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0898B1 -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898B1
KR100360898B1 KR1020000029591A KR20000029591A KR100360898B1 KR 100360898 B1 KR100360898 B1 KR 100360898B1 KR 1020000029591 A KR1020000029591 A KR 1020000029591A KR 20000029591 A KR20000029591 A KR 20000029591A KR 100360898 B1 KR100360898 B1 KR 100360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portion
hanger roller
tubular
hanger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9602A (ko
Inventor
류창현
김종덕
Original Assignee
류창현
김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창현, 김종덕 filed Critical 류창현
Priority to KR1020000029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0898B1/ko
Priority to KR2020000015468U priority patent/KR200203345Y1/ko
Publication of KR20010109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13/02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in which only the machining operations are impor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7/00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nother group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개폐에 사용되는 행거롤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행거롤러는, 관상부와 상기 관상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관상부에 끼워맞춤되는 관상부와 상기 관상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제2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관상부를 서로 결합하여 플랜지부 사이에 외주요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1부재와 제2부재는 프레스 가공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생산성 및 생산단가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Hanger roll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행거롤러(Hanger roller)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는 부품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보다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으로생산할 수 있는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행거롤러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등과 같은 장치의 도어를 개폐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품이다. 즉, 엘리베이터, 또는 기타 여러부분에 사용되는 도어의 개폐에는, 와이어로프를 동력전달기구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와이어로프의 동력전달경로를 지지하는 부품을 의미하는 것이고, 이러한 행거롤러의 일반적인 형상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행거롤러(1)는, 그 중심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베어링(2)을 이용하여 일정한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와이어로프가 우레탄피복층(4)에 감아걸린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와이어로프의 이동에 따라 상기 행거롤러(1)는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와이어로프의 동력전달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등의 도어가 개폐되는 것이다.
도 2를 같이 참조하면서 종래의 행거롤러의 제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종래의 행거롤러(1)는 원형의 바아형상의 소재를 절삭가공으로 만들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행거롤러(1)는 전체가 하나의 소재를 이용하여 완성된 것이다.
이러한 행거롤러(1)의 제조에 있어서는, 먼저 제110단계(S110)에서, 소재를 일정한 두께로 절단하게 된다. 이렇게 일정한 두께로 절단된 소재는, 제112단계에서 1차선삭이 수행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실제로는 절삭장치에 의하여 상기 소재의 일측면이 절삭가공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에서 상기 소재의 해칭된 부분이 실제 절삭가공에 의하여 절삭되는 부분을 의미하게 된다.
그리고 제113단계에서는 상기 소재에서 절삭가공이 되지 않은 타측면을 절삭 가공하게 되는데, 여기서도 해칭된 부분이 절삭가공되는 부분이다. 이렇게 2차에걸쳐 절삭가공이 수행되면, 실질적으로 1차적인 반제품이 만들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소재에서 절삭가공에 의하여, 행거롤러 반제품이 만들어진 상태이다. 이하의 공정은 행거롤러의 반제품에 대하여 2차적인 가공을 수행하는 공정이 된다.
제114단계에서는 1차적으로 완성된 반제품에 있어서, 와이어로프가 걸리는 외주요홈부(5)에 샌드블라스팅가공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샌드블라스팅가공을 수행하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우레탄을 더욱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샌드블라스팅가공에 의하여, 상기 외주요홈부(5)에는 미세한 홈이 전체적으로 가공될 것이다.
다음에 제115단계에서는 상기 단계에서의 샌드블라스팅 가공에 의한, 칩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과정이 수행된다.
다음 제116단계에서는 우레탄부착공정이 수행된다. 여기서 실제로 상기 제115과정까지 완료된 다음에는, 여러개의 반제품 행거롤러가 일렬로 배열된 상태에서 우레탄을 그 외주면에 부착하게 된다. 따라서 일렬로 배열된 행거롤러의 반제품은, 그 외주요홈부(5)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는 우레탄에 의하여 일렬로 붙어 있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116단계에 대응하는 도면에서 해칭한 부분은 상기 외주요홈부(5)에 부착되는 우레탄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17단계에서는, 일렬로 붙어있는 복수개의 행거롤러에서 외측면으로 돌출한 우레탄을 선삭하는 것에 의하여, 분리된 각각의 행거롤러로 만들게 된다. 이어서 제118단계에서는 분리된 각각의 행거롤러에서, 외주요홈부(5)의 전체 외주연을 요홈부로 가공하는 4차선삭 가공이 수행된다. 이렇게 제118단계를 거친 제품은 그 대응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고, 여기서 해칭한 부분이 4차선삭에 의하여 제거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행거롤러의 중심부분에 베어링(2)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전체적인 행거롤러에 대한 작업공정이 완료된다. 이렇게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행거가 되고, 따라서 상기 우레탄피복층(4)의 외측에 와이어로프가 감겨진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행거롤러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행거롤러의 구조 및 제조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먼저 종래의 행거롤러(1)는, 그에 대응하는 부피의 소재(제110단계 참조)에서 절삭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생산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절삭공정이 복잡하게 되어, 생산단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체적인 공정의 복잡화로 인하여 생산성의 측면에서도 일정한 한계에 부딪히게 되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생산성의 측면 및 제조단가의 측면에서 상당히 불리한 단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 가능하고, 생산단가를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실제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행거롤러를,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완성되는 한쌍의 부품을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완성하고자 하는 점에 착안하고 있다. 이는, 절삭가공 보다는, 소정의 금형을 이용하는 프레스공정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저렴한 점에 착안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행거롤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행거롤러의 제조공정을 보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행거롤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행거롤러의 분해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행거롤러의 제조공정을 보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행거롤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행거롤러 12 ..... 제1부재
14 ..... 제2부재 12a,14a ..... 관상부
12b,14b ..... 플랜지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행거롤러는, 관상부와 상기 관상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관상부에 끼워맞춤되는 관상부와 상기 관상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제2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관상부를 서로 결합하여 플랜지부 사이에 외주요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성형되기 때문에, 보다 간단한 가공으로 완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각각의 관상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또는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각각의 관상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외주요홈부의 일부분을 코킹하는 것에 의하여 양자 사이에 결합돌기가 성형되어 서로 고정되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관상부와 상기 관상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관상부에 끼워맞춤되는 관상부와 상기 관상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제2부재를 성형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관상부를 서로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조립하는 제2단계; 그리고 결합된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서로 고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생산단가를 보다 저렴하게 함은 물론이고, 생산성이 우수한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행거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행거롤러(10)의 전체적인 단면이 도시되고, 도 4에는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행거롤러(10)는, 제1부재(12)와 제2부재(14)가 서로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12)와 제2부재(14)는, 프레스에 의하여 성형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부재(12)와 제2부재(14)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제1부재(12)와 제2부재(14)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각각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성형된다. 즉, 소정 형태의 금형을 이용하여, 판상의 금속판재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성형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부재(12)는, 일정한 길이의 관형태를 가지는 관상부(12a)와 상기 관상부(12a)에서 수평방향의 방사형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플랜지부(12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2부재(14)는, 상기 제1부재(1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성형되면서, 상기 제1부재(12)의 관상부(12a)의 내부로 억지끼워지는 관상부(14a)와, 상기 관상부(14a)에서 수평방향의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4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부재(12)와 제2부재(14)는 판상의 금속재료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금형을 이용한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12)와 제2부재(14)는, 양자의 관상부(12a,14a)가 서로 억지끼워맞춤되는 것에 의하여 양자가 고정되어, 실질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행거롤러의 형태로 완성될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예를 들면, 상기 제1부재(12)의 관상부(12a)의 내부에, 제2부재(14)의 관상부(14a)가 억지끼워맞춤되는 것에 의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행거롤러가 완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부재(12)의 관상부(12a)의 내측으로 제2부재(14)의 관상부(14a)가 끼워지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될 수 없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제2부재(14)의 관상부(14a)의 내측으로 제1부재(12)의 관상부(12a)가 억지끼워맞춤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제1부재(12) 또는 제2부재(14) 중에서 어느 하나의 관상부가 다른 관상부에 억지끼워맞춤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행거롤러를 조립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이렇게 제1부재(12)와 제2부재(14)가 서로 억지끼워진 상태에서도, 외력에 의하여 양자가 분리될 가능성이 있음은 사실이다. 따라서 이렇게 조립된 상태에서 양자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을 위한 구조에 대하여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제1부재(12)와 제2부재(14)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주요홈부(16)에서 방사상으로 중심을 향하여 일부분을 코킹하는 것에 의하여 양자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부재(12)의 관상부(12a)와 제2부재(14)의 관상부(14a)의 겹쳐진 부분에 대하여 일부분을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제1부재(12)는 제2부재(14)를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결합돌기(22)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결합돌기(22)에 의하여 제2부재(14)는 그에 대응하는 홈이 성형되면서, 도 3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일부분이 돌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실질적으로 제1부재(12)와 제2부재(14)는, 서로 이탈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행거롤러에도 종래와 같이, 외주요홈부(16)에는 우레탄피복층(18)이 성형된다. 상기 우레탄피복층(18)에 의하여, 와이어로프가 행거롤러에 감아걸린 상태로 회전하게 될 때,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게 됨은 물론이고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등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행거롤러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외주요홈부(16)에서 중심부를 향하여 일부분을 프레스하는 코킹에 의하여 양자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제1부재(12)와 제2부재(14)를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6에는 상기 제1부재(12)와 제2부재(14)의 접촉부분 사이에, 용접부(Wa)를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양자를 일체화하는 실시예가 되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용접부(Wa)는 외측에서 눈에 보이기 때문에외관상 깨끗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외주요홈부 사이의 접촉부분을 용접부(Wb)에 의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용접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부재(12)와 제2부재(14)의 접촉면 사이에 전기저항을 이용한 스폿용접으로 양자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와 같이 스폿용접으로 양자를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도 3에서와는 달리 외관상 깨끗한 미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 5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행거롤러의 제조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판상의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제1부재(12)와 제2부재(14)를 가공하게 된다(제210단계). 이렇게 가공된 형상은 도 3 및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212단계에서는 양자의 관상부(12a,14a)를 서로 압입하는 것에 의하여 양자를 끼워맞추게 된다. 그리고 제213단계에서는 1차선삭이 진행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자를 고정하기 위하여 코킹하는 과정에서, 제2부재(14)의 내측면으로 돌출한 돌기부(23)를 절삭가공하여 없애는 공정이다.
그리고 상기 213단계에서는, 실질적으로 베어링이 압입되는 베어링압입부 (Bm)(도 3 참조)의 내부를 가공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즉, 상기 돌기부(23)를 절삭가공에 의하여 제거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압입부(Bm)는, 실질적으로 높은 치수정밀도를 요구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기베어링압입부(Bm)의 내측면(Bn)을 높은 치수정밀도를 가지도록 절삭가공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상기 제2부재(12)의 베어링압입부(Bm)이 충족할 만한 치수정밀도를 가지고 있다면 별도의 절삭가공이 불필요하겠지만, 일반적으로 프레스 가공의 치수정밀도는 그다지 높지 않기 때문에, 다시 상기 베어링압입부(Bm)의 내측면(Bm)을 절삭가공하여 정도를 높이는 것이다.
그리고 제214단계에서는 외주요홈부(16)의 내측면을 샌드블러스팅에 의한 가공이 진행되고, 이러한 과정은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기술과 완전하게 동일하다.
그리고 이하의 과정은, 도 2에서 설명한 종래의 과정과 완전하게 동일한 것이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행거롤러를 성형할 때, 종래의 절삭가공에 대신하여 프레스가공 및 조립에 의하여 행거롤러를 생산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절삭가공에 대신하여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행거롤러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적인 생산단가를 낮추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가공시간의 단축에 의한생산성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관상부와 상기 관상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관상부에 끼워맞춤되는 관상부와 상기 관상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제2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관상부를 서로 결합하여 플랜지부 사이에 외주요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롤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각각의 관상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롤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각각의 관상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외주요홈부의 일부분을 코킹하는 것에 의하여 양자 사이에 결합돌기가 성형되어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롤러.
  5.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관상부와 상기 관상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관상부에 끼워맞춤되는 관상부와 상기관상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제2부재를 성형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관상부를 서로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조립하는 제2단계; 그리고
    결합된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서로 고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롤러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의 관상부의 내측면을, 절삭가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롤러의 제조방법.
KR1020000029591A 2000-05-31 2000-05-31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 KR100360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591A KR100360898B1 (ko) 2000-05-31 2000-05-31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015468U KR200203345Y1 (ko) 2000-05-31 2000-05-31 행거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591A KR100360898B1 (ko) 2000-05-31 2000-05-31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468U Division KR200203345Y1 (ko) 2000-05-31 2000-05-31 행거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602A KR20010109602A (ko) 2001-12-12
KR100360898B1 true KR100360898B1 (ko) 2002-11-13

Family

ID=196709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468U KR200203345Y1 (ko) 2000-05-31 2000-05-31 행거롤러
KR1020000029591A KR100360898B1 (ko) 2000-05-31 2000-05-31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468U KR200203345Y1 (ko) 2000-05-31 2000-05-31 행거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33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135B1 (ko) * 2001-05-16 2004-10-12 (주)텔레시스테크놀로지 스마트 안테나의 가중치 벡터 검출 방법
KR100870405B1 (ko) * 2007-04-04 2008-11-25 박영조 엘리베이터 도어용 행거 로울러 제조방법
KR100891959B1 (ko) 2007-08-13 2009-04-08 (주)금강테크 행거롤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8505A (en) * 1974-08-19 1976-12-21 C. L. Frost & Son, Inc. Bearing housing assembly and method thereof
JP2000135569A (ja) * 1998-11-02 2000-05-16 Nippon Mektron Ltd プレス成形ローラ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8505A (en) * 1974-08-19 1976-12-21 C. L. Frost & Son, Inc. Bearing housing assembly and method thereof
JP2000135569A (ja) * 1998-11-02 2000-05-16 Nippon Mektron Ltd プレス成形ロー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345Y1 (ko) 2000-11-15
KR20010109602A (ko) 200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249B1 (ko) 파이프 조인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360898B1 (ko)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
KR100740704B1 (ko) 모터 조립체
EP1172511A1 (en) A connecting element for connecting tubular sections and related mounting method
JP4173818B2 (ja) 自動車のエキゾーストパイプの端部に被せ嵌められるカバー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この方法に従って製造されたカバー
KR100587298B1 (ko) 드럼세탁기용 아웃터로터형 모터의 스테이터 코어 및백요크 제조방법
US6140732A (en) Armature coil co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KR200393547Y1 (ko) 조립식 창호
JPS6188743A (ja) ブラシホルダ
JP2008002603A (ja) 遊星歯車機構用キャリアプレート及びキャリア組立体
KR20180000161U (ko) 도어 힌지 어셈블리
KR20000010281U (ko) 무정류자 전동기의 회전자요크 구조
JP3533031B2 (ja) ボールスプラインユニットおよびボールスプラインユニットの外筒成形方法
JPH07275980A (ja) 板金製プーリの製造方法
JP6435372B1 (ja) 円筒状接合金物、およびその円筒状接合金物を用いた住宅構造
JP4587426B2 (ja) 中空状の射出成形体
KR0133777Y1 (ko) 비상콘센트함 커버
KR100891959B1 (ko) 행거롤러
JPS6111965Y2 (ko)
KR20000066989A (ko) 전동기의 고정자와 하우징의 결합구조
KR20040000214A (ko) 티이자형 경첩의 제조 방법
JP2005350920A (ja) 蝶番および蝶番用軸体
RU2333115C1 (ru) Опорная втулка рычага механизма продольного перемещения сиденья
JPH053640A (ja) 軸受ホルダー
KR101041910B1 (ko) 드럼 세탁기의 프레임 조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