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543B1 - 배수트랩 유니트 - Google Patents

배수트랩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543B1
KR100356543B1 KR1020000044131A KR20000044131A KR100356543B1 KR 100356543 B1 KR100356543 B1 KR 100356543B1 KR 1020000044131 A KR1020000044131 A KR 1020000044131A KR 20000044131 A KR20000044131 A KR 20000044131A KR 100356543 B1 KR100356543 B1 KR 100356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trap
drain
holes
pipe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9268A (ko
Inventor
오주훈
Original Assignee
오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주훈 filed Critical 오주훈
Priority to KR1020000044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543B1/ko
Publication of KR20000059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60Reducing noise in plumb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악취의 역류방지 및 이물질의 청소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배수트랩 유니트에 대한 것이다. 이 배수트랩유니트는 호퍼(50)에 안착되며 중심에 상부배수관(110)이 연결되는 결합구멍(64)이 형성되고, 격벽(61)이 일정간격으로 소정수 형성된 환형의 채널(65)이 형성되며, 격벽과 격벽사이에 우수/오수가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부(66a-66d)와 우수/오수가 호퍼측으로 배수되도록 격벽(61)사이에 소정수의 배수구멍(63a-63d)이 형성된 배수트랩(60)과; 채널(65)의 상면에 각각 안착되는 수평부(73)(83)와, 각 수평부의 저면에 배수트랩(60)의 격벽(61)과 일정간격 유지되도록 연장형성된 차단벽(72)(82)과, 각 수평부로부터 수직한 수직부(74)(84)와, 각 수용부의 상면에 대향되게 각 수평부에 복수의 구멍(71)(81)이 형성된 제1/2분리관(70)(80)과; 제1,2분리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의 구멍(91)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92)가 형성된 환형링(90);을 구비한다. 이러한 유니트는 수용부에는 세탁수 등의 물이 항상 격벽의 높이 까지 차게되고 차단벽에 의해서 차단되게 되므로, 배구구멍을 통한 악취의 역류를 방지 및 배수소음이 저감된다. 또한, 제1,2분리관이 배수트랩(6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게 함으로써 청소 등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배수트랩 유니트{Drain trap unit}
본 발명은 베란다 또는 옥상의 빗물 또는 오수가 배수되는 배수트랩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물제거 또는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배수트랩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 건물의 욕실이나 베란다에는 고인 물이 배출되며 상/하층의 연결관이 연결되는 배수트랩 유니트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배수관 조립체의 일예가 실용신안 공고 81-2524호에 나타나 있다. 이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미도시)에 콘크리트(1)를 타설하기 전에 트랩동체(10)를 거푸집에 못(14)등으로 고정시키고 이 트랩동체(10)에 호퍼(2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1)를 타설하여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콘크리트(1)가 양생된 후, 호퍼(20)에 망체(40)를 결합시키고 그 상단에 상부 연결관(30)을 안착하여 고정환(2)으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트랩동체(10)의 결합홈(12)에 하부 연결관(40)을 결합시킨다.
한편, 트랩동체(10)의 상부 내주면에는 복수의 리브(13)가 형성되어서, 호퍼(20)의 외주면과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1) 상면으로부터 호퍼(20)의 외주면을 통해 누수된 물이 그 공간을 통해 배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트랩동체(10)의 플랜지(11) 가장자리에는 경사부(11a)를 형성하여서, 거푸집 제거후 트랩동체(10)가 콘크리트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배수트랩 유니트는 망체(40)를 통해 악취가 역류하여 발생하고, 또한 배수되는 물의 자유낙하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호퍼(20)내부의 오물 등을 청소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부연결관(30)과 망체(40)와의 결합상태를 해제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고 배수 소음이 저감되도록 된 배수트랩 유니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오물등 이물질의 청소가 간편하도록 된 배수트랩 유니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배수트랩 유니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배수트랩 유니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도2의 배수트랩 유니트를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4는 도2의 배수트랩 유니트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5는 배수트랩을 나타낸 평면도,
도6의 (가)는 환형링의 구멍과 분리관의 구멍이 연통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6의 (나)는 환형링의 구멍과 분리관의 구멍이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호퍼 60...배수트랩
61...격벽 62...배출구멍
63a-63d...배수구멍 64...결합구멍
65...채널 66a-66d...수용부
70,80...제1,2분리관 90...환형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바닥에 매설되어 상층 또는 바닥의 오수/우수 등을 배수시키는 호퍼를 구비하는 배수트랩 유니트에 있어서,
호퍼에 안착되며 중심에 상부배수관이 연결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격벽이 일정간격으로 소정수 형성된 환형의 채널이 형성되며, 격벽과 격벽사이에 우수/오수가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부와 우수/오수가 호퍼측으로 배수되도록 격벽사이에 소정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된 배수트랩과;
상기 채널의 상면에 각각 안착되는 수평부와, 각 수평부의 저면에 배수트랩의 격벽과 일정간격 유지되도록 연장형성된 차단벽과, 각 수평부로부터 수직한 수직부와, 상기 각 수용부의 상면에 대향되게 각 수평부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제1/2분리관과;
상기 제1,2분리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의 구멍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환형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일단이 상기 배수트랩의 결합구멍에 나사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상부배수관이 연결되는 상하조절관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환형링의 구멍과 제1,2분리관의 구멍이 연통되는 제1위치와 차단되는 제2위치가 정해지도록, 상기 제1분리관 또는 제2분리관의 수평부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수트랩의 각 수용부바닥면에 배출구멍이 형성되어서, 시공중에 작업수 등의 오수가 수용부로부터 배출되도록 되고, 시공후에 각 배출구멍을 막아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내지 도4를 참조하면, 아파트 등의 베란다 바닥(100)에는 상층 또는 바닥의 오수/우수 등을 배수시키는 호퍼(50)가 상하면이 노출되도록 매설되어 있다.
이 호퍼(50)의 상면에는 배수트랩(60)이 안착되어 있다. 이 배수트랩(60)은 그 중심에 상부배수관(110)이 연결되는 결합구멍(64)과, 격벽(61)이 일정간격으로 소정수 형성된 환형의 채널(65)과, 격벽과 격벽사이에 우수/오수가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부(66a-66d)와, 우수/오수가 호퍼측으로 배출되도록 격벽(61)사이에 소정수의 배수구멍(63a-63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트랩(60)에는 한쌍의 제1,2분리관(70)(80)이 결합된다. 이 제1,2분리관(70)(80)은 채널(65)의 상면에 각각 안착되는 수평부(73)(83)와, 각 수평부의 저면에 배수트랩(60)의 격벽(61)과 일정간격 유지되도록 연장형성된 차단벽(72)(82)과, 각 수평부로부터 수직한 수직부(74)(84)와, 상기 각 수용부(66a-66d)의 상면에 대향되게 각 수평부에 복수의 구멍(71)(8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벽(72)(82)은 수용부(66a-66d)의 바닥면과 일정간격 떨어지게 형성되어야 하며, 또한 격벽(61)의 단부는 제1,2분리관(70)(80)의 각 수평부(73)(83)와 일정간격 떨어지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2분리관(70)(8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의 구멍(91)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92)가 형성된 환형링(90)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손잡이(92)는 2단으로 곡률처리함으로써 파지하기 간편할 뿐만 아니라 외관상으로도 수려하다.
한편, 일단이 상기 배수트랩(60)의 결합구멍(64)에 나사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상부배수관(110)이 연결되는 상하조절관(130)이 구비된다.
또한, 환형링(90)의 구멍(91)과 제1,2분리관의 구멍(71)(81)이 연통되는 제1위치와 차단되는 제2위치가 정해지도록, 상기 제1분리관 또는 제2분리관의 수평부에 스토퍼(7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수트랩(60)의 각 수용부(66a-66d)바닥면에 배출구멍(62)이 형성되어서, 시공중에 작업수 등의 오수가 수용부로부터 배출되도록 되고, 시공후에 각 배출구멍을 막아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수트랩 유니트는, 먼저 시공시에는 배수트랩(60)의 배출구멍(62)을 오픈시킨 상태에서 시공을 한다. 이 경우 시공중 바닥면에 흐른 작업수 등의 오수가 수용부(66a-66d)에 고이지 않고 배출구멍(62)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시공후 마무리시 오수 등을 수용부(66a-66d)로부터 제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게 된다. 시공후에는 배출구멍(62)을 별도의 마개(미도시)등으로 차단시켜 사용한다.
한편, 사용중에는 바닥의 오수등이 배수되도록 도6(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링(90)을 회전시켜서 환형링(90)의 구멍(91)과 제1,2분리관(70)(80)의 구멍(71)(81)이 일치되도록 회전시켜 사용한다. 이때 배출되는 오수등은 수용부(66a-66d)에 격벽(61)의 높이까지 차게 된 다음, 격벽(61)을 넘어서 배수구멍(63a-63d)을 통해 호퍼(50)측으로 배수되게 된다.
따라서 수용부(66a-66d)에는 세탁수 등의 물이 항상 격벽(61)의 높이 까지 차게되고 차단벽(72)(82)에 의해서 차단되게 되므로, 배구구멍(63a-63d)을 통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도6(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링(90)을 회전시켜서 환형링(90)의 구멍(91)과 제1,2분리관(70)(80)의 구멍(71)(81)이 연통하지 않도록 회전시켜 놓는다. 이 경우 수용부(66a-66d)에 수용된 세탁수의 오수로부터의 악취 및 배수소음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때 환형링(90)을 회전시켜 환형링(90)의 구멍(91)과 제1,2분리관(70)(80)의 구멍(71)(81)이 연통되는 제1위치와 차단되는 제2위치는 도6의 (가)(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75)에 의해서 간단하게 위치되게 된다.
한편, 오랜 사용중에 수용부(66a-66d)의 바닥면에 침전된 침전물 또는 찌꺼기 등을 청소하고자 할시에는 환형링(90)을 들어올리고 제1,2분리관(70)(80)을 배수트랩(6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킨 상태에서 청소를 한다. 이 경우 수용부(66a-66d)의 내면을 구석구석 완벽하게 청소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각 분리관(70)(80)의 내면의 침전물 등을 깨끗이 청소할 수 있게 한다.
첫째, 수용부(66a-66d)에는 세탁수 등의 물이 항상 격벽(61)의 높이 까지 차게 되고 차단벽(72)(82)에 의해서 차단되게 되므로, 배구구멍(63a-63d)을 통한 악취의 역류를 방지 및 배수소음이 저감된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환형링(90)을 회전시켜서 환형링(90)의 구멍(91)과 제1,2분리관(70)(80)의 구멍(71)(81)이 연통하지 않도록 회전시켜 놓음으로써, 수용부(66a-66d)에 수용된 세탁수의 오수로부터의 악취 및 배수소음을 차단시키게 된다.
둘째, 제1,2분리관(70)(80)이 배수트랩(6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게 함으로써 청소 등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한다.

Claims (4)

  1. 바닥에 매설되어 상층 또는 바닥의 오수/우수 등을 배수시키는 호퍼를 구비하는 배수트랩 유니트에 있어서,
    호퍼(50)에 안착되며 중심에 상부배수관(110)이 연결되는 결합구멍(64)이 형성되고, 격벽(61)이 일정간격으로 소정수 형성된 환형의 채널(65)이 형성되며, 격벽과 격벽사이에 우수/오수가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부(66a-66d)와 우수/오수가 호퍼측으로 배수되도록 격벽(61)사이에 소정수의 배수구멍(63a-63d)이 형성된 배수트랩(60)과;
    상기 채널(65)의 상면에 각각 안착되는 수평부(73)(83)와, 각 수평부의 저면에 배수트랩(60)의 격벽(61)과 일정간격 유지되도록 연장형성된 차단벽(72)(82)과, 각 수평부로부터 수직한 수직부(74)(84)와, 상기 각 수용부(66a-66d)의 상면에 대향되게 각 수평부에 복수의 구멍(71)(81)이 형성된 제1/2분리관(70)(80)과;
    상기 제1,2분리관(70)(8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의 구멍(91)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92)가 형성된 환형링(9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배수트랩(60)의 결합구멍(64)에 나사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상부배수관(110)이 연결되는 상하조절관(13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유니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링(90)의 구멍(91)과 제1,2분리관의 구멍(71)(81)이 연통되는 제1위치와 차단되는 제2위치가 정해지도록, 상기 제1분리관 또는 제2분리관의 수평부에 스토퍼(7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유니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랩(60)의 각 수용부(66a-66d)바닥면에 배출구멍(62)이 형성되어서,
    시공중에 작업수 등의 오수가 수용부로부터 배출되도록 되고, 시공후에 각 배출구멍을 막아서 사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유니트.
KR1020000044131A 2000-07-26 2000-07-26 배수트랩 유니트 KR100356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131A KR100356543B1 (ko) 2000-07-26 2000-07-26 배수트랩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131A KR100356543B1 (ko) 2000-07-26 2000-07-26 배수트랩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268A KR20000059268A (ko) 2000-10-05
KR100356543B1 true KR100356543B1 (ko) 2002-10-18

Family

ID=1968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131A KR100356543B1 (ko) 2000-07-26 2000-07-26 배수트랩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5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309A (ko) 2015-08-20 2017-03-02 서영대 부력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268A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459B1 (ko)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
KR101312216B1 (ko) 층상 배수장치
KR100356543B1 (ko) 배수트랩 유니트
KR200417635Y1 (ko) 아파트 베란다용 배수구조
KR100473604B1 (ko) 오수 및 하수용 합성수지맨홀
KR200220668Y1 (ko) 배수트랩 슬리브
KR101111528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용 봉수 구조를 갖는 배수 트랩
CN220847947U (zh) 一种装配式建筑的防臭地漏
KR101511683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CN211172222U (zh) 一种同层排水回填层积水排除装置
KR101487394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JPH0137008Y2 (ko)
CN210395599U (zh) 一种长条地漏
KR20120043317A (ko) 층상배관용 배수관 장치
JP2863496B2 (ja) ユニットルームの排水構造
KR101130190B1 (ko) 세면욕실의 층상배관 시스템
KR20120007819U (ko) 이물질 배출 기능이 구비된 배수 홈통
KR200200789Y1 (ko) 실내 바닥 배수장치
KR200305922Y1 (ko) 배수배관용 연결 플로어
JPH0743219Y2 (ja) トラップ付排水枡に使用する集排水器具
KR20240077390A (ko) 배수트랩 슬리브
JPH076225Y2 (ja) 排水用トラツプ
KR100356537B1 (ko) 배수관 조립체
KR200191219Y1 (ko) 실내 바닥 배수장치
KR200187054Y1 (ko)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