차트 기록내용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830A KR20010026830A (ko) 2001-04-06
KR100362992B1 true KR100362992B1 (ko) 2002-11-29

Family

ID=19610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306A KR100362992B1 (ko) 1999-09-09 1999-09-09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차트 기록내용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9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111A (ko) * 2001-04-13 2002-10-19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서울병원) 무선통신을 이용한 간호 기록 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030082028A (ko) * 2002-04-16 2003-10-22 마이크로솔루션스 주식회사 병·의원용 차트 입력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316A (ja) * 1993-07-27 1995-02-14 Pfu Ltd 電子ペン
KR970049353A (ko) * 1995-12-29 1997-07-29 김광호 컴퓨터의 펜 입력 장치
JPH09322893A (ja) * 1996-06-07 1997-1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超音波診断装置
KR19990032065A (ko) * 1997-10-16 1999-05-06 윤종용 전자펜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9990069960A (ko) * 1998-02-16 1999-09-06 전주범 전자펜을이용한데이터전송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316A (ja) * 1993-07-27 1995-02-14 Pfu Ltd 電子ペン
KR970049353A (ko) * 1995-12-29 1997-07-29 김광호 컴퓨터의 펜 입력 장치
JPH09322893A (ja) * 1996-06-07 1997-1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超音波診断装置
KR19990032065A (ko) * 1997-10-16 1999-05-06 윤종용 전자펜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9990069960A (ko) * 1998-02-16 1999-09-06 전주범 전자펜을이용한데이터전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830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2450B2 (en) Diagnosis-driven electronic charting
CA2573884C (en) Association of data entries with patient records, customized hospital discharge instructions, and charting by exception for a computerized medical record system
WO2022267678A1 (zh) 视频问诊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070055550A1 (en) Personal transportable healthcare data base
US20050065815A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JP2007034871A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装置プログラム
WO2012003397A2 (en) Diagnosis-driven electronic charting
US20100010806A1 (en) Storage system for symptom inform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and method for storing TCM symptom information
US20220189486A1 (en) Method of labeling and automating information associations for clinical applications
CN106557646A (zh) 记录介质、应用程序激活控制方法和信息处理设备
CN113724830B (zh) 基于人工智能的用药风险检测方法及相关设备
KR100362992B1 (ko)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차트 기록내용 처리방법
Nair et al. Automated clinical concept-value pair extraction from discharge summary of pituitary adenoma patients
JP2002203045A (ja) 医療データ管理システムおよび医療データ管理装置
JP2008181509A (ja) デジタルペンを用いた医療情報の収集及び管理システム
KR20090067423A (ko)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차트 기록내용 처리방법
Butala et al. Natural language parser for physician’s handwritten prescription
Warren et al. Mediface: anticipative data entry interface for general practitioners
JP4471596B2 (ja) 患者情報データベース管理システム
JP2006092247A (ja) 電子カルテシステム
KR102451066B1 (ko)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중요검사결과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ruz et al. Towards an On-line Handwriting Recognition Interface for Health Service Providers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JP7140415B2 (ja) 看護支援装置、看護支援方法、プログラム
JP2003132080A (ja) イメージ文書管理システム
KR20230172960A (ko) 비대면 진료시스템 및 이에 의해 실행되는 비대면 진료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