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5491B1 -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5491B1
KR100355491B1 KR1020000001675A KR20000001675A KR100355491B1 KR 100355491 B1 KR100355491 B1 KR 100355491B1 KR 1020000001675 A KR1020000001675 A KR 1020000001675A KR 20000001675 A KR20000001675 A KR 20000001675A KR 100355491 B1 KR100355491 B1 KR 100355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main body
mixing
iron pla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3347A (ko
Inventor
신일현
신옥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티
Priority to KR1020000001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5491B1/ko
Priority to KR2020000000989U priority patent/KR200188527Y1/ko
Priority to EP01901576A priority patent/EP1161137A4/en
Priority to PCT/KR2001/000029 priority patent/WO2001050844A1/en
Priority to US09/959,024 priority patent/US6631695B2/en
Priority to AU27127/01A priority patent/AU2712701A/en
Priority to CNB018003788A priority patent/CN1173623C/zh
Publication of KR20010073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01Fodder distributors with mixer or shredder
    • A01K5/002Fodder distributors with mixer or shredder with mixing or shredding element rotating on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58Automatic devices with endless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mixing feeding-stuff compon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rd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젖소등의 가축에게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축사내에 절곡판상의 철판레일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정역모터에 의해 이동가능한 통상의 사료혼합공급기를 위치하며, 그 철판레일의 양단에 정지턱을 각각 부설하여, 일정시간마다 사료혼합공급기가 자동으로 이동하며 그 제어부의 설정에 따라 사료의 혼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사료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축사내를 왕복한 후에는 자동으로 사료의 혼합 및 공급이 멈추게 하므로서, 별도의 운송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그 제어부에 의해 일정시간마다 자동으로 사료의 혼합 및 공급이 이루어지게 한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A fodder mixture supply device by automatic control}
본 발명은 젖소등의 가축에게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특히 조사료를 비롯한 각종 사료를 효과적으로 대량 혼합함과 동시에 그 혼합기를 자동으로 이동하므로서, 제어부에 설정된 시간 및 속도에 따라 혼합된 사료를 자동으로 이동하며 공급하여, 작업자에 의해 일일이 시간에 맞추어 사료를 공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무거운 사료공급수단을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젖소등의 가축용 사료는 여러 성분의 가공사료와 함께 섬유소가 많은 건초등의 조사료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것인데, 조사료는 되새김질하는 젖소의 특성상 소화를 돕기 위해 비교적 그 길이가 긴 엔시레지, 건초, 볏짚등으로 구성되는 것이어서, 이를 잘게 절단하고 다시 가공사료와 혼합하여야 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과정을 위해 통상의 축사내에는 별도의 절단기 및 혼합기를 함께 구비하고, 이러한 혼합기에 의해 혼합된 사료를 작업자가 일정한 시간마다 퍼내어 가축에게 공급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바와 같은 일반적인 사료의 절단 및 혼합과정은 그 생산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많은 시간과 장비를 필요로 하며, 혼합된 사료 또한 작업자가 일일이 이동하여가며 가축에게 사료를 공급하여야 하므로 그 사료공급시간이 상당히 지연되므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그 축사가 대규모의 시설인 경우에는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더욱 도출되므로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1998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716호와 같이 사료혼합기의 동력수단과, 1999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318호와 같은 회전스크류의 형성방향을 가진 혼합기를 각각 안출하고,
1999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3691호에 의해 동력의 소모를 절감하면서도 비교적 길이가 긴 볏짚이나 건초등을 효과적으로 절단 가능케 하며, 효과적인 혼합사료의 균일한 배합이 이루어지게 함은 물론 이를 별도의 운송수단에 의해 축사내를 이동할 수 있게 하므로서, 그 혼합기를 이동시켜가며 사료를 공급할 수 있게 한 이동식 사료혼합기가 안출된바 있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이동식 사료혼합공급기는 별도의 운송수단을 필요로하므로 이를 운전하여야 하는 운전자를 반드시 필요로하고, 그 운송수단 역시 특수제작이 불가능하므로 기존의 농기계를 운송수단으로 활용하므로 그 규모가 크고 동력소모가 많으며 심한경우 축사내에 매연이 발생하여 가축의 건강을 해하게 되는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일정시간마다 사료를 공급하여야 하므로 작업자는 매시간 사료공급시간을 확인하고, 사료의 공급시간이 되면 그 운송수단과 혼합공급기를 운전하며 사료를 공급하여야 하므로 시간활용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며,
작업자의 운전속도 및 사료공급량이 항상 일정치 않으므로 체계적인 사료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일정한 량의 사료를 또는 필요에 따라 가변할 수 있는 사료의 량을 조절하기가 매우 어려워 고도의 숙련자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져 안출된 것으로서, 축사내에 철판레일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정역모터에 의해 이동가능한 통상의 사료혼합공급기를 위치하며, 그 철판레일의 양단에 정지턱을 각각 부설하여, 일정시간마다 사료혼합공급기가 자동으로 이동하며 그 제어부의 설정에 따라 사료의 혼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사료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축사내를 왕복한 후에는 자동으로 사료의 혼합 및 공급이 멈추고 대기상태가 되게 하므로서, 별도의 운송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그 제어부에 의해 일정시간마다 자동으로 사료의 혼합 및 공급이 이루어지게 한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는 통상의 혼합수단과 배출수단 및 전기한 혼합수단 및 배출수단을 이동키 위한 이동수단, 이동수단을 감지하는 검출수단, 각각의 기술적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자동사료공급장치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자동사료공급장치의 측면설명도
도 3은 본 발명 자동사료공급장치의 평면설명도
도 4는 본 발명 자동사료공급장치의 측면설명도
도 5는 본 발명 자동사료공급장치의 제어부 블록설명도
도 6은 본 발명 자동사료공급장치의 제어부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컨트롤 박스
3,3' : 롤러 4 : 블레이드
5,5' : 정역모터 6 : 철판레일
7 : 리미트스위치'A' 7' : 리미트스위치'B'
8,8' : 정지턱 9,9' : 감지센서
10 : 이동수단
100 : 혼합수단 101,101' : 회전스크류
102 : 구동모터 103 : 기어박스
200 : 배출수단 201,201' : 개폐문
202,202' : 실린더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를 보인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사용상태의 측면 개략도이며, 도 3은 이를 평면도시한 설명도이다.
다수의 회전스크류(101)(101')와 구동모터(102) 및 기어박스(103)로 구성된 혼합수단(100)과,
본체(1) 양측의 개폐문(201)(201')이 실린더(202)(202')에 의해 상하승강되게 한 배출수단(200)을 가진 통상의 사료혼합기에 있어서,
이에 철판레일(6) 및 롤러(3)(3'), 이동용 정역모터(5)(5')로 된 이동수단(10)을 결합형성하고, 그 본체(1)의 일측에 컨트롤박스(2)를 장착하여 전기한 혼합수단(100) 및 배출수단(200), 이동수단(10)을 제어 작동케 하되,
그 이동수단(10)은 컨트롤박스(2)의 제어에 의해 이동용 정역모터(5)(5')를 구동하고, 이와 연동되는 롤러(3)(3')의 회전에 의해 본체(1)를 전후 이동케 하며,
본체(1)의 하부에는 리미트스위치'A'(7) 및 리미트스위치'B'(7')를 장착하고, 전기한 롤러(3)(3')와 당접되게 판상의 철판레일(6)을 절곡형성하되 그 양단에 정지턱(8)(8')을 형성하여,
리미트스위치'A''B'(7)(7')와 정지턱(8)(8')의 접지를 컨트롤박스(2)가 인지하여 이에 의해 혼합수단(100) 및 배출수단(200), 이동수단(10)을 가변작동케 한 것이다.
또, 본체(1) 양측의 개폐문(201)(201') 상하부에 감지센서(9)(9')를 부착형성하여, 이에 의해 개폐문(201)(201')의 상하개폐 작동을 인지케 하거나,
본체(1)의 하부에 블레이드(4)를 수직 결합하되, 이를 경사상으로 결합형성하며, 그 단부가 철판레일(6)의 상부면에 당접되게 하여 철판레일(6)상의 사료 및 이물질등을 제거하게 구성하여 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00은 투입도어, 301은 실린더, 302는 사육장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자동사료공급장치의 측면작동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본 발명 컨트롤박스(2)는 그 내부에 통상의 제어부를 갖게 되는데, 그 제어부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전원을 공급받아 각 구성품을 작동시키는 스위칭부와 이 스위칭부와 연결된 이동용 정역모터(5)(5') 및 배출도어용 실린더(202)(202'), 투입도어용 실린더(301), 리미트스위치'A'(7) 및 리미트스위치'B'(7')와 각각 연결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전원이 공급되는 컨트롤박스(2)에는 통상의 타이머(도면에는 미도시함)가 장착되어 있어 그 타이머에 의해 본 발명 사료 혼합공급장치를 작동케 하는 것인데,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타이머가 작동하면 먼저, 리미트 스위치'A'(7)를 감지하여 시작위치를 인지하고,(S1)
이러한 리미트스위치'A'(7)의 감지에 의해 시작위치가 인지되면, 개폐문 실린더(202)(202')를 구동하여 개폐문(201)(201')을 개구시키고, 그 상부의 감지센서(9)에 의해 개폐문(201)(201')이 완전개구된 상태에서 회전스크류(101)(101') 및 이동용 정역모터(5)(5')를 구동하여 사료의 혼합과 배출 및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S2)
따라서, 혼합사료는 그 개폐문(201)(201')이 완전개구된 상태에서 이동하며 공급하므로 그 시작부와 마감부까지 일정하고 동일한 량의 사료가 공급되므로 자동공급에 따른 신속한 사료의 공급은 물론 동일하고 일정한 량의 사료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회전스크류(101)(101')의 회전운동은 동력을 회전수단(100)내의 구동모터(102)에 전원을 인가시켜 그 회전력이 기어박스(103)를 통해 증가되어, 이 동력을 회전스크류(101)(101')에 전달하여 큰 힘으로 회전시키므로 비교적 긴 풀이나 볏짚등을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체(1)내의 혼합사료는 본체(1) 일측의 투입도어(300)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각종 조사료를 포함한 가공사료들을 집어넣고 그 하부의 실린더(301)를 상승시켜 투입도어(300)를 닫아 본체(1)내부의 혼합사료를 충전하며, 본체(1)의 진행없이 그 혼합수단(100) 즉, 회전스크류(101)(101')만 회전시키면 혼합사료의 배출없이 각종 조사료등을 잘게 자르며 혼합된 배합사료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혼합사료를 배출하며 진행하는 본체(1)는 일정거리 즉, 축사의 통로가 끝나는 지점에 이르러 그 철판레일(6)의 단부에 형성된 정지턱(8')에 의해 리미트스위치'B'(7')가 반응하게 되며,(S3)
리미트스위치'B'(7')의 반응신호는 다시 제어부를 갖는 컨트롤박스(2)가 인지함과 동시에 이동용 정역모터(5)(5')를 역회전시켜 본체(1)를 후진케 하는 것이다.
본체(1)의 후진시에도 혼합수단(100) 및 배출수단(200)은 전기한바와 마찬가지로 지속적으로 작동하며 전진시와 마찬가지로 다시한번 혼합사료를 배출하며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S4)
이러한 공급작용을 거치면서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 그 철판레일(6)단부의 정지턱(8)과 리미트스위치'A'(7)가 반응하고,(S5)
이 반응신호에 따라 롤러(3)(3')를 움직이는 이동용 정역모터(5)(5')의 전원을 차단하고, 배출수단(200)의 개폐문 실린더(202)(202')에 동력을 전달하여 그 개폐문(201)(201')이 닫히게 하는 것이다.(S6)
이 상태에서 그 검출센서(9')의 감지에 의해 개폐문(201)(201')이 완전히 닫힌 상태를 인지하게 되면 회전스크류(101)(101')의 동력을 차단하여 그 회전을 멈추고, 본 발명 사료 혼합배출장치는 대기상태가 되는 것이다.(S7)
또, 그 철판레일(6)은 통상의 복수횡상의 레일이 아니라 판재를 절곡가공하여 형성된 것이므로, 그 양단모서리부에 전기한 롤러(3)(3')가 계지되게 하여 이동을 시키므로 복수횡상 레일의 중간부에 누적되는 이물질이 없고, 그 청소작업이 간편하므로 축사내가 항상 청결한 것이다.
또한, 본체(1)의 하부에 탄력을 가진 고무재로 형성한 블레이드(4)을 수직결합하고, 그 단부가 철판레일(6)의 상부면에 당접되게 하며, 그 블레이드(4)를 일정각도 경사지게 결합하므로서, 본체(1)의 전후 이동시 그 블레이드(4)가 철판레일(6) 상부면에 떨어진 각종 혼합사료를 일측으로 쓸어 내리는 작용을 하므로 청소가 간편하고 본체(1)의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전기한바와 같이 그 타이머의 작동에 의해 시작되는 것이며, 그 타이머는 사용자가 설정한 일정한 주기마다 반응하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기한 바와 같은 사료의 공급작업을 행하므로 별도의 작업자 없이도 일정주기마다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하므로 그 관리가 매우 용이해지는 것이며, 사료혼합배출기의 하부에 결합형성된 이동용 정역모터(5)(5') 및 롤러(3)(3'), 철판레일(6)에 의한 이송수단을 구비하므로 비교적 축사내의 체적을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매우 효율인 혼합사료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는 타이머의 주기적인 작동에 의해 사료의 혼합과정 및 배출과정을 모두 자동으로 실행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컨트롤 박스(2)내에 부설되어 있는 각각의 기능버튼(도면에는 미도시함)에 의해 각 부의 작동 즉, 혼합수단(100)만을 작동시키거나, 배출수단(200)만을 작동시킬수도 있으며, 그 혼합 및 배출과정 없이 본체(1)의 전후진이 가능하며 작동중 비상정지를 가능케하여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도 있으므로, 기기의 오작동 또는 시설물의 하자에 의해 자동작동이 불가능할 경우 전기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며 사료를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정비 및 청소 또는 운반등이 매우 편리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는 일정시간마다 사료혼합공급기가 자동으로 이동하며 그 제어부의 설정에 따라 사료의 혼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사료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축사내를 왕복한 후에는 자동으로 사료의 혼합 및 공급이 멈추게 하므로서, 별도의 운송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그 제어부에 의해 일정시간마다 자동으로 사료의 혼합 및 공급이 이루어지므로 그 관리 및 운영이 매우 용이하고 별도의 작업인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다수의 회전스크류(101)(101')와 구동모터(102) 및 기어박스(103)로 구성된 혼합수단(100)과,
    본체(1) 양측의 개폐문(201)(201')이 실린더(202)(202')에 의해 상하승강되게 한 배출수단(200)을 가진 통상의 사료혼합기에 있어서,
    이에 철판레일(6) 및 롤러(3)(3'), 이동용 정역모터(5)(5')로 된 이동수단(10)을 결합형성하고, 그 본체(1)의 일측에 컨트롤박스(2)를 장착하여 전기한 혼합수단(100) 및 배출수단(200), 이동수단(10)을 제어 작동케 하되,
    그 이동수단(10)은 컨트롤박스(2)의 제어에 의해 이동용 정역모터(5)(5')를 구동하고, 이와 연동되는 롤러(3)(3')의 회전에 의해 본체(1)를 전후 이동케 하며,
    본체(1)의 하부에는 리미트스위치'A'(7) 및 리미트스위치'B'(7')를 장착하고, 전기한 롤러(3)(3')와 당접되게 판상의 철판레일(6)을 절곡형성하되 그 양단에 정지턱(8)(8')을 형성하여,
    리미트스위치'A''B'(7)(7')와 정지턱(8)(8')의 접지를 컨트롤박스(2)가 인지하여 이에 의해 혼합수단(100) 및 배출수단(200), 이동수단(10)을 가변작동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본체(1) 양측의 개폐문(201)(201') 상하부에감지센서(9)(9')를 부착형성하여, 이에 의해 개폐문(201)(201')의 상하개폐 작동을 인지케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본체(1)의 하부에 블레이드(4)를 수직 결합하되, 이를 경사상으로 결합형성하며, 그 단부가 철판레일(6)의 상부면에 당접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
KR1020000001675A 2000-01-14 2000-01-14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 KR100355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675A KR100355491B1 (ko) 2000-01-14 2000-01-14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
KR2020000000989U KR200188527Y1 (ko) 2000-01-14 2000-01-14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
EP01901576A EP1161137A4 (en) 2000-01-14 2001-01-10 MIXING AND FEEDING FEED, AND METHOD AND DEVICE FOR FEEDING THIS FEED
PCT/KR2001/000029 WO2001050844A1 (en) 2000-01-14 2001-01-10 Fodder mixing and feeding the fodder,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fodder using the same
US09/959,024 US6631695B2 (en) 2000-01-14 2001-01-10 Fodder mixing and feeding the fodder,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fodder using the same
AU27127/01A AU2712701A (en) 2000-01-14 2001-01-10 Fodder mixing and feeding the fodder,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fodder using the same
CNB018003788A CN1173623C (zh) 2000-01-14 2001-01-10 供料装置以及利用该供料装置向牛圈供应饲料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675A KR100355491B1 (ko) 2000-01-14 2000-01-14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989U Division KR200188527Y1 (ko) 2000-01-14 2000-01-14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347A KR20010073347A (ko) 2001-08-01
KR100355491B1 true KR100355491B1 (ko) 2002-10-12

Family

ID=196385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675A KR100355491B1 (ko) 2000-01-14 2000-01-14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
KR2020000000989U KR200188527Y1 (ko) 2000-01-14 2000-01-14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989U KR200188527Y1 (ko) 2000-01-14 2000-01-14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554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088B1 (ko) 2005-11-14 2006-11-01 김중관 자주이동형 완전혼합사료 급이기
KR200460964Y1 (ko) 2007-02-23 2012-06-14 (유)대도 가축사료 발효장치
KR101457847B1 (ko) * 2014-05-29 2014-11-06 이용재 이동식 동물사료 자동 투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615A (ko) * 2000-07-18 2002-01-29 신일현 우사용 자동급이방법 및 장치
KR20030028276A (ko) * 2001-09-28 2003-04-08 한정수 혼합 사료를 자동 공급하기 위한 제어 장치 및 그의 방법
KR100506140B1 (ko) * 2003-03-25 2005-08-05 주식회사 실티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의 과부하 제어방법 및장치
KR100851748B1 (ko) * 2008-04-21 2008-08-11 변기원 이동식 양방향 사료 공급장치
KR101898707B1 (ko) * 2013-04-26 2018-09-13 김동윤 축사용 이동식 사료 배합장비
KR20160084641A (ko) 2015-01-06 2016-07-14 주식회사 실티 경사혼합 구조를 갖는 사료혼합기
KR20170006372A (ko) 2015-07-08 2017-01-18 주식회사 실티 경사각도 조절 및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사료혼합기
CN107691253A (zh) * 2017-07-07 2018-02-16 惠安县喜农农用机械研发中心 一种环保的养殖设备
CN110367573A (zh) * 2019-08-23 2019-10-25 湖南天爱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同轴反转结构的多功能饲料加工设备
CN112119955A (zh) * 2020-09-02 2020-12-25 许鸿腾 一种鱼类养殖移动式自动投喂装置
KR102576099B1 (ko) * 2021-02-22 2023-09-07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사료 공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7628A (en) * 1976-01-12 1977-06-07 Butler Robert M Automatic feeding system for gestating livestock
JPH0731317A (ja) * 1993-07-16 1995-02-03 Shiro Nishiyama 自動給餌機能を備えた実験動物等の飼育装置
KR0121880Y1 (ko) * 1995-04-21 1998-07-01 황정규 축사의 자동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7628A (en) * 1976-01-12 1977-06-07 Butler Robert M Automatic feeding system for gestating livestock
JPH0731317A (ja) * 1993-07-16 1995-02-03 Shiro Nishiyama 自動給餌機能を備えた実験動物等の飼育装置
KR0121880Y1 (ko) * 1995-04-21 1998-07-01 황정규 축사의 자동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088B1 (ko) 2005-11-14 2006-11-01 김중관 자주이동형 완전혼합사료 급이기
KR200460964Y1 (ko) 2007-02-23 2012-06-14 (유)대도 가축사료 발효장치
KR101457847B1 (ko) * 2014-05-29 2014-11-06 이용재 이동식 동물사료 자동 투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527Y1 (ko) 2000-07-15
KR20010073347A (ko) 200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5491B1 (ko)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
DE102010028228B4 (de) Control Method for Motor-Driven Shears
US4164200A (en) Feeding device
CN113978142B (zh) 一种防卡纸打印机
CN211510189U (zh) 一种畜牧智能推料机
CN2043046U (zh) 家畜自动喂食供水装置
CN205320861U (zh) 一种自动饲喂站
CN111318558A (zh) 一种土壤修复装置和修复方法
KR200198794Y1 (ko)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
CN217826293U (zh) 一种改进的剩饲料回收装置
CN210329155U (zh) 一种联动杀鱼机
CN212279371U (zh) 一种智能饲喂机
CN204123495U (zh) 一种自带液压动力进料的碎木机
JP3085540U (ja) 飼料混合供給機を利用した飼料供給装置
KR100506140B1 (ko)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의 과부하 제어방법 및장치
CN217364212U (zh) 一种母猪养殖用自动投食机构
CN210211472U (zh) 一种牛肉除水装置
CN114698563B (zh) 一种具有自动补料功能的羊养殖用喂食装置
CN219024445U (zh) 一种垃圾转运处理用粉碎装置
CN217435107U (zh) 一种榨油机用投料器
CN220092495U (zh) 一种医疗废物回收装置
CN215624873U (zh) 一种刮板机堵料报警机构及刮板机
CN212487879U (zh) 一种可自动下料的畜牧养殖用饲料投放装置
CN218189615U (zh) 一种自清洁的氧氯化锆反应装置
CN215507136U (zh) 一种鱼粉加工用原料压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329

Effective date: 200503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000064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329

Effective date: 2005033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0330

Effective date: 2005041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0000655;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0330

Effective date: 2005041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200003819;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300000824;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507

Effective date: 2006031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200003819;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507

Effective date: 20060316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410

Effective date: 200607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300000824;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410

Effective date: 2006072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18