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046B1 - 튜브형 포장대의 구부체결 및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튜브형 포장대의 구부체결 및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046B1
KR100361046B1 KR1019990046746A KR19990046746A KR100361046B1 KR 100361046 B1 KR100361046 B1 KR 100361046B1 KR 1019990046746 A KR1019990046746 A KR 1019990046746A KR 19990046746 A KR19990046746 A KR 19990046746A KR 100361046 B1 KR100361046 B1 KR 100361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utting knife
support
movable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473A (ko
Inventor
박종환
Original Assignee
박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환 filed Critical 박종환
Priority to KR1019990046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046B1/ko
Publication of KR20000000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0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2Packag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 B65B25/04Packaging fruit or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46Applying a closure element to the mouths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5Sta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상의 비닐포대나 망사 포대 내에 귤이나 감등의 농산물을 소분하여 넣은 후 이의 구부를 괘침을 이용하여 체결함과 동시 절단할 수 있게 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원 97-20528호와 관련된 튜브형 포장대의 구부체결 및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선 출원 고안은 이의 고안요지가 통상의 공압 괘침기의 두부에 체결부를 형성하여 금구몸체의 일단이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어지고 금구몸체의 하단부에는 협지부와 요입부 및 받침부를 형성하여 요입부에는 호형 요입부가 있는 받침금구의 돌출부가 대합되어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며 금구몸체의 내측면에는 체결핀 케이스가 부착됨과 동시 안내홈을 형성하여 안내홈에는 공압 괘침기의 피스톤 로드가 헐겁게 끼움 되어지고 체결핀 케이스 내에는 체결핀이 지지대를 개재한 스프링에 의해 전기한 안내홈(1")에 탄접 되어지게 하였기 때문에 이는 상하구부를 각각 체결한 후 이를 절단할 시는 별도 마련된 절단구를 이용하여 절단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조한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이의 발명요지는 과일등이 투입된 포대의 구부를 하우징(3)에 형성된 안내홈(3')에 끼우면 공압기 스위치(4)가 ON되어 실린더 로드(2')가 전진하면서 앞측 좌우 고정대(5)에 형성된 안내간이 먼저 전진하여 포대의 구부를 조임한 후 지지대(11')에 의해 머물게 되고 이어서 좌우 가동판(8)이 전진하면서 대기 상태에 있는 괘침을 1개식 분리시켜 함께 전진 하면서 절곡홈(8")에 이르면 압압부(8')가 괘침(19)의 양단부를 절곡시켜 포대의 구부상하를 동시 체결하고 다음으로 가동 절단칼(10)이 전진하여 고정 절단칼(11)과 접하면서 상하 체결부 사이를 절단하게 되며 절단이 끝남으로서 스위치 압 버튼(4')의 부하가 해지되면 이때에는 스위치(4)가 OFF되면서 전기한 가동 절단칼(10)과 가동판(8) 및 전후 고정대(5)(6)가 후진하면서 다음 작업을 대기할 수 있게 함으로서 작업성을 최대로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튜브형 포장대의 구부체결 및 절단장치{A concluding cutting machine for a packing sack's ends}
본 발명은 튜브상의 비닐포대나 망사 포대 내에 귤이나 감등의 각종 농산물을 소분하여 넣은 후 이의 상하 구부를 괘침을 이용하여 체결함과 동시 절단할 수 있게 한 튜브형 포장대의 구부체결 및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튜브형 농산물 포장포대는 이에 과일 등의 농산물을 장입하여 포장할 시는 일일이 수작업으로 포장하였던 관계로 작업성이 매우 저조하여 적기에 출하를 못하는 폐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바 있는 실용실안등록 1997출원 제 20528호가 제안된 바 있기는 하나 이의 고안요지는 통상의 공압 괘침기 두부에 체결판(괘침)의 두부를 절곡시키는 금구를 체결하되 이 금구의 선단부에는 협지부와 요입부 및 받침부를 형성하여 요입부에는 호형 요입부가 있는 받침금구의 돌출부가 대합 체결되고 금구의 저면에는 안내홈과 체결핀 케이스를 형성하여 케이스 내에 장입된 체결핀이 안내홈에 유입되게 한 후 레바를 당기면 타압간이 전진하면서 한개의 체결핀을 분리시켜 받침금구내로 이동시켜 금구와 받침금구 사이에 형성된 협지부에 협지된 튜브형 포대의 구부를 감아 붙임 형식으로 체결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튜브형 포대의 상하 구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체결해야 하고 체결한 후는 별도 마련된 절단 칼을 이용 하여 구부를 절단해야 하므로 능률성이 없어 포장작업이 소량의 경우는 무방하지만 대량 출하의 경우는 능률적인 포장을 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이의 발명요지는 실린더의 로드가 전진함에 있어 과일 등의 농산물이 투입된 튜브형 포장대의 상하 체결부를 하우징에 형성된 안내홈(3')에 끼우면 공압기가 ON되면서 실린더 로드가 전진 함에 따라 앞측 고정대에 형성된 안내간이 먼저 전진하여 포장 포대의 구부를 조임하게 되고 이어서 좌우 가동편이 전진하면서 괘침(체결핀)을 하나씩 분리시켜 튜브형 포장대의 상하 주둥이(구부)를 동시에 체결할 수 있게 하고 다음으로는 가동 절단 칼이 전진하여 고정 절단 칼과 접하면서 포대의 상하 체결부 사이를 절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제 1도 "A"부분의 분리사시도
도 3은 제 2도의 사시도로서
(가)는 가동 절단 칼이 후진된 상태
(나)는 가동 절단 칼이 전진된 상태
도 4는 도1 "B"부분의 횡단면도로서
"가"는 캠이 내측으로 최대로 돌출된 상태
"나"는 캠이 내측으로 최대로 몰입된 상태
도 5는 도1의 "C"부분의 사시도
도 6은 도5의 단면표시도로서
"가"는 종단면도
"나"는 횡단면도
도 7은 도1의 평면표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몸체 1'-지주간 1"-대판 2-실린더
2'-로드 2"-체결공 3-하우징 3'-안내홈
3",3"'-덮개판 3""-장공 4-스위치부 4'-압버튼
4"-압간 4"'-지지판 4""-공압 호스(또는 유압 호스)
5- 고정대 5'-안내간 5"- 안내로 5"'-체결공
5""-괘침끼움부 6-고정대 6'-끼움홈 6",6"'-체결공
6""-고정공 7,7',7"-체결봉 7"'-고정핀 8-가동판
8'-압압부 8"-절곡홈 8"'-체결공 9-지지판
9'-걸림홈 9"-장공 9"'-체결공 9""-고정공
10-가동 절단칼 10'-걸림턱 10"-절단날 10"'-받침턱
11-고정 절단칼 11'-지지대 11"-절단날 11"'-고정지지간
11""-탄성 지지간 12-스프링 13-지지대 13'-축봉
14-캠 14'-다각면 15-받침대 15'-안내홈
15"-조임볼트 16-괘침 수납부 16'-체결부 16"-안내로
17-판스프링 수납실 17'-판스프링 17"-손잡이 17"'-안내구
17""-압압간 18-괘침상자 19-괘침 20-호퍼20'-개폐구 21-포대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의 상부에 지주간(1')을 개재하여 지지대판(1")이 설치되고 이 지지대판(1")의 상부에는 하우징(3)과 공압 실린더(2)가 안치되어 있으되 이 공압 실린더(2)의 로드(2')의 체결공(2")에는 하우징(3)내에 설치된 후측 좌우 고정대(6)의 체결공(6")이 일치된 상태에서 체결봉(7)에 의해 체결되고 좌우 후측 고정대(6)의 사이에는 고정 절단 칼 지지판(9)이 끼움되어진 상태에서 이 지지판(9)에 뚫린 체결공(9"')및 상하 고정공(9"")과 전기한 후측 고정대(6)의 체결공(6"') 및 상하 고정공(6"")에는 체결봉(7')및 고정핀(7"')을 체결하며 전기한 지지판(9)의 중심부에는 장공(9")이 형성되고 그 선단에 형성된 걸림홈(9')에는 가동 절단칼(10)의 걸림턱(10')이 끼움 되어지게 하되 이의 경사부에는 절단날(10")이 형성되고 그 절단부에는 받침턱(10"')이 형성되며 전기한 후측 좌우 고정대(6)에 형성된 끼움홈(6')에는 스프링(12)의 일단이 끼움되고 스프링(12)의 타단은 앞측 좌우 고정대(5)에 접지된 상태에서 압측 좌우 고정대(5)에 뚫린 체결공(5"')에는 고정핀(7"')이 체결되어지되 이 고정핀(7"')은 지지판(9)의 장공(9")에 관통되게 하고 앞측 좌우 고정대(5)의 선단부에는 상하로 안내간(5')을 형성 하여 그 사이에는 "V"형 안내로(5")가 형성되게 하고 상부에는 받침턱(10"')을 형성하여 전기한 하우징(3)의 덮개판(3")에 형성된 안내 장공(3"')에 끼움되게 하고 가동 절단칼(10)의 앞측에는 고정 절단칼(11)이 설치되어 가동 절단날(10")과 접찰되게 하되 고정 절단칼(11)은 지지대(11')의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11")에 끼움되고 지지대(11')의 좌우측에는 고정 지지간(11"') 및 탄성 지지간(11"")을 설치하여 고정절단칼(11)의 중심이 유지되게 하며 전기한 지지대(11')의 좌우 외측단에는 괘침절곡홈(8")을 형성하여 전기한 가동판(8)의 압압부(8')에 의해 괘침(19)의 양단부를 절곡할 수 있게하며, 하우징(3)의 선단에 체결된 "ㄷ"형 지지대(13)에 끼움고정된 축봉(13')에는 다수의 각면(14')이 형성된 캠(14)이 회동가능하게 끼움되어 있으되, 이 다각면(14')에 접지되게한 받침대(15)의 내단에는 전기한 지지대(11')의 통공(11")에 끼움된 고정절단칼(11)이 끼움 부착되고 이 고정절단칼 지지대(11')는 이의 좌우측에 안내홈(15')을 형성하여 하우징(3)에 나사끼움된 조임 볼트(15')에 의해 고정되어지게 한 것이다.
그리고 전기한 앞측 좌우 고정대(5)의 측면에 형성된 괘침 끼움부(5"")와 대접되는 부위에는 괘침 수납구(16)의 체결부(16')가 체결되어 있으되 이의 하부에는 판스프링 수납실(17) 및 괘침 안내구(17"')와 괘침 압압간(17"")을 설치하여 판스프링(17)에 감김 수납된 판스프링(17')의 선단에는 손잡이(17")가 형성되며 괘침 수납구(16)의 일측에는 괘침(19)이 수납되는 괘침 상자(18)가 부착되어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튜브형 포장대의 구부체결 및 절단장치인 바 이를 실시할 시는 개폐구(20')를 개방시켜 호퍼(20)내에 장입된 과일 등의 농산물을 포대(21) 내에 투입시킨다. 이와 같이 투입한 상태에서 이의 체결부위를 하우징(3)에 형성된 안내홈(3')에 끼우면 압간(4")이 작동하여 압버튼(4')을 압압함에 따라 스위치(4)가 ON되어짐에 따라 실린더(2)의 로드(2')가 전진한다. 이와 같이 로드(2')가 전진함에 따라 이에 체결된 후측 좌우 고정대(6)는 전진하게 된다. 이때 고정대(6)는 스프링(12)을 개재시켜 설치된 앞측 고정대(5)의 선단에 형성된 안내간(5')을 전진시킴에 따라 안내간(5')은 이의 안내로(5")내로 포대(21)를 유도하여 구부를 조으면서 고정 절단칼(11)에 대접되게 된다.
계속하여 실린더 로드(2')가 전진하면 이때에는 안내간(5')은 지지대(11')에 의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대신 스프링(12)이 압축되면서 좌우 가동판(8)을 전진시키게 된다. 이때 가동판(8)은 이의 선단부에 형성된 압압부(8')이 괘침 수납부(16)내에 대기상태에 있는 괘침(19)을 한 개씩 분리시켜 함께 전진하면 괘침(19)은 절곡홈(8")에 의해 양단부가 절곡되면서 포대(21)의 구부 상하부를 동시에 체결하게 되고 실린더 로드(2')가 계속 전진하면 이때에는 스프링(12)이 압축됨과 동시 체결봉(7")은 장공(9")내에서 후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절단칼 지지판(9)은 전진하여 이의 선단에 연결된 가동 절단칼(10)의 절단날(10")은 포대(21)의 구부에 체결된 상하 체결부 사이를 절단함에 따라 과일이 수납된 포대의 구부는 체결되고, 과일이 수납되는 다음의 포대는 그 하단부가 체결된 상태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 절단칼(11)은 도 4 "가" 표시와 같이 고정 지지간(11"')과 탄성 지지간(1"")에 의해 중심을 유지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가동 절단칼(10)의 절단날(10")과 고정 절단칼(10)의 절단날(11")은 항상 서로 밀접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정밀한 절단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포대(21)의 구부 절단이 끝나면 이때에는 압간(4")에서 하중이 해지됨에 따라 스위치부(4)는 OFF되어 실린더(2)의 로드(2')가 후진함에 따라 앞측 및 후측 고정대(5)(6)와 좌우 가동판(8) 및 절단칼 지지판(9)은 후진하여 원 위치된다.
그리고 포대(21)의 구부를 상하 이중으로 체결할 때 포대의 재질 두께에 따라 즉, 포대의 두께가 얇아서 괘침 양단의 절곡상태를 많이 절곡시키고 자 할 때는 캠(14)의 다각면(14')이 제 4도 "가"와 같이 내측으로 비교적 많이 돌출되게 하여 받침대(15)의 돌출 간격을 크게 하면 상대적으로 괘침 절곡홈(8")이 좁아지면서 괘침(19)을 많이 절곡시키게 되고, 도 4의 "나"와 같이 받침대(15)를 적게 돌출시키면 이때에는 절곡홈(8")이 넓어지면서 절곡 상태가 완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절은 조임볼트(15")를 풀고 캠(14)을 조정한 후 앞측 좌우 고정대(5)내에 설치된 "ㄷ"자형 고정 칼날의 지지대(1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에 알맞게 캠(14)의 다각면(14') 돌출을 조정한 후 조임볼트(15")로 고정하면 된다.
즉 괘침(19)의 절곡홈(8")과 압압부(8')의 접하는 거리를 좁게 하면 괘침(19)이 많이 절곡되고 반대로 넓게 하면 괘침(19)이 완만하게 절곡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3)의 안내홈(3')에 포대(21)의 구부를 유입 시키면 스위치(4)가 ON되면서 실린더(2)의 로드(2')가 전진함에 따라 전후 고정대(5)(6)가 먼저 전진하면서 앞측 고정대(5)의 상하 안내간(5') 사이에 형성된 안내로(5")에 포대(21)의 구부를 상하 이중으로 체결하기에 적합하게 조임되어지고 다음에는 좌우가동판(8)이 전진하여 괘침 끼움부(5"")에 대기 상태에 있는 개개의 괘침(19)를 분리시켜 함께 전진하면서 절곡홈(8")에 이르게 되면 이의 압압부(8')는 상하 괘침(19)을 절곡하게 되고 절곡이 끝나면 가동 절단칼(10)이 전진하면서 상하 체결부 사이를 절단할 수 있게 하고, 구부 상하 사이가 절단되면 압간(4")에 가해진 하중이 해지됨에 따라 스위치(4)가 OFF되면서 실린더 로드(2')가 후진되게 하였기 때문에 구부 상하의 체결과 이의 중간부 절단이 일시에 이루어 질 수 있어 작업성 제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몸체(1)의 지지대판(1") 위에 실린더(2)와 하우징(3)을 설치하되 하우징(3)에 형성된 안내홈(3')에는 압간(4")을 개재한 공압기 실린더용 스위치(4)가 설치되고 실린더(2)의 로드(2')에는 하우징(3)에 수납된 후측 좌우 고정대(6)가 체결봉(7)에 의해 체결되고 후측 고정대(6)의 체결공(6"')에는 좌우 가동판(8) 및 가동 절단칼 지지판(9)의 체결공(8"')(9"')이 대접되어 체결봉(7')에 의해 체결되고, 후측 좌우 고정대(6)의 끼움홈(6')에는 스프링(12)의 일단이 끼움되고 스프링(12)의 타단은 앞측 좌우 고정대(5)에 접한 상태에서 앞측 좌우 고정대(5)의 체결공(5"')으로 고정핀(7"')을 끼움 체결할 시에는 전기한 가동 절단칼 지지판(9)의 장공(9")에 고정핀(7")이 관통되어지게 하고 이 지지판(9)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홈(9')에는 안내턱(10"")과 받침턱(10"') 및 절단날(10")이 있는 가동 절단칼(10)의 걸림턱(10')이 끼움 연결되고 가동 절단칼(10)의 선단부에는 고정 절단칼(11)이 접찰되게 하되 이 고정 절단칼(11)은 지지대(11') 중간부에 형성된 통공(11")에 끼움 되어지게 하고 지지대(11')의 좌우 측단에는 괘침(19)의 양단부를 절곡하는 절곡홈(8")과 고정 절단칼(11)의 고정지지간(11"')및 탄성 지지간(11"")이 설치 되어 고정 절단칼(11)과 가동 절단칼(10)이 긴밀하게 접하도록 하고, 하우징(3)의 선단부에는 캠 지지대(13)가 체결되어 있으되 이에 끼움 고정된 축붕(13')에는 주면에 다각면(14')을 형성한 캠(14)이 회동 조절 가능하게 끼움 설치되고, 캠(14)의 다각면(14')과 접하는 받침대(15)는 전기한 고정절단칼(11)과 연결하며 지지대(11')의 외측면에 형성된 안내홈(15')에는 하우징(3)에 나사끼움된 조임볼트(15")가 접지 고정되며 전기한 하우징(3)의 안내홈(3') 일측에는 괘침상자(18)가 있는 괘침 수납구(16)가 설치되어진 튜브형 포장대의 구부 체결 및 절단장치.
KR1019990046746A 1999-10-23 1999-10-23 튜브형 포장대의 구부체결 및 절단장치 KR100361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746A KR100361046B1 (ko) 1999-10-23 1999-10-23 튜브형 포장대의 구부체결 및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746A KR100361046B1 (ko) 1999-10-23 1999-10-23 튜브형 포장대의 구부체결 및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473A KR20000000473A (ko) 2000-01-15
KR100361046B1 true KR100361046B1 (ko) 2002-11-18

Family

ID=19617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746A KR100361046B1 (ko) 1999-10-23 1999-10-23 튜브형 포장대의 구부체결 및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0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4413A (ja) * 1983-03-19 1984-10-02 株式会社 フジパツクシステム 袋詰包装機
JPS6239436A (ja) * 1985-08-13 1987-02-20 株式会社 フジパツクシステム 結束切断装置
KR19990022033U (ko) * 1999-02-13 1999-06-25 이경구 과일자동포장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4413A (ja) * 1983-03-19 1984-10-02 株式会社 フジパツクシステム 袋詰包装機
JPS6239436A (ja) * 1985-08-13 1987-02-20 株式会社 フジパツクシステム 結束切断装置
KR19990022033U (ko) * 1999-02-13 1999-06-25 이경구 과일자동포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473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8128A (en) Feed and severing apparatus
US5810238A (en) Attachments for double needle attacher
US3241287A (en) Apparatus for strapping packages
JPS5828169B2 (ja) 留め具集合体
CH427624A (fr) Machine pour enrouler un lien pliable autour d'un objet
US5579976A (en) Double needle button attacher
KR100361046B1 (ko) 튜브형 포장대의 구부체결 및 절단장치
DK159537B (da) Apparat til omsnoering af bundtede emner
US3670411A (en) Pin cutter
US4953455A (en) Food wrapper apparatus
US1311657A (en) Planoqraph co
US5647118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ttaching items to hang strip
US4058054A (en) Can folder and flattener
US2769978A (en) Clip applying devices
NL1013778C2 (nl) Inrichting voor het gedoseerd leegdrukken van een viskeus materiaal bevattende verpakking.
US2611952A (en) Cheese slicing device
US5400575A (en) Wrapping film-cutting apparatus
US8746136B2 (en) Banding device
JPS592643Y2 (ja) 梱包機
US1948865A (en) Ring clincher
SU129647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т жени ленты дл обв зки изделий
KR200316384Y1 (ko) 튜브형 포대의 구부 체결 및 절단 장치
KR100638640B1 (ko) 튜브형 포대의 구부 체결 및 절단 장치
DE20218010U1 (de) Schäl- und Schneidmaschine für Obst und Gemüse
CN220884955U (zh) 一种防刮耐磨沙发面料生产用打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