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851B1 - 이형 선재용 압연기의 롤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이형 선재용 압연기의 롤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851B1
KR100361851B1 KR1020010084693A KR20010084693A KR100361851B1 KR 100361851 B1 KR100361851 B1 KR 100361851B1 KR 1020010084693 A KR1020010084693 A KR 1020010084693A KR 20010084693 A KR20010084693 A KR 20010084693A KR 100361851 B1 KR100361851 B1 KR 100361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haft
choke
cross
support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4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4811A (ko
Inventor
유병섭
Original Assignee
유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섭 filed Critical 유병섭
Priority to KR1020010084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851B1/ko
Publication of KR20020024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18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2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롤러가 1조를 이루어 그 본체 표면에 음각된 단면 형상(profile)으로 이형 선재를 압연 성형하는 이형 선재 압연기에 있어서, 상기 롤러 본체 표면에 음각된 단면 형상을 수평적으로 정합시키기 위하여 롤러 축을 수평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평 위치 조정 수단이 각 롤러 양축의 초크 외측면에 롤러축 중심 또는 지지베어링의 측면을 향하도록 형성된 관통공; 초크 외측면에 접합되고 관통공과 일치되는 지점에 너트가 형성된 보조판; 및 보조판의 너트에 체결되고, 외부에서 작업자가 회동시킬 경우 롤러 축 방향으로 진행하여 롤러 축의 중심 또는 지지베어링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는 볼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 초크의 외측면에서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롤러의 축을 이송시킴으로 롤러의 수평 위치 조정을 달성할 수 있는 이형 선재용 압연기의 롤러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형 선재용 압연기의 롤러 어셈블리{ROLLER ASSEMBLY FOR ROLLING MACHINE FORMING HETEROMORPHIC PROFILE WIRE}
본 발명은 이형 선재 압연기용 롤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2개의 롤러가 1조를 이루어 그 본체 표면에 음각된 단면 형상(profile)으로 이형 선재를 압연 성형하는 이형 선재 압연기에 있어서, 상기 롤러 본체 표면에 음각된 단면 형상을 수평적으로 정합시킬 수 있는 수단을 롤러 초크 측면에 구비한 이형 선재 압연기용 롤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2개의 롤러가 1조를 이루어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가진 이형 선재를 압연하는 이형 선재 성형용 압연기의 롤러 본체 표면에는 성형하고자 하는 이형 선재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의 그루브가 2개의 롤러에 일부씩 나뉘어 형성된다.
이러한 롤러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이형 선재를 압연하기 위하여는 2개의 롤러 표면에 형성된 단면 형상을 수평적으로 정합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원하는 단면 형상을 가진 이형 선재가 압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종래, 롤러의 축 일부 마다 나사산을 형성하고, 여기에 진행 방향이 반대인 록크 너트(lock nut) 2개를 채운 후, 상기 록크 너트 측면을 롤러 초크의 내측면과 접촉하게 하고, 상기 롤러 좌우축의 상기 록크 너트를 풀거나 조여 롤러를 수평이동 시킴으로써, 2개의 롤러 본체 표면에 형성된 단면 형상을 일치시켰다.
그러나, 상기 종래 롤러 어셈블리의 수평 조절 수단은 롤러의 회전축의 일부에 나사산을 내야하고, 롤러 본체와 롤러 초크 내측면 간의 협소한 공간에서 록크 너트를 풀거나 조여야 하므로 롤러의 수평 위치 조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롤러 초크의 외측면에서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롤러의 축을 이송시킴으로 롤러의 수평 위치 조정을 달성할 수 있는 이형 선재용 압연기의 롤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형 선재용 압연기의 롤러 어셈블리의 아이들형 실시례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형 선재용 압연기의 롤러 어셈블리의 구동형 실시례이다.도 3은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a ~ 111d, 211a ~ 211h:볼트 112a ~ 112d:이송력 전달편
113a ~ 113d:트러스트베어링 114a ~ 114d, 214a ~ 214d:지지베어링
120a,220a:제1롤러 본체 120b,220b:제2롤러 본체
121a, 121b, 122a, 122b, 221a, 221b, 222a, 222b, 223a, 223b:단면형상
123a,223a:제1롤러좌측축 123b,223b:제1롤러우측축 123c,223c:제2롤러좌측축 123d,223d:제2롤러우측축 225a, 225b:기어박스 226a, 226b:구동축228a, 228b, 228c, 228d:단(段)
130a,230a:제1롤러좌측초크 130b,230b:제1롤러우측초크
130c,230c:제2롤러좌측초크 130d,230d:제2롤러우측초크131a ~ 131d, 231a ~ 231d:보조판132a ~ 132d, 232a ~ 232h:관통공133a ~ 133d, 233a ~ 233h:로크넛트(lock nut)
본 발명에 따른 이형 선재용 압연기의 롤러 어셈블리는
롤러 본체 표면에 이형 선재의 일부(一部)를 성형할 수 있는 단면 형상(profile)이 적어도 1개 이상 음각되고, 2개의 초크(제1롤러좌측초크 및 제1롤러우측초크)에 의하여 양축(제1롤러좌측축 및 제1롤러우측축)이 지지되는 제1롤러, 본체 표면에 이형 선재의 타부(他部)를 성형할 수 있는 단면 형상 (profile)이 상기 제1롤러의 단면 형상에 부합되게 음각되고, 2개의 초크(제2롤러좌측초크 및 제2롤러우측초크)에 의하여 양축(제2롤러좌측축 및 제2롤러우측축)이 지지되는 제2롤러, 상기 제1롤러 및 제2롤러의 양축을 지지하는 지지베어링 및 상기 각 축을 좌우측으로 수평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롤러의 단면 형상 및 제2롤러의 단면 형상을 수평적으로 정합시키는 수평 위치 조정 수단을 구비한 이형 선재용 압연기의 롤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위치 조정 수단은 상기 각 롤러 양축의 초크 외측면에 롤러축 중심 또는 상기 지지베어링의 측면을 향하도록 형성된 관통공; 상기 초크 외측면에 접합되고 상기 관통공과 일치되는 지점에 너트가 형성된 보조판; 및 상기 보조판의 너트에 체결되고, 외부에서 작업자가 회동시킬 경우 롤러 축 방향으로 진행하여 롤러 축의 중심 또는 상기 지지베어링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는 볼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형 선재용 압연기의 롤러 어셈블리의 아이들형 실시례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형 선재용 압연기의 롤러 어셈블리의 구동형 실시례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1롤러 본체(120a) 표면에 형성된 단면 형상 121a, 122a를 제2롤러 본체(120b) 표면에 형성된 단면 형상 121b, 122b에 각각 수평적으로 정합되도록 롤러를 수평이동시키는데 이용된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1롤러 본체(220a) 표면에 형성된 단면 형상 221a, 222a, 223a를 제2롤러 본체(220b) 표면에 형성된 단면 형상 221b, 222b, 223b에 각각 수평적으로 정합되도록 롤러를 수평이동시키는데 이용된다.
도 1에는 2개의 단면 형상(121a:121b, 122a:122b)이, 도 2에는 3개의 단면 형상(221a:221b, 222a:222b, 223a:223b)이 롤러 본체 표면에 음각된 것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롤러 본체 표면에 형성된 단면 형상의 갯수는 본 발명의 필수적 구성요소가 아니며, 예를 들어 롤러 표면에 단면 형상이 1개만 형성된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위치 조정 수단이 당연히 적용되는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아이들형 롤러 어셈블리에 있어서는 각 롤러의 축에 구동축이 연결되지 않으므로, 상기 볼트(111a, 111b, 111c, 111d)는 각 초크(130a, 130b, 130c, 130d)마다 1개가 초크 외측에 부차된 보조판(131a, 131b, 131c, 131d)의 너트에 체결되고, 그 일단(一端)은 각 초크(130a, 130b, 130c, 130d)의 외측면에 형성된 관통공(132a, 132b, 132c, 132d)을 지나 상기 각 롤러 축(123a, 123b, 123c, 123d)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각 축(123a, 123b, 123c, 123d)과 상기 볼트(111a, 111b, 111c, 111d) 사이에는 상기 볼트(111a, 111b, 111c, 111d)의 수평 이송력을 상기 각 축(123a, 123b, 123c, 123d)의 측면에 전달하는 이송력 전달편(傳達片이)(112a, 112b, 112c, 112d)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볼트(111a, 111b, 111c, 111d)에는 볼트(111a, 111b, 111c, 111d)가 압연 작업중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로크 너트(lock nut)(133a, 133b, 133c, 133d)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력 전달편(112a, 112b, 112c, 112d)은 수평축과 상기 수평축에 일체로 형성된 원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축 외주면에는 상기 이송력 전단편(112a, 112b, 112c, 112d)을 지지하는 트러스트 베어링(113a, 113b, 113c, 113d)에 의하여 지지된다.
단면형상(121a:121b, 122a:122b)을 수평적으로 정합(整合)시키기 위하여 작업자가 상기 구동볼트(111a, 111b, 111c, 111d)를 스패너 또는 랜치 등으로 회동시키면, 수평 이송력이 상기 이송력 전단편(112a, 112b, 112c, 112d)에 전달되고, 상기 이송력 전달편(112a, 112b, 112c, 112d)은 상기 롤러의 각 축(123a, 123b, 123c, 123d)의 측면을 수평적으로 밀어 롤러를 수평 이동하게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구동형 롤러 어셈블리에 있어서는 롤러의 1축에 구동축(226a, 226b)과 기어 박스(225a, 225b)가 연결되므로 롤러의 각 축의 중심부를 향하여 볼트를 설치할 수 없다. 따라서, 볼트(211a, 211b, 211c, 211d, 211e, 211f, 211g, 211h)는 각 초크(230a, 230b, 230c, 230d)마다 2개 이상이 초크 외측에 부차된 보조판(131a, 131b, 131c, 131d)의 너트에 체결되고, 그 일단(一端)은 각 초크(230a, 230b, 230c, 230d)의 외측면에 형성된 관통공(232a ~ 232h)을 지나 지지베어링(214a, 214b, 214c, 214d) 케이스 측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각 축(223a, 223b, 223c, 223d)은 상기 지지베어링(214a, 214b, 214c, 214d) 지지부분과 롤러 본체(220a, 220b)사이에 지지베어링(214a, 214b, 214c, 214d)을 정지 시킬 수 있는 단(段)(228a, 228b, 228c, 228d)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볼트(211a ~ 211h)에는 볼트(211a ~ 211h)가 압연 작업중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로크 너트(lock nut)(233a ~ 233h)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볼트(211a, 211b, 211c, 211d, 211e, 211f, 211g, 211h)를 작업자가 스패너 또는 랜치 등으로 회동시키면서 롤러를 좌우측으로 수평 이동시키면서 단면 형상(221a:221b, 222a:222b, 223a:223b)을 수평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 초크의 외측면에서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롤러의 축을 이송시킴으로 롤러의 수평 위치 조정을 달성할 수 있는 이형 선재용 압연기의 롤러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롤러 본체 표면에 이형 선재의 일부(一部)를 성형할 수 있는 단면 형상(profile)이 적어도 1개 이상 음각되고, 2개의 초크(제1롤러좌측초크 및 제1롤러우측초크)에 의하여 양축(제1롤러좌측축 및 제1롤러우측축)이 지지되는 제1롤러, 본체 표면에 이형 선재의 타부(他部)를 성형할 수 있는 단면 형상(profile)이 상기 제1롤러의 단면 형상에 부합되게 음각되고, 2개의 초크(제2롤러좌측초크 및 제2롤러우측초크)에 의하여 양축(제2롤러좌측축 및 제2롤러우측축)이 지지되는 제2롤러, 상기 제1롤러 및 제2롤러의 양축을 지지하는 지지베어링 및 상기 각 축을 좌우측으로 수평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롤러의 단면 형상 및 제2롤러의 단면 형상을 수평적으로 정합시키는 수평 위치 조정 수단을 구비한 이형 선재용 압연기의 롤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위치 조정 수단은 상기 각 롤러 양축의 초크 외측면에 롤러축 중심 또는 상기 지지베어링의 측면을 향하도록 형성된 관통공; 상기 초크 외측면에 접합되고 상기 관통공과 일치되는 지점에 너트가 형성된 보조판; 및 상기 보조판의 너트에 체결되고, 외부에서 작업자가 회동시킬 경우 롤러 축 방향으로 진행하여 롤러 축의 중심 또는 상기 지지베어링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는 볼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선재용 압연기의 롤러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각 롤러 축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각 롤러 축과 상기 볼트 사이에는 상기 볼트의 수평 이송력을 상기 각 롤러 축의 측면에 전달하는 이송력 전달편(傳達片이)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선재용 압연기의 롤러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각 초크마다 2개 내지 4개가 상기 지지베어링 측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각 롤러 축은 상기 지지베어링 지지부분과 롤러 본체 사이에 상기 지지베어링을 정지 시킬 수 있는 단(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선재용 압연기의 롤러 어셈블리.
  4. 삭제
KR1020010084693A 2001-12-26 2001-12-26 이형 선재용 압연기의 롤러 어셈블리 KR100361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693A KR100361851B1 (ko) 2001-12-26 2001-12-26 이형 선재용 압연기의 롤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693A KR100361851B1 (ko) 2001-12-26 2001-12-26 이형 선재용 압연기의 롤러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811A KR20020024811A (ko) 2002-04-01
KR100361851B1 true KR100361851B1 (ko) 2002-11-22

Family

ID=19717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4693A KR100361851B1 (ko) 2001-12-26 2001-12-26 이형 선재용 압연기의 롤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8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95B1 (ko) * 2005-08-19 2007-12-1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금속박판 제조용 롤러어셈블리를 가지는 압연기
KR100759299B1 (ko) * 2006-08-25 2007-09-17 인기텍 주식회사 초음파 연접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4708A (en) * 1979-01-12 1980-07-18 Vni I Pk I Metarurugiichiesuko Mill standdroll device
JPS6052003U (ja) * 1983-09-16 1985-04-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条鋼圧延機
JPS6433301U (ko) * 1987-08-18 1989-03-01
JPH10249420A (ja) * 1997-03-07 1998-09-22 Morgan Constr Co 自動ロール溝整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4708A (en) * 1979-01-12 1980-07-18 Vni I Pk I Metarurugiichiesuko Mill standdroll device
JPS6052003U (ja) * 1983-09-16 1985-04-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条鋼圧延機
JPS6433301U (ko) * 1987-08-18 1989-03-01
JPH10249420A (ja) * 1997-03-07 1998-09-22 Morgan Constr Co 自動ロール溝整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811A (ko) 200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3305B1 (ko) 회전가능한 앤빌을 포함하는 회전 절삭 유닛을 사용한 절삭방법
JP2008073844A (ja) 断裁又は帯材を切断及び/又はエンボス加工する装置
KR100361851B1 (ko) 이형 선재용 압연기의 롤러 어셈블리
CA2317875A1 (en) Rotating inertial pin blank stops for pressware die sets
US4305678A (en) Coupling for a mill roll
JP2006349179A (ja) ロール及び該ロールのためのリング
CA1193461A (en) Gear wheel shaft assembly
JP4923047B2 (ja) 圧延機用バックアップロール
KR20000071320A (ko) 허브판의 형성 방법과 이 방법에 따른 압착 롤러
GB2210952A (en) A device for transferring load through a rolling element mounted with a plain bearing, methods for producing the device and a transmission joint provided with the latter
KR101524531B1 (ko) 피가공재의 성형 장치
EP1001182B1 (de) Kreuzgelenkanordnung für den Einsatz in Gelenkwellen
ITMI20002252A1 (it) Supporto per un albero il quale porta un utensile rotante
JPH10146605A (ja) スリーブロール
US6308605B1 (en) Crosscutter for web materials
AU655076B2 (en) Corrugated paperboard production and apparatus therefor
US20230271799A1 (en) Roll feed with tube roll and simplified mounting/dismounting
JPH08225193A (ja) 枚葉紙の側方引き寄せ装置
JP2620473B2 (ja) 印刷機械の胴の支承遊びを調節するための装置
KR100235210B1 (ko) 롤폭 가변식 압연롤
CN220049441U (zh) 用于至少暂时保持轧辊机架的调整轴的装置及轧辊机架
CN109108108B (zh) 矫直机主传动系统及传动方法
CN114321197B (zh) 一种刚度可调的紧凑式联轴器
RU2787985C2 (ru) Пара соединяемых частей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ансмиссионного вала и валика
DE10316261B4 (de) Kupplungsnabe zum Kuppeln insbesondere einer Gelenkwelle mit einem Wellenzapf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0930

Effective date: 200503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0002102;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0930

Effective date: 200503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