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979B1 - 유류 착오 하역 및 오우버 플로우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유류 착오 하역 및 오우버 플로우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979B1
KR100356979B1 KR1019990044983A KR19990044983A KR100356979B1 KR 100356979 B1 KR100356979 B1 KR 100356979B1 KR 1019990044983 A KR1019990044983 A KR 1019990044983A KR 19990044983 A KR19990044983 A KR 19990044983A KR 100356979 B1 KR100356979 B1 KR 100356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unloading
tank
data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9142A (ko
Inventor
모도하시도시아끼
시미즈마꼬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메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메카트로닉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메카트로닉스
Publication of KR20000029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9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기름을 채우는 것으로 예정되어 있지 아니한 저유탱크로 기름이 하역되어서 예정했던 저유탱크가 비어 있게 되므로써 저유탱크에 접속되어 있는 계량기로부터 급유를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한 유류 착오 하역 및 오우버 플로우(over flow)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저유탱크(2) 마다의 용량 및 유종을 기억하며, 저유탱크(2)에 마련된 유면계(5)의 액위신호로부터 연산된 유량 및 키이보드(9)로부터 입력된 주문량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탱크번호, 유종 및 주문량을 포함하는 주문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와를 갖는 급유소(1)측의 유량관리장치(8)와, 해치(14)마다의 유종 및 유량을 포함하는 하적 데이터를 기억하며, 입력한 주문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하적 데이터, 주문 데이터 및 하역 되는 탱크번호에 의거하여 하역을 제어하는 제어부와를 갖는 로울리(12)측의 하역 제어장치(19)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유류 착오 하역 및 오우버 플로우 방지장치{Preventing apparatus for loading in error and over flowing of oil}
본 발명은 급유소의 저유탱크에 하역할 때에 유류 착오 하역 및 오우버 플로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유소의 저유탱크에 하역할 때의 유류 착오 하역 및 오우버 플로우 방지 장치는, 일본 특개 평1-22659호로서 본 출원인이 제안한 바 있다. 이것은 유효하지만 같은 유종의 저유탱크가 지하에 복수개 설치 되어 있는 경우에는 어느 저유탱크에도 하역을 할 수가 있으므로 예정되지 아니한 저유탱크에 기름을 하역하는 수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예정되지 아니한 저유탱크에 기름이 하역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 것으로, 예정되지 아니한 저유탱크에 기름이 하역되어서 기름 보급이 예정되어 있던 저유탱크가 오히려 비어 있게 되므로써, 이 저유탱크에 접속되어 있는 계량기로부터 급유를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코자 한 유류 착오 하역 및 오우버 플로우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일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류 착오 하역 및 오우버 플로우 방지 장치는 저유탱크 마다의 용량 및 유종을 기억하며, 각 저유탱크에 마련된 유면계의 액위 신호로 부터 연산된 유량 및 키이보드로부터 입력된 주문량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탱크번호, 유종 및 주문량을 포함하는 주문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와를 갖는 급유소측의 유량 관리장치와, 해치 마다의 유종 및 유량을 포함하는 적하 데이터를 기억하며, 입력한 주문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적하 데이터, 주문 데이터, 및 하역될 탱크번호에 의거하여 하역을 제어하는 제어부와를 갖는 로울리측의 하역 제어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역의 제어는 주문 데이터에 의거하여 행하여지므로 지정된 저유탱크에 반드시 하역 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량 관리장치의 제어부는 각 저유탱크의 용량 및 액량으로부터 공용량(空容量)을 연산하여 공용량(비어 있는 량)이 영으로 되면 만탱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하역 제어장치는 만탱크 신호를 받아서 하역을 정지하므로 주문을 하고서 하역을 하기까지의 사이에 저유탱크내로 기름이 들어가게 되어 저유탱크의 유량이 증가한 경우에도 오우버 플로우를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류 착오 하역 및 오우버 플로우 방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류 착오 하역 및 오우버 플로우 방지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유량 관리장치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저유탱크 마다의 데이터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유량 관리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주문데이터의 설명도이다.
도 5는 하역 제어장치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하적 데이터의 설명도이다.
도 6은 하역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유량 관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급유소 2 : 저유탱크
3 : 주유관 4 : 급유관
5 : 유면계 6 : 탱크 가이드
7 : 신호선 8 : 유량 관리장치
8a : 기억부 8b : 제어부
9 : 키이보드 10 : 표시기
11 : 컨넥터 12 : 로울리
13 : 탱크 14 : 해치
15 : 바닥 밸브 16 : 토출관
17 : 급유호스 18 : 카아드 리이더
19 : 하역 제어장치 19a: 기억부
19b: 제어부 20 : 신호선
21 : 표시기 22 : 키이보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자동차에 연료유를 급유하는 급유소(1)에는 지하에 복수개의 저유탱크(2A)(2B)(2C)-----(이하 총칭하는 경우는 부호(2)를 사용한다)가 매설되어 있다. 저유탱크(2)에는 주유관(3), 급유관(4) 및 유면계(5)가 마련되어 있다. 주유관(3)은 지상으로 도출되며, 주유관(3)에는 탱크번호 및 유종을 나타내는 탱크카아드(6)가 마련되어 있다. 급유관(4)은 도시하지 않은 계량기로 접속되며, 계량기로부터 자동차로 급유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유면계(5)의 액위신호는 신호선(7)을 통해서 유량관리장치(8)로 전해지도록 되어 있다.
유량관리장치(8)의 기억부(8a)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탱크(2) 마다의 용량과 유종 및 현재의 유량 및 공용량(여기서 공용량이라 함은 급유가능한 전체 탱크 용량중 현재 탱크내에 들어 있는 연료량을 빼고 추가로 급유가 가능한 연료량, 즉 연료탱크의 비어 있는 용량을 말한다) 등이 기억되며, 또한 키이보드(9)로부터 입력된 주문량이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8b)는 유면계(5)의 액위신호로부터 연산한 현재의 유량을 기억부(8a)에 기억하여 표시기(10)에 표시하고, 저유탱크(2)의 용량과, 현재의 유량으로 부터 연산한 공용량을 기억부(8a)에 기억하며, 키이보드(9)에서 입력된 주문량을 기억부(8a)에 기억한다. 또한 제어부(8b)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8a)에 기억되어 있는 탱크번호, 유종 및 주문량을 포함한 주문데이터를 컨넥터(11)를 통해서 출력하여 저유탱크(2)의 공용량이 영으로 되면 만탱크(저유탱크가 가득차서 더이상 연료를 주입할 수 없는 연료의 완전 충진 상태를 말함, full tank)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입력한 하역 데이터를 매입(買入) 데이터(기름을 도입하고 지불한 금액, 도입량 및 유종등의 정보)로서 관리하도록 되어 있다.
로울리(12)의 탱크(13)는 복수개의 해치(14A)(14B)(14C)(이하 총칭 하는 경우는 부호(14)를 사용한다)로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해치(14)의 바닥 밸브(15)는 토출관(16)에 접속되며, 토출관(16)과 저유탱크(2)의 주유관(3)을 주유호스(17)로 접속하여 하역하도록 되어 있다. 또 주유호스(17)에는 카아드리이더(18)가 마련되며, 주유관(3)에 마련되어 있는 탱크카아드(6)가 삽입되었을 때에 탱크번호 및 유종을 포함하는 카아드 데이터를 하역 제어장치(19)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로울리(12)의 하역제어장치(19)의 기억부(19a)에는 유조소(油槽所)에서 하적했을 때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치(14) 마다의 유종, 유량 등의 하적데이터가 기억되어 신호선(20)을 통해서 입력한 주문데이터(도 4)를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19b)는, 기억부(19a)에 기억되어 있는 하적 데이터(도 5)를 표시기(21)에 표시하고 카아드리이더(18)로부터 입력한 탱크 데이터와 주문 데이터(도 4)와 하적 데이터(도 5)에 의거하여 하역의 가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키이보드(22)로부터 개시신호를 받으면 바닥밸브(15)를 열고, 종료신호를 받으면 바닥밸브(15)를 닫으며, 완료신호를 받으면 하역 데이터를 신호선(20)을 통해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 하역중에 신호선(20)을 통해서 만탱크 신호를 받으면 바닥밸브(15)를 닫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 6, 7의 플로우차트에 의해서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급유소(1)의 저유탱크(2A)는 용량이 5KL, 유종이 보통가솔린, 재고량이 3.3KL, 공용량이 1.7KL이며, 저유탱크(2B)는 용량이 5KL, 유종은 보통가솔린, 재고유량은 1.3KL, 공용량은 3.7KL이며, 기름 보충을 위해 주문이 필요한 량은 2KL 이다. 유조소에 주문하려면 우선 유량관리장치(8)의키이보드(9)를 조작하여 기억부(8a)에 기억되어 있는 탱크마다의 데이터(도 3)를 표시기(10)에 표시하며, 이 표시에 의거해서 키이보드(9)로부터 주문량을 입력한다. 예를 들면 저유탱크(2B)에 보통가솔린을 2KL, 저유탱크(2C)에 고급가솔린 2KL를 입력하여 기억부(8a)에 기억하여(도 3) 유조소에 주문한다.
유조소에 있어서, 급유소(1)의 주문에 의거하여 로울리(12)에 하적되며, 로울리(12)의 하역 제어장치(19)의 기억부(19a)에 하적 데이터(도 5)가 기억된다.
급유소(1)로 하역하러온 로울리(12)의 운전자가 하역관리장치(19)의 신호선(20)을 급유소(1)의 유량관리장치(8)의 컨넥터(11)에 접속하고, 하역관리장치(19)의 키이보드(22)의 하역버튼을 누르면(도 6, ST1), 송신신호가 출력된다(도 6, ST2).
이 송신 신호를 받은 유량관리장치(8)는 (도 7, ST1), 주문데이터(도 4)를 출력한다(도 7, ST2). 그리고 주문데이터를 받은 하역관리장치(19)는(도6, ST3), 주문 데이터를 기억부(19a)에 기억하고 주문 데이터를 하적데이터와 함께 표시기(21)에 표시한다(도 6, ST4).
로울리(12)의 운전자는 표시기(21)의 표시에 의거하여 토출관(16)에 접속한 주유호스(17)를 주유관(3)에 접속하고, 주유관(3)의 탱크 카아드(6)를 카아드리이더(18)에 삽입한다. 카아드리이더(18)로부터 입력한 카아드데이터가 주문된 저유탱크(2)의 주유관(3)의 탱크 데이터라면(도 6, ST5), 표시기(21)에 하역 가능이 표시된다(도 6, ST6). 그리고 키이보드(22)의 밸브열림 버튼을 누르면(도 6, ST7), 바닥밸브(15)가 열리고(도 6, ST8), 해치(14)내의 기름은 바닥밸브(15),토출관(16), 주유호스(17) 및 주유관(3)을 통해서 저유탱크(2)로 주유된다.
해치(14)의 하역이 끝났으면 키이보드(22)의 밸브닫침버튼을 누르게 되며(도 6, ST9), 이에따라 바닥밸브(15)가 닫힌다(도 6, ST10).
그리고 탱크카아드(6)를 카아드리이더(18)로부터 뽑고, 주유호스(17)를 떼어내면 이 해치(14)의 하역이 끝난다.
다음의 해치(14)에 하역을 하려면 상술한 바와 같은 모양으로 주유호스(17)를 다른 주유관(3)에 접속하며 주유관(3)의 탱크카아드(6)를 카아드리이더(18)에 삽입하고(도 6, ST11), 키이보드(22)의 밸브 열림 버튼을 눌러서 행한다(도 6, ST6, ST7----). 그리고 모든 하역이 끝나서 키이보드(22)의 종료버튼이 눌려지면(도 6, ST12), 제어부(19b)는 하역 데이터를 출력한다(도 6, ST13). 하역 데이터를 받은 유량관리장치(8)의 제어부(8b)는 (도 7, ST3), 이 하역데이터를 매입 데이터로 하여 관리한다(도 7, ST4).
그런데 하역중에 저유탱크(2)가 만탱크로 되어 공간 용량이 영으로 되면(도 7, ST5), 제어부(8b)는 만탱크 신호를 출력한다(도 7, ST6). 이 만탱크 신호를 받은 하역 제어장치(19)의 제어부(19b)는 (도 6, ST14), 바닥밸브(14)를 닫아서(도 6, ST15), 오우버 플로우를 방지한다. 그리고 만탱크임을 알아차려서 키이보드(22)의 종료 버튼를 누르면(도 6, ST16), 스텝(ST11) 이하가 실행된다.
또 카아드리이더(18)로부터 입력한 탱크데이터가 주문된 저유탱크(2)의 것이 아니라면(도 6, ST17), 착오 접속이 통지된다(도 6, ST18). 이 경우는 정확한 저유탱크(2)의 주유관(3)으로 접속을 다시하여 하역을 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유류 착오 하역 및 오우버 플로우 방지장치는 저유탱크 마다의 용량 및 유종을 기억하여, 각 저유탱크에 마련된 유면계의 액위 신호로부터 연산된 유량 및 키이보드로부터 입력된 주문량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탱크번호, 유종 및 주문량을 포함하는 주문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와를 갖는 급유소측의 유량 관리장치와, 해치마다의 유종 및 유량을 포함하는 하적 데이터를 기억하며, 입력한 주문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하적 데이터, 주문 데이터 및 하역되는 탱크번호에 의거하여 하역을 제어하는 제어부와를 갖는 로울리측의 하역 제어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역의 제어는 주문 데이터에 의거해서 행하여지므로 지정된 저유탱크에 반드시 하역되도록 하여 예정되지 아니한 기름이 하역되어서 예정되어 있는 저유탱크가 비어 있게 되므로써 이 저유탱크에 접속되어 있는 계량기로부터 급유를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2)

  1. 저유탱크 마다의 용량 및 유종을 기억하며, 각 저유탱크에 마련된 유면계의 액위신호로부터 연산된 유량, 및 키이보드로부터 입력된 주문량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탱크번호, 유종 및 주문량을 포함하는 주문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와를 갖는 급유소측의 유량 관리장치와,
    해치 마다의 유종 및 유량을 포함하는 적하 데이터를 기억하며, 입력한 주문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적하 데이터, 주문 데이터, 및 하역될 탱크번호에 의거하여 하역을 제어하는 제어부와를 갖는 로울리측의 하역 제어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착오 하역 및 오우버 플로우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관리장치의 제어부는 각 저유탱크의 용량 및 액량으로 부터 공용량을 연산하여, 공용량이 영으로 되면 만탱크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하역 제어장치는 만탱크 신호를 받아서 하역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착오 하역 및 오우버 플로우 방지 장치.
KR1019990044983A 1998-10-28 1999-10-18 유류 착오 하역 및 오우버 플로우 방지장치 KR100356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06515A JP2000128299A (ja) 1998-10-28 1998-10-28 誤油種荷卸し及びオーバフロー防止装置
JP?10-306515 1998-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142A KR20000029142A (ko) 2000-05-25
KR100356979B1 true KR100356979B1 (ko) 2002-10-19

Family

ID=1795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983A KR100356979B1 (ko) 1998-10-28 1999-10-18 유류 착오 하역 및 오우버 플로우 방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0128299A (ko)
KR (1) KR1003569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5657B2 (ja) * 2000-07-31 2006-08-30 株式会社タツノ・メカトロニクス 給油所用注油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142A (ko) 2000-05-25
JP2000128299A (ja) 2000-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4647A (en) Transfer system for cryogenic liquids
US54069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compressed gas into a vehicle
US20060218941A1 (en) Cryogenic fluid dispensing system
US11377341B2 (en) Mobile distribution station with additive injector
WO2007089741A2 (en) Fuel additive injection system
WO1996023131A1 (en) Automated fluid changing system
KR100384503B1 (ko) 자동 급유장치
CN114072305B (zh) 一种用于车辆的燃料气体系统
KR100356979B1 (ko) 유류 착오 하역 및 오우버 플로우 방지장치
US20130341363A1 (en) Pressurized fluid distribution system
KR0119119B1 (ko) 급액장치
US11267689B2 (en) Mobile distribution station having auxiliary delivery system
US4936343A (en) Carbon dioxide fill manifold
JP2591888B2 (ja) 給油所における地下タンクへの荷卸し給油方法
JP4341074B2 (ja) 燃料油配送システム
WO1998033675A1 (en) Product return system
US11660646B2 (en) Fluid delivery system and method
KR20190068681A (ko) 주유 장치
JP3280553B2 (ja) ガソリンスタンドにおける荷卸し設備
JPH01226592A (ja) タンクローリからの給油装置
JP2000007099A (ja) ローリー出荷装置
JPH05221500A (ja) 給油所の油貯留装置
JP2591412B2 (ja) 出荷装置
JP4428857B2 (ja) 給油装置
KR20240033383A (ko) Lng 연료추진 선박의 로딩 제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