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651B1 - 소둔공정의 스트립 표면에 석출된 백분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소둔공정의 스트립 표면에 석출된 백분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651B1
KR100362651B1 KR10-1998-0035269A KR19980035269A KR100362651B1 KR 100362651 B1 KR100362651 B1 KR 100362651B1 KR 19980035269 A KR19980035269 A KR 19980035269A KR 100362651 B1 KR100362651 B1 KR 100362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shaft
powder
winding shaft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392A (ko
Inventor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8-0035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651B1/ko
Publication of KR20000015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6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21B45/0287Cleaning devices removing solid particles, e.g. dust, r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2Cleaning com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둔공정중 스트립 표면에 석출된 백분을 제거하기 위한 소둔공정의 스트립 표면에 석출된 백분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대(25)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몸체(9)는, 실린더(1)의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9)의 선단부측과 후단부측에는 풀림축(12)과 감김축(22)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감김축(22)의 일단은 몸체(9)에 설치된 구동모터(7)에 연결되고, 상기 풀림축(12)과 감김축(22) 각각의 하부에 스트립(110) 상부측으로 갖추어진 부착포안내롤(14)(20)은 몸체(9)와 고정대(40)에 각각 공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지지대(25)의 회전지지축(51)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연결링크(50)는 풀림억제롤(10)과 실린더(11)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풀림축(12)으로부터 풀려지는 부착포(18)는 부착포안내롤(14)(20) 하부를 통해 감김축(22)에 감겨지며, 상기 풀림축(12)과 감김축(22) 사이에 갖추어진 누름판(19)의 선단부는 몸체(9)에 고정장착되어 부착포(18) 상부를 하부측으로 탄력적으로 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스트립의 일정길이에서 백분을 제거하도록 사용된 부분의 부착포를 감아 미사용된 부분의 부착포가 스트립 표면에 밀착되어 백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트립 표면의 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Description

소둔공정의 스트립 표면에 석출된 백분 제거장치
본 발명은 소둔공정중 스트립 표면에 석출된 백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립의 일정길이에서 백분을 제거하도록 사용된 부분의 부착포를 감아 미사용된 부분의 부착포가 스트립 표면에 밀착되어 백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트립 표면의 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된 소둔공정의 스트립 표면에 석출된 백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소둔공정에서는 코일화된 스트립을 풀어 환원성 수소분위기인 수직소둔로를 통과시키며, 이러한 스트립의 표면에는 백색의 미립자인 붕소(B), 이른바 백분이 석출되는 것이고, 상기 백분 미립자는 스트립을 권취하는 경우 스트립 표면의 결함발생요인이 된다.
통상, 스트립 표면에 석출된 백분은 약간의 접착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어서 압축공기분사등에 의한 방법으로는 제거하기가 쉽지 않은바, 종래에는 도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진행중인 스트립(110)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지지막대(120)를 설치한 후 상기 지지막대(120)에 끈끈한 부착포(130)의 일단을 고정하여 상기 부착포(130)가 스트립(110)의 상부면 적정길이에 걸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부착포(130)에 스트립(110) 표면의 백분이 묻혀져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에 의한 스트립 표면의 백분 제거방법에 있어서는, 부착포(130)를 스트립(110)에 접촉한 상태로 일정시간 사용한 후에는 부착포(130)의 백분제거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것으로 이는 잦은 설비의 휴지를 초래하여 생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었고, 또한 형상이 불량한 스트립(110)이 통과하는 경우에는 스트립(110) 표면에 부착포(130)가 제대로 접촉되지 못해 백분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통과하여 후공정에서 잔류백분에 의한 압입홈등의 품질결함을 발생시키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트립 표면의 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온라인상에서 제거하여 스트립 표면품질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된 소둔공정의 스트립 표면에 석출된 백분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라 스트립 표면의 백분을 제거하는 방법을 도시한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둔공정의 스트립 표면에 석출된 백분 제거장치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감김축 구동구조를 도시한 상세구성도
도4는 본 발명의 누름판 장착구조를 도시한 상세구성도
도5는 본 발명의 몸체완충구조를 도시한 상세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 실린더
7 ... 구동모터
9 ... 몸체
12 ... 풀림축
14,20 ... 부착포안내롤
18 ... 부착포
22 ... 감김축
27 ... 풀림억제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부착포가 진행하는 스트립의 표면에 덮여져 그 표면으로부터 백분을 제거하도록 된 백분 제거장치에 있어서,
지지대에 선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스트립의 상부에 위치하는 몸체는, 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제공받고, 상기 몸체의 선단부측과 후단부측에는 풀림축과 감김축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감김축의 일단은 몸체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제공받고, 상기 풀림축과 감김축 각각의 하부에 스트립 상부측으로 갖추어진 부착포안내롤은 몸체와 고정대에 각각 공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지지대의 회전지지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연결링크는 풀림억제롤과 실린더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풀림축으로부터 풀려지는 부착포는 부착포안내롤 하부를 통해 감김축에 감겨지며, 상기 풀림축과 감김축 사이에 갖추어진 누름판의 선단부는 몸체에 고정장착되어 부착포 상부를 하부측으로 탄력적으로 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둔공정의 스트립 표면에 석출된 백분 제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둔공정의 스트립 표면에 석출된 백분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스트립(110) 양측 가장자리부에 지지대(25)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25)에는 스트립(110)의 폭방향으로 축(26)이 설치되며, 상기 축(26)에는 몸체(9)의 일측 하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몸체(9)는 타단부가 실린더(1)에 연결되어 실린더(1)의 전후동작에 의해 축(26)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9)에는 스트립(110) 진행방향에 대한 전류 및 후류측에 풀림축(12)과 감김축(22)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풀림축(12)과 감김축(22)은 각각 스트립(110) 폭방향으로 위치되며, 상기 풀림축(12)에는 두루마리형으로 부착포(18)가 감겨져 있고, 감김축(22)에는 상기 풀림축(12)에서 풀려진 부착포(18)를 감게 된다.
그리고, 상기 풀림축(12)과 감김축(22)의 하부측에는 부착포 안내롤(14)(20)이 갖추어져 상기 풀림축(12)으로부터 풀려진 부착포(18)를 안내하여 스트립(110) 상부면 적정거리에 걸쳐 얹혀지도록 하고, 풀림축(12)측 안내롤(14)은 몸체(9)에 공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반면 감김축(22)측 안내롤(20)은 설비바닥에 고정된 고정대(40)에 공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물론, 상기 안내롤(14)(20)의 하단부 위치는 주행중인 스트립(110)의 상부면보다 약간 높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김축(22)의 일단은 기어상자(23)를 매개로 구동모터(7)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제공받는바, 이는 도3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감김축(22)의 일단에 베벨기어(24)를 설치하여 구동모터(7)의 베벨기어(36)와 연결시킴으로써 구동모터(7)의 회전동력이 감김축(22)에 전달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감김축(22)의 베벨기어(24)는 또다른 베벨기어(37)와 연결되며, 상기 베벨기어(37)는 클러치(38)를 매개로 수동핸들(4)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감김축(22)은 벨트풀리(8)를 갖추어 벨트(6)를 매개로 펄스생성기(5)와 연결된다.
상기 풀림축(12)과 감김축(22) 사이에 가죽등과 같이 신축성이 있으면서 적정한 무게를 가지는 사각판재형상의 누름판(19)이 갖추어지는바, 상기 누름판(19)의 스트립(110) 진행방향에 대한 전류측 단부는 긴 판재형상으로 된 복수개의 지지판(17) 사이에 끼워져 볼트(31)와 너드(33)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지지판(17)의 하나는 양단부에 축(30)을 일체로 고정하며, 상기 축(30)의 하나는 몸체(9)에 공회전하도록 장착되는 반면 다른 하나는 몸체(9)에 고정볼트(28)를 매개로 고정된 축고정블록(32)에 끼워진다. 상기 축고정블록(32)에는 슬릿형 홈(32a)을 형성하고 그 홈(32a)을 관통하여 나사결합형 고정구(16)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고정구(16)를 회전시켜 홈(32a)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서로 멀어지도록 하면 축고정블록(32) 내에서 축(30)이 회전할 수 있는 반면 고정구(16)를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서로 가까워지도록 하면 축고정블록(32) 내에서 축(30)이 회전할 수 없도록 견고하게 고정한다. 즉, 상기 고정구(16)에 의한 축(30)의 조임상태가 헐거운 상태에서 축(30)의 단부에 설치된 압하조정핸들(15)을 회전시켜 누름판(19)을 부착포(18) 표면에 적정한 압력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조정한 후 상기 고정구(16)를 회전시켜 축(30)이 축고정블록(32)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 있도록 하면 부착포(18)가 스트립(110)의 표면에 적정한 상태의 압력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누름판(19)의 타단부는 자유단이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9)가 실린더(1)에 의해 회전하강하여 감김축(22)을 회전지지하고 있는 베어링블록(41)과 충돌하는 경우 그 충격력을 완화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바, 이는 도5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같이 몸체(9)를 상하로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완충막대(34)를 설치하고, 상기 완충막대(34)는 와셔(35)와 조정너트(42)를 매개로 완충스프링(21)에 의해 하부측으로 적정한 정도의 탄성반발력을 받고 있으며, 따라서 몸체(9)가 선회하여 하강하는 경우 완충막대(34)와 베어링블럭(41)이 충돌하면 그 충돌력이 완충스프링(21)에 의해 흡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풀림축(12)에 감겨져 있는 부착포(18)는 풀림억제롤(10)에 의해 풀림이 억제되는바, 상기 풀림억제롤(10)은 풀림축(12)에 감겨져 있는 부착포(18)의 외표면부에 적정한 힘으로 밀착하여 공회전할 수 있도록 복수개 갖추어지고, 이러한 풀림억제롤(10)은 연결링크(50)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연결링크(50)의 타단부는 스트립(110) 폭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지지축(11)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연결링크(50)는 실린더(11)에 의해 회전지지축(11)을 중심으로 선회운동할 수 있다. 즉, 실린더(11)의 전후진에 의해 풀림억제롤(10)이 풀림축(12)의 부착포(18) 외표면부에 적정한 힘으로 밀착하여 공회전하고, 따라서 상기 풀림축(12)으로부터 부착포(18)가 과다하게 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9)의 감김축(22)측 단부에는 브라켓(52)을 매개로 롤(43)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롤(43)은 실린더(1)에 의해 몸체(9)가 하강한 경우 스트립(110)의 상부면에 접촉하여 스트립(110)의 이동에 부합하여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롤(43)은 펄스생성기(44)에 연결됨으로써 펄스생성기(44)는 스트립(110)의 진행거리를 측정하여 별도의 제어부에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9)의 회전위치는 복수개의 센서(2)(3)에 의해 감지되는바, 상기 센서(2)(3)는 상하로 적정거리 떨어져 위치하고, 이러한 센서(2)(3)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센서감응판(45)이 몸체(9)의 단부측에 갖추어지며, 따라서 실린더(1)에 의해 몸체(9)가 상승하면 상부센서(2)가 센서감응판(45)을 감지할 수 있어 몸체(9)의 상승위치가 결정될 수 있고, 실린더(1)에 의해 몸체(9)가 하강하면 하부센서(3)가 센서감응판(45)을 감지할 수 있어 몸체(9)의 하강위치를 적정한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부착포(18)에 의해 스트립(110) 표면상의 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는 실린더(1)를 후진시켜 몸체(9)가 회전상승된 상태, 즉 몸체(9)의 센서감응판(45)이 상부센서(2)에 의해 감지된 상태로 몸체(9)를 회전시키고, 이 상태에서 구동모터(7)를 회전시켜 감김축(22)을 회전시킨다. 상기 감김축(22)의 회전정도는 펄스생성기(5)에 의해 감지되고 그 데이터는 제어부에 전송됨으로써 부착포(18)의 감김량이 계산된다. 상기 감김축(22)에 감겨지는 부착포(18)는 사용에 의해 더러워진 부분이며, 따라서 부착포안내롤(14)(20)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길이 또는 그보다 약간 더 긴 길이가 감김축(22)에 감겨질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다.
설정된 길이만큼 부착포(18)가 감겨지면 제어부는 구동모터(7)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실린더(1)를 전진시켜 몸체(9)를 회전하강시키며, 센서감응판(45)이 하부센서(3)에 의해 감지되면 실린더(1)의 전진을 정지시킨다. 물론, 상기 상태에서 부착포안내롤(14)(20)은 스트립(110)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상태이고, 몸체(9)에 브라켓(52)을 매개로 장착된 롤(43)이 스트립(110)의 상부면에 접촉하여 회전을 개시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실린더(11)는 전진되어 풀림억제롤(10)을 풀림축(12)측 부착포(18) 표면에 밀착시키며, 이에 의해 부착포(18)는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트립(110) 표면상으로 쳐져 백분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상태에서도 수동핸들(4)을 회전시켜 부착포(18)의 쳐짐정도를 작업자가 직접 조정할 수도 있다.
상기 펄스생성기(44)는 초기화상태에서 스트립(110)의 이동거리를 제어부에 전송하기 시작하고, 그 데이터에 의해 제어부는 부착포(18)에 어느 정도의 백분이 부착되었는지를 간접적으로 판단하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면 제어부는 실린더(1)를 후진시킨 후 상기한 과정을 또다시 진행하여 새로운 부착포(18)에 의해 스트립(110) 표면의 백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부착포(18)의 더러워진 정도를 작업자가 육안에 의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둔공정의 스트립 표면에 석출된 백분 제거장치에 의하면, 부착포를 스트립 표면에 적정한 압력으로 밀착시킨 상태로 스트립이 일정길이 이동할때까지 그로부터 백분을 제거하고 다시 사용된 부분의 부착포를 감아 미사용된 부분의 부착포가 스트립 표면에 밀착되어 백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트립 표면의 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함에 의해 그 표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부착포가 누름판에 의해 스트립에 적정한 상태의 압력으로 밀착될 수 있어 형상불량상태인 스트립 표면에서도 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부착포(18)가 진행하는 스트립(110)의 표면에 덮여져 그 표면으로부터 백분을 제거하도록 된 백분 제거장치에 있어서,
    지지대(25)에 선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스트립(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몸체(9)는, 실린더(1)의 로드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제공받고, 상기 몸체(9)의 선단부측과 후단부측에는 풀림축(12)과 감김축(22)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감김축(22)의 일단은 몸체(9)에 설치된 구동모터(7)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제공받고, 상기 풀림축(12)과 감김축(22) 각각의 하부에 스트립(110) 상부측으로 갖추어진 부착포안내롤(14)(20)은 몸체(9)와 고정대(40)에 각각 공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지지대(25)의 회전지지축(51)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연결링크(50)는 풀림억제롤(10)과 실린더(11)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풀림축(12)으로부터 풀려지는 부착포(18)는 부착포안내롤(14)(20) 하부를 통해 감김축(22)에 감겨지며, 상기 풀림축(12)과 감김축(22) 사이에 갖추어진 누름판(19)의 선단부는 몸체(9)에 고정장착되어 부착포(18) 상부를 하부측으로 탄력적으로 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둔공정의 스트립 표면에 석출된 백분 제거장치.
KR10-1998-0035269A 1998-08-28 1998-08-28 소둔공정의 스트립 표면에 석출된 백분 제거장치 KR100362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269A KR100362651B1 (ko) 1998-08-28 1998-08-28 소둔공정의 스트립 표면에 석출된 백분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269A KR100362651B1 (ko) 1998-08-28 1998-08-28 소둔공정의 스트립 표면에 석출된 백분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392A KR20000015392A (ko) 2000-03-15
KR100362651B1 true KR100362651B1 (ko) 2003-02-19

Family

ID=19548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269A KR100362651B1 (ko) 1998-08-28 1998-08-28 소둔공정의 스트립 표면에 석출된 백분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6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767B1 (ko) * 2003-06-12 2010-08-24 주식회사 포스코 전해청정 공정에서 스트립 표면 탈지력 향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767B1 (ko) * 2003-06-12 2010-08-24 주식회사 포스코 전해청정 공정에서 스트립 표면 탈지력 향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392A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2651B1 (ko) 소둔공정의 스트립 표면에 석출된 백분 제거장치
CN110091497B (zh) 一种牵引机压花装置
CN215101082U (zh) 一种面料调整装置及应用该装置的拉布机
CN110967250A (zh) 一种弹力织带拉伸性能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217059134U (zh) 一种阻力检测装置
CN214527141U (zh) 一种自张紧式pe膜加工装置
KR20010048999A (ko) 스트립의 표면결함 검출장치
KR100494110B1 (ko) 강판의 백색도 자동 측정장치
CN209255106U (zh) 一种擦胶系统
KR100408695B1 (ko) 권취기의 스트립 미끄러짐 방지장치
CN218824214U (zh) 一种配电线路检测装置
KR200299443Y1 (ko) 밍크담요 제직기의 원사공급용 장력 자동조절장치
US4704857A (en) Open-end friction spinning machine provid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friction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ing spinning surfaces
JP3261747B2 (ja) 織機の経糸張力制御装置
KR100778741B1 (ko) 스트립 그라인더의 연마밸트 에지부 연삭장치
KR200282912Y1 (ko) 도금층박리시험용시험편자동공급장치
WO2024113876A1 (zh) 一种点胶机擦胶模组
CN219273530U (zh) 侧面点胶擦胶装置
CN215402065U (zh) 一种用于薄膜标签的新型opp检品机
CN210048208U (zh) 一种制动卷布机
CN216836442U (zh) 一种走纸架送膜机构
CN220616316U (zh) 一种超薄钢带扎机的限位装置
KR100361614B1 (ko) 스트립 구동롤의 부직포 도포장치
KR200179169Y1 (ko) 빌리롤 자동 연마 장치
CN220098034U (zh) 一种橡胶输送带的张力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