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7546B1 -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7546B1
KR100357546B1 KR1019990066820A KR19990066820A KR100357546B1 KR 100357546 B1 KR100357546 B1 KR 100357546B1 KR 1019990066820 A KR1019990066820 A KR 1019990066820A KR 19990066820 A KR19990066820 A KR 19990066820A KR 100357546 B1 KR100357546 B1 KR 100357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vehicle
suction line
suction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6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9423A (ko
Inventor
최필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6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7546B1/ko
Publication of KR20010059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5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Fuel tanks characterised by fuel reser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1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main and auxiliary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차량의 주행중 연료 탱크가 전,후로 기울더라도 바닥에 있는 연료를 쉽게 빨아 들일 수 있게 개선하기 위하여;
차량에 설치된 연료탱크내 중앙에 설치되어 연료를 엔진에 공급하게 설치되는 연료펌프 모듈부와,
상기 연료펌프 모듈부에 차량의 진행 방향에 대해 전,후로 배치되는 관로의 연통수단과,
상기 연통수단들이 차량의 상태에 따라 연통수단을 선택하게 설치되는 밸브수단과,
상기 연통수단 각각의 끝단부에 연료의 흡입시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설치한 여과수단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FUEL SUPPLY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중 연료탱크가 전,후로 기울더라도 바닥에 있는 연료를 쉽게 빨아 들일 수 있게 개선한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연료 공급장치(2)는 일측에 주유관(4)을 설치한 연료탱크(6)와, 연료펌프 모듈(8)과, 흡입필터(1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연료펌프 모듈(8)은 연료탱크(6)내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있는데, 리저버컵(12)내 펌프(14)에 연결되는 공급 라인(16)에 연료 필터(18)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공급 라인(16)에는 연결된 리턴 관로(20)의 중간에 압력 레귤레이터(22)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리턴 관로(20)의 끝단에 제트 밸브(24)를설치하고 있다.
상기 제트 밸브(24)에는 리저버컵(12) 외의 탱크(6)내 연료를 유입시키게 일단에 흡입 필터(10)를 설치한 흡입 라인(26)을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연료펌프(14)를 통해 필요량만 공급 라인(16)을 통해 엔진에 공급되고 나머지는 압력 레귤레이터(22)에 의해 리턴 라인(20)을 통해 회수된다.
이때 리턴 라인(20)의 제트 밸브(24)를 통해 리저버컵(12)으로 배출될 때 제트 밸브(24)의 오리피스(28)측에 연결된 흡입 라인(26)에는 부압이 형성되므로서 흡입 필터(10)를 통하여 연료탱크(6)내 연료는 흡입 라인(26)을 통해 리저버컵(12)내로 흡입이 이루어져 엔진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연료탱크의 앞쪽에 연료펌프를 설치하고 뒤쪽에 흡입 필터를 설치하므로서 경사로 주행시 연료의 공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경고 램프가 점등되는 등 운전자를 불안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차량의 경사로 주행시 연료탱크의 연료가 일측으로 쏠림 발생되어 연료탱크내에 적은 연료가 남아 있을 경우 흡입필터를 통한 연료주입이 어려워짐으로써, 연료의 이용을 최대로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중 연료탱크가 전,후로 기울더라도 바닥에 있는 연료를 쉽게 빨아 들일 수 있게 개선한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으로 연료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공급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연료탱크내 중앙에 설치되어 연료를 엔진에 공급하게 설치되는 연료펌프 모듈부와,
상기 연료펌프 모듈부에 차량의 진행 방향에 대해 전,후로 배치되는 관로의 연통수단과,
상기 연통수단들이 차량의 상태에 따라 연통수단을 선택하게 설치되는 밸브수단과,
상기 연통수단 각각의 끝단부에 연료의 흡입시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설치한 여과수단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통수단은 연료펌프 모듈부의 연료펌프에 연결된 공급 라인에 연결 설치되면서 압력 레귤레이터를 설치한 리턴 라인과, 3방향밸브에 연료탱크내 연료가 흡입되게 연결된 제1흡입 라인과,
상기 제1흡입라인의 전방에 배치되어 차량의 내리막길 주행시 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3방향밸브에 연결되는 제2흡입라인과,
상기 제1흡입라인의 후방에 배치되어 차량의 오르막길 주행시 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3방향밸브에 연결되는 제3흡입라인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밸브수단은 3방향밸브로 제1흡입 라인이 연결되어 연통되게 형성한 제1포트와, 제2흡입라인이 연결되어 연통되게 형성한 제2포트와, 제3흡입라인이 연결되어연통되게 형성한 제3포트와, 상기 제1,2,3포트를 연료탱크의 자세에 따라 차단하는 내장된 금속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여과수단은 연료펌프 모듈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흡입 라인의 끝단에 배치된 제1흡입 필터와,
상기 연료펌프 모듈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3흡입라인의 끝단에 배치된 제2흡입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이 내리막길이나 오르막길을 주행할 때 연료탱크내의 연료가 충분하지 않으면 한쪽으로 모이게 되는데, 이때 연료탱크가 앞쪽으로 기울게 되면 여기에 배치된 제1흡입 필터를 통해 흡입되면 제2흡입 라인을 통해 3방향밸브에 도달하게 된다.
3방향밸브에서는 금속구가 제3흡입 라인을 막고 있어 연료의 흡입은 용이하게 이루어져 제1흡입 라인과 리턴 라인을 통해 리저버컵내에 흡입되어진다.
상기 리저버컵내에 흡입된 연료는 연료펌프의 펌핑으로 공급 라인을 통해 엔진에 연료를 제대로 공급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으로 연료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연료 공급장치(40)는 연료펌프 모듈부(42)와, 제1,2,3흡입 라인(44)(66)(68), 제1흡입 필터(46), 제2흡입 필터(48), 3방향밸브(50)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연료펌프 모듈부(42)는 연료탱크(52)의 중앙에 리저버컵(54)내에연료펌프(56), 공급 라인(58), 리턴 라인(60), 압력 레귤레이터 밸브(62), 제트 밸브(64)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제1흡입 라인(44)은 연료펌프(56)에 연결된 공급 라인(58)에 필요량만큼 공급되고 남은 연료를 리턴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압력 레귤레이터(62)와 이 압력 레귤레이터(62)를 설치한 리턴 라인(60)과 3방향밸브(50)에 연료의 흡입이 이루어지게 연결되고 있다.
제2흡입라인(66)은 제1흡입라인(44)의 전방에 배치되어 차량의 내리막길 주행시 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3방향밸브(50)에 연결되고 있다.
제3흡입라인(68)은 제1흡입라인의 후방에 배치되어 차량의 오르막길 주행시 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3방향밸브(50)에 연결되고 있다.
제1흡입 필터(46)는 제2흡입 라인(66)의 끝단부에 설치되면서 연료탱크(52)의 연료펌프 모듈부(42)의 전측에 설치되고 있다.
제2흡입 필터(48)는 제3흡입 라인(68)의 끝단부에 설치되면서 연료탱크(52)의 연료펌프 모듈부(42)의 후측에 배치되고 있다.
그리고 3방향밸브(50)는 상기 제1,2,3흡입 라인(44)(66)(68)간을 연결하기 위해 개재되고 있다.
3방향밸브(50)는 제1,2,3흡입 라인(44)(66)(68)이 연결되어 연통되는 제1,2,3포트(70),(72),(74)와, 이 포트를 연료탱크(52)의 자세에 따라 차단하는 금속구(76)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도3에 의하여 설명하면, 차량이 내리막길이나 오르막길을 주행할 때 연료탱크(52)내의 연료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가 되었을 때는 한쪽으로 모이게 된다.
이때 연료탱크(52)가 예를 들어 내리막길에서 앞쪽으로 기울게 되고, 여기에 배치된 제1흡입 필터(46)를 통해 흡입되면 제2흡입 라인(66)을 통해 3방향밸브(50)에 도달하게 된다.
3방향밸브(50)에서는 금속구(76)가 제3흡입 라인(68)과 연통하는 제3포트(74)를 막게 됨에 따라 연료는 제2포트(72)에서 제1포트(70)로 흘러가 리저버컵(54)내에 저장되게 된다.
상기 리저버컵(54)내에 흡입된 연료는 연료펌프(56)의 펌핑으로 공급 라인(58)을 통해 엔진에 안정되게 연료를 공급하게 된다.
차량의 경사로 주행시 등에 연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연료탱크내에 설치되는 연료펌프의 배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주행중 연료가 많이 몰리는 측의 연료를 쉽게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안전 주행을 도모하게 된다.
연료탱크 바닥에 남아있는 연료의 공급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Claims (4)

  1. 차량에 설치된 연료탱크내 중앙에 설치되어 연료를 엔진에 공급하게 설치되는 연료펌프 모듈부와,
    상기 연료펌프 모듈부에 차량의 진행 방향에 대해 전,후로 배치되는 관로의 연통수단과,
    상기 연통수단들이 차량의 상태에 따라 연통수단을 선택하게 설치되는 밸브수단과,
    상기 연통수단 각각의 끝단부에 연료의 흡입시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설치한 여과수단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통수단은 연료펌프 모듈부의 연료펌프에 연결된 공급 라인에 연결 설치되면서 압력 레귤에이터를 설치한 리턴 라인과, 3방향밸브에 연료탱크내 연료가 흡입되게 연결된 제1흡입 라인과,
    상기 제1흡입라인의 전방에 배치되어 차량의 내리막길 주행시 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3방향밸브에 연결되는 제2흡입라인과,
    상기 제1흡입라인의 후방에 배치되어 차량의 오르막길 주행시 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3방향밸브에 연결되는 제3흡입라인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밸브수단은 3방향밸브로 제1흡입 라인이 연결되어 연통되게 형성한 제1포트와, 제2흡입라인이 연결되어 연통되게 형성한 제2포트와, 제3흡입라인이 연결되어 연통되게 형성한 제3포트와, 상기 제1,2,3포트를 연료탱크의 자세에 따라 차단하는 내장된 금속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여과수단은 연료펌프 모듈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흡입 라인의 끝단에 배치된 제1흡입 필터와,
    상기 연료펌프 모듈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3흡입라인의 끝단에 배치된 제2흡입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
KR1019990066820A 1999-12-30 1999-12-30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 KR100357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820A KR100357546B1 (ko) 1999-12-30 1999-12-30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820A KR100357546B1 (ko) 1999-12-30 1999-12-30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423A KR20010059423A (ko) 2001-07-06
KR100357546B1 true KR100357546B1 (ko) 2002-10-19

Family

ID=19633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6820A KR100357546B1 (ko) 1999-12-30 1999-12-30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7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313B1 (ko) * 2011-12-22 2013-08-30 현대위아 주식회사 펌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313B1 (ko) * 2011-12-22 2013-08-30 현대위아 주식회사 펌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423A (ko) 200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1153B1 (en) Dual fuel delivery module system for multi-chambered or multiple automotive fuel tanks
EP1122423B1 (en) Dual fuel delivery module system for bifurcated automotive fuel tanks
US7066153B2 (en) Jet pump with improved start-up properties and fuel delivery system equipped with such jet pump
US7571716B2 (en) Fuel system with direct connection between fuel pump, jet pump, and fuel filter
EP1978237B1 (en) Vehicle fuel supply device
EP2394836B1 (en) Fuel tank
CN102197210A (zh) 燃料箱
JP5287941B2 (ja) 燃料ポンプ装置
JP3820579B2 (ja) 燃料供給装置
WO2000000734A1 (fr) Dispositif d'alimentation en carburant pour vehicule
KR100534789B1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시스템
WO2008091595A1 (en) Low pressure jet by-pass system for fuel pump
KR100534731B1 (ko) 자동차용 연료 펌프 어셈블리
KR100357546B1 (ko)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
CN102213164A (zh) 双喷嘴系统
JP4370528B2 (ja) 燃料供給装置
JP4239685B2 (ja) 燃料供給装置
KR100514889B1 (ko) 차량의 연료탱크
CN101718240A (zh) 车辆用燃料供给装置
CN112901383A (zh) 供油油路自动切换控制系统、方法及车辆
JP2004278527A (ja) 燃料供給装置
KR19990003285U (ko) 차량용 듀얼 연료탱크에서의 연료공급장치
JP2844949B2 (ja) 燃料供給装置
JPS6283223A (ja) 燃料供給装置
JP2002168155A (ja) 燃料供給装置およびこの燃料供給装置に用いられる燃料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