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160B1 - 이온 보조 반응법을 이용한 폴리올레핀 또는 열가소성수지의 표면 개질과 이를 이용한 나일론수지의 강인화방법 및 고분자 블렌드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온 보조 반응법을 이용한 폴리올레핀 또는 열가소성수지의 표면 개질과 이를 이용한 나일론수지의 강인화방법 및 고분자 블렌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160B1
KR100362160B1 KR1019990053818A KR19990053818A KR100362160B1 KR 100362160 B1 KR100362160 B1 KR 100362160B1 KR 1019990053818 A KR1019990053818 A KR 1019990053818A KR 19990053818 A KR19990053818 A KR 19990053818A KR 100362160 B1 KR100362160 B1 KR 100362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olyolefin
nylon
thermoplastic resin
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8934A (ko
Inventor
고석근
서용석
김형준
조정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19990053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160B1/ko
Publication of KR20010048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1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23Treatment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4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 보조 반응법을 이용한 폴리올레핀 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표면 개질과 이를 이용한 나일론수지의 강인화 방법 및 고분자 블렌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분말에 이온빔을 조사하면서 반응성 가스를 첨가하여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분말의 표면을 기능화시키고, 기능화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분말을 나일론수지와 블렌딩시켜 형성되는 나일론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의 블렌드를 제공한다. 본발명에 의한 나일론과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블렌드는 기존의 단순 2성분계 블렌드에 비해 그 기계적 성능, 즉 연신 특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내열성이 우수하고 접합성이 뛰어나며, 이를 제조함으로써 고가의 나일론수지를 대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온 보조 반응법을 이용한 폴리올레핀 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표면 개질과 이를 이용한 나일론수지의 강인화 방법 및 고분자 블렌드 조성물{NYLON TOUGHENING METHOD AND MOLDED COMPOSITIONS OF POLYMER BLENDS BY MODIFING THE SURFACE OF POLYOLEFIN OR THERMOPLASTIC ELASTOMERS USING ION ASSISTED REACTION}
본 발명은 이온 보조 반응법을 이용한 폴리올레핀 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표면 개질과 이를 이용한 나일론수지의 강인화 방법 및 고분자 블렌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에 관능기를 형성시킴으로써 접합공중합체를 형성한 후 이 접합공중합체가 모체수지와의 계면에서 작용함으로써 향상된 분산성과 계면 접착성을 가지게 한 나일론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블렌드에 관한 것이다.
나일론은 그 자체가 유연성이 좋고 강인하여 다방면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나일론은 흡습성이 강하고 저온 파괴시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반응기를 가지는 열가소성수지를 첨가하여 블렌드(blend)를 형성함으로써 초강성 나일론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에 관한 기술은 폴리머(Polymer, 영국) 34권, 1667쪽 및 미국특허3,770,849에 공지되어 있다. 90년대 들어서 고분자 수지의 표면에 반응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플라즈마나 전자빔을 조사하는 공정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고분자수지의 표면에 순간적인 양극자를 가지는 전하상태를 부여하거나 자유전자를 가지는 라디칼을 도입한 후 이들간의 상호작용 및 반응을 이용하여 표면 경화를 이루거나 친수성을 부여하는데 국한되었다.
한편, 모체수지로서 나일론과 분산상으로서 폴리올레핀 수지의 블렌드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나일론과 폴리올레핀 수지들이 서로 비상용성(noncompatibility)이어서 계면에서의 접착성이 불량하였고, 깨짐(crack)이 일어날 때 계면에서의 분리가 먼저 진행된 후 이것이 전파됨으로써 파괴(failure)가 일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접착성의 불량 및 계면에서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올레핀 수지에 반응기, 예를 들면 말레익 안하이드라이드 또는 옥사졸린을 도입한 후, 이들이 나일론 수지의 말단기인 아민 그룹과 반응함으로써 접합공중합체를 형성하고, 이 접합공중합체가 계면에서 상용화제(compatibilizer)로 작용하여 분산상의 균일한 분산을 유도하고 계면에서의 접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여러 물성, 특히 기계적 특성(예를 들면, 인장강도 또는 충격강도)의 향상을 이룰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의 경우, 올레핀 수지의 표면에 효과적으로 관능기(functional group)(예를 들면, 카르복실기)를 도입하는 방법이 항상 문제가 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반응 화합물들이 승화성이 있어서 용융상태에서 첨가하면 승화하므로 어려움이 있고, 또한 실제 부가 반응의 효율이 낮아 원하는 특성을 얻기가 어려웠다. 이를 액상에서 진행하는 것은 용매의 회수 및 생성물 분리의 문제가 있어서 실험실적인 규모외에 실제 생산 공정에 적용하기는 어려웠다.
반응 촉진을 위하여 말레익 안하이드라이드나 옥사졸린계 화합물 등의 반응물을 촉매와 같이 첨가한 경우에는 상기의 문제 외에도 반응물과 촉매의 균일한 분산이 어려우며, 따라서 생성되는 수지도 반응기의 분산 상태가 불균일하여 원하는 물성을 가지는 반응성 올레핀 수지를 제조하는 것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에 효과적으로 관능기를 도입함으로써,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와 나일론의 블렌드 제조시 상용성을 부여하고 계면 접착성의 향상을 이루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나일론계 블렌드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화학적 반응에 의한 관능기 도입방법의 단점을 제거하고, 최상의 반응조건으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에 관능성을 부여하는 공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수성인 폴리올레핀 수지에 관능기를 도입함으로써 이를 친수성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이온보조 반응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표면처리된 폴리올레핀 수지 분말의 블렌딩 효과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나일론66과 폴리오레핀의 블렌드의 파단면을 전자현미경으로 본 사진으로서,
도 3a는 폴리올레핀이 표면 처리되지 않은 경우이고,
도 3b는 폴리올레핀을 이온빔으로 표면 처리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4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X선 광전자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5는 열중량분석기에 의한 열분해곡선을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나일론6과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블렌드의 파단면을 전자현미경으로 본 사진으로서,
도 6a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가 표면 처리되지 않은 경우이고,
도 6b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를 이온빔으로 표면 처리한 경우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이온소스 2:반응성가스 주입구
5:시료 7:펌프
10:표면처리되지 않은 고분자 11:블렌딩되지 않은 고분자
20:표면처리한 고분자 21:블렌딩된 고분자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분말에 이온빔을 조사하면서 반응성 가스를 첨가하여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분말 또는 열가소성 수지 분말의 표면을 기능화시키고, 표면이 기능화된 폴리올레핀 수지 분말 또는 열가소성 수지 분말을 나일론수지와 블렌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보조 반응법을 이용한 폴리올레핀 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표면 개질과 이를 이용한 나일론수지의 강인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이 기능화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분말을 나일론수지와 블렌딩시킨 고분자 블렌드 조성물을 제공한다.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분말의 표면을 기능화시키기 위해 조사되는 이온빔의 양은 1×1015~ 1×1017ions/cm2범위이며, 이온빔 전류밀도는2㎂/cm2가 적당하다. 또한 이온빔의 가속에너지는 1keV 가 적당하며, 이온으로는 산소 또는 수소를 사용한다.
이온빔과 함께 첨가되는 반응성 가스는 산소를 사용하며 주입량은 0.2 ~ 6 ml/min, 바람직하게는 3 ml/min 정도가 적당하다.
표면이 기능화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는 5 ~ 40w%, 바람직하게는 20w% 이상으로 나일론수지 60 ~ 95w%와 배합한다. 이렇게 배합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와 나일론수지를 혼련 압출기 내에서 용융 혼합함으로써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와 나일론수지의 블렌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터폴리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이온보조 반응법(Ion Assist Reaction)을 이용하여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표면에 이온빔을 조사하면서 동시에 반응성 가스를 첨가함으로써 비활성인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표면을 기능화시키고, 친수성 작용기를 형성시킨다. 이렇게 기능화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표면에 형성된 관능기, 예를 들면 카르복실기는 나일론계 수지의 말단기, 예를 들면 아민기 사이와 반응하게 되고, 반응과 동시에 상용화제를 생성한다. 이 상용화제는 모체수지인 나일론 수지와 분산상인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계면에 위치함으로써 계면접합성 및 분산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향상된 기계적 성능을 나타내는 나일론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블렌드를 제조할 수 있다.
이온보조 반응법은 새로운 물리적 표면개질 방식으로, 필라멘트가 없는 cold cathode 타입 이온 소스로서 실린더 형태의 양극과 기체를 주입시키는 주입봉을 음극으로 하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수백 볼트의 전압을 인가하여 두 전극 사이의 전압 차로 인해 아르곤, 수소 등의 기체를 이온화시킨 후, 이들 이온화된 기체를 개질을 원하는 물질의 표면에 충돌시켜 그 표면을 활성화시키고, 이렇게 활성화된 표면에 친수성 작용기등을 부착함으로써 표면을 기능화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장점은 반응효율이 높고, 저 에너지의 이온빔을 사용하기 때문에 반응 후 표면이 매우 안정화되어 장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같은 구조를 유지할 수 있으며, 공정 또한 단순하여 효율이 높다는 것이다.
도 1은 이러한 이온보조 반응법의 대략적인 장치도를 도시하였다. 펌프(7)에 의해 진공을 유지하는 챔버 내에 이온 소스(1)로부터 이온빔이 조사되고 반응성 가스 주입구(2)로부터 반응성 가스가 첨가된다. 셔터(4)를 통과한 이온빔이 시료(5)에 조사되어 시료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며, 시료 용기(6)는 모터(8)와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시료의 표면 개질이 균일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표면처리된 폴리올레핀 수지 분말의 블렌딩 효과를 설명하는 모식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보면, 왼쪽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온보조 반응법으로 표면처리하기 전에는 블렌딩이 잘 되지 않으나, 오른쪽과 같이 이온빔으로 처리한 후에는 폴리올레핀수지 분말의 표면이 기능화되어 나일론계 고분자와 반응을 일으키는데 용이한 작용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나일론 수지들은 아미드 그룹을 함유하고 적어도 사슬한쪽 끝의 말단기가 아민기로 끝나는 고분자들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나일론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의 블렌드는 260 ~ 280℃에서 용융압출 및 사출 가능하며, 얻어진 성형품은 기존의 2성분계 블렌드에 비해 그 기계적 강도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은 소수성인 폴리올레핀 수지 표면에 관능기를 도입하여 표면을 친수성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다른 도료용 화합물, 예를 들어, 수성 및 유성페인트, 염료, 또는 락커 등과 친화력을 갖게 하고, 따라서 도장 및 염색을 용이하게 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로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을 명시하고자 한다.
실시예 1
원료물질인 분말형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대류오븐에서 1000℃에서 24시간 건조시켰다. 이를 진공챔버 내에 넣고, 이온건에 아르곤 가스를 주입시킨 후 전압을 가하여 방전에 의해 아르곤 가스를 이온화시킨 후, 다시 여기에 가속 전압을 약 1keV정도 가하여 이온건으로부터 이온빔을 폴리에틸렌 표면으로 조사시켰다. 여기에 반응성 가스로 산소기체를 3ml/min의 유량으로 일정하게 주입하였다. 챔버 내의 진공도는 5×10-6Torr에서 시작하여 주입기체와 반응성 가스가 도입된 후에는 2.5×10-4Torr를 유지하였다. 이때 폴리에틸렌 표면에 가해지는 이온빔의 전류밀도는2㎂/cm2였고, 이온 조사량에 따라 교반하며 조사한다. 이러한 교반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장비 안에서 수행되어지며, 교반기 아래에 모터를 부착하여 두 가지의 고분자 분말이 잘 섞이도록 충분히 교반시켜준다. 아민기를 말단에 함유하는 나일론66을 대류오븐에서 100℃로 유지하여 24시간 건조시킨 후, 상기 이온빔으로 표면 처리된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일정비로 혼합한 다음, 2축 압출기인 브라벤더 (Bravender)를 이용하여 용융 혼합하였다. 압출되는 용융혼합물을 냉각수로 급냉시켜 시편을 얻었다. 이때 브라벤더의 배럴과 다이의 온도는 각각 280℃였다. 압출된 시편의 기계적 물성을 인스트론 만능시험기(4024모델)에서 상온하에서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한 시편의 물성을 조사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나일론66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는 2성분계 블렌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이온빔 보조 반응법으로 처리한 경우가 단순 2성분계 블렌드에 비하여 기계적 성능이 뚜렷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도 3a 및 도 3b의 전자 현미경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처리 2성분계 블렌드의 경우(도 3a) 계면에서의 접합이 나쁘고(분산상 주위에 분리된 공간을 볼 수 있다.) 분산된 입자의 크기도 큰 반면, 이온빔 처리된 2성분계 블렌드에서는 분산된 입자의 크기가 훨씬 작을 뿐 아니라 계면에서의 접합이 뚜렷이 개선되었음을 볼 수 있다.
표 1. 나일론66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혼합블렌드의 물성
성분조성비 (무게중량%) 인장강도(MPa) 인장탄성율(GPa)
나일론 66 비처리 고밀도폴리에틸렌 이온빔처리 고밀도폴리에틸렌
100 0 0 80 1.7
0 100 0 38 0.9
80 20 0 53 1.1
80 0 20 80 1.6
50 0 50 56 1.2
도 4에 나타난 X선 광전자분광스펙트럼의 결과에서 폴리에틸렌 표면에 카르복실기가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고, 이 생성된 카르복실기가 나일론66의 아민그룹과 반응하여 접합공중합체를 생성함으로써 생성된 접합공중합체가 계면에서 상용화제로 작용하여 모체수지와의 계면장벽을 낮추며, 따라서 폴리에틸렌의 분산이 좋아지고 동시에 계면에서의 접합이 향상되어 외부응력이 작용할 때 계면에서 파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더욱이 표 2에서 이온빔 처리된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20% 첨가된 경우 인장강도는 순수 나일론66에 비하여 전혀 저하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고가의 나일론66을 저가의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혼합함으로써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기계적 물성은 변하지 않는 블렌드를 제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소수성인 폴리에틸렌과 혼합함으로써 나일론 수지의 흡습성이 감소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도 5에는 열중량 분석기에 의한 열분해곡선을 도시하였다. 이온빔 보조 반응법으로 처리된 블렌드의 경우, 처리하지 않은 단순 블렌드에 비하여 내열성이 향상되었음을 볼 수 있으며, 이는 이온빔 보조 반응법으로 처리된 2성분계에서 분산상이 고르게 분산되는데 기인하는 것이다.
실시예 2
원료 물질인 분말형 에틸렌-플로필렌고무(EP rubber)를 진공오븐에서 500℃ 2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이를 이온보조 반응법을 이용하여 표면처리를 수행하였다. 수소 이온을 사용하였고, 이온빔의 에너지는 1keV이며, 이온빔의 전류밀도는 2㎂/cm2였다. 에틸렌-플로필렌고무 주위로 산소기체를 3ml/min 정도로 주입하는 동시에 에틸렌-플로필렌고무를 이온조사량에 따라 교반하면서 이온빔을 조사하였다. 아민기를 말단에 함유하는 나일론6을 대류오븐에서 1000℃에서 24시간 건조시킨 후, 상기 이온빔 처리된 에틸렌-프로필렌고무와 일정 무게비로 혼합한 후 2축 압출기인 브라벤더를 이용하여 용융 혼합하였다. 압출되는 용융혼합물을 냉각수로 급냉시킨 후, 입자 절단기로 절단하여 알갱이 형태로 만들고, 이 알갱이들을 오븐에서 120℃에서 24시간 건조 시킨 후, 주사 성형기에서 시편을 제작하고 미국공업표준규격(ASTM) D256의 방법에 따라 시편을 만든 후 나치(notch)를 새겨 충격시험기(Radman T2000)에서 내충격성을 시험하였다. 이에 따른 물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나일론6와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고무) 블렌드의 물성
성분 조성 내충격강도 (KJ/㎡)
나일론 6 비처리 EP고무 이온빔처리 EP고무 온 도
-20℃ -10℃ 0℃ 20℃
100 0 0 3.5 4.03 4.23 4.65
80 20 0 4.3 4.8 5.2 5.95
80 0 20 7.7 8.3 10.34 14.8
70 0 30 10.2 13.2 18.9 37.2
여기서 보는 바와 같이 이온빔 보조 반응법으로 처리된 에틸렌-프로필렌고무와 나일론6의 블렌드의 경우, 처리 하지 않은 에틸렌-프로필렌고무와의 단순 2성분계에 비하여 저온 특성이 뚜렷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도 6a를 보면 비처리 2성분계의 경우 계면에서의 접합이 나쁘고 분산된 입자의 크기도 큰 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온빔 처리된 이성분 혼합계에서는 분산된 입자의 크기가 훨씬 작을 뿐 아니라 분산도 균일하게 이루어졌고 계면에서의 접합이 뚜렷이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앞의 실시예 1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경우와 같이 에틸렌-프로필렌고무의 표면에 산소분자가 첨가되어 카르복실기를 형성하고, 이 생성된 카르복실기가 나일론6의 아민 그룹과 반응하여 접합공중합체를 생성함으로써 생성된 접합공중합체와 계면에서 상용화제로 작용하여 모체수지와의 계면장력을 낮추게 되고, 따라서 분산이 좋아지며 동시에 계면에서의 접합이 향상되어, 외부응력이 작용할 때 균일하게 분산된 고무상이 변형되고 공동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응력을 흡수하고 결과적으로 탁월한 내충격성을 띄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저온특성은 초고강도 나일론의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수소 이온빔 보조 반응법을 사용함으로써 처리 시간이 아르곤 이온보조 반응법 보다 훨씬 줄어들고 그만큼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온빔 처리로 관능기를 가지게 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와 나일론수지를 반응시켜 접합공중합체를 형성한 후 이 접합공중합체가 모체수지와의 계면에서 작용함으로써 향상된 분산성과 계면 접착성을 가지게 된다. 이 향상된 분산성과 계면 접합성은 모체수지에서 분산상으로 응력전달이 잘 일어나게 하여 혼합계의 기계적 성능이 월등히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발명에 의한 나일론과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블렌드는 기존의 단순 2성분계 블렌드에 비해 그 기계적 성능, 즉 연신 특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며내열성이 우수하고 접합성이 뛰어난 고분자 블렌드임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제조함으로써 고가의 나일론수지를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적 처리공정을 거치지 않음으로써 공해물질 처리 문제가 없으며 효율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9)

  1. 진공챔버 내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분말에 이온빔을 조사하여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분말 표면을 활성화시키고,
    여기에 반응성 가스를 첨가하여 상기 활성화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분말 표면에 작용기를 형성시키고,
    상기 표면에 작용기가 형성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분말을 나일론수지와 블렌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보조 반응법을 이용한 폴리올레핀 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표면 개질과 이를 이용한 나일론수지의 강인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사되는 이온빔의 양은 1×1015~ 1×1017ions/cm2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보조 반응법을 이용한 폴리올레핀 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표면 개질과 이를 이용한 나일론수지의 강인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조사되는 이온빔 전류밀도는 2㎂/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보조 반응법을 이용한 폴리올레핀 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표면 개질과 이를 이용한 나일론수지의 강인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조사되는 이온빔의 가속에너지는 1keV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보조 반응법을 이용한 폴리올레핀 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표면 개질과 이를 이용한 나일론수지의 강인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조사되는 이온은 산소 또는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보조 반응법을 이용한 폴리올레핀 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표면 개질과 이를 이용한 나일론수지의 강인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첨가되는 반응성 가스는 산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보조 반응법을 이용한 폴리올레핀 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표면 개질과 이를 이용한 나일론수지의 강인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첨가되는 반응성 가스의 주입량은 0.2 ~ 6 ml/min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보조 반응법을 이용한 폴리올레핀 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표면 개질과 이를 이용한 나일론수지의 강인화 방법.
  8.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분말에 이온빔을 조사하면서 반응성 가스를 첨가하여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분말의 표면을 기능화시키고, 표면이 기능화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분말을 나일론수지와 블렌딩시킨 고분자 블렌드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기능화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5 ~ 40w%와 나일론수지 60 ~ 95w%를 배합하여 형성되는 고분자 블렌드 조성물.
KR1019990053818A 1999-11-30 1999-11-30 이온 보조 반응법을 이용한 폴리올레핀 또는 열가소성수지의 표면 개질과 이를 이용한 나일론수지의 강인화방법 및 고분자 블렌드 조성물 KR100362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818A KR100362160B1 (ko) 1999-11-30 1999-11-30 이온 보조 반응법을 이용한 폴리올레핀 또는 열가소성수지의 표면 개질과 이를 이용한 나일론수지의 강인화방법 및 고분자 블렌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818A KR100362160B1 (ko) 1999-11-30 1999-11-30 이온 보조 반응법을 이용한 폴리올레핀 또는 열가소성수지의 표면 개질과 이를 이용한 나일론수지의 강인화방법 및 고분자 블렌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934A KR20010048934A (ko) 2001-06-15
KR100362160B1 true KR100362160B1 (ko) 2002-11-23

Family

ID=1962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818A KR100362160B1 (ko) 1999-11-30 1999-11-30 이온 보조 반응법을 이용한 폴리올레핀 또는 열가소성수지의 표면 개질과 이를 이용한 나일론수지의 강인화방법 및 고분자 블렌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1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934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027743T2 (de) Oberflächliche Bestrahlung von geformten Polypropylengegeständen
DE68910556T2 (de) Thermoplastische Harzzusammensetzung.
EP0242528B1 (de) Schlagzähe Polyamid-Formmassen
EP0456259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DE68913221T2 (de) Polypropylen-Zusammensetzung.
EP1801162A1 (de) Polyamid-EVA Mischungen
CN1821299A (zh) 一种功能化聚丙烯材料的制备方法
KR20020070637A (ko)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제조방법
CN1208363C (zh) 功能化聚烯烃树脂的制备方法
Wu et al. Rubber toughened polyamide 6: The influences of compatibilizer on morphology and impact properties
EP2930208A1 (en) Polypropylene blend compatibilization method, polypropylene blend and use thereof, polypropylene blend product and compatibilization initiator
CN114015109A (zh) 一种高熔体强度尼龙发泡材料的制备方法
EP0498907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DE3382712T2 (de) Durch Pfropfung modifiziertes Copolyme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00584870C (zh) 稀土化合物参与的功能化聚烯烃树脂的制备方法
KR100362160B1 (ko) 이온 보조 반응법을 이용한 폴리올레핀 또는 열가소성수지의 표면 개질과 이를 이용한 나일론수지의 강인화방법 및 고분자 블렌드 조성물
DE4029226A1 (de) Polyamid/polypropylen-blends
US3751397A (e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glass fibers
EP0771854A2 (en) Crystallin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DE102006041511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odifizierten PTFE-Pfropfcopolymer-Materialien durch Gasphasenpfropfung
CN1074781C (zh) 采用辐照技术制备高强高韧高密度聚乙烯材料的方法
KR100760959B1 (ko) 방사선을 이용하여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계 상용화제조성물의 제조방법
DE60028774T2 (de) Verfahren zur modifikation von polyolefinen
Senna et al. Effect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and reactive compatibilizers on some properties of polypropylene and epoxidized natural rubber polymer blends
CN111621114B (zh) 一种改性聚丙烯家具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