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657B1 - 용접 로봇용 냉각 시스템의 냉각수량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용접 로봇용 냉각 시스템의 냉각수량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657B1
KR100356657B1 KR1020000022943A KR20000022943A KR100356657B1 KR 100356657 B1 KR100356657 B1 KR 100356657B1 KR 1020000022943 A KR1020000022943 A KR 1020000022943A KR 20000022943 A KR20000022943 A KR 20000022943A KR 100356657 B1 KR100356657 B1 KR 100356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propeller
housing
cooling
cool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8190A (ko
Inventor
강형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657B1/ko
Publication of KR20010098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6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03Cool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립 라인에 있어서 차체를 용접하는 용접 로봇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시스템을 순환하는 냉각수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냉각수 유량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량 감지 장치는, 냉각수 통로의 중간에 설치되어 냉각수 통로를 흐르는 냉각수를 통과시키며, 일측면이 개방된 하우징(1);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면을 밀폐하는 투명 재질의 커버(2);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을 통과하는 냉각수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3); 프로펠러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냉각 시스템의 제어부로 입력하는 회전수 검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접 로봇용 냉각 시스템의 냉각수량 감지 장치{Device for detecting quantity of cooling water of a cooling system in an welding robo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립 라인에 있어서 차체를 용접하는 용접 로봇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 시스템을 순환하는 냉각수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냉각수 유량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조립에 있어서, 여러 가지 가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특히 용접 가공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크다. 자동차의 조립에 있어서 용접 가공이 사용되는 부분에는 차체, 연료 탱크 등과 같은 박판 뿐만 아니라 휠, 브레이크 슈, 리어 액슬 하우징, 프로펠러 샤프트 등과 같이 두꺼운 판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부위의 용접을 위하여 최근에는 자동차의 조립 라인에 다수의 용접용 로봇이 설치되어, 인간의 손이 닿기 어려운 부위라도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신속하고 정확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용접 로봇의 용접 작업 과정에서는 많은 열이 발생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부분의 온도 상승 및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접 로봇에는 냉각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그 대부분은 물을 이용한 수냉식 냉각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수냉식 냉각 시스템에 있어서 냉각수의 유량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즉, 냉각수의 유량이 너무 적으면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아 과열로 인한 고장 또는 사고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수냉식 냉각 시스템에는 냉각수가 순환되는 통로의 일측에 냉각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냉각수량이 미리 설정된 냉각수량보다 적으면 경고 장치가 작동되어 작업자에게 냉각수량의 부족을 경고한다. 냉각수량 측정 센서로는 통상적으로 냉각수 통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흐르는 냉각수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가 사용되며, 냉각 시스템의 제어부는 압력 센서에서 측정된 압력으로부터 유량을 추정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접 로봇용 냉각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자동화 시스템에는 항상 고장의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경보 장치나 압력 센서가 고장날 경우 냉각수량의 부족을 작업자에게 경고해줄 수 없어 용접 로봇이 과열될 위험에 처하게 된다. 또한, 냉각수량의 부족을 경고하기 위한 기준치가 잘못 설정될 경우에도 동일한 위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냉각수의 흐름 및 유량을 작업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경보 계통의 고장이나 잘못된 기준치의 설정시에도 과열로 인한 용접 로봇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냉각수량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로봇용 냉각 시스템의 냉각수량 감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로봇용 냉각 시스템의 냉각수량 감지 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하우징 2 ; 투명 커버
3 ; 프로펠러 4 ; 자성체
5 ; 자기장 검출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로봇용 냉각 시스템의 냉각수량 감지 장치는, 용접 로봇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 시스템의 냉각수량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냉각수 통로의 중간에 설치되어 냉각수 통로를 흐르는 냉각수를 통과시키며, 일측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면을 밀폐하는 투명 재질의 커버;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을 통과하는 냉각수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 및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냉각 시스템의 제어부로 입력하는 회전수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수 검출부는 상기 프로펠러의 일측에 부착된 자성체와, 상기 투명 커버의 상기 프로펠러에 대향되는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시 상기 자성체와의 거리 변화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전기적인 펄스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입력하는 자기장 검출기를 가지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프로펠러는 비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로봇용 냉각 시스템의 냉각수량 감지장치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사시도고, 도 2는 단면도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로봇용 냉각 시스템의 냉각수량 감지장치는 하우징(1)과 투명 커버(2)와 프로펠러(3)와 프로펠러(3)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부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1)은 일측면이 개방되고 입구 및 출구 포트(1a, 1b)를 가지는 대략 납작한 원통형의 부재이며, 냉각 시스템의 냉각수 통로(9)의 중간 일측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냉각수 통로(9)의 냉각수는 입구 포트(1a)를 통해 하우징(1)으로 유입되고 출구 포트(1b)를 통해 다시 냉각수 통로(9)로 유출된다.
투명 커버(2)는 하우징(1)의 개방된 일측을 밀폐한다. 따라서, 이 투명 커버(2)를 통해 하우징(1)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다.
프로펠러(3)는 하우징(1)을 통과하는 냉각수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우징(1) 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작업자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투명 커버(2)와 프로펠러(3)는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프로펠러(3)는 비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진다.
회전수 검출부는 자성체(4)와 자기장 검출기(5)를 가진다. 자성체(4)는 프로펠러(3)의 다수의 날개 중 어느 일측 날개 또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날개 위에 부착되어 있다. 자기장 검출기(5)는 투명 커버(2)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자기장 검출기(5)는 냉각 시스템의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냉각수가 하우징(1)을 통과하여 흐르는 것에 의해, 하우징(1) 내에 설치된 프로펠러(3)가 회전되며 프로펠러(3)의 회전수는 하우징(1)을 통과하는 냉각수의 유량에 따라 좌우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투명 커버(2)를 통하여 보여지는 프로펠러(3)의 회전 속도에 의해 냉각수의 유량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펠러(3)가 회전되면, 프로펠러(3)에 부착된 자성체는 주기적으로 자기장 검출기(5)의 하측을 통과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자기장 검출기(5)에 검출되는 자기장은 주기적으로 변화된다. 자기장 검출기(5)는 이러한 자기장의 변화를 전기적인 펄스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입력한다. 제어부는 입력된 펄스 신호로부터 프로펠러(3)의 회전수를 산출한다. 만약 회전수가 설정된 기준치 이하이면 냉각수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 장치를 통해 작업자에게 이를 경고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작업자가 투명 커버를 통해 프로펠러의 회전속도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유사시 경고 계통이 고장나거나 기준치가 잘못 설정된 경우에도 작업자가 직접 프로펠러의 회전 속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냉각수량의 부족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냉각수량의 부족으로 인한 용접 로봇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용접 로봇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 시스템의 냉각수량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냉각수 통로의 중간에 설치되어 냉각수 통로를 흐르는 냉각수를 통과시키며, 일측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면을 밀폐하는 투명 재질의 커버;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을 통과하는 냉각수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 및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냉각 시스템의 제어부로 입력하는 회전수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수 검출부는 상기 프로펠러의 일측에 부착된 자성체와, 상기 투명 커버의 상기 프로펠러에 대향되는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시 상기 자성체와의 거리 변화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전기적인 펄스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입력하는 자기장 검출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로봇용 냉각 시스템의 냉각수량 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는 비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로봇용 냉각 시스템의 냉각수량 감지 장치.
KR1020000022943A 2000-04-28 2000-04-28 용접 로봇용 냉각 시스템의 냉각수량 감지 장치 KR100356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943A KR100356657B1 (ko) 2000-04-28 2000-04-28 용접 로봇용 냉각 시스템의 냉각수량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943A KR100356657B1 (ko) 2000-04-28 2000-04-28 용접 로봇용 냉각 시스템의 냉각수량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190A KR20010098190A (ko) 2001-11-08
KR100356657B1 true KR100356657B1 (ko) 2002-10-18

Family

ID=19667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943A KR100356657B1 (ko) 2000-04-28 2000-04-28 용접 로봇용 냉각 시스템의 냉각수량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6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508B1 (ko) 2014-02-27 2016-03-07 주식회사 더블유비 용접기용 냉각수량 측정장치
CN108983140A (zh) * 2018-10-17 2018-12-11 内蒙古第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焊接机器人焊接电流、电压校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8186U (ko) * 1988-09-07 1990-03-14
JPH0513677U (ja) * 1991-08-08 1993-02-23 セントラル自動車株式会社 抵抗溶接スポツトガンのチツプ抜け検出装置
JPH0647553A (ja) * 1992-07-30 1994-0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溶接トーチの水冷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8186U (ko) * 1988-09-07 1990-03-14
JPH0513677U (ja) * 1991-08-08 1993-02-23 セントラル自動車株式会社 抵抗溶接スポツトガンのチツプ抜け検出装置
JPH0647553A (ja) * 1992-07-30 1994-0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溶接トーチの水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190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2442B2 (ja) 車両用操舵制御システム
US6250876B1 (en) Mechanical seal with flushing arrangement
KR870003451A (ko) 진단 시스템
JPH0361170A (ja) 自動車用電動式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の故障判定装置
KR101816413B1 (ko) 냉각수조절밸브의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JP2010019587A (ja) 差圧式流量計及び流量コントローラ
US5950667A (en) Apparatus for detecting opening in fluid flow passageway and shutting off flow in response thereto
KR100356657B1 (ko) 용접 로봇용 냉각 시스템의 냉각수량 감지 장치
US20170283027A1 (en) Column based electric assist marine power steering
JP2000009504A (ja) サイクロンタービンフローメータ及びその制御システム
JP2006526530A (ja) ブレーキライニング磨耗表示装置
US5811674A (en) Coolant safety system for welding apparatus
KR20200023356A (ko) 조향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및 조향 시스템
KR20030055866A (ko)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고장 진단 및조치장치
US7370540B2 (en) Rotation angle sensor, in particular for an electrical steering system of an industrial truck
JP2014108461A (ja) 工作機械に用いられる流体圧シリンダ装置
JPH08114480A (ja) ガスメータ
SU130527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силового режима металлоконструкций горно-транспортных машин
JPH09196715A (ja) 流量センサ
CN107303976A (zh) 具有液体状态监测装置的液罐车
JP7277291B2 (ja) サーボモータの制御装置
JP4095857B2 (ja) 車両用操舵装置
KR100413254B1 (ko) 차륜속도센서의이상상태판단방법
EP0956923A1 (en) Coolant safety system for automated welding apparatus
JP2698914B2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