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921B1 - 합성고무 라텍스를 이용한 녹화용 시드 스프레이 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 - Google Patents

합성고무 라텍스를 이용한 녹화용 시드 스프레이 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921B1
KR100356921B1 KR1020010067745A KR20010067745A KR100356921B1 KR 100356921 B1 KR100356921 B1 KR 100356921B1 KR 1020010067745 A KR1020010067745 A KR 1020010067745A KR 20010067745 A KR20010067745 A KR 20010067745A KR 100356921 B1 KR100356921 B1 KR 100356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ex
seed
construction
spray composition
seed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0564A (ko
Inventor
최상릉
홍창우
김대호
강성립
이종명
김영상
Original Assignee
(주)예맥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맥컨텍 filed Critical (주)예맥컨텍
Priority to KR1020010067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921B1/ko
Publication of KR20020060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04Sowing using liquid seeding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면의 법면 녹화에 사용되는 시드 스프레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목초류 씨앗, 피복안정제, 복합비료 및 수용성 폴리머 라텍스 용액을 포함하는 조성으로, 이를 성토 또는 절토면에 살포하는 경우 씨앗이나 양분의 유실을 최소화하여 발아율을 증가시키고 세굴이나 고사로 인한 녹화량 감소를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1회의 살포만으로도 별도의 후속적 구조물 설치 없이 녹화가 가능하며, 급경사면이나 대형사면의 녹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합성고무 라텍스를 이용한 녹화용 시드 스프레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Seed spray composition and tree-planting method}
본 발명은 시드 스프레이(seed spray) 공법을 보완, 개선하여 사면 안정 효과 증진 및 자연 식생을 원활히 이를 조건을 조기에 형성해 주기 위한 사면 보호공법이다. 이를 위해 이전의 Net 및 거적, 블록을 사용한 법면 보호공법들과 달리 수용성 폴리머 라텍스 용액의 비탈면 살포, 코팅의 방법으로 사면에 뿌려진 씨앗의 유실 방지와 보온·보습효과 향상, 토양 표면의 고착 안정화를 추구한다.
본 발명은 복토된 사면 표층부의 슬라이딩 또는 침식 파괴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주며 완전한 식생 조건을 형성하여 영구적 녹화를 통한 사면 안정화를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생리학적 생태 특성을 위한 조건 형성 및 조경적 미의 확보, 궁극적으로는 지속적 사면의 안정, 추가적으로 경제적 효율성 증대 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 공법의 경우 경제성을 만족시키는 거적덮기, 일반 시드 스프레이 등은 강우 등에 의한 사면 파괴에 대해 대책이 미흡하여 사면이 녹화를 이루기 전에 붕괴되는 위험성을 갖는다. 확실한 사면 안정 공법인 구조물을 이용한 공법의 경우는 장기적으로 볼 때 지속적인 보수·보강이 필요하고 자연 친화적 조경미의 확보라는 측면에서도 불리한 점이 많다. 그 외에도 네트류 공법, 객토 취부공법등이 있으나 고 단가에 비해 사면 보호 효율이 떨어지며 시공시 장소의 제약이 많아 가장 일반적인 성토 사면을 제외하고는 적용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각 공법의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 끝에 개발하게 된 본 발명은 그 배합 조성이 복잡하지 않아 저렴한 단가를 유지하며, 시공이 간편하여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음은 물론, 사면 안정 기능 및 녹화를 위한 조기 조건 형성, 장기적 관점에서의 친화적 조경미 확보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녹화용 시드 스프레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법면 등의 녹화를 위해 살포되는 수용성 폴리머 라텍스 용액, 피복양생제, 복합비료 및 씨앗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면의 경우 비탈면이 형성된 시점에는 일단 안정을 갖게 되는데, 이 비탈면의 각을 안식각이라 한다. 이러한 안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낙석, 붕락, 붕괴, 슬라이딩 등의 현상으로 파괴가 발생하여 진행되는데, 이는 주로 강우, 강설, 동결, 융해 등으로 인한 물에 기인하게 된다.
결국 사면 보호공이라 하면 물에 대한 대처 방안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대처공법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되며, 그 과정 및 결과 또한 다양하다.
사면 안정공법을 크게 분류해보면 재료의 전단력 또는 강성을 이용한 구조물공법과 식물뿌리의 전단강도를 이용한 식생공법으로 나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구조물을 이용한 공법으로는 콘크리트 옹벽공, 우물 거더공, 앵커공, 록 볼트공, 돌 망태공, 철근 숏크리트공, 연속 틀공, 블록 쌓기 공 등이 있고, 식생을 이용한 공법으로는 식목, 삽목, 주식, 평떼, 줄떼, 객토 종자 뿜기 공, 매트공, 종자 살포공(seed spray)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상기한 공법들을 보호·보강한 다양한 공법들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공법들은 다양한 결과를 초래하는 바, 예를들면, 외관상의 경관이 좋지 않은 경우, 외관은 양호하나 안정성이 미약한 경우, 시공이 어려운 경우, 비경제적인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물론 대처공법 중에서도 구조물을 사용한 경우가 초기 사면 안정측면에서는 매우 양호한 결과를 갖는다. 그러나, 장기적인 안목으로 본다면 역시 생태계 유지에 적합한 자연 친화적 공법이 경관상은 물론 장기 사면 안정성에 있어서도 우수한 성과를 가져옴은 여러시험 시공 결과 알 수 있었다.
자연 친화적 공법 중 종자 살포공, 즉 시드 스프레이 공법은 표면 녹지조성을 위한 잔디 이식방법 중 하나로서 잔디 씨앗을 살포하는 공법이다.
구체적으로 시드 스프레이는 기계 및 토양에 알맞은 초종을 선정하여 유기질 및 복합비료, CMC(Carboxymethyl cellulose), 피복양생제, 착색제 등과 혼합하여 절개지 또는 성토부 법면에 뿜어붙이기를 하는 공법으로서, 단시일 내에 넓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으며 인력으로 올라갈 수 없는 급경사지 시공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초기녹화 지연으로 우수 등에 의한 식생지반의 세굴현상이 쉽게 발생되고, 표출된 종자가 고사하거나 유실되어 최소한 2,3회는 추가 파종을 실시해야 하는 등 시공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 종자의 발아 또는 착근이 이루어 지더라도 토양자체의 영양분 결핍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식생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기타 다른 공법의 동반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일례로, 국내특허공개 제2000-13699호에는 일명 '그린네트'를 이용한 녹화공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복합유기질, 소석회, 복합비료 및 종자 혼합물을 포설한 후 전면에 걸쳐 종자를 살포하고, 그 위에 볏짚과 폴리에틸렌 메쉬를 합성한 구조물을 설치하여 종자의 초기 발아를 촉진하고 사면의 토양유실 및 세굴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린네트 공법이 사면을 완전히 보호하지 못하여 종자의유실 또는 세굴에 대해서는 다소 미약한 면이 있으며, 그린네트망을 덮은 후에는 앵커로 고정해두어야 한다.
또한, 시드 스프레이를 한 다음, 거적덮기를 병행하는 예도 있다. 거적덮기의 경우는 세굴에는 효과가 없고 발아율에만 효과적이며, 거적이 거동되지 않도록 앵커로 고정해야만 한다.
한편, 건설 표준 품셈을 기준으로 한 시드 스프레이 공법의 조성은 목초류 씨앗 25g/㎡, 피복양생제 250g/㎡, 침식안정제 100∼150g/㎡, 복합비료 100g/㎡ 및 색소 2g/㎡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시드 스프레이 공법에 의한 녹화공법에 있어서 사면 파괴나 씨앗 및 비료 유실 등으로 인한 식생효과의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별도의 네트나 거적덮기 등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공법을 모색하던 중, 시드 스프레이 조성에 수용성 폴리머 라텍스 용액을 첨가하고 여타의 조성을 조정하면 적은 양의 종자를 살포하더라도 침식에 대한 저항효과 및 씨앗, 비료 유실에 대한 저항성을 강화시킬 수 있음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후속적인 구조물 시공없이 시드 스프레이 시공만 하더라도 사면의 세굴을 방지할 수 있고 씨앗 및 비료유실을 줄일 수 있어 추가적인 파종의 실시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며 정상적인 식생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시드 스프레이 조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녹화용 시드 스프레이 조성물은 살포되는 단위면적당 목초류 종자 15∼25g/㎡, 피복양생제 20∼70g/㎡, 복합비료 50∼80g/㎡ 및 수용성 폴리머 라텍스 용액(5∼20% 기준) 500∼2000g/㎡로 이루어진 것임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텍스 용액 코팅 시공후의 형상을 도식화한 것이고,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으로 시공한 후 5주일이 경과된 시점에서 착근된 종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3 내지 4는 각각 실시예 2 및 3에 따른 방법으로 시공한 후 5주일이 경과된 시점에서 씨앗이 초기 발아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5는 비교예 1에 따른 시드 스프레이 조성으로 시공한 후 5주일이 경과된 시점에서 착근된 종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6은 도 2 내지 6의 결과를 토대로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씨앗 발아분포도를 측정하여 얻어진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제1시공방법에 의해 시공한 후 23.9mm/hr 이상의 강우상황을 겪은 사면상태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제2시공방법에 의해 시공한 후 23.9mm/hr 이상의 강우상황을 겪은 사면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9는 실시예 3에 의해 제2시공방법에 의해 시공한 후 23.9mm/hr 이상의 강우상황을 겪은 사면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10은 비교예 1에 따른 시드 스프레이 조성으로 시공한 후 23.9mm/hr 이상의 강우상황을 겪은 사면상태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11은 도 7 내지 10의 결과를 토대로 이미지 프로세싱을 활용하여 세굴량 분포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며,
도 12는 실시예 1에 따른 제1시공방법에 의해 시공한 후 23.9mm/hr 이상의 강우상황을 겪은 3주후의 착근상태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13은 실시예 2에 따른 제2시공방법에 의해 시공한 후 23.9mm/hr 이상의 강우상황을 겪은 3주후의 착근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14는 실시예 3에 의해 제2시공방법에 의해 시공한 후 23.9mm/hr 이상의 강우상황을 겪은 3주후의 착근상태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15는 비교예 1에 따른 시드 스프레이 조성으로 시공한 후 23.9mm/hr 이상의 강우상황을 겪은 사면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16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시드 스프레이 조성으로 시공한 후 스프레이 조성 중 복합비료의 손실량을 관찰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 씨앗의 성장도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고,
도 17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시드 스프레이 조성으로 시공한 후 수분함량의 감소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녹화용 시드 스프레이 조성에는 기본적으로 식생효과를 나타내는 목초류 종자를 포함해야 하는 바, 일반적인 시드 스프레이 공법에서는 살포되는 단위면적당 25g/㎡ 정도로 종자가 포함되나 본 발명에서는 15∼25㎡/g, 바람직하게는 20g/㎡ 정도로 살포되면 된다. 이와 같이 종자의 살포량을 줄일 수 있는 이유는 종자의 살포량이 적어지더라도 유실되는 종자의 수가 적고 발아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종자의 파종량을 줄이더라도 우수한 식생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시드 스프레이 조성물에는 통상 시드 스프레이 조성에 포함되는 피복양생제를 포함하는 바, 피복양생제로는 통상 Wood Fiber나 Paper Fiber 등을 사용한다. 피복양생제는 부자재의 배합시 각 재료의 비중차에 의한 재료 분리를 막아주어 배합물이 적절한 균질성을 유지하는데 기여할뿐 아니라 법면에 포설된 이후 표면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씨앗 주위에 분포되어 인공 토양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즉 복토의 역할을 대신하여 씨앗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재료 자체가 나무이므로 차후에 부식되어 비료의 역할을 하기도 하므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재료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250㎡/g정도를 사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 공법에서는 폴리머 용액의 고무질 특성이 이러한 역할을 상당부분 대체하므로 사용양을 상당부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드 스프레이 조성은 종자의 양분이 되는 복합비료를 포함하는 바, 그 양은 50∼80g/㎡이다. 여기서 복합비료라 함은 질소, 인산, 가리의 혼합 비료를 일컫는다. 복합비료도 통상의 시드 스프레이 공법에서는 100g/㎡ 정도로 사용하던 것에 비하여 훨씬 감소된 양으로 사용되는 바, 이 또한 유실되는 복합비료의 양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적은 양으로도 발아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인 시드 스프레이 공법에 사용되는 조성은 임의로 그 배합량을 줄이거나 하면 성장률과 발아율이 저조하여 사면에 적용하지 못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종자, 피복양생제 및 복합비료의 양을 줄이고, 색소를 첨가하지 않을 수 있는 근본적인 요인은 본 발명 조성 중 사용되는 수용성 폴리머 라텍스 용액에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용성 폴리머 라텍스는 통상의 고무 라텍스와 수지 라텍스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고무 라텍스라 함은 천연 고무 라텍스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피렌 고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고무와 같은 합성고무 라텍스를 들 수 있고, 수지 라텍스라 함은 크게는 열가소성 수지 라텍스, 열경화성 수지 라텍스 및 역청질 라텍스를 일컫는다. 여기서, 열가소성 수지 라텍스로는 폴리아크릴에스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스티렌-아크릴 에스터, 폴리비닐프로피오네이트,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고, 열경화성 수지 라텍스로는 에폭시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역청질 라텍스로는 아스팔트, 고무 아스팔트, 파라핀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용성 폴리머 라텍스는 자체적으로 우윳빛을 나타내므로 종래 시드 스프레이 공법에서 별도로 색소를 첨가하던 것과는 달리 색소의 첨가가 필요없다. 또한, 수용성 폴리머 라텍스는 대기중에 노출될 경우 수분의 증발에 따라 고결되어 피막을 형성하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이를 식생공법에 사용하게 되면 코팅효과를 나타내어 종자의 초기 발아율을 증가시킬 수 있어 법면을 조기에 안정화시킬 수 있고, 강우시 세굴 및 유실에 대한 저항성을 강해진다.
이와같은 수용성 폴리머 라텍스(5∼20%기준)를 살포되는 단위면적당 500∼2000g/㎡의 양, 구체적으로는 1000g/㎡의 양으로 사용하는 바, 만일 수용성 폴리머라텍스의 살포량이 단위면적당 500g/㎡ 미만이면 코팅피막의 정도가 낮아 침식안정효과 및 씨앗유실에 대한 저항성이 결여되는 문제가 있고, 2000g/㎡ 초과면 과도한 피막 형성으로 인해 조기 씨앗 발아를 지연시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종래 시드 스프레이 공법에 첨가되던 CMC(Carboxymethyl cellulose)와 같은 침식안정제를 추가적으로 첨가할 수 있는 바, 그 첨가량은 종래 100∼150g/㎡이던 것과는 달리 50g/㎡이하로 최소화할 수 있다.
침식안정제의 첨가시 그 양이 50g/㎡ 보다 많아지면 씨안의 코팅피복으로 인하여 발아가 다소 늦어질 수 있으며 침식안정제를 혼합하지 않은 경우에도 씨앗의 거동으로 인한 유실은 종래의 거적덮기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는 정도이다.
종래와 같이 시드 스프레이 한 후 네트 등을 고정시켜야 하는 경우는 그 장소의 제약 뿐만 아니라 시공이 복잡하며, 네트 등의 사용으로 인해 시공단가가 올라갈 수밖에 없으나 상기와 같은 수용성 폴리머 라텍스 용액을 포함한 시드 스프레이 조성을 사용하면, 비탈면의 조기녹화가 가능하고, 코팅에 의한 법면의 조기 안정화를 꾀할 수 있으며, 강우시 세굴 및 유실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고, 시공 단가가 저렴하다. 그리고, 기계화를 통해 시공의 균일화가 가능하며, 단기간에 많은 면적을 녹화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하며 장소의 높낮이에 대한 제한이 거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드 스프레이 조성을 사용한 식생공법은 시공단가가 저렴하며, 기계화를 통해 시공의 균일화가 가능해지며, 단기간에 많은 면적을 녹화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하며 비교적 장소의 제한을 덜 받는다.
따라서, 절토 또는 성토면의 사면안정 뿐만 아니라 모든 비탈면의 녹화공법에 적용가능하며, 공사장 주변의 야적 골재에 의한 비산먼지 방지책으로도 그 활용도가 높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시드 스프레이 조성물을 사용하여 비탈면을 녹화하는 방법으로는, 먼저 시공의 1방법으로는 시드 스프레이 차량에 수용성 폴리머 라텍스를 배합조건에 따라 씨앗 부자재와 함께 배합하여 살포한다. 이후 사면에 대한 추가적인 살포나 작업없이 씨앗이 코팅되어 녹화를 이루게 된다.
또 다른 시공의 2방법으로는 배합조건에 따라 씨앗 및 부자재를 배합한다. 씨앗 및 부자재의 살포후 약 1시간 뒤에 본 발명 시드스프레이액을 고르게 사면 등 시공부위에 살포하여 씨앗 및 부자재 등을 코팅하여 준다. 이는 대기중에서 약 12∼24시간 후면 코팅 피막이 완전히 형성되어 토피 세굴, 각 재료의 유실방지 및 수분손실을 막아주게 도니다. 토사 입자 사이로 스며든 용액은 토립자간의 유연한 결속을 가져와 토립자의 역할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침식억제에도 상당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드 스프레이 조성을 코팅 시공한 후의 형상은 개략적으로 도 1과 같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 및 함량으로 시드 스프레이 조성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시드 스프레이 조성을 사용하여 성토 비탈면에 대해, 950㎡의 면적에 대하여 단위면적당 상기 표 1의 함량으로 살포한 다음, 시공 후 30일 동안 초기발아, 식생지반의 보습력, 사면안정성을 측정하였다.
한편, 실시예 1의 경우에는 상기 표 1의 조성 중 수용성 라텍스 폴리머 용액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살포한 다음, 수용성 라텍스 폴리머 용액을 그 위에 별도로 살포·코팅하는 방법으로 시공한 예로서도 초기발아, 식생지반의 보습력, 사면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이와같은 시공을 편의상 제1시공방법이라 하며, 실시예2-3의 경우와 같이 표 1의 배합에 따른 시드스프레이 조성후 시공하는 방법을 편의상 제2시공방법이라 한다.
구체적인 측정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초기발아율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 따른 시드 스프레이 조성으로 제1시공방법이나 제2시공방법으로 식생 후 씨앗이 발아된 상태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으로 시공한 후 5주일이 경과된 시점에서 착근된 종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3은 실시예 2, 도 4는 실시예 3에 따른 방법으로 시공한 후 5주일이 경과된 시점에서 씨앗이 초기 발아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5는 비교예 1에 따른 시드 스프레이 조성으로 시공한 후 5주일이 경과된 시점에서 착근된 종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와같이 촬영한 사진을 토대로 하여 이미지 프로세싱을 활용하여 씨앗 발아분포도를 측정하여 이를 도 6에 그래프로서 나타내었다.
상기의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시공 후 약 1주일 후에 씨앗의 발아가 시작되었으며, 비교예 1의 경우도 이와 유사한 초기발아분포도를 보였고 그 양도 유사수준이었다.
2)사면안정성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 따른 시드 스프레이 조성으로 제1시공방법이나 제2시공방법으로 식생한 후, 시공 후 강우강도 23.9mm/hr이상 강우에 의한, 종자의 유실정도를 측정하였다.
시공 후 1주가 지난 시점에서의 사면상태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7 내지 10에 나타내었다.
도 7은 실시예1에 따른 제1시공방법에 의해 시공 후 23.9mm/hr이상 강우에 의한 사면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8은 실시예2에 따른 제2시공방법에 의해 시공한 후 23.9mm/hr이상 강우에 의한 사면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9는 실시예 3에 의한 것으로 제2시공방법에 의해 시공한 후 23.9mm/hr이상 강우에 의한 사면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10은 비교예1에 따른 시드 스프레이 조성으로 시공 후 23.9mm/hr이상 강우에 의한 사면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 결과를 토대로 분포된 세굴양에 대한 분포도를 도 11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이때, 세굴량 분포는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이노하이텍, 일본)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한편, 도 12는 제 1 시공방법에 따른 실시예 1에 의한 시공, 도 13 내지 14는 제2시공방법에 따른 실시예 2∼3에 의한 시공, 도 15은 제1시공방법에 따른 비교예 1 조성으로 시공한 후 23.9mm/hr 이상의 강우강도가 있은 후 3주후의 착근상태를 보여주는 그림으로서, 시공후 23.9mm/hr 이상의 강우강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3주후의 착근상태를 확인한 결과 비교예에 비하여 착근상태의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거적덮기공법)과 같은 통상의 시드 스프레이 조성의 경우는 시공 후 강우나 강풍에 의한 사면의 세굴이 큼에 따라 종자의 유실이 커짐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강우강도 상황을 겪은 후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드 스프레이 조성 중 포함된 복합비료의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복합비료의 손실량은 토양 자체의 양분조건이 동일한 가운데서 씨앗의 성장은 시드 스프레이 조성 중 포함된 복합비료의 함유량에 따를 것으로 간주하여, 일정기간 동안 씨앗의 성장도를 관찰하여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도 16과 같다.
도 16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비교예 1에 따른 거적덮기 공법에 비해 일정 강우강도 하에서 복합비료 손실량이 근소하게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시드 스프레이 중 포함된 수용성 라텍스 폴리머 용액이 코팅막을 형성하여 지반에 종자, 복합비료 등을 묶어두는 역할을 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3)식생지반의 보습력
본 발명의 시드 스프레이 조성 중 수용성 폴리머 라텍스 용액을 사용함에 따라 토양보습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공 후 7일이 경과한 후 각각의 시료를 채취하여 토양분석법(항온실 온도 20℃, 습도 50%)에 의해 토양보습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7의 그래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시드 스프레이 조성을 사용한 시공의 경우 수분함량의 감소가 거의 없었으며, 비교예의 시드 스프레이 조성을 사용한 시공의 경우에는 수분함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시드 스프레이 조성을 사용하더라도 토양의 보습력을 저하시키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목초류 씨앗, 피복양생제, 복합비료 및 수용성 폴리머 라텍스 용액을 포함하는 조성을 성토 또는 절토면에 살포하는 경우 씨앗이나 양분의 유실을 최소화하여 발아율을 증가시키고 세굴이나 고사로 인한 녹화량 감소를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1회의 살포만으로도 별도의 후속적 구조물 설치 없이 녹화가 가능하며, 급경사면이나 대형사면의 녹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7)

  1. 살포되는 단위면적당, 목초류 종자 15∼25g/㎡, 피복양생제 20∼25g/㎡, 복합비료 50∼80g/㎡ 및 수용성 폴리머 라텍스 용액(5∼20% 기준) 500∼2000g/㎡를 포함하는 녹화용 시드 스프레이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성 폴리머 라텍스 용액은 고무 라텍스계 또는 수지 라텍스계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 시드 스프레이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용성 폴리머 라텍스 용액은 천연 고무라텍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클로로피렌 고무 라텍스,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폴리아크릴 에스터 라텍스,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라텍스, 스티렌-아크릴 에스터 라텍스, 폴리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라텍스, 폴리프로필렌 라텍스, 에폭시계 라텍스, 아스팔트계 라텍스, 고무 아스팔트계 라텍스 및 파라핀계 라텍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 시드 스프레이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침식안정제를 살포면적당 50g/㎡ 되도록 더 첨가하여 이루어진 녹화용 시드 스프레이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피복안정제는 페이퍼 화이버(Paper Fiber) 및 우드 화이버(Wood Fib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 시드 스프레이 조성물.
  6. 제 1 항의 시드스프레이 조성 중 수용성 폴리머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경사면에 살포한 후, 수용성 폴리머 라텍스 용액을 별도로 살포하는 시드스프레이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
  7. 제 1 항의 시드스프레이 조성을 모두 혼합하여 경사면에 일괄적으로 살포하는 시드스프레이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
KR1020010067745A 2001-10-31 2001-10-31 합성고무 라텍스를 이용한 녹화용 시드 스프레이 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 KR100356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745A KR100356921B1 (ko) 2001-10-31 2001-10-31 합성고무 라텍스를 이용한 녹화용 시드 스프레이 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745A KR100356921B1 (ko) 2001-10-31 2001-10-31 합성고무 라텍스를 이용한 녹화용 시드 스프레이 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564A KR20020060564A (ko) 2002-07-18
KR100356921B1 true KR100356921B1 (ko) 2002-10-19

Family

ID=27725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745A KR100356921B1 (ko) 2001-10-31 2001-10-31 합성고무 라텍스를 이용한 녹화용 시드 스프레이 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352B1 (ko) 2007-11-02 2011-11-22 주식회사 엘티아이조경산업 사면녹화용 뿜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487B1 (ko) * 2013-07-23 2014-01-22 한국도로공사 마사토 비탈면 침식방지 녹화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7419A (ja) * 1982-05-27 1983-12-02 Mitsui Toatsu Chem Inc 法面緑化工法
JPS6355217A (ja) * 1986-08-25 1988-03-09 Furii Kogyo Kk 法面の安定化、緑化方法
KR960006489A (ko) * 1994-07-13 1996-02-23 김광호 자동 미세 조정회로
JPH08298859A (ja) * 1995-05-08 1996-11-19 Showa Denko Kk 傾斜地の緑化方法
KR100284505B1 (ko) * 1998-09-17 2001-03-15 김용각 비탈면보호식재용코매트조성물및이를이용한녹화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7419A (ja) * 1982-05-27 1983-12-02 Mitsui Toatsu Chem Inc 法面緑化工法
JPS6355217A (ja) * 1986-08-25 1988-03-09 Furii Kogyo Kk 法面の安定化、緑化方法
KR960006489A (ko) * 1994-07-13 1996-02-23 김광호 자동 미세 조정회로
JPH08298859A (ja) * 1995-05-08 1996-11-19 Showa Denko Kk 傾斜地の緑化方法
KR100284505B1 (ko) * 1998-09-17 2001-03-15 김용각 비탈면보호식재용코매트조성물및이를이용한녹화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352B1 (ko) 2007-11-02 2011-11-22 주식회사 엘티아이조경산업 사면녹화용 뿜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564A (ko) 200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93948C (zh) 防冲刷基材生态护坡方法
CN110896696A (zh) 纤维团粒喷播绿化方法
CN101457525B (zh) 一种处治黄土边坡中厚层剥落病害的方法
US3938279A (en) Growth medium to cover the surface of the ground
US3600852A (en) Hardenable plant-seed-containing composition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plant growth
EP0736587B1 (en) Semifluid mix and associated environmental restoration method
KR100356921B1 (ko) 합성고무 라텍스를 이용한 녹화용 시드 스프레이 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
JP2987568B2 (ja) 乾燥地または沙漠地における緑化方法
KR20060130987A (ko) 식생매트 시공방법
JP5344752B2 (ja) 緑化方法および緑化構造体
JP3245303B2 (ja) 緑化用資材
JP2000170169A (ja) 法面緑化用枠の設置構造及び法面緑化工法
JP3183854B2 (ja) 斜面保護用組成物及び斜面保護工法
JPS593502B2 (ja) 土壌表層の安定化、緑化工法
KR20090032266A (ko) 비탈면 녹화공법
KR100592402B1 (ko) 녹화공법 및 그 구조
JP2799148B2 (ja) 構造物上に芝生を造成する方法及び生育基盤
JP2005021026A (ja) 緑化材料及びその緑化材料を用いた緑化工法
KR20040055955A (ko) 사면녹화용 식생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Li et al. Application of New Slope Greening Technology-Reinforced Organic-Material and Plant Seeds Spraying
RU2449087C2 (ru) Структура укрепления откосов
KR20030072287A (ko) 사면 녹화용 식생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
JP2776950B2 (ja) 地表面の安定化工法
JPS58207419A (ja) 法面緑化工法
JPS609174B2 (ja) 法面の保護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